KR100569944B1 - Walk-in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alk-in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944B1
KR100569944B1 KR1020040021209A KR20040021209A KR100569944B1 KR 100569944 B1 KR100569944 B1 KR 100569944B1 KR 1020040021209 A KR1020040021209 A KR 1020040021209A KR 20040021209 A KR20040021209 A KR 20040021209A KR 100569944 B1 KR100569944 B1 KR 100569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topper
vehicle
walk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5979A (en
Inventor
윤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944B1/en
Publication of KR2005009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시트, 예를 들면 2열 독립형 시트의 좌우 슬라이딩을 전동 또는 수동으로 가능토록하여 2,3열 승객의 승하치시 간섭을 없애고 무리한 동작을 없애주는 한편, 운행시에는 원상 복귀하여 2열 승객의 윈도우 조작이 가능하고 무게배분을 균일하게 하며 2,3열 승객 모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워크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eft and right sliding of a stand-alone seat, for example, a two-row stand-alone seat, by electric or manual operation, eliminating interference when the two or three rows of passengers move up and down, and eliminating unreasonable operation,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driv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 system capable of manipulating the window of a passenger, uniform weight distribution, and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both the second and third row passenger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워크인 시스템은 각 시트의 저부에 차폭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시트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시트의 측부와 저부에는 회전 조작가능한 작동레버와 상하 이동되면서 플로어상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한 시트스톱퍼를 각각 장착하여 서로 연동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한 시트스톱퍼의 선택적인 분리작동을 통해 시트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lk-in system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rail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t the bottom of each seat to enable left and right sliding of the seat, and is selectively selected on the floor while being moved up and down with a rotatable operation lever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seat. And a seat stopper that can be fixed and detachable to each other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reby allowing the position to be moved while sliding the seat to the left or right through the selectiv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seat stopper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t is done.

미니밴, 2열시트, 3열시트, 워크인 시스템Minivan, 2-row seats, 3-row seats, walk-in system

Description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Walk-in system for vehicle} Walk-in system for vehicle             

도 1a,1b는 일반적인 미니밴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1A and 1B are plan views showing a walk-in system of a typical minivan vehicle

도 2a,2b는 도 1a,1b에서의 탑승방향을 보여주는 평면도Figures 2a, 2b is a plan view showing the riding direction in Figures 1a, 1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lk-i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스템에서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정면도4a, 4b are front views showing the actuation mechanism in a walk-i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a,5b는 도 4a,4b의 측면도5A, 5B are side views of FIGS. 4A, 4B

도 6a,6b는 도 4a,4b의 요부 확대도6A and 6B are enlarged views of main parts of FIGS. 4A and 4B.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스템의 탑승방향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3과 도 4a,4b,5a,5b,6a,6c를 구체적으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7A, 7B and 7C are plan views showing the riding direction of the walk-i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n detail of FIG. 3 and FIGS. 4A, 4B, 5A, 5B, 6A, 6C schematically shown
9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8;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시트 11 : 가이드레일10 sheet 11: guide rail

12 : 작동레버 13 : 플로어12: operating lever 13: floor

14 : 시트스톱퍼 15 : 캠14: seat stopper 15: cam

16 : 롤러 17 : 스프링16: roller 17: spring

18 : 컨베이어 19 : 모터18: conveyor 19: motor

20 : 스위치 21 : 패드20: switch 21: pad

22 : 브라켓 23 : 홀22: bracket 23: hole

24 : 축 25 : 시트프레임24: axis 25: seat frame

26 : 스위치조작판 27 : 가이드부재26: switch operation board 27: guide member

본 발명은 미니밴 타입의 차량에서 좌우 슬라이드가능한 방식의 시트, 예를 들면 2열시트를 적용하여 2,3열 승객의 승하차시 간섭을 없애고 운행시에는 무게배분을 균일하게 하여 2,3열 승객 모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lide seats, for example, a two-row seat in the minivan-type vehicle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when the passengers get on and off the 2nd and 3rd row passengers and to evenly distribute the weight during the 2nd and 3rd row passengers It's about a walk-in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give everyone a sense of security.

