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965B1 -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965B1
KR100564965B1 KR1020050004337A KR20050004337A KR100564965B1 KR 100564965 B1 KR100564965 B1 KR 100564965B1 KR 1020050004337 A KR1020050004337 A KR 1020050004337A KR 20050004337 A KR20050004337 A KR 20050004337A KR 100564965 B1 KR100564965 B1 KR 10056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grill
blocking member
fram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3174A (en
Inventor
이재열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춘 filed Critical 이재춘
Publication of KR20050013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대나무 석쇠를 이용한 구이장치는 내부 공간에 상호 대응되며 소정간격 이격되는 발열수단과 발열수단과 대응되는 상부에 석쇠받이가 설치되는 화로통과: 상기 석쇠받이에 지지되는 것으로, 테두리부재와, 이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며 대응되는 테두리 부재의 양측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설치되는 제1,2차단부재를 가지며, 상기 1,2차단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2차단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제 1,2 차단부재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중앙부가 지지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대나무 절편; 제1,2차단부재에 설치되어 대나무 절편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sting device using a bamboo grill is a heating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an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e receiving passag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means: to be supported by the grill receiving, the frame member And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which are supported by the edge members and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widths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edge members, respective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 frame having a support member positioned at a low position; A plurality of bamboo fragments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nd supported at the center by the support members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blocking member and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bamboo slices.

대나무, 석쇠, 구이Bamboo, Grill, Grilled

Description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Bamboo grill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를 이용한 구이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asting apparatus using a bamboo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대나무 석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mboo grill,

도 3은 간격유지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ap maintenance means,

도 4, 5는 간격유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 4 and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ap maintaining means,

도 6은 차단부재에 기름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그루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ove for guiding the flow of oil is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대나무 석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mboo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mboo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제 3차단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third blocking member;

도 10은 대나무 절편에 노치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ch is formed on the bamboo sl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구이 장치10; Roasting device

30,50,60; 대나무 석쇠,30,50,60; Bamboo grill,

32;차단부재32; blocking member

100; 대나무 절편100; Bamboo slices

본 발명은 육류, 생선 등을 굽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나무를 이용한 석쇠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apparatus for grilling meat, fish,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ll using bamboo and a roa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육류, 생선 등을 굽는 구이장치는 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간접 가열방식은 숯, 가스불 등의 발열원 상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불판이나 석쇠를 설치하고, 이 불판이나 석쇠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게 된다. In general, a roasting device for grilling meat, fish, etc. may be directly heated or indirectly heated. The indirect heating method installs a metal plate or grill on top of a heating source such as charcoal or gas fire, and grills meat using the plate or grill.

상기와 같이 간접방식으로 육류 또는 생선을 굽는다하여도 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의 고기는 타게되어 발암물질이 발생되고, 육류 또는 생선 등이 익는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수분이 증발하여 구워지는 고기가 굳게 되고, 특히 불판이나 석쇠는 온도제어가 되지 않으므로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기나 육류로부터 발생된 기름 또는 양념이 눌러 붙거나 타게된다. Even if meat or fish is grilled in an indirect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meat of the portion directly exposed to the fire is burned to generate carcinogens, and the meat or fish is cook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meat is evaporated and grilled. In particular, since the plate or the grill is not temperature-controlled,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oil or seasonings generated from meat or meat are pressed or burned.

한편, 현대인들은 환경과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외식시에도 건강을 고려하여 음식을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외식산업이나 음식산업에 있어서도 건강을 고려한 많은 기능성 음식들이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dern people have a tendency to select food in consideration of health even when eating out due to a change in environmental and health awareness. In particular,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r the food industry, many functional foods considering health have been developed,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ccordingly.

그러나 불고기나 삼겹살, 생선 등은 건강에 이로운 기능을 가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고기를 굽을 때에 발생되는 항암물질의 발생과, 익은 고기의 경화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 However, bulgogi, pork belly, fish, etc. are not easy to add a healthy function, it is difficult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hardening of ripe meat and the generation of anti-cancer substances generated when grilling mea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416052호에는 청죽 불고기 구이판이 개시되어 있다.In view of this poi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16052 discloses a grilled blue rice barbecue.

