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697B1 - 디퓨져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퓨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697B1
KR100569697B1 KR1020060012034A KR20060012034A KR100569697B1 KR 100569697 B1 KR100569697 B1 KR 100569697B1 KR 1020060012034 A KR1020060012034 A KR 1020060012034A KR 20060012034 A KR20060012034 A KR 20060012034A KR 100569697 B1 KR100569697 B1 KR 10056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ocket
hole
air
coupled
diffus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제
Original Assignee
유근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제 filed Critical 유근제
Priority to KR102006001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덕트 단부에 결합되어 풍향을 조절하는 디퓨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단부와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볼소켓이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냉온기의 집중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공급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 1볼소켓의 제 1관통구와 제 2볼소켓의 제 2관통구간의 교차각이 90°내지 180°범위의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더 공기의 공급 범위를 증대시키는 디퓨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 1관통구가 형성되되 각도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체로 구성되는 제 1볼소켓, 상기 제 1볼소켓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 2관통구가 하측단에 형성된 제 2볼소켓 및 상기 제 1볼소켓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조화기, 덕트, 디퓨져, 볼소켓, 풍향 조절

Description

디퓨져 조립체{Diffuse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볼소켓 11 : 제 1관통구
12 : 제 1연통구 20 : 제 2볼소켓
21 : 제 2관통구 22 : 제 2연통구
30 : 브라켓 31 : 고정테
31a : 결합공 32 : 지지테
33 : 마찰부재 100 : 디퓨져 조립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덕트 단부에 결합되어 풍향을 조절하는 디퓨져 조립 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단부와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볼소켓이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냉온기의 집중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공급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 1볼소켓의 제 1관통구와 제 2볼소켓의 제 2관통구간의 교차각이 90°내지 180°범위의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더 공기의 공급 범위를 증대시키는 디퓨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 또는 차량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방법중의 하나로 공조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시키는 방법이 통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덕트의 주관을 따라 여러 국소부에 형성되는 지관에는 냉난방기류를 실내에 확산공급, 또는 공급량 조절을 위한 디퓨져가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 단부에 설치되는 디퓨져에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방향판이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향판의 조절을 통해 냉온기를 확산공급은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어느 일방향으로 집중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덕트 단부와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볼소켓이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냉온기의 집중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공급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 1볼소켓의 제 1관통구와 제 2볼소켓의 제 2관통구간의 교차각이 90°내지 180°범위의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더 공기의 공급 범위를 증대시키는 디퓨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 1관통구가 형성되되 각도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체로 구성되는 제 1볼소켓, 상기 제 1볼소켓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 2관통구가 하측단에 형성된 제 2볼소켓 및 상기 제 1볼소켓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2개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2개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제 1볼소켓에 접하는 내주면에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각도 변경시 마찰력에 의해 그 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볼소켓과 제 2볼소켓은 결합시 제 2볼소켓의 단부가 강제 압착하여 제 1볼소켓의 단부에 절곡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볼소켓의 제 2관통구는 브라켓의 간섭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회동각도를 갖도록 상기 제 1볼소켓의 제 1관통구를 기준으로 하여 90°이상 180°이하로 둔각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 조립체(100)는 크게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 1관통구(11)가 형성되되 각도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체로 구성되는 제 1볼소켓(10)과, 상기 제 1볼소켓(10)과 연통되어 동시에 가변되도록 제 1볼소켓(10)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 2관통구(21)가 하측단에 형성된 제 2볼소켓(20) 및 상기 제 1볼소켓(10)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벽면에 부착되는 브라켓(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볼소켓(10)은 덕트 단부와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받으며, 제 2볼소켓(20)과 연통 결합되어 제 2볼소켓(20)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제 1볼소켓(10)에는 덕트 단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제 1관통구(11)가 형성되는데, 덕트 단부가 제 1관통구(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의 외측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크기는 끼움결합되도록 일정 크기만큼 넓게 형성된다.
또한 제 1볼소켓(10)은 제작시 반구체를 금형제작하여 이를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제 1볼소켓(10)의 외연 결합부위를 연삭가공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볼소켓(10)에는 제 2볼소켓(20)과 연통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연 통구(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제 1연통구(12)를 통해 제 2볼소켓(20)과 결합된다.
물론 제 2볼소켓(20)에도 제 2연통구(22)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연통구(22)의 외측단부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 1연통구(12) 단부 내측으로 절곡된다.
이는 제 1볼소켓(10)에 제 2볼소켓(20) 단부가 내측으로 일정부분 삽입하고, 하부 프레스의 지그(미도시)를 제 2볼소켓(20) 단부를 지지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 2볼소켓(20)의 단부를 상부 프레스로 강제 압착시켜 일정부분 삽입된 단부가 지그 상면에서 절곡되어 제 1볼소켓(10) 단부에 밀착되도록 걸림결합된다.
또한 상기 절곡 후 제 1볼소켓(10)과 제 2볼소켓(20) 간의 보다 강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용접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 2볼소켓(20)은 제 1볼소켓(10)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제 2관통구(21)가 형성된다.
전술하였듯이 제 2볼소켓(20) 또한 제 1볼소켓(10)과 같이 반구체로 제작하여 용접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연삭가공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 1볼소켓(10)에는 외주면에 브라켓(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30)은 벽면 또는 천정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된 브라켓(30)에 상기 일체 결합되는 제 1볼소켓(10)과 제 2볼소켓(20) 목적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회동 조절할 수 있게 된 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30)은 2개로 분리구성되며,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도너츠 형태의 고정테(31)와, 상기 고정테(31)의 안측에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 1볼소켓(10)의 표면을 따라 가이드되는 지지테(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테(31)에는 일정지점 이격되어 결합공(31a)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공(31a)을 통해 볼트 또는 나사 등을 통하여 벽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테(32) 안측에는 마찰부재(33)가 부착되어 제 1볼소켓(10)이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되 목적하는 회동각도로 조절하여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찰부재(33)로는 암/수 벨크로테잎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테(32) 내연 전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일정지점 이격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볼소켓(20)의 제 2관통구(21)는 브라켓(30)의 간섭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회동각도를 갖도록 상기 제 1볼소켓(10)의 제 1관통구(11)를 기준으로 하여 90°이상 180°이하로 둔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관통구(11)와 제 2관통구(21)가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보다 공기의 분산 각도가 보다 증대되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덕트 단부와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볼소켓이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냉온기의 집중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공급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볼소켓의 제 1관통구와 제 2볼소켓의 제 2관통구간의 교차각이 90°내지 180°범위의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더 공기의 공급 범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 1관통구가 형성되되 각도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체로 구성되는 제 1볼소켓;
    상기 제 1볼소켓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 2관통구가 하측단에 형성된 제 2볼소켓; 및
    상기 제 1볼소켓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2개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제 1볼소켓에 접하는 내주면에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각도 변경시 마찰력에 의해 그 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볼소켓과 제 2볼소켓은 결합시 제 2볼소켓의 단부가 강제 압착되어 제 1볼소켓의 단부에 절곡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볼소켓의 제 2관통구는 브라켓의 간섭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회동 각도를 갖도록 상기 제 1볼소켓의 제 1관통구를 기준으로 하여 90°이상 180°이하로 둔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조립체.
KR1020060012034A 2006-02-08 2006-02-08 디퓨져 조립체 KR10056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34A KR100569697B1 (ko) 2006-02-08 2006-02-08 디퓨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34A KR100569697B1 (ko) 2006-02-08 2006-02-08 디퓨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697B1 true KR100569697B1 (ko) 2006-04-10

