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562B1 -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562B1
KR100564562B1 KR1020000002487A KR20000002487A KR100564562B1 KR 100564562 B1 KR100564562 B1 KR 100564562B1 KR 1020000002487 A KR1020000002487 A KR 1020000002487A KR 20000002487 A KR20000002487 A KR 20000002487A KR 100564562 B1 KR100564562 B1 KR 100564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river
pad
pu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707A (ko
Inventor
문병모
문병식
황홍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562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Landscapes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에 있어서, 클럭 신호 및 지연 클럭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입력부와, 제1 및 제2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와, 제1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 및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1 프리-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풀 스윙시키는 제1 보조 드라이버와, 제2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 및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2 프리-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풀 스윙시키는 제2 보조 드라이버와, 제1 프리-드라이버 및 제1 보조 드라이버의 출력에 제어되며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오픈 드레인 방식의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와, 제2 프리-드라이버 및 제2 보조 드라이버의 출력에 제어되며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오픈 드레인 방식의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Output driver connected to open drain output terminal}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픈-드레인(open-drain) 출력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도 2의 제1 및 제2 보조 드라이버의 전달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전류 프로파일(current profile) 및 출력 패드의 데이터 천이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VT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하는 출력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오픈 드레인(open drain)은 데이터 전송 방법의 하나로써, 도 1에서 처럼 출력 패드(PAD)에 풀다운(pull down) 트랜지스터(6)가 연결된 구조로 나타낸다. 칩 내부(1)에서 발생된 데이터(data)를 패드(PAD)로 전달하는 데 있어서, 데이터(data)가 로직 로우레벨인 경우 풀다운 트랜지스터(6)가 턴-온 되어 패드(PAD)는 VOL(Vterm - IOL×Rterm) 레벨의 로직 로우레벨이 된다. 데이터가 로직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풀다운 트랜지스터(6)는 턴-오프되고 패드(PAD)는 칩 외부에서 패드(PAD)와 연결되는 저항(Rterm)을 통하여 외부 전원전압(Vterm)의 VOH가 된다. 그래서 패드(PAD)는 로직 하이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패드(PAD)는 내부 칩 데이터(data)와 동일한 로직레벨이 된다. 물론, 도 1의 패드와 연결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6) 이외에 풀업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오픈 드레인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인버터(4)는 칩 내부 데이터(data)를 풀다운 트랜지스터(6)로 전달하여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프리-드라이버(pre-driver)의 역할을 한다. 특히, 인버터(4)는 풀다운 트랜지스터(6)를 직접 구동하는 데, 인버터(4)의 구동 능력에 따라 얼마나 빨리 풀다운 트랜지스터(6)가 턴-온되어 패드(PAD)가 VOL 즉, 로직 로우레벨로 되는 지를 결정한다. 인버터(4)의 구동능력은 인버터(4) 자체의 크기, 너비/길이(width/length)에 의해서도 결정이 되지만, 반도체 제조 공정(Process)에 따른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변화, 전압(Voltage) 변화 및 온도(Temperature) 변화(이하 'PVT'라고 칭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예컨대, 높아진 문턱전압 또는 낮아진 전원전압 등으로 인버터(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구동능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레벨이 로직 하이레벨로 스윙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 풀다운 트랜 지스터의 스위칭 속도가 느려진다. 그 결과 도 1의 오픈 드레인 출력단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PVT 변화에 대항하여 안정적인 구동능력을 갖는 출력 드라이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VT 변화에 의해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이 나빠지더라도 안정적인 구동능력을 갖는 출력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에 있어서, 클럭 신호 및 지연 클럭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와, 상기 제1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 및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리-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풀 스윙시키는 제1 보조 드라이버와, 상기 제2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리-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풀 스윙시키는 제2 보조 드라이버와, 상기 제1 프리-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보조 드라이버의 출력에 제어되며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오픈 드레인 방식의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프리-드라이버 및 상기 제2 보조 드라이버의 출력에 제어되며 상기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오픈 드레인 방식의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출력 드라이버는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지연 클럭 신호 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출력 패드의 슬루레이트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드라이버는 상기 출력 패드의 데이터가 듀티 50%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PVT변화 또는 낮은 로직 문턱전압 설정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전류 구동 능력이 떨어지더라도,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오픈 드레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풀 스윙시켜 출력 패드의 데이터 출력 타이밍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출력 데이터들 간의 슬루레이트를 일정하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출력 드라이버(100)는 제1 데이터 입력부(12), 제2 데이터 입력부(22), 제1 프리-드라이버(14), 제2 프리-드라이버(24), 제1 보조 드라이버(18), 제2 보조 드라이버(28),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26)를 포함한다. 패드(PAD)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26) 사이에 연결된다.