개시된 청죽 불고기 구이판은 불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대나무 결합홈과 복수개의 돌출부를 반복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불판에는 복수개의 대나무 결합홈에 각기 끼움된 대나무를 배치시키되 상기 대나무의 상면이 상기 돌출부(12)의 상면보다 적어도 높게 설치되어 구이 대상물이 다수의 대나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불판에 가하여진 열원에 의해 구이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The disclosed cheongju bulgogi grill plate repeatedly forms a plurality of bamboo coupl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ll plate, and the bamboo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bamboo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mboo is the protrusion 12 It is installed at least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object is placed on a plurality of bamboo has a configuration that the roasting by the heat source applied to the fire plate.

상기와 같은 구이판의 경우 불판의 상면에 단순히 대나무가 설치되어 고기를 지지한 상태이므로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의 배출이 어렵고, 불판이 가열된 후, 이 열에 의해 대나무에 지지된 고기를 굽게 되므로 고기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grill plate as described above simply because the bamboo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to support the meat,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oil from the meat, and after the plate is heated, the meat supported by the bamboo is grilled by this heat.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나무로부터 발생되는 진액이 고기에 원활하게 스며들게 하여 향미를 향상시키고, 열이 대나무 살에 지지된 고기에 직,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기가 원활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mprove the flavor by allowing the essence generated from the bamboo to penetrate the meat smoothly, by allowing the heat to be transferr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meat supported by the bamboo flesh meat smooth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mboo grill and a roas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의 국부에 상대적으로 열이 집중되어 타거나 달 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mboo grill and a roasting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burning or sticking due to heat concentration relative to local parts of mea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나무 절편을 교환함으로써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대나무 절편의 흔들림이 방지되며, 대나무 절편으로부터 대나무 향과 진액의 배출이 용이한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mboo grill and a roasting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be used repeatedly by exchanging the bamboo slices, the shaking of the bamboo slices is prevented, and the fragrance of bamboo and the liquid from the bamboo slices can be easily discharg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대나무 석쇠는,Bamboo gril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테두리부재와, 이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며 발열원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를 가지는 프레임과;A frame having a frame member and at least one blocking member supported by the frame member and install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source;

상기 프레임의 차단부재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대나무 절편들과;Bamboo fragmen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locking member of the frame;

상기 차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대나무 절편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blocking member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gap of the bamboo pieces.

본 고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차단부재는 상호 대응되는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에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대나무 절편들의 사이에 장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유지수단은 상기 대나무 절편 사이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부재가 차단부재를 사이에 두고 중앙부가 차단부재들 보다 하부에 되도록 절곡되고, 이 절곡된 중앙부에는 상기 차단부재들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 대나무 절편의 중앙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다.In this orphan, the blocking member of the frame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exposed at the edges of the corresponding frame members, and a long hole is formed between the bamboo pieces. The gap maintaining means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the blocking member between the bamboo pieces. Meanwhile, the frame member of the frame is bent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lower than the blocking members with the block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mboo fragment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blocking members is provided at the bent central portion. Is installed.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나무 석쇠는,Alternatively, the bamboo gri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테두리부재와, 이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며 대응되는 테두리 부재의 양측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설치되는 제1,2차단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 1,2차단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2차단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며 제1,2차단부재와 이격 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는 제3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which are supported by the edge member,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redetermined widths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edge member, and are supported by the edge member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 frame including a third blocking member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nd supported by the edge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상기 제 1,2 차단부재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제3차단부재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대나무 절편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re suppor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amboo pieces supported by the gap maintaining means installed in the third blocking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차단부재에 설치되는 지지 및 간격 유지수단은 상기 제3차단부재가 소정의 곡율로 밴딩되고 이 제3차단부재에 소정의 간격을 설치되어 대나무 절편을 지지하고 이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절편을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nd the interval maintaining means installed in the third blocking member is the third blocking member is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provided in the third blocking member to support the bamboo slices and A plurality of sections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spac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이장치는,Roa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부 공간에 상호 대응되며 소정간격 이격되는 발열수단과, 발열수단과 대응되는 상부에 석쇠받이가 설치되는 화로통과: Heat passage mean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razi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ng means:

