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075B1 -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075B1
KR100569075B1 KR1020030076461A KR20030076461A KR100569075B1 KR 100569075 B1 KR100569075 B1 KR 100569075B1 KR 1020030076461 A KR1020030076461 A KR 1020030076461A KR 20030076461 A KR20030076461 A KR 20030076461A KR 100569075 B1 KR100569075 B1 KR 10056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ngine
surge tank
intake manifold
thrott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333A (ko
Inventor
전용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0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045Intake manifolds characterised by the charge distribution between the cylinders/combustion chambers or its homoge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점과 중앙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스로틀 보디와 연결되며, 상기 스로틀 보디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안내하는 집 튜브와; 상기 집 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집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저장하는 서지 탱크와; 상기 서지 탱크와 엔진의 흡기 통로의 사이에서 상기 서지 탱크와 흡기 통로에 각각 연결되어 흡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러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엔진, 흡기 매니폴드, 집 튜브, 서지 탱크

Description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OF ENGIN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러너에서의 에너지 손실양을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엔진의 경우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에서 흡기의 유동은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를 통과한 흡기가 서지 탱크(Surge Tank)를 거쳐 흡기 매니폴드의 각 러너(Runner)로 분배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기 매니폴드를 제작하는 이유는 엔진의 토탈 에어 인테이크 시스템(Total Air Intake System)의 레이아웃(Layout) 이라던지 엔진 컴팩트(Engine Compact)화를 위한 엔진 자체의 레이아웃에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스로틀 보디를 흡기 매니폴드 측면에 위치시킬 경우 스로틀 보디를 통과한 흡기가 서지 탱크를 거쳐 각 러너로 유입시에 스로틀 보디로부터 각 러너까지의 흡 기의 유동 거리가 틀리기 때문에 분배성 측면에서 상당히 불리하다.
일반적으로 엔진 성능 측면에서 흡기 매니폴드를 생각할 때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공연비(A/F) 분배성이다.
이러한 공연비 분배성을 고려해 볼 때 종래 기술에 따라 측면에 스로틀 보디를 위치하는 것보다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흡기의 유동 거리를 고려할 때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흡기 매니폴드를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제작할 경우 흡기 매니폴드 측면에 스로틀 보디를 위치시키지 않고 서지 탱크 중앙부에 위치시킬 경우 분배성은 좋아지지만 충돌시 작은 충격에도 스로틀 보디에 의한 흡기 매니폴드 파손의 우려가 훨씬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점과 중앙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스로틀 보디와 연결되며, 상기 스로틀 보디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안내하는 집 튜브와; 상기 집 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집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저장하는 서지 탱크와; 상기 서지 탱크와 상기 엔진의 흡기 통로의 사이에서 상기 서지 탱크와 흡기 통로에 각각 연결되어 흡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러너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집 튜브와 상기 서지 탱크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 튜브의 출구는, 상기 집 튜브의 입구를 통해 상기 집 튜브 내부로 유입된 흡기가 상기 서지 탱크의 중앙부를 통해 상기 러너부의 각 러너로 분배되도록, 상기 서지 탱크의 상기 중앙부와 연결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를 구성하는 집 튜브(110)와 서지 탱크(12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러너부(1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집 튜브(110)(Zip Tube), 서지 탱크(120)(Surge Tank), 러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집 튜브(110)는 스로틀 보디와 연결되며, 스로틀 보디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집 튜브(110)의 출구는 집 튜브(110)의 입구를 통해 집 튜브(110) 내부로 유입된 흡기가 서지 탱크(120)의 중앙부를 통해 각 러너로 분배되도록 서지 탱크(120)의 중앙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 튜브(110)와 서지 탱크(120)는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서지 탱크(120)는 집 튜브(110)와 연결되어 집 튜브(110)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러너부(130)는 서지 탱크(120)와 엔진의 흡기 통로의 사이에서 서지 탱크(120)와 흡기 통로에 각각 연결되어 흡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는 집 튜브(110)를 형성하여 스로틀 보디로부터 서지 탱크(120) 중앙으로 흡기의 통로를 만든다.
그리고, 스로틀 보디는 흡기 측면에 위치하지만 흡기는 서지 탱크(120) 중앙에서 각 러너로 고르게 분배될 수가 있도록 한다.
즉, 흡기 매니폴드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한 형상이지만 기능은 스로틀 보디가 흡기 매니폴드 중앙에 위치하여 각 러너로 고르게 흡기를 분배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는 측면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점(각 러너별 흡기 유량 편차 발생)과 중앙에 스로틀 보디가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점(충돌 파손, 엔진 레이아웃 불리)을 극복할 수 있다.
도 3은 러너에서의 에너지 손실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 기술의 러너에서의 에너지 손실(Energy Loss)양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의 러너에서의 에너지 손실양 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 스로틀 보디를 통과한 흡기 흐름과 흡기 매니폴드 러너에서의 실제 흡기 흐름 길이를 비교해보면 흡기 흐름 길이에 대한 길이 편차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적은 편차를 나타난다.
이로 인한 결과로 도 3에서와 같이 흡기의 분배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양의 차이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는 각 러너별 흡기 유량 편차 발생을 감소시키고, 각 러너로 고르게 흡기를 분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 흐름 길이의 편차를 개선하여 흡기의 분배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스로틀 보디와 연결되며, 상기 스로틀 보디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안내하는 집 튜브와;
    상기 집 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집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흡기를 저장하는 서지 탱크와;
    상기 서지 탱크와 상기 엔진의 흡기 통로의 사이에서 상기 서지 탱크와 흡기 통로에 각각 연결되어 흡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러너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집 튜브와 상기 서지 탱크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 튜브의 출구는, 상기 집 튜브의 입구를 통해 상기 집 튜브 내부로 유입된 흡기가 상기 서지 탱크의 중앙부를 통해 상기 러너부의 각 러너로 분배되도록, 상기 서지 탱크의 상기 중앙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2. 삭제
  3. 삭제
KR1020030076461A 2003-10-30 2003-10-30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KR10056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461A KR100569075B1 (ko) 2003-10-30 2003-10-30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461A KR100569075B1 (ko) 2003-10-30 2003-10-30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333A KR20050041333A (ko) 2005-05-04
KR100569075B1 true KR100569075B1 (ko) 2006-04-07

