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14B1 -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14B1
KR100566914B1 KR1020030043693A KR20030043693A KR100566914B1 KR 100566914 B1 KR100566914 B1 KR 100566914B1 KR 1020030043693 A KR1020030043693 A KR 1020030043693A KR 20030043693 A KR20030043693 A KR 20030043693A KR 100566914 B1 KR100566914 B1 KR 10056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ing
coupled
rotating shaf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321A (ko
Inventor
이강진
김민섭
박종열
이현욱
염성안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산전
Priority to KR102003004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6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having several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66Winches with multiple drums or with drums with multiple parts of different dia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조의 승강기에 있어,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드럼이 2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강기 본체에 고정된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모터가 내설된 고정체와; 다수의 고정봉에 의해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설치되되, 외주면에 밀착편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부시로 결합되는 제 1, 2회전체와,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제 1, 2회전체와 결합되는 제 1, 2권취드럼으로 이루어진 권취부와;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키이로 결합된 압착부재와; 고정판과 지지체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탄발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됨에 따라,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가 권취되는 귄취드럼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승강기의 승하강에 따른 와이어의 원할한 권취를 이룰 수 있고, 와이어의 권취 오류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승강기, 권취장치, 회전축, 전동모터, 메인 와이어

Description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Wire Reel Device of Ascent and Descent System}
도 1은 종래의 승강기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가 설치된 승강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권취장치 2:고정체
3:고정봉 4:커버
5, 5':베어링 하우징 6:회전축
6':밀착편 6":키이홈
10:권취부 11:부시
12:제 1회전체 13:제 2회전체
14:고정나사 15:제 1권취드럼
16:제 2권취드럼 20:압착부재
21:키이 22:라이닝
23:베어링 30:판스프링
31:고정판 32:지지체
40:본체
본 발명은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조의 승강기에 있어,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드럼이 2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강기 본체에 고정된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드럼이 2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각각의 권취드럼에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회전조건 즉, 메인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상호간에 간섭없이 정상적인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라 함은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물체를 운반하거나 들어 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승강기나 호이스트 및 곤돌라 등(이하, 승강장치라 통칭함)이 있다.
이러한 승강기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권취롤에 감거나 풀어주어는 권취방식에 의해 물체를 들어 올려 옮기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승강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와이어(W1) 및 보조 와이어(W2)가 권취되는 권취장치(100)가 본체(110)의 저면 양측방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 와이어(W1)는 고정구(112)에 의해 상·하단부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보조 와이어(W2)는 끝단에 고정추(114)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장치(100)의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102)에 메인 와이어(W1)가 감겨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승강기 본체(110)가 가이드레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승하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승강기의 권취장치에서는 승강기가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메인 와이어는 장력이 발생된 상태로서, 권취드럼에 감기는 과정에서 