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388B1 -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388B1
KR100564388B1 KR1020030079139A KR20030079139A KR100564388B1 KR 100564388 B1 KR100564388 B1 KR 100564388B1 KR 1020030079139 A KR1020030079139 A KR 1020030079139A KR 20030079139 A KR20030079139 A KR 20030079139A KR 100564388 B1 KR100564388 B1 KR 10056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network media
aspect ratio
size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173A (ko
Inventor
박정준
진민식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to KR102003007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3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파일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장치의 화면 종횡비에 맞게 화면 사이즈를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수신받는 단계와; 수신된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와이드비젼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서, 왜곡없는 원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면 사이즈, 축소, 확대.

Description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METHOD FOR ADJUSTING A SCREEN SIZE OF NETWORK MEDIA TRANS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사이즈 조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화면 사이즈 조절된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영상파일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장치의 화면 종횡비에 맞게 화면 사이즈를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에 퍼스널 컴퓨터가 구비되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은 일반화되어 있다. 각 가정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있으며, 컴퓨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컨텐츠 파일들, 예를 들면 오디오 컨텐츠 파일(MP3, WAV 등), 비디오 컨텐츠 파일(AVI, MPEG, WMV 등), 이미지 컨텐츠 파일(JPEG, TIFF, BMP 등), 텍스트 컨텐츠 파일(txt, doc 등)등을 제공받아 혹은 저장하여 이용하고 있다.
한편 고화질 영상화면의 시청과 생동감 넘치는 음향을 청취하기 위해 각 가정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와 AV 시스템을 연결하여 멀티 미디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에 다운받은 컨텐츠 파일들을 접속 가능한 AV 시스템을 이용하여 출력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DivX, 엠펙4, 엠펙2 파일들은 각각 영상의 크기, 압축 비트율, 프레임 레이트(rate)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고화질 텔레비젼과 같은 AV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컨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의 구비 없이는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 파일 모두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서버에서 재생 가능한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 파일들을 디코딩 가능한 형식으로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스템의 일예로서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된 "멀티 컨텐츠 파일 무선 수신기"가 있다. 이러한 멀티 컨텐츠 파일 무선 수신기는 오프라인상에서 일명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etwork Media Transceiver:NMT)"로 불리우기도 한다.
상기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는 기본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서버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 파일들을 무선(혹은 유선으로) 전송받아 디코딩한후 디코딩된 정보를 연결된 AV 출력장치로 건네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시한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주변 장치,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는 4:3의 화면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에서 편집된 동영상이나 사진을 상기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를 통해 일반 4:3 표준 TV로 시청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내에 구비된 비디오 인코더가 PC측에서 재생된 영상을 4:3 화면비를 가지는 표시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출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6:9의 화면비를 가지는 와이드 TV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에서 편집된 동영상이나 사진을 재생하여 보는 경우에는 동영상이나 사진의 가로세로비가 맞지 않아 재생영상이 왜곡 표시(옆으로 길쭉하게 퍼져서 보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에 결합되는 AV출력기기의 종류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에서 전송된 영상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러한 기술은 비단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에서만 요구되는 기술이 아니라, VGA to TV Encoder(흔히 NTSC 인코더라고 불리움), TV 출력(out)단자를 구비한 VGA 카드, CD/DVD/HDD 등을 내장하는 셋탑박스 등에도 요구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설명에서 명명하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는 VGA to TV Encoder(흔히 NTSC 인코더라고 불리움), TV 출력(out)단자를 구비한 VGA 카드, CD/DVD/HDD 등을 내장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서 전송되되 영화 동영상과 같이 가로로 긴 포맷의 영상 혹은 세로방향으로 긴 사진 영상을 화면의 낭비 없이 보다 큰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은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서,
영상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수신받는 단계와;
수신된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와이드비젼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에서, 수신받은 상기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이면 그 재생영상을 가로방향으로 1/1.33 비율로 축소하여 출력하며,
만약 수신받은 상기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 보다 세로방향으로 길면 그 재생영상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로 폭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로 폭을 1/1.33의 비율로 축소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받은 상기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 보다 가로방향으로 길면 그 재생영상의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는 세로 폭을 계산하고, 계산된 세로폭을 1.33의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블럭구성과 그 주변에 위치하는 퍼스널 컴퓨터(100)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100)와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는 16:9 종횡비를 가지는 와이드 텔레비젼(이하 "와이드비젼"이라고 함)과 함께 멀티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하 영상파일 혹은 사진영상파일을 무선 전송하는 퍼스널 컴퓨터(100)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영상파일들을 수신하여 와이드비젼으로 출력하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는 영상파일,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하고 그 저장파일들을 재생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영상재생장치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표시부(105)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장치(모니터, LCD)로서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각종 표시데이터를 출력하여 준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영상파일과 같은 컨텐츠 파일의 부가정보 입력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파일은 오디오 컨텐츠 파일(MP3, WAV 등), 비디오 컨텐츠 파일(AVI, MPEG, WMV 등), 사진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 파일(JPEG, TIFF, BMP 등), 전자책과 같은 텍스트 컨텐츠 파일(txt, doc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컨텐츠 파일의 부가정보는 컨텐츠 파일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각 컨텐츠 파일을 대표하는 대표이미지와 각 컨텐츠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주석정보가 적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인터넷 접속부(115)는 모뎀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장치로서 외부 네트워크와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로부터 소정의 컨텐츠 파일 액세스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파일을 검색하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하여 주는 제어역할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는 물론,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다.