제1 데이터 입력부(12)는 클럭 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칩 내부 데이터(data)를 수신한다. 수신된 칩 내부 데이터(data)는 인버터(13)을 거쳐 노드 NA로 전달한다.
제2 데이터 입력부(22)는 지연 클럭 신호들(clk_dly,clkb_dly)에 응답하여 칩 내부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노드 NB로 전달한다. 지연 클럭 신호(clk_dly,clkb_dly)는 클럭 지연 수단(80)에서 클럭 신호(clk,clkb)가 소정시간 지연된 신호이다. 클럭 지연 수단(80)은 이후에 설명될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S1,S2,S1&S2)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이 조절된다.
제1 및 제2 프리 드라이버들(14,24)은 노드 NA 및 NB로 전달된 데이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그 데이터를 노드 q 및 qL로 각각 전송한다. 노드 q 및 qL은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들(16,26)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패드(pad)로 전달한다. 패드(pad)에서 데이터 출력 파형의 듀티가 50% 되도록 설정될 경우,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들(16,26)은 낮은 문턱 전압(Vth:threshold voltage)을 갖도록 설계된다. 여기에서, 듀티라 함은 데이터 파형 구간에 대한 로직 하이레벨이 차지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들(14,24)을 구성하는 인버터들도 낮은 로직 문턱전압(logic threshold voltage)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는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14,24)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14,24)를 구성하는 인버터의 입력전압에 대한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전달특성으로,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MN)의 너비(width)가 일정한 상태에서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MP)의 너비를 변화시켰을 때의 전달 특성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로직 문턱전압들(Vth1,Vth2,Vth3)의 분포를 살 펴보면, 피모스 트랜지스터(MP)의 너비가 작을 때의 로직 문턱전압은 Vth1이고, 너비가 클 경우의 로직 문턱전압은 Vth3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들(14,24)을 구성하는 인버터들이 낮은 로직 문턱전압(logic threshold voltage)을 갖도록 피모스 트랜지스터(MP)의 너비를 작게 하는 방법이 선택된다.
다시, 도 2으로 돌아가서, 제1 및 제2 보조 드라이버들(18,28)은 제어 신호들(S1,S2,S1&S2) 및 노드 NA 및 NB에 응답하여 프리-드라이버들(14,24)의 출력인 노드 q 및 qL의 로직레벨을 보충하게 된다. 제1 및 제2 보조 드라이버들(18,28)에는 전원전압(VCC)과 노드 q 및 qL 사이에 직렬 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20,22,30,32,40,42,50,52,60,62,70,72)이 각각 연결되어있다. 전원전압에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 중 피모스 트랜지스터들(20,50)의 게이트들은 제1 제어 신호(S1)에, 피모스 트랜지스터들(30,60)의 게이트들은 제2 제어 신호(S2)에, 그리고 피모스 트랜지스터들(40,70)의 게이트들은 제3 제어 신호(S1&S2)에 연결된다. 노드 q에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22,32,42)의 게이트들은 노드 NA에 연결되고, 노드 qL에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52,62,72)의 게이트들은 노드 NB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들(16,26)은 노드 q 및 qL에 각각 응답하여 칩 내부 데이터(data)에 해당하는 로직 레벨이 패드(PAD)에 나타나도록 동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력 드라이버(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칩 내부 데이터(data)가 로직 하이레벨인 경우, 클럭신호들(clk,clkb)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입력부(12)의 출력인 노드 NA는 로직 로우레벨이 된다. 로직 로우레벨의 노드 NA는 제1 프리-드라이버(14)를 통하여 노드 q로 로직 하이레벨을 전달한다. 이 때 제1 보조 드라이버(18) 내의 PMOS 트랜지스터들(22,32,42)도 로직 로우레벨의 노드 NA에 의하여 턴-온되어 있다. 그리고 PMOS 트랜지스터들(20,30,40)은 제어 신호들(S1,S2,S1&S2)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턴-온된다.