최근 전 세계적으로 미니밴의 워크인 시스템(Walk-in system)은 다양화되고 있다. Recently, the walk-in system of minivans has been diversified.

이는 2열, 3열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높이고 시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변화를 구성함으로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서 판매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the passengers in the 2nd and 3rd row and makes various changes using seats, which can greatly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which is directly linked to sales.

종래에는,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 세제 혜택상 9인승 차량이 많이 팔리게 되어 일반적으로 워크인을 위한 시트는 보조시트(100)로 활용되어 접고 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9-seater vehicle is sold a lot in the domestic tax benefits, so that a seat for a walk-in is generally utilized as an auxiliary seat 100 to be folded and unfolded.

그러나, 유럽이나 북미에서는 이러한 보조시트로는 법규, 상품성 등을 충족하지 못하여 일반적으로 7인승 시트가 탑재되어 있다.However, in Europe or North America, such a supplementary sheet does not satisfy regulations, merchandise, etc., and therefore a 7-seater seat is generally mounted.

예를 들면, 앞열부터 2/3/2석(유럽) 또는 2/2/3석(북미)의 시트배열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리클라이닝, 더블폴딩 등의 워크인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For example, a walk-in system such as sliding, reclining, or double folding is used by using a sheet array of 2/3/2 seats (Europe) or 2/2/3 seats (North America) from the front row.

그러나, 북미의 2/2/3석 방식 중 2열 독립시트의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열에 타기 위해서는 2열의 중앙으로 지나 다녀야 하기 때문에 동선이 길고, 2열에 앉은 승객과 간섭이 생겨 무척 불편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2/2 independent seats in North America's 2/2/3 seat system, as shown in FIG. 2A, in order to get on the third row, the copper wire is long and the interference with the passengers sitting in the second row is long. It is very uncomfortable.

2열 일체형 시트의 경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행시나 2열만 탑승시에도 불필요한 3열 탑승공간을 확보하고 있어서 무게배분의 불균형 및 2,3열 승객 모두 안정감이 떨어지며, 반대편 도어를 이용하여서는 아예 3열에 탑승하기가 힘들게 되어 있다. In the case of the two-row integrated seat, as shown in FIG. 2B, an unnecessary three-row seating space is secured even when driving or only in the second row, so that unbalanced weight distribution and stability of both the two- and three-row passengers are reduced, and the opposite door is used. It's hard to get in the third row at all.

따라서, 본 발명은 독립형 시트, 예를 들면 2열 독립형 시트의 좌우 슬라이딩이 전동 또는 수동으로 가능토록하여 2,3열 승객의 승하치시 간섭을 없애고 무리한 동작을 없애주는 한편, 운행시에는 원상 복귀하여 2열 승객의 윈도우 조작이 가능하고 무게배분을 균일하게 하며 2,3열 승객 모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워크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eft and right sliding of a stand-alone seat, for example, a two-row stand-alone seat, to be electrically or manually enabled to eliminate interference and unreasonable movements of two- and three-row passengers while returning to normal operation.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walk-in system that allows two rows of passengers to operate the window, equalizes weight distribution, and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to both rows 2 and 3 passeng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시트의 저부에 차폭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시트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시트의 측부와 저부에는 회전 조작가능한 작동레버와 상하 이동되면서 플로어상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한 시트스톱퍼를 각각 장착하여 서로 연동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작동레버 의 조작에 의한 시트스톱퍼의 선택적인 분리작동을 통해 시트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rail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t the bottom of each seat to enable left and right sliding of the seat, and is selectively selected on the floor while the side and bottom of the seat are moved up and down with a rotatable operation lever. The seat stopper is fixed and detachable to each other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at stopper can be moved by sliding the seat from side to side through the selectiv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seat stopper. It is done.