보조기억장치인 HDD(1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양한 컨텐츠 파일들이 저장된다.
무선 통신부(140)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에 구비된 또 하나의 무선통신부(215)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40)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액세스 명령을 제어부(120)로 전송함은 물론,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액세스된 영상파일, 사진영상 파일 등 을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여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로 전송하여 준다.
이하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파일 등을 수신하여 와이드비젼으로 출력하여 주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우선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리모콘 수신부(205)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모콘 수신부(20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무선신호를 수신 및 디코딩하여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또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인 사용자 I/F부(210)는 세트 전면에 위치하는 조작패널로서 다수의 버튼과 표시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I/F부(210) 역시 버튼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부(230)로 출력하여 준다. 상기 리모콘과 사용자 I/F부(210)를 통해 사용자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에 결합되는 텔레비젼의 종횡비 사이즈를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설정 가능한 종횡비 사이즈로서는 4:3과 16:9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6:9 종횡비를 가지는 와이드비젼이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무선통신부(215)는 PCMCIA 카드(220)를 통해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액세스 요청신호를 퍼스널 컴퓨터(100)로 전송하여 주고,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림 정보등을 제어부(230)로 전송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215)는 802.11계열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100)의 무선통신부(140)와 데이터 통신 수행한다.
플래쉬 메모리(225)에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제어부(23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SDRAM(235)에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의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가 일시 저장됨은 물론,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스트림 정보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정보와, 컨텐츠 파일, 부가정보등이 저장된다.
제어부(230)는 리모콘 수신부(205) 혹은 사용자 I/F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30)는 퍼스널 컴퓨터(100)에서 전송되어 온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검사하여 와이드비젼의 화면 종횡비에 맞게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 제어한다.
비디오 디코더(24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엠펙-2 디코더로서 영상 파일과, 네비게이션 화면정보, 엠펙 2 I-프레임 형식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여 준다.
OSD 처리부(245)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와 같은 부가정보를 처리하여 비디오 혼합부(255)로 출력하여 줌으로서, 비디오 혼합부(255)에서는 비디오 디코더(240)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정보와 부가정보가 한 화면으로 혼합되어 출력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비디오 혼합부(255)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인코더를 통해 NTSC 혹은 PAL 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로 인코딩 처리되어 와이드비젼으로 인가된다. 상기 비디오 혼합부(255)와 비디오 인코더를 비디오 출력부로 정의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250)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컨 텐츠 파일(MP3파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260)는 오디오 디코딩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오디오-레프트 및 라이트 단자를 통해 와이드비젼으로 출력한다.
이하 퍼스널 컴퓨터(100)에서 재생된 영상파일 혹은 사진과 같은 이미지 파일이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에서 와이드비젼의 화면 종횡비 사이즈에 맞게 조절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사이즈 조절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화면 사이즈 조절된 화면들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하기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125)에 다수의 영상 파일들과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고,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에 와이드비젼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우선 사용자는 리모콘 혹은 사용자 I/F부(210)를 통해 와이드비젼 선택명령을 내린다. 상기 와이드비젼 선택명령은 퍼스널 컴퓨터(100)를 통해 내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와이드비젼 선택명령은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의 제어부(230)로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와이드비젼 선택명령이 수신(300단계)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를 화면사이즈 조절모드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화면사이즈 조절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100)의 HDD(125)에 저장된 영상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의 선택 재생명 령을 내리면, 퍼스널 컴퓨터(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00)에서 재생된 영상파일은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200)로 전송된다.