Family

ID=3724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461A KR100569075B1 (ko) 2003-10-30 2003-10-30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59B1 (ko) * 2006-10-24 200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 매니폴드구조
KR101054997B1 (ko) * 2009-09-23 2011-08-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비가변흡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333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519B2 (en) Air intake apparatus
US5005532A (en) Integrated tuned induction system
US5330029A (en) Fairing for a motorcycle
WO2011092972A1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CN104343591B (zh) 多缸发动机的进气歧管
US20150089923A1 (en) Exhaust system including an exhaust manifold having an integrated mixer plate
KR101322870B1 (ko)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
JP2005337117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0569075B1 (ko)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JP6324298B2 (ja) 吸気マニホルド
CN101641513B (zh) 多气缸内燃机的进气歧管
US20060081214A1 (en) Intake pipe
US9212637B2 (en) Intake pipe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3047173A1 (ja) 吸気装置
US20090013956A1 (en) Air supply distribu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063168B1 (ko) 대형 엔진의 일체형 인테이크 매니폴드
KR0173355B1 (ko) 내연 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장치
EP0881378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engine
JPH022934Y2 (ko)
JPH03121266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リング安定化装置
US20170191454A1 (en) Merge Manifold Spacer
JP2004255754A (ja) マニホ−ルド
JPS60228758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1081082B1 (ko) 인테이크 매니폴드
KR100774352B1 (ko) 차량용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