상기 석쇠받이에 지지되는 것으로, 테두리부재와, 이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며 대응되는 테두리 부재의 양측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설치되는 제1,2차단부재를 가지며, 상기 1,2차단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2차단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제 1,2 차단부재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중앙부가 지지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대나무 절편; 제1,2차단부재에 설치되어 대나무 절편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is supported by the grill support, and has a rim member, and a first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which are supported by the rim member and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width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rim member,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 frame having a supporting member position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 plurality of bamboo fragments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nd supported at the center by the support members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mboo grill: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bamboo piec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석쇠의 절편들에는 가열시 대나무 절편으로부터 진액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노치 들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notches in the sections of the bamboo grill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essence from the bamboo sections when hea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amboo grill and a roa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를 이용한 구이 장치는 발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대나무 석쇠가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구워지는 육류 또는 생선에 대나무 절편으로부터 나온 진액이 쉽게 흡수 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The roasting apparatus using the bamboo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urning of the bamboo grill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source, and to be easily absorbed by the juice from the bamboo slices meat or fish baked, Examples are shown in FIGS. 1 and 2.

도면을 참조하면, 대나무 석쇠를 이용한 구이장치(10)는 상부가 개방된 소정의 공간부(21a)를 가지는 화로통(21)과, 상기 화로통(21) 내부의 상호 대향되는 내면에 설치되는 발열수단(22)과, 상기 화로통(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쇠받이(23)와, 상기 석쇠받이(23)에 지지되어 육류 또는 생선을 구울 수 있는 대나무 석쇠(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oasting apparatus 10 using a bamboo grill is installed on the furnace barrel 21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21a having an upper portion and opposed inner surfaces inside the furnace barrel 21. It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22, the grill support 23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urnace 21, and the bamboo grill 30 is supported by the grill support 23 to grill meat or fish.

상기 화로통(21)은 테이블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통(21)의 저면에는 고기나 생선을 구울 때에 발생되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화로통(21)의 측면에는 상기 발열수단(2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또는 상기 육류 또는 생선을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더 구비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공급수단과 배출수단은 통상적인 덕트와 송풍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rnace 21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the bottom of the circuit barrel 2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mp (not shown) for receiving oil generated when grilling meat or fish, The side of the furnace 21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to the heat generating means 22 or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when the meat or fish is grilled. The air supply means and the discharge means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duct and a blowing fan.

그리고 상기 화로통(21)의 측면에 설치되는 발열수단(22)는 화로통(21)의 측면에 설치되는 숯지지용기(22a)와 이 숯지지용기(22a)에 담긴 숯(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숯(22b)은 야자수 나무로 제조된 야자나무 숯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고기를 구울 수 있는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데, 가스렌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화로통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대나무 석쇠의 차단부재와 대응되는 영역에 발열원이 설치되어 대나무 석쇠에 놓인 육류 또는 생선에 열을 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And the heating means 22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barrel 21 is composed of a charcoal support container (22a) and the charcoal (22b) contained in the charcoal support container (22a)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cylinder (21). It can be, the charcoal 22b is preferably using a palm charcoal made of palm trees. The heat generat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one may be provided as long as it can provide a heat source for roasting meat.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stove. The furnace is also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ny heat source may be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member of the bamboo gril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as to heat the meat or fish placed on the bamboo grill.

상기 대나무 석쇠(30)는 대나무 절편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대나무로부터 방출되는 진액이 대나무에 스며들도록 하여 구워지는 고기의 향미를 높이고 고기가 말라 굳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The bamboo grill 30 is manufactured by using a bamboo slice to increase the flavor of the meat to be baked by allowing the essence emitted from the bamboo to soak into the bamboo and prevents the meat from drying out, one embodiment of the Figure 1 and FIG. 2 is show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대나무 석쇠(3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재(31)와 상기 테두리부재(31)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 지지되는 차단부재(32)를 가진 프레임(33)과, 상기 프레임(33)의 차단부재(32)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대나무 절편(100)들과, 상기 차단부재(32)에 설치되어 상기 대나무 절편(100)들의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차단부재에 대하 상기 대나무 절편(100)을 지지하고, 기름이 넘치거나 대나무절편에 직접적으로 열이 가하여지는 것을 차단하는 간격 유지수단(4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mboo grill 30 is a frame having a border member 31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blocking member 32 supported on mutually opposite sides of the border member 31 ( 33) and the bamboo fragments 100 arranged on the blocking member 32 of the frame 33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stalled on the blocking member 32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bamboo fragments 100; 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means 40 for supporting the bamboo slice 100 against the blocking member, and prevents the oil from overflowing or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bamboo slice.