장력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이루며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며, 보조 와이어는 비교적 느슨한 상태로 권취드럼에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기의 승하강시 권취드럼에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메인 와이어는 장력으로 인해 당김작용이 가해지게 되며, 보조 와이어는 무부하상태로 권취드럼에 권취됨에 따라,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의 권취조건이 서로 다르게 작용되므로서, 권취드럼에 권취됨에 있어, 메인 와이어는 장력으로 인해 권취드럼의 회전비율에 비해 다소 느리게 권취되는데 반하여, 보조 와이어는 권취드럼의 회전비율과 비례적으로 정상적인 속도로 권취되는 바, 이로 인해, 전동모터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메인 와이어보다 보조 와이어가 빠른 속도로 감기게 되므로, 상호간에 권취 바란스가 맞지 않게 되어, 와이어 특히, 보조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서로 엉키게 되거나 처짐 현상이 발생되어 승하강시 오류 및 오작동이 발생되며, 뿐만 아니라, 승강기의 비상발생시, 보조 와이어를 정상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등의 폐단을 안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30065호의 곤도라의 로우프 권치장치는 "일단이 곤도라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타단에 중공슬라이브가 연설된 제1회전축과, 일단이 곤도라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중공슬리이브내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된 제2회전축과, 제1회전축에 의하여 구동되어 메인로우프를 권취하는 제1회전드럼과, 제2회전축에 의하여 구동되어 보조로우프를 권취하는 제2회전드럼과, 제1, 2회전측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1, 2회전드럼의 외측벽부에 각각 고착되고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제1, 2회전축에 회전자재토록 삽입된 원판체와, 상기 원판체의 구멍을 관통하는 원형봉이 형성되고 제1, 2회전축 회전자재토록 삽입된 회전력 전달부재와, 상기 제1, 2회전축에 좌우 이동가능토록 끼워진 스프링강과, 상기 제1, 2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의 회전력 전달부재를 스프링강측으로 압박하여 제1, 2회전축의 회전력이 회전력 전달부재로 전달되도록 하는 넛트로 구성된 곤도라의 로우프 권취장치가 있었으나 이는 권취드럼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제2회전축이 중공슬리브로 연결되며 제1 제2 회전드럼의 회전 장력을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의 스프링강이 개재되도록 설치한 관계로 권취속도는 달리할 수 있으나 승하강시 기울기의 발생을 보정할 수 없는 문제점과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와이어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기에 있어서,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가 권취되는 귄취드럼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되,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가 각각 별도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각각의 권취상태 즉, 메인 와이어에는 장력이 발생됨에 따라, 그에 알맞는 적절한 회전비율로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와이어의 권취 오류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모터가 내설된 고정체와; 다수의 고정봉에 의해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설치되되, 외주면에 밀착편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부시로 결합되는 제 1, 2회전체와,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제 1, 2회전체와 결합되는 제 1, 2권취드럼으로 이루어진 권취부와;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키이로 결합된 압착부재와; 고정판과 지지체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탄발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1)는 고정체(2)에 전동모터(M)가 내설되고, 고정체(2)에는 다수의 고정봉(3)에 의해 커버(4)가 결합되며, 상기 전동모터(M)에는 베어링 하우징(5, 5')에 의해 회전축(6)이 설치되되, 회전축(6) 외주면에는 밀착편(6')이 구성된 것이다.
또한, 권취부(10)는 상기 회전축(6)에 부시(11)로 결합된 제 1, 2회전체(12, 13)와, 고정나사(14)에 의해 제 1, 2회전체(12, 13)에 결합되는 제 1, 2권취드럼(15, 16)으로 이루어지며, 압착부재(20)는 상기 회전축(6)과 연동되도록 키이(21)로 결합되고, 판스프링(30)은 고정판(31)과 지지체(32)에 의해 상기 회전축(6)에 탄발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회전체(12)와 밀착편(6') 및 제 2회전체(13)와 압착부재(20)사이에는 라이닝(22)이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 1, 2회전체(12, 13) 사이에는 베어링(23)이 측면 밀착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에 제 1, 2회전체(12, 13), 압착부재(20), 판스프링(30), 고정판(31) 및 지지체(32)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제 1, 2회전체(12, 13)는 부시(11)에 의해 회전축(6)과 결합되고, 압착부재(20)는 고정판(31)과 지지체(32)에 의해 탄발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30)에 의해 상기 제 1, 2회전체(12, 13)에 압박을 가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6)에는 밀착편(6')이 구성되며, 밀착편(6')과 제 1, 2회전체(12, 13) 및 압착부재(20) 사이에는 각각 라이닝(22)이 면접촉된 상태를 이루며 결합된다.
