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823B1 -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823B1
KR100568823B1 KR1020040048331A KR20040048331A KR100568823B1 KR 100568823 B1 KR100568823 B1 KR 100568823B1 KR 1020040048331 A KR1020040048331 A KR 1020040048331A KR 20040048331 A KR20040048331 A KR 20040048331A KR 100568823 B1 KR100568823 B1 KR 10056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iston
cylinder
termina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709A (ko
Inventor
김상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823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02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K2023/08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automatically actuated with hydraulic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는 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피스톤이 이동되어 클러치가 작동될 때, 상기 피스톤의 이동이 감지되어 클러치의 작동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았더라도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지 않은 경우, 클러치 상태로 오 판단될 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기존에 클러치 페달에 설치된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의 조작시마다 생긴 클러치 페달 스위치의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클러치, 클러치 페달, 클러치 페달 스위치, 릴리즈 실린더

Description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Release Cylinder Apparatus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가 포함된 클러치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클러치 미작동시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시 차량의 릴리즈 실리더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 미작동시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시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실린더 52 : 피스톤
54 : 리턴 스프링 60 : 클러치감지수단
62 : 고정단자 64 : 가동단자
66 : 탄성부재 68 : 푸시부
본 발명은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된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릴리즈 실린더장치가 포함된 클러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10)는 운전자가 차 실내에 설치된 클러치 페달(2)을 밟으면, 유압을 이용하여 엔진(4)과 변속기(6)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8)를 작동시켜서 엔진의 구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참고로, 엔진의 구동력이 단속된 경우를 클러치 상태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10)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10)는 상기 클러치의 하우징 또는 변속기의 하우징 측에 설치되고 유압 라인(11)과 연결된 실린더(12)와, 상기 실린더(12)의 내부에 이동 가능토록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클러치와 연결된 피스톤(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14)이 실린더(12)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만 유압이 공급될 경우, 상기 실린더(12)에 공급된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 피스톤(14)이 다시 실린더(12)의 내부로 이동되어 제 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12)와 피스톤(14)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16)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2)의 외측으로 돌출된 피스톤(14)의 일 부위와 실린더(12) 사이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4)을 보호하는 부트(Boot)(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10)는 상기 실린더(12)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14)이 상기 실린더(12)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어 클러치가 작동되게 하고, 상기 실린더(12)에 공급된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 피스톤(14)이 제 위치로 복귀되어 클러치의 작동이 해제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았어도 상기 실린더(12)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만으로 클러치가 작동되었다고 판단하고 시동을 걸 경우, 급발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차량에는 클러치의 작동이 확인되면 시동될 수 있도록 인터록 시스템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인터록 시스템은 클러치 페달의 조작여부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는 클러치 페달 스위치(도1의 20)를 통해 클러치의 작동을 확인하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12)의 유압 라인(11)이 손상된 경우 급발진 사고를 막을 수 없고, 상기 클러치 페달 스위치(도1의 20)가 차 실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마다 상기 클러치 페달 스위치(도1의 20)의 작동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러치의 작동여부의 오판단 및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연동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따라 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클러치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유압에 따라 상기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에 전달하는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감지하는 클러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는 클러치 하우징 또는 변속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의 조작여부에 따라 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클러치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50)에 공급된 유압에 따라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에 전달하는 피스톤(52)과, 상기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52)의 이동을 감지하는 클러치감지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0)에는 좌측에 설치된 유압라인(51)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고, 따라서 상기 실린더(50)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52)이 우측(화살표 R)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클러치가 작동되어 클러치 상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50)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52)을 좌측(화살표 L)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54)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린더(50)의 유압이 해제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52)이 제 위치로 복귀된다. 물론, 상기 리턴 스프링(54)의 강성은 상기 실린더(50)에 유압이 공급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52)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클러치감지수단(60)은 상기 피스톤(52)의 좌우 이동에 따라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52)의 이동방향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감지수단(60)은 상하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클러치감지수단(60)은 상기 실린더(50)에 상하로 설치된 고정단자(62)와, 상기 고정단자(62)와 피스톤(52)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가동단자(64)와, 상기 가동단자(64)를 고정단자(62)와 단락되는 방향, 즉 하측방향(화살표 B)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6)와, 상기 피스톤(52)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52)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동단자(64)가 고정단자(62)와 접점되도록 상기 가동단자(64)를 상측(화살표 U)으로 이동시키는 푸시부(68)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단자(62)는 상기 실린더(50)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가동단자(64)가 상하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된 하우징(62a)과, 상기 하우징(62a)의 홈(h)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단자(64)와 접점될 수 있는 단자편(6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단자(62)의 하우징(62a)은 상기 실린더(5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62a')의 외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50)에는 상기 고정단자(62)가 나사체결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홀(50a)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단자(64)는 상기 피스톤(52)의 둘레에 접촉되되, 상기 피스톤(52)과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푸시부(68)에 의해 용이하게 상측으로 밀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52)과 접촉되는 부위가 구름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동단자(64)는 상기 피스톤(52)의 둘레에 접촉되는 볼(64a)과, 상기 볼(64a)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단자(62)의 단자편(62b)과 접점될 수 있는 단자편(6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시부(6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의 작동시 상기 가동단자(64)와 상하로 대응되는 상기 피스톤(52)의 일 부위에 상기 가동단자(64)를 향해 돌출된 둔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푸시부(68)는, 도 4에 도시된 k와 같이, 클러치의 작동시 상기 가동단자(64)와 상하로 대응되는 상기 피스톤(52)의 일 부위가 상기 클러치의 미작동시 상기 가동단자(64)와 상하로 대응되는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스톤(52)은 상기 푸시부(68)가 구비된 부위의 단면적이 상기 실린더(5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의 미작동시 상기 가동단자(64)와 상하로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실린더(50)의 단면 적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링형 홈(5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50)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52)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클러치가 작동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52)이 우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가동단자(64)의 볼(64a)이 상기 피스톤(52)의 링형 홈(52a)에 접촉된 상태로 상대 이동되다가 클러치가 작동될 때 상기 푸시부(68)의 위로 올라감으로써 상기 가동단자(64)가 고정단자(62)와 접점되어 클러치의 작동이 감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50)의 유압이 해제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52)이 리턴 스프링(54)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클러치의 작동이 해제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단자(64)의 볼(64a)이 상기 푸시부(68)의 위에서 상기 피스톤(52)의 링형 홈(52a)으로 다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가동단자(64)는 탄성부재(66)에 의해 하측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단자(62)와 단락되어 클러치의 작동 감지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는 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피스톤이 이동되어 클러치가 작동될 때, 상기 피스톤의 이동 이 감지되어 클러치의 작동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았더라도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지 않은 경우, 클러치 상태로 오 판단될 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기존에 클러치 페달에 설치된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의 조작시마다 생긴 클러치 페달 스위치의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따라 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클러치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유압에 따라 상기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에 전달하는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감지하는 클러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감지수단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 피스톤 사이에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를 고정단자와 단락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클러치의 작동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동단자가 고정단자를 향해 이동되어 접점되게 하는 푸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감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과 직교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에는 외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고정단자가 나사체결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고정단자와 단락시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고,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는 부위가 구름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클러치의 작동시 상기 가동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피스톤의 일부위에 상기 가동단자를 향해 돌출된 둔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클러치의 작동시 상기 가동단자와 대응되는 피스톤의 일 부위가 상기 클러치의 미 작동시 상기 가동단자와 대응되는 피스톤의 타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KR1020040048331A 2004-06-25 2004-06-25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KR10056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331A KR100568823B1 (ko) 2004-06-25 2004-06-25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331A KR100568823B1 (ko) 2004-06-25 2004-06-25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709A KR20050122709A (ko) 2005-12-29
KR100568823B1 true KR100568823B1 (ko) 2006-04-07

