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205B1 -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205B1
KR100567205B1 KR1020050095984A KR20050095984A KR100567205B1 KR 100567205 B1 KR100567205 B1 KR 100567205B1 KR 1020050095984 A KR1020050095984 A KR 1020050095984A KR 20050095984 A KR20050095984 A KR 20050095984A KR 100567205 B1 KR100567205 B1 KR 10056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buoyancy
sewer pipe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하수관 내부에 체류하거나 부착되는 양을 간단한 구조물을 장착시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 하수관(4)의 바닥면 및 양측벽에 삽입 고정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구멍(6)을 갖는 바닥망체(8-1)와 측벽망체(8-2)가 하수관(4)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2)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는 망체(8)와, 상기 망체(8)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에 의해 부유되는 복수개의 부유공(10)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하수관, 퇴적물 방지부재, 망체, 부유공, 이물질, 슬러지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Sediment prevention equipment in a drain pipe using lif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부유공 작용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2 : 퇴적물 방지부재
4 : 하수관
6 : 구멍
8 : 망체
8-1 : 바닥망체
8-2 : 측벽망체
10 : 부유공
12 : 프레임
16 : 고정 브라켓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하수관 내부에 체류하거나 부착되는 양을 간단한 구조물을 장착시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시 또는 주택단지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폐수는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이는 오염된 하폐수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주거환경 및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함은 물론, 하수관이 지상에서 점유하게 될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 하폐수에는 다양한 퇴적물들이 포함되며, 하수의 특성상 그 유속이 상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비중이 큰 퇴적물의 경우에는 하수와 함께 이송되지 못해 하수관 내부에 침전되고, 이로인해 하수가 막혀 역류가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관청에서는 주기적으로 하수관 내부를 청소하여 침전된 퇴적물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하수관은 지하에 깊이 매설되므로, 그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사람이 직접 하수관 안으로 들어가 퇴적물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흡입식 오니(汚泥)처리기구와 같은 퇴적물 제거기구를 통해 청소가 진행될 수 밖에는 없다.
그러나 상기 퇴적물 제거기구들은 대당 가격이 비싸고, 운행에 적지 않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며, 청소시간이 비교적 길어 일단 청소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해당 지점의 지상통행을 차단해야 하므로, 보행자 및 통행 차량들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하수관 내부에 체류하거나 부착되는 양을 간단한 구조물을 장착시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 내부의 청소작업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이로 인한 노동력 및 투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에서 항상 일정한 흐름 상태를 유지하여 악취 발생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 하수관의 바닥면 및 양측벽에 삽입 고정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바닥망체와 측벽망체가 하수관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에 의해 부유되는 복수개의 부유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망체를 유지하는 프레임의 상부에는 망체를 유실되지 않도록 사각 하수관의 측벽에 체결볼트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 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부유공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각 하수관(4)의 바닥면 및 양측벽에 하수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하수관 내부에 체류하거나 부착되는 양을 대폭 감소시키기 위한 퇴적물 방지부재(2)가 장착된다.
상기 퇴적물 방지부재(2)는 상기 사각 하수관(4)의 바닥면 및 양측벽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구멍(6)을 갖는 바닥망체(8-1)와 측벽망체(8-2)가 하수관(4)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2)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는 망체(8)와, 상기 망체(8)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에 의해 부유되는 복수개의 부유공(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망체(8)는 그물형 메쉬나, 판형 메쉬로 형성되어 제작되며, 상기 망체(8)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6)은 상기 망체(8)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부유공(10)이 상기 구멍(6)으로 일부 돌출은 되지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유공(10)의 재질은 스티로폼이나 기타 부구로 사용되는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망체(8)를 유지하는 프레임(12)의 상부에는 망체(8)를 유실되지 않도록 사각 하수관(4)의 측벽에 체결볼트(18)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1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하수관(4)의 바닥면 및 양측벽에 망체(8)와 이 망체(8)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부유공(10)으로 구성된 퇴적물 방지부재(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 하수관(4)의 내부를 흐르는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포함된 하,폐수가 흐르면 상기 망체(8) 내부의 복수개의 부유공(10)은 물의 부력에 의해 부유되어 유속에 의해 유동되면서 상기 망체(8)와 부딪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개의 부유공(10)이 도 4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에서 실선과 같이 상기 망체(8)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6)을 통해 일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흐르는 하,폐수 속의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상기 망체(8)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퇴적하거나 체류하는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망체(8)나 사각 하수관(4)의 바닥에 체류 및 퇴적될려고 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를 계속하여 흐르게 하므로써 한곳에 머물러 부폐되어 발생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수,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하수관 내부에 체류하거나 부착되는 양을 간단한 구조물을 장착시켜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써 하수관 내부의 청소작업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이로 인한 노동력 및 투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관에서 항상 일정한 흐름 상태를 유지하여 악취 발생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사각 하수관(4)의 바닥면 및 양측벽에 삽입 고정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구멍(6)을 갖는 바닥망체(8-1)와 측벽망체(8-2)가 하수관(4)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2)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는 망체(8)와,
    상기 망체(8)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에 의해 부유되는 복수개의 부유공(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8)를 유지하는 프레임(12)의 상부에는 망체(8)를 유실되지 않도록 사각 하수관(4)의 측벽에 체결볼트(18)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1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KR1020050095984A 2005-10-12 2005-10-12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KR10056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984A KR100567205B1 (ko) 2005-10-12 2005-10-12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984A KR100567205B1 (ko) 2005-10-12 2005-10-12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205B1 true KR100567205B1 (ko) 2006-04-03

Family

ID=3718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984A KR100567205B1 (ko) 2005-10-12 2005-10-12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2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JP2009508028A (ja) ダム用スラッジ処理システム
KR20090033663A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CN210066983U (zh) 一种防污市政地下排水盖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20080007089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JP5065567B2 (ja) 固液分離装置
KR100567205B1 (ko) 부력을 이용한 하수관내 퇴적물 방지장치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0386401B1 (ko) 화장실장치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JP5336260B2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用貯留槽、及び、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KR101588201B1 (ko) 빗물 활용시스템
JP4355773B2 (ja) 水槽装置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7062001U (zh) 一种竖流式沉淀池
KR100696067B1 (ko) 하천의 생활하수 정화용 맨홀
KR101096795B1 (ko) 조집기
KR200204121Y1 (ko) 선박용 맨홀
KR102634268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RU129950U1 (ru) Система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в пунктах времен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населения, пострадавшего в ч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