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280B1 -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280B1
KR100564280B1 KR1020030076037A KR20030076037A KR100564280B1 KR 100564280 B1 KR100564280 B1 KR 100564280B1 KR 1020030076037 A KR1020030076037 A KR 1020030076037A KR 20030076037 A KR20030076037 A KR 20030076037A KR 100564280 B1 KR100564280 B1 KR 10056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upport
doors
me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016A (ko
Inventor
양순이
Original Assignee
추인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인엽 filed Critical 추인엽
Priority to KR102003007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계량기함의 구조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횡방향으로 용접고정설치된 횡프레임을 중심으로 상부에 계량기 등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가진 상부도어와, 하부에 누전차단기 또는 전원스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하부도어를 가진 통상의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상부도어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하여서 된 절곡단차부를 형성하고와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한 셋트의 힌지유닛트로서 연결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상하부도어사이에 설치되는 횡프레임이 전혀 없어도 상하부 도어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힌지유닛트를 사용하여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설치하였을 때, 종래 전기계량기 함의 상부도어와 하부도어 사이에 설치구성되는 프레임이 전혀 불필요하여 공간활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중량이 가볍고, 외관이 매우 깔끔하고 단정하며, 조립성이 증대되어 제조원가절감과 상품성증대 효과가 기대되는 전기계량기함을 제공하는 등의 특징이 따른다.
배전함, 계량기함의 도어힌지구조, 계량기함의 경첩, 계량기함의 힌지.

Description

전기계량기함의 구조{the structure for an electrodynmometer case}
도 1은 본 발명의 계량기 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계량기 함의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본 발명은 전기계량기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계량기함의 상하부도어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횡프레임이 없으면서도 하나의 경첩유닛트로서 상하부도어를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전기계량기함의 경량화와 공간활용극대화, 그리고 외관이 단정하면서 조립성이 극대화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계량기 함은 도어를 열지 않고도 계량기의 수치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가진 상부도어와, 누전차단기나 스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하부도어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도어 사이에 힌지를 이용하여 상부도어및 하부도어를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폭으로 횡프레임이 설치고정되어 있다.
상기 횡프레임은 양단이 계량기함체에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상부도어의 하부와 하부도어의 상부를 힌지를 이용하여 각각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부도어는 통상 봉인되어 있어 아무나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통상 하부도어만이 개방가능하도록 설치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계량기함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즉, 상하부도어사이에 위치하는 횡프레임이 함체에 용접됨에 따라 용접부위로 인한 불량률 상승과, 중량증대, 그리고 외관이 단정하지 못한 폐단이 따르고, 더불어 상기 횡프레임에 상부도어의 하부와 하부도어의 상부를 각각 힌지로 연결구성함에 따라 조립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제조원가 상승이 필연적으로 노출되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한 계량기 함체는 부식을 예방하기 위해 통상 스테인레스스틸 판재를 절곡성형함과 동시에 용접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재료자체가 고가인데다가 가공성이 그다지 좋지 않고, 또, 용접을 한후 연마 등의 후가공처리를 하게 되면 스테인레스스틸의 고유광택을 살리기 어려워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를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계량기 함체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가급적 용접부위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고유광택을 살릴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계량기 함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용접부위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횡프레임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하부도어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게하고, 이에 따라 조립성 증대와 상품성 증대, 제품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어를 열지 않고도 계량기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1)을 가진 상부도어(1)와, 누전차단기 또는 스위치 등을 내장한 부분을 커버하여 주는 하부도어(2), 그리고 상하부 도어사이에 설치되어 힌지로서 각각 상하부도어를 고정지지하고, 상하부도어의 경계를 형성하는 횡프레임으로 구성된 통상의 계량기 함에 있어서,
상부도어(1)의 하단부에 하방향으로 연장절곡부(12)를 형성하고,상기 연장절곡부(12)에 하부도어(2)의 상단부가 작용하도록 하며, 상하부도어(1)(2)가 만나는 함체(10)의 측부에 상하부도어(1)(2)를 동시에 지지하는 힌지장치(3)를 설치구성하되, 상기 힌지장치(3)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에 함체(10) 내벽에 밀착되는 단차부(31)와 C형링(32)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요홈(33)을 형성하고, 선단부에는 수평부(34)를 구성하여 상기 수평부(34) 상면에 상부도어의 일측하단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지지관체(35)를 형성하여서 된 지지부(3A)와, 'ㄷ'자형의 지지체(36)와, 상측 소정위치에 스프링안착돌부(37)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체(35)에 상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부도어 지지봉(38) 및 지지체(36) 내에서 하부도어지지봉(38)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 하부도어 힌지부(3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 상하부도어(1)(2)를 지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횡프레임이 전혀 불필요하고, 하나의 힌지장치로서 상하부도어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힌지장치(3)는 지지부(3A)와 하부도어 힌지부(3B)로 구성되어 지지부(3A)가 함체(10)의 일측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함체 밖에서 C형링에 의해 고정설치된 상태인데다가 지지부(3A)의 선단 수평부(34)에 고정설치된 지지관체(35)에 상부도어(1)의 일측 하단에 천공된 구멍을 끼우면 상부도어가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ㄷ'자형 지지체(36)와 스프링안착돌부(37)를 가진 하부도어지지봉(38), 그리고 압축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 하부도어힌지부(3B)를 일측 내부 상단에 고정설치하여서된 하부도어(2)를 조립하되, 이 때는 하부도어 일측 상단으로 돌출된 하부도어지지봉(38)의 상단을 지지부(3A)의 지지관체(35)에 조립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상부도어(1)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절곡부(12)가 하부도어(2)의 문틀로 작용하게 되며, 하부도어(2)를 닫았을 때 상부도어(1)와 하부도어(2)의 틈새를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하부도어(1)(2)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수평부(34)의 두께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틈새를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하더라도 상부도어에 형성된 연장절곡부(12)에 의해 내부가 비치지 않게 되어 단정한 외관을 갖추게 되며, 더불어 종래와 같은 횡프레임이 없는 구성이기에 용접부위가 그만 큼 더 줄고, 조립성이 증대된다.
특히 상기한 연장절곡부(12)의 필요성은 본 발명의 계량기 함과 같이 상부도어(1)가 봉인되어 아무나 열수 없게 하는 경우에 필요하나, 상부도어나 하부도어를 개별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절곡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장절곡부(12)가 있거나 없는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단순한 설계변경수준으로 인식하여야 하며,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기에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계량기함에 있어서, 상하부도어사이에 필수적으로 용접되어 있던 횡프레임을 설치하지 않고도 상하부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어서 계량기함의 경량화와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하나의 힌지장치로서 상하부도어를 연결설치할 수 있어 조립성이 증대되며, 이로 인한 품질향상과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도어를 열지 않고도 계량기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1)을 가진 상부도어(1)와, 누전차단기 또는 스위치 등을 내장한 부분을 커버하여 주는 하부도어(2), 그리고 상하부 도어사이에 설치되어 힌지로서 각각 상하부도어를 고정지지하고, 상하부도어의 경계를 형성하는 횡프레임으로 구성된 통상의 계량기 함에 있어서,
    상부도어(1)의 하단부에 하방향으로 하부도어(2)의 상단이 작용하는 연장절곡부(12)를 형성한 구성;과,
    상하부도어(1)(2)가 만나는 함체(10)의 측부에 상하부도어(1)(2)를 동시에 지지하는 힌지장치(3)를 설치구성하되,
    상기 힌지장치(3)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에 함체(10) 내벽에 밀착되는 단차부(31)와 C형링(32)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요홈(33)을 형성하고, 선단부에는 수평부(34)를 구성하여 상기 수평부(34) 상면에 상부도어의 일측하단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지지관체(35)를 형성하여서 된 지지부(3A);와,
    'ㄷ'자형의 지지체(36)와, 상측 소정위치에 스프링안착돌부(37)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체(35)에 상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부도어 지지봉(38), 그리고 지지체(36) 내에서 하부도어지지봉(38)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 하부도어 힌지부(3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 함의 구조.
KR1020030076037A 2003-10-29 2003-10-29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KR10056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037A KR100564280B1 (ko) 2003-10-29 2003-10-29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037A KR100564280B1 (ko) 2003-10-29 2003-10-29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016A KR20030088016A (ko) 2003-11-15
KR100564280B1 true KR100564280B1 (ko) 2006-03-29