상기 프레임(33)의 테두리부재(31)와 차단부재(32)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두리부재(31)는 환봉, 파이프 또는 각형바 등에 의해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재(32)는 대응되는 테두리부재(31)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으로 설치되는데, 이 차단부재(32)는 상기 발열수단인 숯 등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고기에 직접적으로 가하여지는 것을 부분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대나무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청동, 황동 또는 불소 코팅된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차단부재(32)는 상기 대나무 절편(100)들 사이를 통하여 발열원으로부터의 열기가 상기 육류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대나무 절편(100)들의 사이에 장공(32a)들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재(31)에 지지된 차단부재(32)는 발열수단(22)과 대응되는 상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member 31 and the blocking member 32 of the frame 33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o be used repeatedly, the frame member 3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y a round bar, a pipe or a square bar. . The blocking member 32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edge of the corresponding edge member 31, the blocking member 32 is a part of the heat is directly applied to the mea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such as the heating means In addition to blocking as well as to prevent burning of bamboo can be made of bronze, brass or fluorine coated iron plate. The blocking member 32 has long holes 32a formed between the bamboo pieces 100 so that heat from the heat sourc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eat through the bamboo pieces 100. The blocking member 32 supported by the frame member 31 is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heat generating means 22.

상기 간격유지수단(40)은 상기 차단부재(32)에 지지된 대나무 절편(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절편(100) 사이의 차단부재(32)에 돌기(41)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돌기(41)들은 상기 차단부재(32)의 일부가 랜싱(lancing) 가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돌기(41)의 단부는 대나무 절편(100) 측으로 돌출되어 대나무 절편(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The gap maintaining means 40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gap of the bamboo slice 100 supported by the blocking member 32, as shown in Figure 3 to the blocking member 32 between the bamboo slice 100 The projections 41 are formed. The protrusions 41 may be formed by lancing a portion of the blocking member 32. Although not shown here, the end of the protrusion 41 may protrude toward the bamboo cutout 100 side to fix the bamboo cutout 100.

한편, 상기 간격 유지수단(4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32)에 형성된 장공(32a)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 즉, 대나무 절편(100)과 나란한 방향의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유지돌기(42)를 구비한다. 상기 각 유지돌기(42)들은 단부가 상기 대나무 절편(100) 측으로 절곡되어 대나무 절편(100)의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대나무 절편(100)을 파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gap maintaining means 40 is a longitudinal edge of the long hole 32a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32, that is, the edg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amboo cutout 100 as shown in FIG. The holding protrusion 42 which protrudes upwards is provided. Each of the retaining protrusions 42 may be bent to the end of the bamboo cutout 100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bamboo cutout 100 and to hold the bamboo cutout 100.

