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54B1 - Pc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Pc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54B1
KR100566954B1 KR1020030057619A KR20030057619A KR100566954B1 KR 100566954 B1 KR100566954 B1 KR 100566954B1 KR 1020030057619 A KR1020030057619 A KR 1020030057619A KR 20030057619 A KR20030057619 A KR 20030057619A KR 100566954 B1 KR100566954 B1 KR 10056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er
unit
vo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000A (ko
Inventor
최종욱
최용기
Original Assignee
최종욱
최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욱, 최용기 filed Critical 최종욱
Priority to KR102003005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54B1/ko
Priority to JP2003429545A priority patent/JP2005318003A/ja
Publication of KR2005002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PC의 전원을 원격지에서 온/오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접속된 특정 전화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PC로서,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과 정합하는 전화 정합부와, 다수의 발신자 정보 및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전화 정합부에 접속되어 발신자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CID부와, 암호 입력 및 원격 제어를 위한 각종 안내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발생부와, 상기 CID부의 발신자 정보 저장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전화기의 발신에 대응하는 링 톤이 상기 전화 정합부를 통해 소정의 회수 이상 제공되고, 발신자 전화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경우 통화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음성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암호 입력 안내 음성을 송출한 후 발신자가 입력하는 암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음성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원격 제어를 위한 특정 안내 음성을 상기 전화 정합부를 통해 송출해서 상기 발신자가 상기 특정 안내 음성에 따라 원하는 제어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된다.
PSTN, ADSL, PC, 원격

