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123B1 -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123B1
KR100564123B1 KR20030057614A KR20030057614A KR100564123B1 KR 100564123 B1 KR100564123 B1 KR 100564123B1 KR 20030057614 A KR20030057614 A KR 20030057614A KR 20030057614 A KR20030057614 A KR 20030057614A KR 100564123 B1 KR100564123 B1 KR 10056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called terminal
information
fun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680A (ko
Inventor
안병익
김학준
박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3005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1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12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공중 교환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통하여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서비스 요구 신호는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함-, 착신 단말 식별자를 토대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에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가입자 DB로부터 기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기종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에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단말, 착신 단말, 기능, 정보, 교환기, 지능망 서비스

Description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 calling party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 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모듈 구성을 나타낸 모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정보 조회 코드를 포함한 전화번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의 가입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교환 시스템
101, 103, 153, 173 : 통신 단말
127, 129 :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133 :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50 : 서비스 제공 서버
160 : 데이터 핵심망(DCN: Data Core Network)
171 : 인터넷
180 : 무선 지능망(WIN: Wireless Intelligent Network)
181 : 서비스 교환시스템(SSP: Service Switching Point)
183 : 서비스 제어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
185 : 지능형 주변 장치(IP: Intelligent Peripheral)
본 발명은 발신 단말에 이동 통신망 내의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 서비스, 착신 단말 상태 정보 서비스, 착신 단말 가입자 정보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 서비스는 발신 단말 가입자가 착신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주로 이용한다. 착신 단말 상태 정보 서비스는 발신 단말 가입자에게 착신 단말의 상태 즉, 부재중, 전원 오프, 통화권 이탈 등의 상태를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또한, 착신 단말 가입자 정보 서비스는 착신 단말 가입자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발신 단말에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즉, 착신 단말 가입자 정보 서비스는 통상 발신 단말 가입자에 의해 발신 단말 또는 통신망 내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착신 단말 가입자가 가입한 통신망 사업자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본적인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로 착신 단말 가입자 정보를 알려주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보급에 힘입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신규 통화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신규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신규 기종의 이동 통신 단말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신규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기존 단말기 모델이 압도적으로 많다. 따라서 신규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신규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착신 단말의 기능을 알지 못하면 신규 단말기를 가진 가입자는 신규 서비스의 이용에 많은 애로점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신규 서비스 가입자에게 불편함을 주어 신규 서비스에 대한 이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통신망 내의 착신 단말의 기능을 알려주는 서비스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중 교환 전화망, 이동 통신망, 인터넷 등을 이용한 발신 단말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 통신망 내의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 단말 가입자의 호 접속 요구시 자동으로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반 공중 교환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는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 식별자를 토대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을 구비한 무선 지능망 내의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망 내에서 상기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로 전달되는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능망 서비스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측 교환기 또는 착신측 교환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에 의한 서비스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단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로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 설정 전에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이동 통신망 내에서 상기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 사이에 설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음성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성 송출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 자동 응답 서비스(ARS) 시스템 또는 지능형 주변 장치(IP)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음성 송출은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탑재된 음성 송출 기능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음성 통화로 설정 후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에 대해 상기 가입자 DB에 설정된 서비스 코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 접속을 요구하는 호 접속 요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기능 정보 조회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 정보 조회 코드는 확장 구분자 및 조회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비스 제공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단말은 인터넷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서비스 가입 요구 신호를 상기 가입자 DB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 공중 교환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에 결합되어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는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 식별자를 토대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하고,상기 가입자 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얻고, 상기 얻은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 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망은 본 발명의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 일예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은 진화하는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위한 망 구성은 이동 교환 시스템(100), 데이터 핵심망(DCN: Data Core Network; 160) 및 무선 지능망(WIN: Wireless Intelligent Network; 180)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교환 시스템(100)은 이동 통신 단말(101, 103)로 신호를 전송하고 그것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 105, 107, 109, 111, 113, 115), 기지국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117, 119, 121), 기지국 관리자(BSM: Base Station Manager; 123), 비동기 방식 라우터(ATM Router: Asynchronous Transfer Mode Router; 125),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127, 129), 제7호 공통선 신호 방식(CCS7; Common Channel Signaling No.7; 131)을 통해 교환기(127, 129)에 결합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33), 음성 우편 서비스(VMS: Voice Mail Service; 135) 및 팩스 우편 서비스(FMS: Facsimile Mail Service; 13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SM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37), 인증 센터(AuC: Authentication Center; 139), 장비 식별 등록기(EIR: Equipment Identity Register; 141) 및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50)를 포함한다. 이동 교환 시스템(100)은 고객 관리 시스템(CRM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143) 및 망 연동 장치(IWF: Inter Working Function; 145)를 통해 IP 네트워크(161)를 포함한 데이터 핵심망(160)에 결합된다.