한편, 제2 데이터 입력부(22)는 지연 클럭 신호들(clk_dly,clkb_dly)에 응답하여 칩 내부 데이터(data)를 수신하는 데, 제1 데이터 입력부(12)가 칩 내부 데이터를 수신한 후 소정 지연시간 후에 수신한다. 이 소정 지연시간은 지연 클럭 신호들(clk_dly,clkb_dly)이 클럭 신호들(clk,clkb)로부터 지연된 시간에 해당한다.
이 후, 제2 프리-드라이버(24), 제2 보조 드라이버(28)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26)은 앞서 설명한 제1 프리-드라이버(14), 제1 보조 드라이버(18) 및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과 동작상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26)도 턴-온되어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와 더불어 패드(PAD)의 로직 레벨을 VOL로 한다. 이때,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로 흐르는 전류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26)에 흐르는 전류 각각은 IOL/2이다. 그래서 패드(PAD)에서 바라보이는 전체 전류는 두 전류의 합인 IOL이 된다.
두 번째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en)가 로직 하이레벨로 활성화인 동안 칩 내부 데이터(data)가 로직 로우레벨인 경우, 클럭신호들(clk,clkb)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입력부(12)의 출력인 노드 NA는 로직 하이레벨이 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노드 NA는 제1 프리-드라이버(14)를 통하여 노드 q로 로직 로우레벨을 전달한다. 이 때 제1 보조 드라이버(18) 내의 PMOS 트랜지스터들(22,32,42)은 로직 하이레벨의 노드 NA에 의하여 턴-오프된다. 로직 로우레벨의 노드 q에 응답하여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은 턴-오프된다. 패드(PAD)는 칩 외부에서 패드(PAD)와 연결되는 저항(Rterm)을 통하여 외부 전원전압(Vterm)인 VOH가 된다. 그래서 패드(PAD)는 로직 하이레벨이 된다. 이는 칩 내부 데이터가 로직 로우레벨과 부합한다. 이 때, 제 2 풀다운 트랜지스터(26)도 턴-오프됨은 물론이다.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S1,S2,S1&S2)은 PVT 변화에 따라서 조절되는 데, 이 신호들이 활성화되는 기준은 공정, 온도 및 전원전압의 변동에 대하여 트랜지스터의 전류 구동 능력이 작아졌을 경우 이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활성화된다. 즉,
S2 S1 전류구동능력
0 0 아주 강해짐
0 1 조금 강해짐
1 0 조금 약해짐
1 1 아주 약해짐
으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S1&S2는 도 1에서의 제어 신호(S)와 동일한 신호들이다. 이러한 제어 신호들(S1,S2,S1&S2)에 의하여 전원전압에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20,30,40)이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이미 턴-온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들(22,32,42)과 함께 노드 q의 로직레벨을 하이레벨로 한다. 이것은 제1 프리-드라이버(14)가 낮은 로직 문턱 전압을 갖기 위해 작은 너비(width)의 피모스 트랜지스 터(MP,도 3)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 프리-드라이버(14)의 전류구동능력이 약한 것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로직 하이레벨의 노드 q에 응답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가 턴-온되어 패드(PAD)는 로직 로우레벨이 된다. 이는 칩 내부 데이터(data)의 로직 로우레벨과 같다.