도 5에는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차단부재(32)에 형성된 장공(3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대나무 절편들의 간격 유지비드(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나무 절편(100)과 대응되는 간격유지비드(43)에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코킹되어 대나무 절편을 지지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대나무 절편(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의 간격유지비드(43)를 절개하여 대나무 절편(100)의 측면 측으로 절곡함으로써 대나무 절편(100)의 양 단부를 파지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ap maintaining means.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ap maintaining means is protrude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long hole (32a)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32 is composed of the gap maintaining beads 43 of the bamboo pieces. The gap maintaining beads 43 corresponding to the bamboo pieces 100 are preferably formed with protrusions or caulked to support the bamboo pieces, and the gap maintaining beads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sides of the bamboo pieces 100 are supported. By cutting 43 to bend to the side of the bamboo cutout 100, it is preferable to hold both ends of the bamboo cutout 100.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절편(100)과 대응되는 차단부재(32)에는 기름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그루브(45)가 형성된다. 이 그루브(45)는 대나무 절편(100)의 하면과 대응되는 영역이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로 경사져 이루어지거나 길이 방향으로 비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차단부재(32)의 상면으로부터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6, the blocking member 32 corresponding to the bamboo slice 100 is formed with a groove 45 for inducing the flow of oil. The groove 45 may be formed by inclining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mboo slice 100 to the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by forming beads in the length direction or drawing inwardly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32. have.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mboo grill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 embodiments denote the same component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대나무 석쇠(50)는 프레임(33)을 이루는 테두리부재(31)의 중앙부 즉, 대응되게 설치된 차단부재(32)들 사이의 테두리부재 중앙부위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프레임이 V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 단부재(32)들은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32)의 사이의 중앙부위에는 차단부재(32)와 나란하게 테두리부재(31)에 지지되는 지지부재(51)가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51) 환봉, 또는 평철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33)에는 상기 차단부재(32)(32)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중앙부위가 상기 지지부재(51)에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대나무 절편(100)들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재(51)에는 대나무 절편(100)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홈 지지돌기 들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mboo grill 50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constituting the frame 33, that is,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between the correspondingly installed blocking member 32 is bent downward to the frame V It is shaped like a child. Thus, the car end members 32 are inclined in corresponding directions. And at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blocking member 32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51 which is supported by the edge member 31 in parallel with the blocking member (32). The support member 51 is made of round bar or flat iron. In the frame 3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amboo fragments 100 having both ends supported by the blocking members 32 and 32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at the support member 51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re, the support member 51 may be formed with support groove support protrusions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bamboo slice (100).

상기 중앙부가 지지부재(51)에 지지된 대나무 절편(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차단부재(32)(32)에는 대나무 절편(100)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간격 유지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The blocking members 32 and 32 supporting the edges of the bamboo slices 100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51 are provided with interval maintain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intervals of the bamboo slices 100. The mean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ill not be described again.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6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mboo grill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대나무 석쇠(60)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V를 이루는 테두리부재(61)와, 상기 테두리부재(61)의 대응되는 양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2차단부재(62)(63)와, 상기 제1,2차단부재(62)(63)의 중앙부 즉, 테두리부재(61)의 최하부 측에 설치되는 제3차단부재(64)를 구비한다. 상기 제3차단부재(6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양측이 상기 제1,2차단부재(62)(63)를 향하도록 단면이 V 또는 U 자형의 형상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차단부재(62)(63)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제3차단부재(64)에 마련된 지지 및 간격유지수단(70)들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대나무 절편(100)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 및 간격유지수단(70)은 상기 각 대나무 절편(100)의 양측의 제3차단부재(64)에 설치되며 단부가 대나무 절편에 걸리는 걸림턱(71)이 형성된 복수개의 훅(72)을 포함한다. 이 훅(72)은 상기 제3차단부재(64)가 랜싱가공되어 제3차단부재(64)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차단부재(62)(63)(64)에는 가열수단(22)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직접적으로 구워지는 육류 또는 생선에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장공 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3차단부재(62)(63)에는 상기 대나무 절편(100)의 단부를 지지하고,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상기 실시예와 동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3차단부재는 연속하여 연결된 단일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mboo grill 6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be inclined to form a rim member 61 forming a V,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inclined on both sides of the rim member 61 ( 62) and a third blocking member 64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62 and 63, that is, the lowermost side of the edge member 61. As shown in FIG. 9, the third blocking member 64 is bent in a V or U shape so th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face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62 and 63.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62 and 63, and a plurality of bamboo fragments 100 supported by the support and spacing means 70 provided in the third blocking member 64 is It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upport and the space maintaining means 70 is provided on the third blocking member 64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bamboo pieces 100 and the hooks 72 formed with the engaging jaw 71 at which the end is caught by the bamboo pieces. Include. The hook 7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blocking member 64 by lancing the third blocking member 64. And the first, second, third blocking member (62, 63, 6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ng holes to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means 22 to the meat or fish directly baked, The first and third blocking members 62 and 63 may further include a gap maintaining means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for supporting the ends of the bamboo pieces 100 and maintaining the gaps.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cond, third blocking member may be made of a single plate connected in series.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절편(100)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시 내부의 진액이 쉽게 유출될 수 있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노치(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01)의 형상은 대나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나무 절편(100)은 마르지 않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푸르른 색이 변하지 않도록 사용전 진공포장하여 보관함하거나 포장용기 내부에 산소 흡수제를 넣어 포장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s, as shown in Figure 10, the bamboo pieces 10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101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inner essence can easily flow out when heated. The shape of the notch 101 may be formed in the bamboo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be formed in a dot shape. In addition, the bamboo slices 100 may be manufactured using bamboo that is not dried, and packaged by putting an oxygen absorbent inside a packaging container or vacuum packing before use so as not to change the green color.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재와 차단부재를 갖는 프레임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예컨데, 상기 차단판들은 발열원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중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shape of the frame made of the metal and having the edge member and the blocking member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blocking plates may be installed to overlap at least two from the heating sour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mboo gri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oasting device using the same as follows.