이동 교환 시스템(100)은 2세대 망인 IS-95A, B망과 연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HLR(133)와 음성을 저정하는 VMS(135) 및 FAX 메일을 저장하는 FMS(135) 등은 2세대 망에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이동 교환 시스템(100)은 BTS(105 ~ 115)에서 고속 및 저속 데이터를 전용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BSC(117 ~ 121)에서 MSC(127, 129)를 통하지 않고 ATM 라우터(125)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163)를 거쳐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TM 라우터(125)는 BSC(117 ~ 121)의 데이터 전용 백본망(Back Bone Network)으로서 셀(Cell) 단위로 동작된다. 또한, 이동 교환 시스템(100)은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일반 공중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51)을 거쳐 유선 전화기(153) 등과 결합된다.
DCN(160)은 PDSN(163), IP 네트워크(161)를 통해 PDSN(163)에 결합되는 가동 및 유지 관리 서버(O&M: Operation & Management; 165), 인증/권한검증/과금 서버(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167) 및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 Packet Data Gateway Node; 169)를 포함한다. PDSN(163) 및 PDGN(169)은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IP Network; 161)를 통해 이동 교환 시스템(100)과 인터넷(171)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또, DCN(160)은 무선 인터넷 사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PDSN(163)과 PDGN(169) 간에 터널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DCN(160)은 인터넷 또는 패킷 공중 데이터 교환망(PSPDN: Packet Switching Public Data Network; 171)을 거쳐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173)에 결합된다.
PDGN(169)은 고정 IP 방식, 이동 IP 방식 등으로 인터넷 패킷 라우팅을 수행한다. 또한 PDGN(169)은 R-P를 통해 BSC(121) 등과 접속하고, 인터넷(171) 등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 단말(173)의 패킷 데이터를 수용하고 DCN으로 패킷 라우팅을 수행한다. 또한, PDGN(169)은 이동 통신 단말(101) 등에 COA(Care of Address)를 할당, 관리하고, 홈 에이전트(HA: Home Agent)로서 패킷을 이동 통신 단말로 중계한다. PDSN(163)은 DCN(160)과 인터넷(171), 이동 교환 시스템(100) 등의 외부 망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 통신 단말(101)로 향하는 패킷을 방문자 에이전트(FA: Foreign Agent)로서 라우팅, 터널링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데이터 관리한다. O&M(165)은 고정 IP 주소를 갖지 않은 IP 터미널에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는 DHCP 기능을 수행하고,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DNS 기능을 수행한다. AAA(167)는 이동 통신 단말 등에 대한 과금 수행, 인증/ 위임을 위한 보안 체계로서 PDSN(163)과 상호 연동한다.
WIN(180)은 서비스 교환시스템(SSP: Service Switching Point; 181), 서비스 제어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 지능형 주변 장치(IP: Intelligent Peripheral; 185),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 Service Management System; 187) 및 서비스 개발 도구(SCE: Service Creation Environment; 189)를 포함한다. SCP(183)는 지능망 서비스 수행을 위한 제어 로직을 말한다. 이를 위해 SCP(183)는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포함하며, SSP(181)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SSP(181)의 서비스 제어를 수행한다. SSP(181)는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고, 가입자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한 수집 정보를 SCP(181)에 제공한다. 그리고 SSP(183)는 SCP(183)의 통보에 따라 루팅(routing)을 수행한다. IP(185)는 지능망 서비스 가입자에게 음성/문자 이용 서비스 등의 부가적 서비스를 지원한다. 부가적 서비스는 주문화된 안내방송, 음성인식, 음성합성, 음성녹음, 프로토콜 변환, 디지트(digit) 수집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SMS(187)는 SCP(183)의 운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 전반에 관련된 O&M(Operation & Management)을 수행한다. SCE(189)는 지능망 서비스 개방을 위한 도구로서 개발자 및 운용자의 서비스 로직 구현을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ARS 시스템 등과의 유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송수신 처리 모듈(222)과, 착신 단말의 기종별 기능 정보를 처리하는 기종별 기능 정보 처리 모듈(224) 및 착신 단말의 기종에 상응하는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2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응용 모듈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다양한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200)에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API(200)로부터 제공되는 상위 레벨 명령어에 따라 각 응용 모듈을 식별하고, 상위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 응용 모듈로 제공하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202)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210)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202)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202)는 API(200)를 통하여 제공된 상위 레벨 명령어에 따라 해당 응용 모듈(22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해당 응용 모듈(22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응용 모듈(22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여기서, 응용 모듈(220)은 송수시 처리 모듈(222), 기종별 기능 정보 처리 모듈(224) 및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226)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210)는 각 응용 모듈에 대한 매핑부(212, 214, 216)와 인터페이스부(213, 215, 217)를 각각 포함한다.
