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192B1 - 전원 보호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보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192B1
KR100565192B1 KR1019990027065A KR19990027065A KR100565192B1 KR 100565192 B1 KR100565192 B1 KR 100565192B1 KR 1019990027065 A KR1019990027065 A KR 1019990027065A KR 19990027065 A KR19990027065 A KR 19990027065A KR 100565192 B1 KR100565192 B1 KR 10056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voltage
clock
chip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960A (ko
Inventor
전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1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보호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에이직칩으로부터 클럭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는지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감지하여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상기 에이직칩의 클럭을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와 에이직칩에 별도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함에 따라 입출력 핀의 수가 증가함과 아울러 그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션 와이어(Connection Wire)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회로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설계 면적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에이직칩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커패시터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받아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사용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에이직칩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출력 포트의 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내부 회로의 설계가 간단해지며, 설계 면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 보호 회로{POWER PROTECTION CIRCUIT}
도 1은 종래 전원 보호 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전원 보호 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3은 도 2의 각부 출력 전압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이직칩 C1,C2 : 커패시터
D1 : 다이오드 R1∼R4 : 저항
Q1 :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2 :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전원 보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 폭 변조 제어기(Pulse Width Modulation Contoller : 이하 "PWM 제어기"라 함)와 같이 외부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회로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외부 동기 신호를 감지하여 동기 클럭신호가 정상적으로 인가될 시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전원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PWM 직류/직류 제어기에는 스위칭 주파수를 특정한 주파수에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기능이 있어 해당하는 집적회로 핀에 외부에서 클럭 파형이 인가되면 상기 인가되는 클럭의 주파수에 동기되어 스위칭을 하게 되며, 상기 클럭은 보통 외부에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Apecific Integrated Circuit : 이하 "에이직칩"이라 함)를 이용하여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원 보호 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동기 클럭(CLOCK)을 발생시키는 에이직칩(10)과; 상기 에이직칩(10)에서 발생된 클럭(CLOCK)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0)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단에 저항(R1)(R2)을 통해 베이스가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에미터의 접지전압(GND)을 출력하는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와; 베이스로 저항(R4)을 통해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이나 저항(R3)을 통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접지전압(GND)을 입력받아 도통제어되어 에미터로 인가되는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을 콜렉터로 출력하는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에이직칩(10)에서 스위칭 주파수를 특정한 주파수에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CLOCK)을 출력하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는 상기 에이직칩(10)에서 출력되는 클럭(CLOCK)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0)는 상기 에이직칩(10)에 클럭(CLOCK)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고전위 출력신호를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출력하여 이를 턴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됨에 따라 베이스에 접지전압(GND)을 인가받은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에미터의 외부 전원전압(VCC)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0)는 상기 에이직칩(10)에서 클럭(CLOCK)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저전위 출력신호를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출력하여 이를 턴오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와 에미터로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을 인가받아 턴오프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에이직칩으로부터 클럭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는지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감지하여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상기 에이직 칩의 클럭을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와 에이직칩에 별도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함에 따라 입출력 핀의 수가 증가함과 아울러 그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션 와이어(Connection Wire)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회로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설계 면적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외부 동기 신호를 감지하여 동기 클럭신호가 정상적으로 인가될 시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전원 보호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동기 클럭을 발생시키는 에이직칩과; 상기 에이직칩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직류 성분을 차단하는 제1 커패시터와; 애노드로 상기 제1 커패시터를 통해 상기 에이직칩에서 출력되는 클럭을 인가받아 이를 반파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신호를 축적하는 제2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1 저항과; 제2 저항을 통해 베이스로 인가되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압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에미터의 접지전압을 출력하는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제3 저항을 통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압 또는 제4 저항을 통해 외부 전원전압을 베이스에 인가받아 도통제어되어 에미터로 인가되는 상기 외부 전원전압을 콜렉터로 출력하는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전원 보호 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동기 클럭(CLOCK)을 발생시키는 에이직칩(100)과; 상기 에이직칩(100)의 클럭(CLOCK)의 직류 성분을 차단하는 커패시터(C1)와; 애노드로 상기 커패시터(C1)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VC1)을 인가받아 이를 반파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접지(GND)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D1)의 출력전압(VD1)을 축적하는 커패시터(C2)와; 상기 커패시터(C2)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저항(R1)과; 저항(R2)을 통해 베이스로 인가되는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된 전압(VC2)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에미터의 접지전압(GND)을 출력하는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와; 저항(R3)을 통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출력전압 또는 저항(R4)을 통해 외부 전원전압(VCC)을 베이스에 인가받아 도통제어되어 에미터로 인가되는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을 콜렉터로 출력하는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에이직칩(100)에서 원하는 주파수의 동기 클럭(CLOCK)을 생성하여 출력하면, 상기 에이직칩(100)에서 생성된 클럭(CLOCK)을 입력받은 커패시터(C1)는 이를 직류적으로 차단하여 정상적인 클럭이 아니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커패시터(C1)를 통과한 전압(VC1)은 도 3의 (a)와 같이 출력되며, 이를 입력받은 다이오드(D1)는 도 3의 (b)와 같이 반파정류하여 출력하며, 커패시터(C2)는 이를 축적한다.