그리고, 키이(21)에 의해 압착부재(20)가 결합되는 부위의 회전축(6)에는 장공형태의 키이홈(6")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에는 다수의 라이닝(22)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 1, 2회전체(12, 13)가 부시(11)로 결합되고, 키이(21)에 의해 회전축(6)에 압착부재(20)가 결합되되, 압착부재(20)는 판스프링(30)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라이닝(22)에 압박을 가하여, 제 1, 2회전체(12, 13)가 라이닝(22)에 의해 밀착편(6')에 압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6)은 베어링 하우징(5)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2회전체(12, 13)에는 고정나사(14)에 의해 메인 와이어(W1)와 보조 와이어(W2)가 각각 권취되는 제 1, 2권취드럼(15, 16)이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가 설치된 승강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메인 와이어(W1)와 보조 와이어(W2)에 의해 본체(40)가 설치되되, 본체(40)의 저면 양측방에는 상기 메인 와이어(W1)와 보조 와이어(W2)를 각각 권취할 수 있는 권취장치(1)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 와이어(W1)와 보조 와이어(W2)는 권취장치(1)의 제 1, 2권취드럼(15, 16)에 의해 권취(감겨지거나 풀어짐)된 상태이므로, 권취장치(1) 하방 으로 드러나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에 다수의 라이닝(22)에 의해 제 1, 2회전체(12, 13)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6)과 직접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고 부시(11)에 의해 결합되고, 고정나사(14)에 의해 제 1, 2권취드럼(15, 16)이 결합되며, 베어링(23)으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6)에는 판스프링(30)의 탄성력이 부여되며, 키이(21)에 의해 연동되도록 압착부재(20)가 결합된 권취장치(1)를 구비한 초기 상태에서, 메인 와이어(W1)와 보조 와이어(W2)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이루어진 승강기 본체()의 저면 양측방에 권취장치(1)설치한다.
이때, 상기 권취장치(1)의 제 1권취드럼(15)에는 메인 와이어(W1)를 권취시키고, 제 2권취드럼(16)에는 보조 와이어(W2)를 권취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권취장치(1)에 의한 메인 와이어(W1)의 권취 즉,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축(6)이 회전됨에 따라, 메인 와이어(W1)가 제 1권취드럼(15)에 감기거나 풀어짐에 의해, 승강기 본체(40)가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와이어(W1)는 제 1권취드럼(15)에 권취됨에 있어, 장력으로 인해 제 1권취드럼(15)에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권취드럼(15)에 메인 와이어(W1)가 감기는 과정에서, 장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 1회전체(15)의 회전력이 다소 떨어지게 되는 바, 이는 상기 제 1회전체(15)가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과 연동되도록 직접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회전축(6)과는 부시(11)에 의해 결합되고, 판스프링(30)이 갖는 탄성력에 의한 압착부재(20)의 압박에 의해 라이닝(22)과 밀착된 상태로 밀착편(6')이 압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이므로, 위에서와 같이, 메인 와이어(W1)에 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장력으로 인해 판스프링(30)에 의한 압박, 즉 라이닝(22)에 의해 밀착되어진 부위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부시(11)에 의해 회전축(6)과의 접촉에 다른 회전력이 다소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착부재(20)는 키이(21)에 의해 회전축(6)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되, 회전축(6)에 형성된 키이홈(6")이 장공형태를 갖게 되므로, 키이홈(6")내에서 유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와이어(W2)는 메인 와이어(W1)의 권취에 의한 승하강시, 연동되는 제 2권취드럼(16)에 권취되며, 상기 보조 와이어(W2)에는 하중에 의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라이닝(22)에 의해 밀착되어진 부위에 슬립없이 자연스럽게 권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에 메인 와이어(W1)가 권취되는 제 1권취드럼(15)이 제 1회전체(12)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보조 와이어(W2)가 권취되는 제 2권취드럼(16)이 제 2회전체(13)에 결합되어 회전되되, 판스프링(30)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권취드럼(15)에 권취되는 메인 와이어(W1)는 장력이 발생되고, 제 2권취드럼(16)에 권취되는 보조 와이어(W2)는 무부하 상태로 권취됨에 따라, 각각의 제 1, 2회전체(12, 13)가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의 동일축상에 서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되어지게 되는 바, 이는 회전되어지는 각각의 제 1, 2회전체(12, 13)가 회전축(6)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부시(11)에 의해 마찰력을 가지며 결합되고, 베어링(23)이 구비되며, 판스프링(30)에 의해 압박·밀착된 