먼저 대나무 석쇠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생선을 굽기 위해서는 화로통(21) 내의 상기 발열수단의 숯 지지용기(22a)에 점화된 참숯 또는 야자숯을 넣고, 석쇠받이(23)에 대나무 석쇠(30)를 올려 놓는다. 이때에 상기 차단부재(32)(32)는 발열수단의 수직 상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대나무 석쇠(30)의 대나무 절편(100) 상에 굽고자하는 육류 또는 생선을 올려 놓는다.First, in order to bake meat or fish using a bamboo grill, put the ignited charcoal or palm charcoal in the charcoal support container 22a of the heating means in the furnace 21, and put the bamboo grill 30 in the grill receiving 23. Put it up. At this time, the blocking members 32 and 32 are located at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means. In this state, the meat or fish to be grilled is placed on the bamboo slices 100 of the bamboo grill 30.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발열수단(22)으로부터 발생된 화기는 상기 차단부재(32)(32)의 장공(32a)과 대나무 사이를 통하여 고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일부의 화기는 차단판부재(32)(32)와 대나무 절편(100)을 통하여 전도 및 복사되어 고기에 전달됨으로써 고기가 구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대나무 절편(100)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대나무 절편(100)으로부터 진액이 이의 상면, 특히 노치(101) 부위로 방출되고, 방출된 진액은 고기에 침투되면서 구워진다. 따라서 구워지는 고기에는 대나무 향과 맛을 가지게 되며, 대나무에 함유된 건강에 좋은 물질이 포함되게 된다. 특히 대나무 석쇠는 고기에 직접적으로 불이 가하여지기 보다는 간접적인 열을 받아 구워지게 되므로 수분의 증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고기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e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means 22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eat through the long hole 32a of the blocking members 32 and 32 and bamboo, and a part of the fire is blocked plate member 32. The meat is grilled by being transferred and copied through the 32 and bamboo slices 100 and delivered to the meat. In this process, as the bamboo slices 100 are heated, the essence is discharged from the bamboo flakes 100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especially the notch 101, and the released essences are baked while penetrating the meat. Therefore, the grilled meat will have a bamboo aroma and taste, and will contain the healthy substances contained in bamboo. In particular, the bamboo grill is baked under indirect heat rather than being directly fired to the meat, thereby suppressing evaporation of moisture as much as possible and further preventing the meat from hardening.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석쇠(50)(60)가 단면 V자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대나무 절편(100) 또는 차단부재의 그루브(45)를 따라 흐르게 되고 대나무 절편(100)이 절 곡되는 최하단 변곡점 부위에서 화로통의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석쇠와 같이 기름이 발열원인 숯 등으로 떨어지는 것이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mboo grill 50, 60 is formed in a V-shaped cross-section 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during the grilling process of the bamboo slice 100 or the groove of the blocking member It flows along 45 and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furnace at the lowest inflection point where the bamboo section 100 is bent. Therefore, as in the conventional grill, oil falling into charcoal, etc. as a heating source, can fundamentally prevent smoke from being gene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는 구이용 고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타거나 과도한 수분의 증발로 고기가 마르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숯불과 더불어 대나무에 함유된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이 방출되어 훈연효과를 내면서 고기에 스며들게 됨으로 구워진 고기의 향과 맛을 배가 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mboo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oa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ay fundamentally solve the drying of the meat by directly or indirectly heating the meat for roasting or by evaporation of excessive moisture. In addition, as the temperature rises, the oil from the meat is discharged smoothly, and various beneficial ingredients in bamboo are released along with the charcoal fire. Can be.