또한, 상기 작동레버와 시트스톱퍼의 연동구조는 작동레버에 캠을 장착하고 시트스톱퍼에는 상단에 롤러를 장착하여 서로 접하게 하는 동시에 상방향 복귀를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작동레버의 90°회전에 의해 시트스톱퍼가 아래로 눌려지면서 플로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actuating lever and the seat stopper includes a cam mounted on the actuating lever and a rolle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lev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aving a spring for upward return. The seat stopper is pressed down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made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또한, 상기 시트가 갖는 시트스톱퍼의 아래쪽에는 차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컨베이어 및 이것의 구동을 위한 모터를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스톱퍼의 하향 위치시 컨베이어와 접촉되면서 전동식으로 시트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conveyor extending lo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eat below the seat stopper of the seat, the seat can be slid left and right by electric contact with the conveyor in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seat stopp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또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는 작동레버의 90°회전조작시 접촉되면서 ON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witch for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y to be turned on while contacting the 90 °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또한, 상기 시트스톱퍼의 하단 몸체에는 위아랫면에 각각 패드를 부착하여 플로어 및 컨베이어와의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ower body of the seat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s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to secure contact force with the floor and the conveyo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lk-i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실내의 플로어(13)에는 차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되고, 그 위에 독립적인 각각의 시트(10), 예를 들면 2열시 트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되며, 이때의 시트(10)는 그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스톱퍼(14)에 의해 그 위치가 구속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guide rails 11 are provided on the floor 13 in the vehicle interior side by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respective independent seats 10, for example, two rows of sheets, are provided thereon. The left and right slide along the guide rail 11, the seat 10 at this time can be restrained by the seat stopper 14 is installed on its bottom.

상기 시트(10)의 가이드방식은 시트쿠션 저부에 가이드블럭(미도시)를 장착하고, 이것을 가이드레일(11)상에 조합하여 좌우로 미끄러지게 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The guide method of the seat 10 may be a method of mounting a guide block (not shown) on the bottom of the seat cushion, and sliding it from side to side by combining it on the guide rail 11.

상기 시트(10)의 측면부에는 시트(10)의 상태를 구속 또는 해제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작동레버(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작동레버(12)를 옆으로 돌리거나 바로 세우는 조작을 통해 시트(10)를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옆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n actuating lever 12 is mount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seat 10 as an operation means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tate of the seat 10. The actuating lever 12 is turned sideways or is placed upright. (10) can be fixed and can be moved sideways.

도 4a 및 4b와 도 5a 및 5b, 그리고 도 8과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스템의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4a and 4b and 5a and 5b and 8 and 9 show the specific operating mechanism of the walk-i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a 및 4b와 도 5a 및 5b, 그리고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25)상에는 시트쿠션 폭방향을 관통하는 회전가능한 축(24)이 설치되고, 축(24)의 양단에는 작동레버(12)가 일체 장착되는 동시에 축(24)의 중간에는 캠(15)이 일체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and 5A and 5B, and Figs. 8 and 9, a rotatable shaft 24 penetrating the seat cushion width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seat frame 25, and the shaft 24 The actuating lever 12 is integrally mounted at both ends, and the cam 15 is integrally mounted at the middle of the shaft 24.

이에 따라, 작동레버(12)를 회전시키면 캠(1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operation lever 12 is rotated, the cam 15 can also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상기 캠(15)의 아래쪽으로는 시트프레임(25)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7)를 따라 상하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스톱퍼(1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seat stopper 14 is supported below the cam 1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member 27 installed on the seat frame 25.

상기 시트스톱퍼(14)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태의 부재와 이곳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봉형태의 부재가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형태의 부재는 플로어(13)의 저면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봉형태의 부재는 플로어(13)의 홀(23)을 관통하면서 시트프레임(25)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7)의 내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어 캠(15)의 바로 아래쪽까지 연장되는 동시에 그 끝에는 작동레버(12)의 캠(15)과 접촉하는 롤러(16)가 장착되어 있어서 작동레버(12)의 조작시 시트스톱퍼(14)가 함께 연동가능하게 된다. The seat stopper 14 is a combination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rod-shaped member extending vertically therein, and the plate-shaped member is arranged side by side to the bottom side of the floor 13 The rod-shaped member is slidably assembled inside the guide member 27 provided on the seat frame 25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23 of the floor 13 to extend directly below the cam 15. At the same time, the roller 1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m 15 of the actuating lever 12 so that the seat stopper 14 can be interlocked together when the actuating lever 12 is operated.

즉, 작동레버(12)를 옆으로 90°정도 회전시키면 캠(15)에 의해 롤러(16)가 눌려지면서 시트스톱퍼(14) 전체가 아래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operating lever 12 is rotated by about 90 °, the roller 16 is pressed by the cam 15 so that the entire seat stopper 14 can flow down.