그리고,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된 전압(VC2)은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Vth) 이상이 되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접지전압(GND)을 출력한다.
따라서, 접지전압(GND)을 베이스에 인가받은 상기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에미터의 외부 전원전압(VCC)을 출력하므로, 상기 클럭(CLOCK)이 정상적으로 인가시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C2)는 상기 다이오드(D1)의 출력전압(VD1)이 고전위로 인가되는 구간에서는 이를 축적하나, 저전위로 인가되는 구간에서는 저항(R1)을 통해 축적된 전압(VC2)을 방전하게 되므로 도 3의 (c)와 같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된 전압(VC2)이 방전되는 구간에서의 최소전압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Vth)보다 낮아지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됨에 따라 외부 전원전압(VCC)을 출력하지 못하므로 상기 축적된 전압(VC2)을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Vth)보다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패시터(C2)의 용량을 잘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면, 클럭(CLOCK)의 전압이 3.3V이고 주파수가 12MHz이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Vth)이 0.7V이고, 저항(R1)의 저항값은 1kΩ이고, 다이오드(D1)에서 강하되는 전압(Forward Drop Voltage)이 0.5V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C1)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VC1)은 상기 클럭(CLOCK) 전압 레벨의 절반인 ±1.6V로 출력되며, 상기 다이오드(D1)는 이를 반파정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1)에서 고전위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되는 전압(VC2)은 상기 커패시터(C1)의 출력전압(VC1)인 1.6V에서 다이오드(D1)에서 강하되는 전압인 0.5V를 뺀 1.1V이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D1)에서 저전위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된 전압(VC2)은 저항(R1)을 통해 방전되므로, 상기 저항(R1)을 통해 방전되는 전류(Ic2)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되며, 그 전류값(IC2)은 1.1mA이다.
Figure 111999007500136-pat00001
그리고, 상기 클럭 신호(CLOCK)의 반주기동안 상기 다이오드(D1)의 출력신호(VD1)가 저전위로 출력되므로, 상기 클럭 신호(CLOCK)의 반주기동안 상기 저항(R1)을 통해 방전되는 총 전하량(ΔQ)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연산되며, 이때, 방전되는 총 전하량(ΔQ)은 45pC이다.
Figure 111999007500136-pat00002
이때, 방전되는 전하량(ΔQ)만큼 충전 전압(VC2)은 감소하게 되며, 상기 커패시터(C2)에서 방전되는 전압(ΔVC2)은 상기 방전되는 전하량(ΔQ)을 커패시터값(C2)으로 나눈값이며, 상기 충전된 전압(VC2)에서 방전된 전압(ΔVC2)을 뺀 전압은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Vth)보다 높아야 하므로, 상기 커패시터(C2)의 값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연산하며, 상기 커패시터(C2)의 용량은 113pF이상이 되어야 한다.