상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 1, 2회전체(12, 13)가 동일 축상에서도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1)에서는 승강기 본체(40)의 하중으로 인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메인 와이어(W1)가 제 1권취드럼(15)에 감기게 되고, 무부하 상태로 보조 와이어(W2)가 제 2권취드럼(16)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회전비율에 알맞게 제 1, 2회전체(12, 13)가 회전되므로, 메인 와이어(W1)가 권취되기에 알맞은 회전비율로 제 1회전체(12)에 의해 제 1권취드럼(15)이 회전되고, 보조 와이어(W2)가 권취되기에 알맞은 회전비율로 제 2회전체(13)에 의해 제 2권취드럼(16)이 회전됨에 따라, 원할한 승강기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1)는 전동모터(M)가 갖는 출력 즉, 회전력에 의해 승강기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최대중량과 판스프링(30)의 탄성력 즉, 압착부재(20)를 밀어 제 1, 2회전체(12, 13)를 압박하는 힘과 비례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판스프링(30)은 교체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가 권취되는 귄취드럼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각각의 권취상태 즉, 메인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에 발생되는 장력에 상관없이 그에 알맞는 적절한 회전비율로 회전되도록 함에 따라, 승강기의 승하강에 따른 와이어의 원할학 적절한 권취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권취 오류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전체적인 권취장치의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리프트 전동장치를 통과한 메인로우프 및 보조로우프를 각각 권취하는 한쌍의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의 승강기 와이어 권취장치에 있어서,
    전동모터(M)가 내설된 고정체(2)와;
    다수의 고정봉(3)에 의해 상기 고정체(2)에 결합되는 커버(4)와;
    상기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도록 베어링 하우징(5, 5')에 의해 설치되되, 외주면에 밀착편(6')이 형성된 회전축(6)과;
    상기 회전축(6)에 부시(11)로 결합되고, 베어링(23)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제 1, 2회전체(12, 13)와, 고정나사(14)에 의해 상기 제 1, 2회전체(12, 13)와 결합되는 제 1, 2권취드럼(15, 16)으로 이루어진 권취부(10)와;
    상기 회전축(6)과 연동되도록 키이(21)로 결합된 압착부재(20)와;
    고정판(31)과 지지체(32)에 의해 상기 회전축(6)에 탄발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30043693A 2003-06-30 2003-06-30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KR10056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693A KR100566914B1 (ko) 2003-06-30 2003-06-30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693A KR100566914B1 (ko) 2003-06-30 2003-06-30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321A KR20050002321A (ko) 2005-01-07
KR100566914B1 true KR100566914B1 (ko) 2006-04-03

Family

ID=3721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693A KR100566914B1 (ko) 2003-06-30 2003-06-30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54B1 (ko) * 2013-06-0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KR101599020B1 (ko) * 2014-04-11 2016-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곤돌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321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084B2 (ja) エレベーター用補助避難装置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885684B2 (ja) 昇降物干し装置
JPH0237825Y2 (ko)
KR101475730B1 (ko)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566914B1 (ko) 승강기의 와이어 권취장치
CN114148932A (zh) 起重装置
CN112591641A (zh) 一种绳索控制装置
CN110884987A (zh) 一种收放绳装置
CN210214645U (zh) 一种电动晾衣机绕线装置
JP5075570B2 (ja) モータ及び電動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CN211470499U (zh) 一种收放绳装置
JPH0756301Y2 (ja) エンドレスウインチ
JP2005263420A (ja) ウインチの構造
CN220578797U (zh) 电动晾衣架的动力装置
CN214114743U (zh) 一种绳索控制装置
KR100353946B1 (ko) 윈치의 윈치로프 정렬장치
CN217732534U (zh) 一种石油钻井绞车缠绳装置
WO2020133458A1 (zh) 一种双向自锁装置及天线升降杆
CN220149093U (zh) 绳索收放装置及提升设备
CN214456454U (zh) 一种新型驱动装置
CN219159097U (zh) 一种风力发电风车塔筒吊装位移装置
CN114906682B (zh) 一种用于电力电缆的多功能收放线设备
CN113336114B (zh) 石油机械辅助用绞车的卷绕机构
CN218491331U (zh) 自适应压绳的液压绞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