Description

PC 원격 제어 장치{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P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C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PC(Personal Computer)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PC의 전원(power)을 원격지에서 온(on)/오프(off)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속 통신망 등 소정의 통신망에 접속된 특정 PC를 원격지에서 초고속 통신망 등 소정의 통신망에 접속된 다른 PC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조작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program)이 상기 조작 주체 PC 및 상기 조작 대상 PC에 각기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통신망에 접속된 원격 조작 대상 PC의 전원을 미리 온 시켜 두어야만 이후에 사용자가 외출해서 소정의 원격지 PC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 대상 PC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고 불편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PC를 원격지에서 특정 전화번호로 가입된 전화선로에 연결된 전화기를 사용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중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접속된 특정 전화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PC로서,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과 정합하는 전화 정합부와, 다수의 발신자 정보 및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전화 정합부에 접속되어 발신자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CID(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부와, 암호 입력 및 원격 제어를 위한 각종 안내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발생부와, 상기 CID부의 발신자 정보 저장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전화기의 발신에 대응하는 링 톤(ring tone)이 상기 전화 정합부를 통해 소정의 회수 이상 제공되고, 발신자 전화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경우 통화 루프를 형성하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암호 입력 안내 음성이 송출되도록 해서 발신자가 입력한 암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음성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원격 제어를 위한 특정 안내 음성이 송출되도록 해서 발신자가 입력한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원격 전화기(10)가 PC 본체(20)에 공중전화 교환망(12)을 통해 접속하고 전화기(44)는 PC 본체(20)에 직접 접속된다. 통신 장치(70)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등으로 구성되어 PC 본체(20)와 통신망(80)을 연결시켜 PC 본체(20)가 초고속 통신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PC 본체(20)는 PC 본체(20)의 각 부분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30), 특정 PCI 슬롯에 실장되는 원격 제어부(40), 및 다수의 PCI 슬롯(32)을 포함한다. 상기 원격 제어부(40)는 전화 정합부(42), CID부(43), 저장부(46), 음성 발생부(48), 마이콤(50),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송수신부(52), PC 온/오프 검출부(54), 전원 커넥터(56), 및 PC 표준의 시리얼(serial) 통신포트(5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PC 본체(20) 내의 전원 공급부(3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등으로 구성되어, 교류전원(AC220V)을 입력하여 +5V, +12V 등의 다수의 안정된 직류전원을 각기 제공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30)는 PC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직류 +5V의 대기 전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원격 제어부(40)는 상기 +5V의 대기 전원을 제공받아 PC의 전원 온/오프에 상관없이 항상 동작 가능하다.
원격 제어부(40) 내의 전화 정합부(42)는 공중전화 교환망(12)과 정합하여 공중전화 교환망(12)으로부터 제공되는 링 톤을 외부의 전화기(44)로 제공하여 PC 본체(20) 주변에 사람이 있을 경우 전화를 직접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12)은 일반적으로 발신자 정보 예로, 발신자 전화 번호 제공 서비스 등 각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수의 교환기를 포함한다. PC 본체(20)와 연결되는 각 전화선은 통상적인 전화 접속기에 의해 연결된다.
저장부(46)는 다수의 발신자 정보, ID, 및 특정 암호를 저장 하고 있다. 저장부(46)는 특정 정보를 마이콤(50)을 통해 리드(read)/라이트(write) 된다.
CID부(43)는 발신자 정보를 전화 정합부(42)를 통해 취득하여 저장부(46)에 마이콤(50)을 통해 저장한다. 따라서 후에 다수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음성 발생부(48)는 마이콤(50)의 제어에 따라 암호 임력 및 원격 제어를 위한 각종 안내 음성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 상기 음성 발생부(48)는 PC에 설치되는 사운드 카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콤(50)은 CID부(43)의 발신자 정보 저장 기능을 제어하고 원격 전화기(10)의 발신에 대응하는 링 톤이 전화 정합부(42)를 통해 소정의 회수 이상 제공되고, 발신자 전화 번호가 저장부(46)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경우 통화 루프를 형성한다. 이 후, 마이콤(50)은 음성 발생부(48)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암호 입력 안내 음성을 송출함에 따라 발신자가 입력하는 암호와 저장부(46)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할 경우 음성 발생부(48)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원격 제어를 위한 특정 안내 음성을 전화 정합부(42)를 통해 송출한다. 이에 따라 발신자가 원격 제어를 위한 특정 안내 음성에 따라 원하는 제어 예로, PC 전원 온/오프 또는 리셋(reset) 등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함으로써 마이콤(50)은 그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PC 전원 온/오프 또는 리셋 제어는 특정 신호에 의해 일반적으로 PC에서 수행되고 있는 방식과 동일하다. 예로, 리셋 신호를 발생시켜 PC에 인터럽트(interrupt)를 걸어 PC를 재 부팅 시키거나 전자 전원 스위치에 PC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여 PC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이때, 리셋은 PC가 전기적으로 리셋 됨을 의미한다.
DTMF 송수신부(52)는 전화 정합부(42)와 마이콤(50) 사이에 접속되어 원격 전화기(1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버튼 선택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특정 버튼 선택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50)으로 제공하거나 마이콤(50)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원격 전화기(10)로 제공한다. 예로, DTMF 송수신부(52)는 가입자가 암호나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원격 전화기(10)에 구비된 소정의 버튼을 누를 경우 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받아 해당 소정의 버튼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50)으로 제공하여 마이콤(50)이 가입자가 누른 소정의 버튼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마이콤(50)이 PC의 시리얼 통신포트에 연결된 PC 표준의 시리얼 통신포트(58)를 통해 추출한 IP 주소를 DTMF 송수신부(52)를 통해 원격 전화기(10)로 DTMF 신호 형식으로 제공해서 원격 전화기(10)에 구비된 표시창에 IP 주소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마이콤(50)이 음성 발생부(48)를 제어하여 IP 주소를 원격 전화기(10)로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PC 온/오프 검출부(54)는 PC의 전원이 온/오프 됨에 따라 발생하는 PCI 슬롯의 전원 예로, +5V를 검출하여 PC의 전원이 온/오프 임을 마이콤(50)으로 알려 마이콤(50)이 현재 PC의 전원이 온/오프 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CI 버스의 RST 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콤(50)으로 알려 마이콤(50)이 PC의 리셋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전원 커넥터(56)는 PC의 전원이 온 일 경우 전원 공급부(30)로부터 전원을 받아 통신 장치(70)로 제공하여 통신 장치(70)가 동작하도록 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70)가 동작하게 되면서부터 원격 전화기(10)의 사용자가 외부의 PC를 운영하여 조작 대상 PC의 IP 주소로 접속함으로써 통신망(80) 및 통신 장치(70)를 통해 조작 대상 PC에 접속하여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ps/2 규격에 의해 PC의 전원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원 공급부(30)로부터 제공되는 대기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다가 PC의 전원이 온 된 후에는 PCI 슬롯(32)으로부터 +5V 등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밖에도 공중전화 교환망(12)에 접속된 전화라인에 걸리는 전원을 적절하게 변환하거나 별도의 전지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전원 온 시킨 PC를 원격지에서 별도의 통신 장치(70) 등을 통해서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C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CID부(43)는 전화 정합부(42)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부(46)에 마이콤(50)을 통해 저장한다(단계 5).
마이콤(50)은 링 톤이 전화 정합부(42)를 통해 10회 이상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
마이콤(50)은 단계 10의 판단 결과, 링 톤이 10회 이상 제공될 경우 통화로를 설정한다(단계 12).
마이콤(50)은 음성 발생부(48)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암호 입력을 위한 음성 안내를 송출한다(단계 14).
마이콤(50)은 발신자가 입력한 암호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6).
마이콤(50)은 단계 16의 판단 결과, 암호가 맞을 경우 음성 발생부(48)를 제어하여 발신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할 것을 음성으로 송출한다(단계 18).
마이콤(50)은 발신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를 판단한다(단계 20).
마이콤(50)은 단계 20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입력한 명령어가 PC 전원 온 이면 PC의 전원을 온 시킨다(단계 22). 이때, PC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상적으로 부팅된다.
마이콤(50)은 PC의 시리얼 통신포트에 연결된 PC 표준의 시리얼 통신포트(58)를 통해 IP 주소를 추출한다(단계 24). 이때, IP 주소를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PC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마이콤(50)은 음성 발생부(48) 및 DTMF 송수신부(52)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추출한 IP 주소를 발신자에게 음성이나 DTMF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단계 18로 리턴한다(단계 26). 이때, IP 주소를 발신자에게 음성 및 DTMF 신호로 동시에 송출하여 발신자가 음성으로 듣고 자신의 전화기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마이콤(50)은 상기 단계 20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입력한 명령어가 PC 전원 오프 이면 PC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단계 18로 리턴한다(단계 28).
마이콤(50)은 상기 단계 20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입력한 명령어가 PC 전원 온/오프 가 아닌 다른 명령어이면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 18로 리턴한다(단계 30).
상기 마이콤(50)은 발신자의 명령어 실행시마다 음성 발생부(48)를 제어하여 명령어 실행을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해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PC를 원격지에서 특정 전화번호로 가입된 전화선로에 연결된 전화기를 사용하여 온/오프 제어한다. 따라서 조작 대상 PC를 미리 온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원이 절약되고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 부주의로 PC 전원을 온 시킨 후 외출했을 경우에도 원격지에서 전화를 걸어 PC 전원을 오프 할 수 있다. 또한, PC에 에러가 발생한 상태로 급히 외출했다가 원격지에서 리셋한 후 소정의 정상 부팅 시간을 기다렸다가 PC 전원을 정상적으로 오프 시킬 수 있다.