Family

ID=3238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037A KR100564280B1 (ko) 2003-10-29 2003-10-29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68Y1 (ko) * 2013-06-10 2014-06-19 박세라 개폐형 커버를 갖는 수납박스
CN107565414A (zh) * 2017-10-24 2018-01-09 湖州电力设备成套有限公司 一种单表位计量箱
KR102402394B1 (ko) * 2022-02-11 2022-05-26 (주)신호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016A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591B1 (ko) 냉장고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JP2006507468A (ja) 冷蔵庫および冷凍庫のドアのための電気供給システム
BRPI0720166A2 (pt) Arranjo de armário de controle
KR100564280B1 (ko)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KR20050096342A (ko) 냉장고
CN210117581U (zh) 洗衣机门组件和设置有洗衣机门组件的滚筒洗衣机
US6286781B1 (en) Holder for a roll of paper
RU2011101934A (ru) Узел накладки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CN210463502U (zh) 空调器的壳体组件以及空调器
KR20070019424A (ko) 냉장고용 힌지어셈블리
KR0139679B1 (ko) 냉장고의 냉기 유출 방지장치
KR20120006723A (ko) 냉장고
CN102016465A (zh) 用于家用器具的门
CN202273520U (zh) 一种用于冰箱的上铰链装置及带有所述上铰链装置的冰箱
KR200441299Y1 (ko) 미닫이 장롱
US2654118A (en) Spring hinge
CN215534132U (zh) 一种清洗机
US1696123A (en) Hinge mounting for cabinet doors
CN219241633U (zh) 一种门体限位结构
CN217827777U (zh) 一种家用电器
CN103062983A (zh) 用于冰箱门体的下端盖组件
CN220769174U (zh) 一种中间铰链组件及具有其的蒸烤箱
CN211144134U (zh) 天地合页
CN219316728U (zh) 冷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