Figure 111999007500136-pat00003
따라서, 상기 에이직칩(100)에서 출력되는 클럭(CLOCK)을 상기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를 통해 반파정류하여 용량이 113pF이상인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함으로써, 정상적인 클럭 신호(CLOCK)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C2)에 축적된 전압(VC2)이 상기 저항(R1)을 통해 방전되어도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Vth)이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을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에이직칩(100)에서 출력되는 클럭(CLOCK)이 설정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인가되거나 상기 에이직칩(100)의 출력 클럭(CLOCK)이 고전위나 저전위로 유지하며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에이직칩(100)에서 출력되는 클럭(CLOCK)을 차단하여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와 에미터로 상기 외부 전원전압(VCC)을 인가받아 턴오프되어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이직칩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커패시터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받아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사용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에이직칩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출력 포트의 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내부 회로의 설계가 간단해지며, 설계 면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동기 클럭을 발생시키는 에이직칩과; 상기 에이직칩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직류 성분을 차단하는 제1 커패시터와; 애노드로 상기 제1 커패시터를 통해 상기 에이직칩에서 출력되는 클럭을 인가받아 이를 반파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신호를 축적하는 제2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1 저항과; 제2 저항을 통해 베이스로 인가되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압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에미터의 접지전압을 출력하는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제3 저항을 통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압 또는 제4 저항을 통해 외부 전원전압을 베이스에 인가받아 도통제어되어 에미터로 인가되는 상기 외부 전원전압을 콜렉터로 출력하는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보호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축적된 전압을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보다 높게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보호 회로.
KR1019990027065A 1999-07-06 1999-07-06 전원 보호 회로 KR10056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65A KR100565192B1 (ko) 1999-07-06 1999-07-06 전원 보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65A KR100565192B1 (ko) 1999-07-06 1999-07-06 전원 보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60A KR20010008960A (ko) 2001-02-05
KR100565192B1 true KR100565192B1 (ko) 2006-03-30

Family

ID=1959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065A KR100565192B1 (ko) 1999-07-06 1999-07-06 전원 보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1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27A (ja) * 1982-07-08 1984-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ツクパルス発生装置
JPH01137722A (ja) * 1987-11-24 1989-05-30 Nippon Chemicon Corp 三角波発生回路
JPH01152814A (ja) * 1987-12-10 1989-06-15 Nippon Chemicon Corp 発振回路
KR0168079B1 (ko) * 1992-12-14 1999-03-20 윤종용 클럭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27A (ja) * 1982-07-08 1984-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ツクパルス発生装置
JPH01137722A (ja) * 1987-11-24 1989-05-30 Nippon Chemicon Corp 三角波発生回路
JPH01152814A (ja) * 1987-12-10 1989-06-15 Nippon Chemicon Corp 発振回路
KR0168079B1 (ko) * 1992-12-14 1999-03-20 윤종용 클럭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60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8738B2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JP3639189B2 (ja) 負荷駆動回路
US8710804B2 (en) Discharge circuit and method
TWI384904B (zh) The driving circui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EP1727264A1 (en) Power supply apparatus
EP16184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rrent sharing among a plurality of power modules
US20060056210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11545970B2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current detec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module
US7271579B2 (en) AC signal level detection circuit
EP2608638B1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US7656632B2 (en) Electronic circuit including a step-up circuit and electric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WO1998043100A2 (en) Current and voltage sensing
CN111987692B (zh) 漏电保护电路及其控制方法、驱动电路
US20070257652A1 (en) Booster Circuit with Protection Function and Electric Device
US20070176583A1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US11581886B2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current detec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module
EP0746892B1 (en) Pre-regulator with protection against voltage ringing on turn-off
KR100565192B1 (ko) 전원 보호 회로
US6154086A (en) Low rippl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932710B2 (en) Step-up circuit and step-up circuit device
CN100459431C (zh) 优化齐纳二极管偏置电流的电路
KR19990072223A (ko) 강하하는 전원에서 적절한 리셋을 보장하는리셋 회로
US20040145372A1 (en) Ground fault detection circuit detecting whether a switching regulator's power output node is grounded
CN117526738A (zh) X电容放电方法、放电电路及开关电源
JP5280467B2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