송수신 처리 모듈 매핑부(212)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604)로부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송수신 처리 모듈(222)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송수신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213)를 통하여 송수신 처리 모듈(222)로 제공한다. 또한 송수신 처리 모듈(222)은 가입자 DB 및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는 SS7 음성망 연동 인터페이스나 TCP/IP 망 연동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종별 기능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214)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각 기종별 기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기종의 기능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기종별 기능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214)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202)로부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기능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이를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기종별 기능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215)를 통하여 기종별 기능 정보 처리 모듈(224)로 제공한다.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 매핑부(216)는 추출된 착신 단말 기능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나 지능형 주변 장치 등을 통해 해당 발신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 매핑부(216)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202)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 기능 정보를 해당 발신 단말에 통보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217)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217)를 통하여 기능 정보 통보 처리 모듈(226)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일반 공중 교환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 설치되어 발신 단말에 이동 통신망 내의 착신 단말에 대한 기능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무선 지능망 내의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는 SCP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시 SCP가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얻어 가입자에게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SSP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이동 통신망 내에서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로 전달되는 서비스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능망 서비스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측 교환기 또는 착신측 교환기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신 단말에 의한 서비스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탑재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교환기에 탑재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교환기가 착신 위치 정보 요구와 함께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로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요구하고,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 단말이 발신 단말로 기능하는 경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과의 VoIP 방식 등에 의한 호 접속과는 별도로 발신 단말에 이동 통신망 내의 착신 단말에 대한 기능 정보를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정보 조회를 요청(단계 301)하면,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입자 DB에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305). 이때, 발신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적어도 착신 단말 전화번호, 착신 단말 IP 주소, 착신 단말 고유 기기번호, 기타 착신 단말 식별자 등과 같이 착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필요에 따라 발신 단말로 서비스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303).
만일 위의 단계 301에서, 발신 단말이 휴대폰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교환기를 통해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능망 내의 서비스 교환시스템 및 서비스 제어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이 사용자 컴퓨터 단말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서버를 포함하고,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통화로 설정과는 별도로 소정의 웹 페이지를 통해 착신 단말에 대한 기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 제공을 요구받은 가입자 DB는 착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기저장된 가입자 정보로부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307). 그리고 가입자 DB는 독출한 기종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309).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입자 DB로부터 수신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311). 이때,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DB 장치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을 요구받은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기저장된 기종별 기능 정보에서 해당 기능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313). 그리고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독출한 기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한다(단계 315). 그 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한다(317).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문 메시지 센터(SMC)나 ARS 시스템, 지능형 주변 장치(IP) 또는 웹 서버를 통해 해당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음성으로 송출하거나 문자 메시지로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컴퓨터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한다(단계 319).