Claims (8)

  1.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접속된 특정 전화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PC로서,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과 정합하는 전화 정합부와,
    다수의 발신자 정보 및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전화 정합부에 접속되어 발신자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CID부와,
    암호 입력 및 원격 제어를 위한 각종 안내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발생부와,
    상기 CID부의 발신자 정보 저장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전화기의 발신에 대응하는 링 톤이 상기 전화 정합부를 통해 소정의 회수 이상 제공되고, 발신자 전화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경우 통화 루프를 형성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암호 입력 안내 음성이 송출되도록 해서 발신자가 입력한 암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음성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신자에게 원격 제어를 위한 특정 안내 음성이 송출되도록 해서 발신자가 입력한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회수는, 1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제어는, 상기 PC 전원 온/오프 또는 리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발신자가 PC 전원 온 을 선택할 경우 PC의 전원을 온 한 후 현재의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특정 전화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및 상기 전화 정합부 사이에 DTMF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추출된 IP 주소를 상기 특정 전화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음성 발생부 제어에 따른 음성 전송 방식과 상기 DTMF 송수신부를 통한 DTMF 신호 전송 방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정합부에 접속되어, 특정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 설치된 PCI 버스로부터의 전압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PC의 전원 온/오프를 판단하여 상기 마이콤으로 제공하는 PC 온/오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C의 전원 온 시 기 설정된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 설정된 외부 통신 장치에 공급하여 특정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PC에 상기 외부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PC를 조작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 제어 장치.
KR1020030057619A 2003-08-20 2003-08-20 Pc 원격 제어 장치 KR10056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619A KR100566954B1 (ko) 2003-08-20 2003-08-20 Pc 원격 제어 장치
JP2003429545A JP2005318003A (ja) 2003-08-20 2003-12-25 コンピュータの遠隔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619A KR100566954B1 (ko) 2003-08-20 2003-08-20 Pc 원격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538U Division KR200337974Y1 (ko) 2003-08-27 2003-08-27 Pc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000A KR20050020000A (ko) 2005-03-04
KR100566954B1 true KR100566954B1 (ko) 2006-04-07

Family

ID=3544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619A KR100566954B1 (ko) 2003-08-20 2003-08-20 Pc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318003A (ko)
KR (1) KR1005669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000A (ko) 2005-03-04
JP2005318003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32908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SE518141C2 (sv) Förfarande för exekvering av en automatisk uppringning
KR200337974Y1 (ko) Pc 원격 제어 장치
KR20000037060A (ko) 인터넷폰과 일반 전화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아답터
JP3658182B2 (ja) 携帯電話端末
KR100566613B1 (ko) Pc 원격 제어 장치
KR100566954B1 (ko) Pc 원격 제어 장치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KR0169421B1 (ko) 간이전자교환장치의 전원절약 제어 방법
US20030016802A1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 of telephone services of a data processing device for a telephone user
JP2005318004A (ja) コンピュータの遠隔制御装置
JP2805724B2 (ja) 電話交換装置
KR200315289Y1 (ko) 외장형 음성처리장치
KR20060084546A (ko) 원격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
KR20060134392A (ko) 상황별 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1303123A2 (en) Telephone apparatus for stabilizing call in no power operation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568995B2 (ja) 情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791096B1 (ko) Ic 카드 리더 전화기
KR100385705B1 (ko) 인터넷 전화기용 어댑터장치
JPH11341123A (ja) スイッチ切替装置および情報通信装置
JP200027838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JPH11298622A (ja) 電源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10119946A (ko) 착신전환 예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47488Y1 (ko) 경박형 전화기
JPH11234420A (ja) 端末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