또한, 시트스톱퍼(14)상에는 스프링(17)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스톱퍼(14)가 원래의 상태(플로어상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pring 17 is provided on the seat stopper 14, and the seat stopper 14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closely fixed on the floo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7.

이때의 스프링(17)은 시트스톱퍼(14)가 갖는 봉형태의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윗쪽의 턱과 가이드부재(27)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아래쪽의 턱 사이에 위치되어 압축 및 복원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pring 17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jaw formed in the rod-shaped member of the seat stopper 14 and the lower jaw formed inside the guide member 27 so that it can be compressed and restored. do.

따라서, 작동레버(12)의 조작으로 시트스톱퍼(14)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시트스톱퍼(14)가 플로어(13)로부터 분리되면서 시트(10)의 이동가능한 상태(도 4b, 도 5b, 도6b)가 되고, 시트(10)의 이동 조절 후 작동레버(12)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7)에 의해 시트스톱퍼(14)가 윗쪽으로 복귀되면서 시트(10)의 구속상태(도 4a, 도 5a, 도6a)가 유지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eat stopper 14 is moved downwar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2, the seat stopper 14 is detached from the floor 13 and the movable state of the seat 10 (Figs. 4B, 5B and 6B). When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lever 12 is released after the movement of the seat 10 is adjusted, the seat stopper 14 is returned upward by the spring 17, and the restrained state of the seat 10 (Fig. 4a, Fig. 4). 5a, 6a) can be maintained.

상기 시트스톱퍼(14)의 판형태의 부재에는 윗면과 밑면에 각각 패드(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플로어(13)측과의 밀착상태를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전동시 확실한 동력전달도 가능하게 된다. The sheet 21 of the seat stopper 14 has pads 21 attached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thereof, whereby a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13 side can be securely ensured, and the following transmission Reliable power transfer is also possible.

시트(10)의 좌우 슬라이딩 조작방식은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수동식의 경우 작동레버(12)의 조작으로 시트스톱퍼(14)의 구속상태를 해제한 다음 시트를 그대로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시트(10)를 움직일 수 있고, 전동식의 경우에는 모터(19) 및 컨베이어(18)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10)를 움직일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sliding operation of the seat 10 can be performed by manual or electric power,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by releasing the restraint state of the seat stopper 14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2 and then pushing or pulling the seat as it is. The seat 10 can be moved, and in the case of the electric type, the seat 10 can be moved using the power of the motor 19 and the conveyor 18.

이를 위하여, 시트스톱퍼(14)의 저부에는 차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컨베이어(18)가 설치되고, 컨베이어(18)의 양단은 각각 구동풀리(미도시) 및 피동풀리(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폐순환 라인을 구성하게 되며, 구동풀리측에는 모터(19)의 축이 연결되어 모터(19)의 작동과 함께 컨베이어(18)가 가동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conveyor 18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stopper 14 side by side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conveyor 18 are supported by driving pulleys (not shown) and driven pulleys (not shown), respectively. It constitutes a closed circulation line, the shaft of the motor 19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side so that the conveyor 18 can be oper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19.

상기 모터(19)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되며, 모터 작동을 위한 스위치는 작동레버(12)의 조작과 연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19 is operated by a switch operation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he switch for the motor opera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2.

예를 들면,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12)상에 수평의 스위치조작판(26)을 부착하여 레버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고, 모터(19)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20)를 시트프레임(25)상의 브라켓(22)에 설치하되, 스위치조작판(26)의 궤적선상에 설치하여 작동레버(12)의 조작시 스위치조작판(26)이 회전하면서 스위치(20)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10)의 구속 해제와 함께 모터(19)가 작동되면서 컨베이어(18)를 가동시켜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10)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는 방식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식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a horizontal switch operating plate 26 is attached on the operation lever 12 so that it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and for operation of the motor 19. The switch 20 is mounted on the bracket 22 on the seat frame 25, but the switch 20 is installed on the track line of the switch operating plate 26 so that the switch operating plate 26 rotates when the operating lever 12 is operated. By pressing 20, the conveyor 19 can be operated while the motor 19 is actuated with the restraint of the seat 10, thereby allowing the seat 10 to be automatically moved. .
Her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motor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switch may be adopt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ethod commonly known in the art.