본 발명의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 패드(PAD)를 다수개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출력 패드들로 전송되는 데이터들 사이에 스큐가 발생하는 경우, 클럭 신호들(clk,clkb)과 지연 클럭 신호들(clk_dly,clkb_dly) 사이의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스큐현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패드(PAD)에서 데이터 천이시간이 긴, 즉 슬루레이트(slew rate) 클 경우에는 지연시간을 작게(Td)하여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16)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26)가 이 지연시간(Td)의 차이를 두고 턴-온되게 한다. 그러면, 패드(PAD)의 로직레벨이 빨리 로직 로우레벨로 천이하여 데이터 천이시간이 줄어든다. 그래서, 스큐 현상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다. 반면, 슬루레이트가 작을 경우에는 지연시간을 크게(Td') 하여 이 지연시간(Td')의 차이를 두고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16,26)가 턴-온되게 한다. 이에 따라 패드(PAD)의 로직레벨이 천천히 로직 로우레벨로 천이되어 스큐 현상이 어느정도 줄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오픈 드레인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출력 드라이버는 PVT변화 또는 낮은 로직 문턱전압 설정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전류 구동 능력이 떨어지더라도,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오픈 드레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풀 스윙시켜 출력 패드의 데이터 출력 타이밍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출력 데이터들 간에 스큐가 발생하는 경우 클럭 신호와 지연 클럭 신호간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스큐현상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에 있어서,
    클럭 신호 및 지연 클럭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입력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제1 및 제2 프리-드라이버;
    상기 제1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 및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리-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풀 스윙시키는 제1 보조 드라이버;
    상기 제2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리-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풀 스윙시키는 제2 보조 드라이버;
    상기 제1 프리-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보조 드라이버의 출력에 제어되며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오픈 드레인 방식의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프리-드라이버 및 상기 제2 보조 드라이버의 출력에 제어되며 상기 출력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오픈 드레인 방식의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드라이버는
    상기 출력 패드의 데이터가 듀티 50% 되도록 낮은 로직 문턱 전압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드라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드라이버는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지연 클럭 신호 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출력 패드의 슬루레이트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드라이버.
KR1020000002487A 2000-01-19 2000-01-19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KR10056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487A KR100564562B1 (ko) 2000-01-19 2000-01-19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487A KR100564562B1 (ko) 2000-01-19 2000-01-19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707A KR20010073707A (ko) 2001-08-01
KR100564562B1 true KR100564562B1 (ko) 2006-03-29

Family

ID=1963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487A KR100564562B1 (ko) 2000-01-19 2000-01-19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86B1 (ko) 2009-09-15 2011-11-04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구동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094B1 (ko) * 2000-09-20 200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소모 및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출력드라이버
KR100568545B1 (ko) * 2004-10-05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구동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86B1 (ko) 2009-09-15 2011-11-04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구동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707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3999A (en) Output buffer for memory circuit
US6608506B2 (en) Dynamic termination logic driver with improved impedance control
US5973534A (en) Dynamic bias circuit for driving low voltage I/O transistors
KR100238247B1 (ko) 고속 저전력 신호라인 드라이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메모리장치
US6316957B1 (en) Method for a dynamic termination logic driver with improved impedance control
US6297677B1 (en) Method for a dynamic termination logic driver with improved slew rate control
US6294924B1 (en) Dynamic termination logic driver with improved slew rate control
US6281729B1 (en) Output driver with improved slew rate control
US5994922A (en) Output buffe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output buffer and driving ability adjusting method for output buffer
US11258442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US5864244A (en) Tristate buffer circuit with transparent latching capability
US6278306B1 (en) Method for an output driver with improved slew rate control
US8754688B2 (en) Signal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50024090A1 (en) Off chip driver
KR100564562B1 (ko)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단을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
KR100363094B1 (ko) 전력소모 및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출력드라이버
US669384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output signals
US7221182B2 (en) Open drain type output buffer
US20120126874A1 (en) Integrated circuit
US6825694B2 (en) Flip-flop circuit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KR100205094B1 (ko) 반도체 소자의 출력버퍼 회로
KR20020022919A (ko) 씨모스 버퍼회로
KR100318267B1 (ko) 구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씨모스 출력 버퍼회로
JP3639050B2 (ja) 入力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0137692B1 (ko) 디지탈신호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