위에서 언급한 가입자 DB는 제7호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교환기(MSC)에 탑재 되거나 무선 지능망(WIN)의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에 결합된 홈 위치 등록기(HLR)에 탑재되거나 또는 이동 교환 시스템 내의 고객 관리 시스템(CRMS) 내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제7호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교환기(MSC)에 탑재되거나 무선 지능망(WIN)의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에 결합된 독립된 IP 장치 내에 탑재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의 수행 결과, 서비스 가입자는 이동 통신망 내의 착신 단말의 기능을 파악한 후 원하는 신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가입자의 시간 및 노력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발신 단말은 유선 전화기, 휴대폰, PDA, 노트북, PC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 컴퓨터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착신 단말은 휴대폰,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종별 기능 정보 DB에 저장되는 정보에 대한 일예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사 기종 기능
A B C D
AA A-123 탑재됨 탑재되지 않음 탑재되지 않음 탑재되지 않음
BB B-124 탑재됨 탑재됨 탑재됨 탑재되지 않음
CC C-125f 탑재됨 탑재됨 탑재됨 탑재됨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 1에서, 기능 A, B, C, D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통화 모드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인터넷 채팅 기능, 공중파 수신 기능, 바코드 수신/읽기 기능, 카메라 장착 여부, 동영상 수신/플레이 기능 중 어느 하나를 각각 가리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를 구비한 이동 통신망 및 서비스 교환시스템(SSP)과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을 구비한 지능망(IN)을 통해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이 발신측 교환기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401). 여기서, 호 접속 요구 신호는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및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발신측 교환기에 결합된 무선 지능망(WIN) 내의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은 발신측 교환기에 수신된 호 접속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한다(단계 403). 여기서, 지능망 서비스 호에 대한 인식은 발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여 설정된 "착신 단말에 대한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SSP는 앞서 인식한 지능망 서비스 호에 대한 정보를 SCP에 전달한다(단계 405). SCP는 지능망 서비스 호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서비스 정보를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한다(단계 407).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SCP 에 결합된 별도의 장치이거나 SCP 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적인 시스템을 포함한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SCP로부터 얻은 착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가입자 DB에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409). 가입자 DB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요청에 따라 해당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다(단계 411). 그리고 가입자 DB는 독출한 기종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413).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입자 DB로부터 얻은 착신 단말에 대한 기종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에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415). 이때,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서비스 제공 서버 내에 탑재되거나 별도의 장치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다.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417). 그리고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독출한 기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한다(단계 419). 착신 단말에 대한 기능 정보를 얻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그것을 발신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421).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문 메시지 센터(SMC)나 ARS 시스템 또는 지능형 주변 장치(IP)를 통해 해당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음성으로 송출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로 표시한다(단계 423). 이러한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 설정 전에 음성 송출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 설정 후에 문자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를 구비한 이동 통신망 내에서 발신측 교환기에 결합/탑재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때 교환기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능망 서비스 호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이 발신측 교환기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501). 여기서, 호 접속 요구 신호는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및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는 지능망 서비스 호 인식 기능을 통해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한다(단계 503).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는 지능망 서비스 호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한다(단계 505).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가입자 DB에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507). 가입자 DB는 기저장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509). 그리고 가입자 DB는 독출한 기종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한다(단계 511).
가입자 DB로부터 기종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에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기능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513).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기 저장된 기종별 기능 정보에서 해당 기능 정보를 독출한 후, 그것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한다(단계 515, 단계 517).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519).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문 메시지 센터(SMC)나 ARS 시스템 또는 지능형 주변 장치(IP)를 통해 해당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음성으로 송출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로 표시한다(단계 521).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예와 유사하게 기능 정보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 설정 전에 발신 단말에 음성 송출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 설정 후에 발신 단말에 문자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전달된다.
상기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가입자 DB 및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신측 교환기가 결합된 별도의 홈 교환기나 착신측 교환기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을 통해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발신측 교환기는 가입자 DB가 탑재된 홈 위치 등록기(HLR) 등의 별도의 장치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신측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HLR)에 착신측 교환기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전송하면서 동시에 서비스 설정 정보를 요구하고, HLR로부터 착신 위치 정보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이 발신측 교환기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601). 이때, 호 접속 요구 신호는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와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한다. 발신측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603).