이때의 스위치(20)는 앞뒤로 각각 1개씩 구비할 수 있고, 앞쪽의 스위치를 좌측이동용 스위치로 설정하고, 뒷쪽의 스위치를 우측이동용 스위치로 설정하며, 모터(19)는 정역작동가능한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작동레버(12)를 이동하고자 하는 쪽의 스위치측으로 조작하면 해당방향으로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witch 20 can be provided one by one back and forth, and set the front switch to the left movement switch, the rear switch to the right movement switch, the motor 19 by employing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12 is operated to the side of the switch to be moved, the seat can be mov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물론, 작동레버(12)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위치조작판(26)이 스위치(20)로부터 떨어지면서 모터(19)의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시트(10)는 그때까지의 이동된 위치에서 시트스톱퍼(14)에 의해 재차 구속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if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lever 12 is released, the switch operating plate 26 is dropped from the switch 20, the operation of the motor 19 is stopped, so that the seat 10 is moved to the seat stopper ( It can be fixed while being restrained again by 14).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스템의 탑승방향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7A, 7B and 7C are plan views showing the riding direction of the walk-i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승객이 우측도어 또는 좌측도어를 통해 탑승/하차하는 경우에는,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시트를 모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놓고 여유있게 탑승/하차할 수 있고, 주행시에는 각 시트를 양쪽 가장자리로 옮겨놓을 수 있으므로 승객의 무게배분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passenger boards / unloads through the right door or the left door, as shown in FIGS. 7A and 7B, both seats can be moved to the left or the right and the boarding / unloading can be carried out with ease. Can be moved to both edges to balance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passenger.

즉, 독립형 시트의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2,3열 승객의 승하차시 간섭을 없애고 무리한 동작을 없앨 수 있으며, 운행시에는 원상 복귀하여 승객의 윈도우 조작이 가능하고 무게배분을 균일하게 하여 2,3열 승객 모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dependent seats can be slid left and right, eliminating interference and unreasonable movements when getting in and out of passengers in rows 2 and 3, and returning to their original position when operating, allowing passengers to operate the window and evenly distribute weight.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given to all ten passenger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독립형 시트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 워크인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2,3열 승객의 승하치시 간섭을 없애고 무리한 동작을 없애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운행시에는 원상 복귀하여 2열 승객의 윈도우 조작이 가능하고 무게배분을 균일하게 하며 2,3열 승객 모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 system capable of sliding left and right of the independent seat, and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interference and eliminating unreasonable movements when the second and third row passengers rise and fall,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window of the second row passengers, uniform weight distribution, and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both the second and third row passengers.

Claims (5)