한편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NMT:200)의 제어부(230)는 무선통신부(215)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파일을 비디오 디코더(240)로 인가한후, 비디오 디코더(240)에서 디코딩되는 재생영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검사한다. 이와 같이 재생영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검사하는 이유는 재생영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정확하게 알아야 와이드비젼의 종횡비에 맞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적으로 재생영상이 엠펙 표준에 따르는 동영상데이터일 경우에는 엠펙 헤더구간에 삽입된 가로/세로 픽셀 수와 각 픽셀의 가로/세로 비율 정보로서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인지할 수 있고, 사진과 같은 이미지 영상에 대해서는 가로/세로 픽셀 수 정보만으로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무선통신부(215)를 통해 수신받은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이면(320단계) 그 재생영상을 가로방향으로 1/1.33 비율로 축소(330단계)한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으로만 1/1.33 비율로 축소하는 이유는 16:9 와이드비젼의 종횡비는 4:3 표준 TV에 비해 가로폭이 1.33배 길다. 따라서 4:3 종횡비를 가지는 영상을 단순히 16:9 와이드비젼에 출력하면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재생영상을 가로방향으로 1/1.33 비율로 축소(330단계)하여 출력(370단계)하게 되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양 옆에 블랭킹 부분이 표시되지만 재생영상의 종횡비는 4:3 비율을 유지하므로서 화면의 왜곡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만약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 보다 세로방향으로 긴 영상(예를 들면 세로로 긴 사진)(340단계)이라면, 제어부(230)는 그 재생영상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로 폭을 우선 계산하고, 계산된 가로 폭을 1/1.33의 비율로 축소(350단계)하여 이를 화면 사이즈 조절된 영상으로서 출력(370단계)한다. 이와 같이 가로 폭 조절된 영상화면의 예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해 보면 와이드비젼의 가로 방향 양 옆에는 블랭킹 부분이 존재하지만 그 블랭킹 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횡비는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하므로서 화면의 왜곡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재생영상이 4:3 사이즈도 아니고 세로로 긴 사진도 아닌 영상, 즉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 보다 가로방향으로 긴 영상(1.9:1과 같이 가로가 긴 영화 동영상)이라면, 제어부(230)는 그 재생영상의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는 세로 폭을 우선 계산하고, 계산된 세로폭을 1.33의 비율로 확대(360단계)하여 이를 화면 사이즈 조절된 영상으로서 출력(370단계)한다. 이와 같이 세로 폭 조절된 영상화면의 예를 도 3의 (c)에 도시하였다. 도 3의 (c)를 참조해 보면 와이드비젼의 세로 방향 위/아래에 블랭킹 부분이 존재하지만 그 블랭킹 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횡비는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하므로서 화면의 왜곡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은 PC에서 편집된 각종 동영상과 사진을 16:9 종횡비를 가지는 와이드비젼에 표시함에 있어서 원 영상을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적절히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함으로서 왜곡없는 원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C에서 편집된 각종 동영상과 사진을 16:9 종횡비를 가지는 와이드비젼에 표시함에 있어서 원 영상을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적절히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함으로서 왜곡없는 원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 동영상과 같이 가로로 긴 포맷의 영상을 화면 낭비 없이 보다 큰 화면으로 제공하여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무선 수신받는 단계와;
    수신된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 결과 수신받은 상기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 보다 세로방향으로 길면 그 재생영상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로 폭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로 폭을 1/1.33의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장치측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4.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무선 수신받는 단계와;
    수신된 재생영상의 사이즈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 결과 수신받은 상기 재생영상의 종횡비 사이즈가 4:3 보다 가로방향으로 길면 그 재생영상의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원 재생영상의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는 세로 폭을 계산하고, 계산된 세로폭을 1.33의 비율로 확대하여 표시장치측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KR1020030079139A 2003-11-10 2003-11-10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KR10056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139A KR100564388B1 (ko) 2003-11-10 2003-11-10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139A KR100564388B1 (ko) 2003-11-10 2003-11-10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173A KR20050045173A (ko) 2005-05-17
KR100564388B1 true KR100564388B1 (ko) 2006-03-27

Family

ID=3724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139A KR100564388B1 (ko) 2003-11-10 2003-11-10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173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735B2 (en) Display apparatus
JP4859219B2 (ja) 映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30135179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140117889A (ko) 클라이언트 장치, 서버 장치, 멀티미디어 리디렉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4388B1 (ko)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KR101480402B1 (ko) 네트워크에서 오디오/비디오 소스 디바이스들로부터오디오/비디오 싱크 디바이스들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JP200431259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9017187A (ja) 映像音声再生装置、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及び映像音声再生方法
KR100564392B1 (ko) 미디어 전송기의 화면검색 재생방법
US20120054815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KR101369744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10007268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8047972A (ja) 映像処理システム
JP201209512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425388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