HLR은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착신 위치 정보 요구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착신측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605). 그리고 HLR은 특정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라우팅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607). 이와는 별도의 절차로서 HLR은 발신 단말 식별자를 토대로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9). 판단 결과, 발신 단말이 서비스 등록된 단말이면, HLR은 착신측 교환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한다(단계 613). 또한 필요에 따라 HLR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발신 단말이 서비스 등록된 단말이 아니면, HLR은 착신측 교환기의 위치 정보만을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한다(단계 611).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정보 조회 코드를 포함한 전 화번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는 발신 단말의 발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의 가입자 번호와 확장 구분자 및 조회 번호로 이루어진 기능 정보 조회 전화번호를 발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구분자는 별표(*) 및 우물정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조회 번호는 1 내지 9의 다이얼 번호 키를 4자리 이하에서 조합한 번호가 된다. 한편, 확장 구분자를 1자리 또는 2자리로 언급한 것과, 조회 번호를 4자리 이하로 언급한 것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확장 구분자는 3자리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조회 번호는 5자리 이상의 임의의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 정보 조회 전화번호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확장 구분자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조회 번호는 생략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호 접속 요구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 식별자 및 확장 구분자로 "착신 단말에 대한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의 가입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객이 ARS, 인터넷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가입을 요구(단계 801)하면, 고객의 서비스 가입 여부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다. 그 후, 가입자 DB는 고객이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할 때 제공한 서비스 가입 정보를 HLR로 전송한다(단계 803). 여기서, 서비스 가입 정보는 적어도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입자 DB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 HLR은 서비스 가입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프로파일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를 설정한다(단계 805). 또한, 가입자 DB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의 가입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807). 가입자 DB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코드를 설정한다(단계 809). 서비스 코드는 고객이 가입 설정한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서비스에 상응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신규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가입자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가입자는 신규 통신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애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는 신규 부가 서비스의 이용 확산과 아울러 신규 서비스 지원 단말기의 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 단말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 단말의 호 접속 요구시 자동으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일반 공중 교환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는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 식별자를 토대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을 구비한 무선 지능망 내 의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교환시스템(SSP)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망 내에서 상기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로 전달되는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능망 서비스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측 교환기 또는 착신측 교환기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에 의한 서비스 요구 신호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는 단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로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서 비스 설정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 설정 전에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이동 통신망 내에서 상기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 사이에 설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음성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송출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 자동 응답 서비스(ARS) 시스템 또는 지능형 주변 장치(IP)를 통해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송출은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탑재된 음성 송출 기능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음성 통화로 설정 후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에 대해 상기 가입자 DB에 설정된 서비스 코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DB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 접속을 요구하는 호 접속 요구 신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기능 정보 조회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 조회 코드는 확장 구분자 및 조회 번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비스 제공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단말은 인터넷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서비스 가입 요구 신호를 상기 가입자 DB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18. 일반 공중 교환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에 결합되어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는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 식별자를 토대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요구하고,상기 가입자 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기종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단말기 기종별 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얻고, 상기 얻은 상기 착신 단말의 기종에 따른 기능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30057614A 2003-08-20 2003-08-20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6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7614A KR100564123B1 (ko) 2003-08-20 2003-08-20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7614A KR100564123B1 (ko) 2003-08-20 2003-08-20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680A KR20050019680A (ko) 2005-03-03
KR100564123B1 true KR100564123B1 (ko) 2006-03-24

Family

ID=3722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7614A KR100564123B1 (ko) 2003-08-20 2003-08-20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91B1 (ko) * 2005-09-30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KR100879860B1 (ko) * 2007-04-05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임시번호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0813239B1 (ko) * 2007-04-25 2008-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97049B1 (ko) * 2007-06-20 2009-05-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 통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680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2335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patibility betwe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ignaling systems
US734969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a non-local calling subscriber and a local called subscriber who is an intelligent network subscriber
JP2002514853A (ja) 有線/無線電話通信システムを統合する単一番号の通信システムとサービス
HU223922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intelligens hálózati támogatás biztosítására
KR100706486B1 (ko) 지능망을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83377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망 사이의 번호이동성 서비스에따른 음성 착신호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0564123B1 (ko) 착신 단말의 기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0569012C (zh) 一种实现短消息个性化签名的方法
RU233586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тоимост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WO1995014360A1 (en) A method for subscriber identification in a fixed network
KR100646377B1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0312416B1 (ko) 무선통신망에서단문서비스를이용한사용자관련정보전송방법
CN1985530B (zh) Wlan上建立多媒体信息服务的无线通信方法及系统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841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중계를 이용하여 써킷 데이터호를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96198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착신자측 단말기에 발신자 지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6247B1 (ko)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1063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전송서버를 이용한 불완료호정보의 수집과 선택적 통지 방식 변경에 대한 방법 및시스템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60148B1 (ko) 무선 핸드셋간의 메신저 서비스 중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02754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KR100486059B1 (ko) 이종 이동통신망간 로밍시 이동국 위치등록 방법
JP3028952B1 (ja) 簡易型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簡易型位置情報文字メールサービス方法
KR100537694B1 (ko)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