또한 대나무 절편은 마르지 않은 대나무를 사용함으로써 고기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증발하지 않고 배출되어 기름이 연기로 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amboo slices can also be used to prevent the oil from being evaporated into smoke by evaporating the oil from the meat without using evaporated bamboo.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테두리부재와, 이 테두리부재에 지지되며 발열원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를 가지는 프레임과;A frame having a frame member and at least one blocking member supported by the frame member and install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source; 상기 프레임의 차단부재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대나무 절편들과;Bamboo fragmen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locking member of the frame; 상기 차단부재에 배열되는 상기 대나무 절편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수단;을 구비하고,A spacing means for maintaining a spacing of the bamboo pieces arranged in the blocking member;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대나무 절편들이 배치된 사이에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석쇠.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hole is formed between the bamboo pieces of the blocking member are dispos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의 차단부재는 상호 대응되는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에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 Bamboo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member of the frame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exposed to the edge of the corresponding frame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격 유지수단은 상기 대나무 절편 사이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The gap holding means is a 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jection formed on the blocking member between the bamboo piece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부재가 차단부재를 사이에 두고 중앙부가 차단부재들 보다 하부에 유치되도록 절곡되고, 이 절곡된 중앙부에 상기 차단부재들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 대나무 절편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The frame member is bent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lower than the blocking members with the block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mboo fragments whose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blocking members in the bent central portion is provided. 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장공의 가장자리에 대나무 절편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간격 유지돌기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 The gap holding means is a 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projection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mboo section on the edge of the long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격 유지수단은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장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대나무 절편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유지비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The gap holding means is a 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holding bead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bamboo pieces.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대나무 절편과 대응되는 차단부재에 기름의 흐름을 유도하는 그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Bamboo g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bamboo slice to induce the flow of oi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나무 절편들에는 가열시 진액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치 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석쇠.Bamboo grill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notch is forme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essence when h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04337A 2003-07-16 2005-01-17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KR1005649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52 2003-07-16
KR20030023052 2003-07-16
KR2020030023910 2003-07-24
KR20030023910 2003-07-24
KR2020030038002 2003-12-05
KR20030038002 2003-12-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230U Division KR200349552Y1 (en) 2003-07-16 2004-02-18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174A KR20050013174A (en) 2005-02-02
KR100564965B1 true KR100564965B1 (en) 2006-04-04

Family

ID=372247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230U KR200349552Y1 (en) 2003-07-16 2004-02-18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KR1020050004337A KR100564965B1 (en) 2003-07-16 2005-01-17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230U KR200349552Y1 (en) 2003-07-16 2004-02-18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49552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174A (en) 2005-02-02
KR200349552Y1 (en) 200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298B1 (en) Advanced roaster
US7487717B2 (en) Flameless barbecue grill
US7340994B2 (en) Grilling apparatus
JPS60501398A (en) humpback grill oven
KR200431912Y1 (en) Double-palte typed roaster
KR101187145B1 (en) Roast plate
KR100564965B1 (en) bamboo grid and broiler utilizing the same
KR102375564B1 (en) Roasting grill
KR200353947Y1 (en) bamboo grid and bamboo grid assembly utilizing the same
KR20160086624A (en) Grill Type Roaster for Home Use
KR200256249Y1 (en) Roaster Pan for Meat
KR101321525B1 (en) A roasting grill
KR200238657Y1 (en) A grill
KR200230534Y1 (en) A grill
KR100620500B1 (en) bamboo grid assambly
KR200401034Y1 (en) Multi-function St. late flag meat roasted with seasoning VER forming to heatproof earhten ware calamity
KR20100046318A (en) Smokeless grill having plate diffusing heat
KR200396675Y1 (en) a grill
KR20200100510A (en) Double faced pan
KR200212904Y1 (en) The roast plate for meat
KR101452783B1 (en) Roast plate
KR200238993Y1 (en) Heating plate for roasting meat
KR20130090047A (en) Roasting apparatus with grill for emitting fat
KR200412758Y1 (en) Grill having upper plate and bottom plate
KR200156218Y1 (en) Ro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