Family

ID=3729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331A KR100568823B1 (ko) 2004-06-25 2004-06-25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8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709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703B2 (en) Accelerator pedal unit for a vehicle
US6109130A (en) Control lever
US10875602B2 (en) Transmission shifting assistance device and shifting device for a motorcycle
JP6622833B2 (ja) 自動車両分野におけるハウジング用緊急脱気装置
CN104661883A (zh) 用信号报告不完全到达停车制动位置的停车制动阀
KR20170045231A (ko) 웜 기어를 구비한 액티브 가속 페달
CN105386663A (zh) 触发传感器及触发传感器的应用
KR20070102604A (ko)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
KR100568823B1 (ko) 차량의 릴리즈 실린더장치
US5058718A (en) Clutch facing abrasion indicator
US10780866B2 (en) Vehicle brake mechanism with pedal-jam detection capability
JP5285058B2 (ja) ブレーキペダル接触器の診断方法
KR100916390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스위치
US7357466B2 (en) Braking force generator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KR20160000095A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0463069B1 (ko) 자동변속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US20040189087A1 (en) Vehicle hydraulic brake device
SE440423B (sv) Vippstromstellare
KR100743676B1 (ko) 자동변속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1692621B1 (ko) 차량용 가속 페달장치의 급가속 방지장치
CN110936933B (zh) 在阻滞情况下仍可自动紧急制动的方法和车辆制动助力器
KR100248830B1 (ko) 유압식 이그니션 록 스위치의 열화 방지 장치
KR100920707B1 (ko)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
CN112033680A (zh) 一种止推片故障检测方法、装置及汽车
KR0178321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오일 부족시 오토 트랜스미션 작동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