삭제delete 각 시트(10)의 저부에 차폭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을 설치하여 시트(10)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시트(10)의 측부와 저부에는 회전 조작가능한 작동레버(12)와 상하 이동되면서 플로어(13)상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한 시트스톱퍼(14)를 각각 장착하여 서로 연동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작동레버(12)의 조작에 의한 시트스톱퍼(14)의 선택적인 분리작동을 통해 시트(1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에 있어서,Guide rails 11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seat 10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enable left and right sliding of the seat 10, and side and bottom of the seat 10 and an actuating lever 12 which are rotatable in operation. The seat stopper 14, which is selectively fixed and detachable on the floor 13 while being moved, is moun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reby selectively removing the seat stopper 14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2. In a system that is a work of a vehicl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while sliding the seat 10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상기 작동레버(12)와 시트스톱퍼(14)의 연동구조는 상기 작동레버(12)의 축(24)에 캠(15)을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시트스톱퍼(14)에는 상단에 롤러(16)를 장착하여 상기 캠(15)과 롤러(16)가 서로 접하게 하는 한편, 상기 시트스톱퍼(14)는 스프링(17)에 의해 상방향 복귀가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시 시트프레임(25)상의 가이드부재(27)에 의해 안내 및 지지를 받게 하여서, 작동레버(12)의 90°회전에 의해 시트스톱퍼(14)가 아래로 눌려지면서 플로어(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actuating lever 12 and the seat stopper 14 mounts the cam 15 to the shaft 24 of the actuating lever 12 and at the same time the roller 16 is mounted on the seat stopper 14. And the cam 15 and the roller 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seat stopper 14 is able to return upward by the spring 17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member on the seat frame 25 during vertical movement. 27) to guide and support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13 while the seat stopper 14 is pushed down by the 90 °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2. Walk-in system. 각 시트(10)의 저부에 차폭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을 설치하여 시트(10)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시트(10)의 측부와 저부에는 회전 조작가능한 작동레버(12)와 상하 이동되면서 플로어(13)상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능한 시트스톱퍼(14)를 각각 장착하여 서로 연동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작동레버(12)의 조작에 의한 시트스톱퍼(14)의 선택적인 분리작동을 통해 시트(1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에 있어서,Guide rails 11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seat 10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enable left and right sliding of the seat 10, and side and bottom of the seat 10 and an actuating lever 12 which are rotatable in operation. The seat stopper 14, which is selectively fixed and detachable on the floor 13 while being moved, is moun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reby selectively removing the seat stopper 14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2. In a system that is a work of a vehicl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while sliding the seat 10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상기 시트(10)가 갖는 시트스톱퍼(14)의 아래쪽에는 차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컨베이어(18) 및 이것의 구동을 위한 모터(19)를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스톱퍼(14)의 하향 위치시 컨베이어(18)와 접촉되면서 전동식으로 시트(1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 Under the seat stopper 14 of the seat 10, a conveyor 18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motor 19 for driving the seat 10 are installed to extend the seat stopper 14 downward. Walk-in system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sliding to the left and right seat 10 in contact with the conveyor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19)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20)는 작동레버(12)의 90°회전조작시 접촉되면서 ON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 4. The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 (20) for the operation of the motor (19)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lever during a 90 ° rotational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스톱퍼(14)의 하단 몸체에는 위아랫면에 각각 패드(21)를 부착하여 플로어(13) 및 컨베이어(18)와의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크인 시스템. 4. The work of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pads 21 are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lower seat bodies of the seat stopper 14 to ensure contact force with the floor 13 and the conveyor 18. System.
KR1020040021209A 2004-03-29 2004-03-29 Walk-in system for vehicle KR100569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209A KR100569944B1 (en) 2004-03-29 2004-03-29 Walk-in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209A KR100569944B1 (en) 2004-03-29 2004-03-29 Walk-in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79A KR20050095979A (en) 2005-10-05
KR100569944B1 true KR100569944B1 (en) 2006-04-10

Family

ID=3727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209A KR100569944B1 (en) 2004-03-29 2004-03-29 Walk-in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9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89B1 (en) * 2006-12-13 2008-09-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Walk in sliding seat of tip-up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79A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01732B (en) Vehicle seat convenient to enter
CN101544198B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103038094B (en) Electro-mechanical push button vehicle seat actuation mechanism
US7077463B2 (en) Rear fold down cargo seat with tilt down cushion
CN101163608A (en) Bench seat with movable bolsters
JP2004262424A (en) Car seat, car seat accommodating structure, and car seat structure
EP1568536A2 (en) Vehicle seat
JPH10138801A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3712880B2 (en) Car seat
US20080150306A1 (en) Head restraint for a convertible motor vehicle
KR20130139584A (en) Auxiliary seat ext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cushion
KR101470213B1 (en)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KR20070068858A (en) Seat swivel for vehicle
JP4712036B2 (en) Car seat
KR100569944B1 (en) Walk-in system for vehicle
JP5193126B2 (en) Wheelchair-enabled car
KR20060010948A (en) Walk-in device for second seat of vehicle
JP2017197075A (en) Vehicle seat
KR20180055424A (en) Seat rail device for vehicle
US1947980A (en) Collapsible seat for vehicles
KR101372108B1 (en) Sliding lever with linkage of control of seat&#39;s height
KR100655989B1 (en) Two rows seat structure of an automobile
KR20060091755A (en) Striker of the seat back folding
JP2009149134A (en) Seat frame
JP3949571B2 (en) Folding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