Family

ID=3718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034A KR100569697B1 (ko) 2006-02-08 2006-02-08 디퓨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6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8015A (zh) * 2020-01-14 2020-06-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及空调系统
CN111912003A (zh) * 2020-06-29 2020-11-10 西安交通大学 一种空调送风装置
KR20210072319A (ko) 2019-12-09 2021-06-17 소덕희 디퓨저 조립체
KR20210150734A (ko)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조은바람 디퓨저 조립체
KR20230061817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조은바람 양방향 댐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319A (ko) 2019-12-09 2021-06-17 소덕희 디퓨저 조립체
KR102355967B1 (ko) * 2019-12-09 2022-01-27 소덕희 디퓨저 조립체
CN111238015A (zh) * 2020-01-14 2020-06-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及空调系统
CN111238015B (zh) * 2020-01-14 2021-10-0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及空调系统
KR20210150734A (ko)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조은바람 디퓨저 조립체
KR102417213B1 (ko) * 2020-06-04 2022-07-06 주식회사 조은바람 디퓨저 조립체
CN111912003A (zh) * 2020-06-29 2020-11-10 西安交通大学 一种空调送风装置
CN111912003B (zh) * 2020-06-29 2021-12-28 西安交通大学 一种空调送风装置
KR20230061817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조은바람 양방향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697B1 (ko) 디퓨져 조립체
CN107388370B (zh)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EP2834572B1 (en) Ventilation unit and air duct system
CN107504569B (zh) 空调柜机
JP4380594B2 (ja) 空調機
AU2010286350A1 (en) An air diffuser and an air circulation system
CN104807093A (zh) 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KR20170111318A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CA2750505A1 (en) Air supply register with rotatable air flow control spheres
KR20120111822A (ko) 에어컨용 바람 안내장치
WO2011066612A1 (en) Duc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mponent and system improvements
KR20080094760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CN205090498U (zh) 挂壁式空调结构
KR20100002036U (ko) 실내 환기 시스템용 공기 분배기
KR101360682B1 (ko) 실내 냉난방시스템
KR100785896B1 (ko) 댐퍼가 설치된 분기닥트
KR101411247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에어가이드
JP3205900U (ja) エアコン用風向調整具
CN109458661B (zh) 空调器的壳体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15046252B (zh) 多维度隐式出风空调
JP3088709U (ja) 空気調和機の補助フラップ
WO2018122839A1 (en) An assembly of foldable manifold device with an array of controlled dampers
KR200293283Y1 (ko) 디퓨져 조립체
CN202757237U (zh) 散流器、带有散流器的地板及地源热泵
CN220506931U (zh) 一种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