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247B1 -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247B1
KR100566247B1 KR1020040043336A KR20040043336A KR100566247B1 KR 100566247 B1 KR100566247 B1 KR 100566247B1 KR 1020040043336 A KR1020040043336 A KR 1020040043336A KR 20040043336 A KR20040043336 A KR 20040043336A KR 100566247 B1 KR100566247 B1 KR 10056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vate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025A (ko
Inventor
남현호
이동열
양두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47B1/ko
Priority to US11/108,721 priority patent/US7313396B2/en
Publication of KR2005011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05PBS [Private Base St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사설 이동통신망에 단말 등록 시, pBSC(240) 내에 단말등록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필요한 단말장치정보(IMSI/MIN, ESN)를 복잡한 절차 없이 단말의 발신에 의해 한번에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의 단말 등록 방법으로써, 사설 이동통신망에 속한 단말로부터 ORM(Origination Message)을 수신하는 제 1단계, 상기 수신된 ORM으로부터 기능코드, MDN(Mobile Directory Number) 및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기능코드가 등록기능코드일 경우, 상기 추출된 MDN을 이용하여 pHLR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는 제 3단계, 상기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일 경우 상기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등록정보를 갱신 등록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함.
INFOMOBILE, 사설 공중망, 단말 등록

Description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gistering a mobile station to private wireless network coupled with public wireless network}
도 1은 종래의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일반적인 사설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 관한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장치(30)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의 단말 등록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을 위한 pHLR(250)의 초기 단말등록정보에 대한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방법 수행 후 pHLR(250)의 단말등록정보에 대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
8-k : pBTS 31 : 데이터 추출부
32 : 기능코드 확인부 33 : 제어부
230 : PBX 240 : pBSC
241 : pBTMR 250 : pHLR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중 이동통신망(PLMN : Pubic Land Mobile Network, 이하 PLMN이라 한다.)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별도의 절차 없이 단말로 부터 수신한 ORM(Origination Message) 을 이용하여 발신가입자 등록을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사설 이동통신망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2000년 이전 국내에서는 공중 이동통신망과 사설 이동통신망의 상호 연동이 불가능하여 각각의 망 가입자가 자신이 등록된 망에서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 공중 이동통신망과 사설 이동통신망을 통합한 시스템의 개발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상용화에 이르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일반적인 사설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설 통신망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됨과 아울러 공중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과 종합정보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16) 및 IP(Internet Protocol) 망(18)에 연동되어 있다. 공중 이동통신망은 다수의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한다.)(2-1,...2-n), MSC(2-1)에 연결되는 다수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 한다.)(4-1,...,4-m), 그리고 BSC(4-1)에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이하 BTS라 한다.)(6-1,...,6-k,8-1) 들로 구성되며, 유선의 마지막 단인 기지국부터는 무선으로 단말기(Mobile Station, 이하 MS라 한다.)(20,22,24)와 통신한다. 각각의 MSC(2-1,...,2-n)들은 방문자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sister)와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sister)(10)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공중 이동통신망에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와 연동된 다수의 pBTS(private BTS)(8-k) 등으로 구성되어 사설 이동통신망과 공중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MS(24)에게 공중 이동통신망과 사설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설 이동통신망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를 통해 PSTN(Public Switched Telphone Network)/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16) 및 IP망(18)에 연결된다.
또한 도 1에서는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BTS(8-1)의 통신 서비스 영역을 공중전용 셀 영역(15)으로 표기하여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의 통신 서비스 영 역과 구분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는 사설교환기(PBX : Private Branched eXchange, 이하 PBX라 한다.)(230), pBSC(private BSC)(240), pHLR(private HLR)(250)로 구성된다. 상기 PBX(230)는 스위치(244) 와 E1인터페이스(24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pBSC(240)는 pBTMR(pBTS Message Router, 이하 pBTMR이라 한다.)(241)와 TSB(Transcoder & Selector Bank)(2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pBTMR(241)은 pBTS(8-k)에서 처리해야 하는 모든 메시지에 대한 라우팅(Routing)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BTMR(241)은 내부의 라우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MS(24)의 공중/사설용 착,발호 서비스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또한 pBTMR(241)은 BSC(4-m), MSC(2-1), BTS(8-1)를 포함하는 PLMN(1)이 공중전용 셀 영역의 MS(22) 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의 MS(24) 의 착,발호 서비스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라우팅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MSC(2-1)와 BSC(4-1,...,4-m) 간에는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BSC(4-1,...,4-m)와 pBSC(240) 사이 및 BSC(4-1,...,4-m)와 BTS(6-1,...,6-k,8-1,..) 사이는 모두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로 연결된다. pBSC(240)와 PSTN/ISDN(16)은 T1, E1, PRI(Primary Rate Interface), SS7 등으로, pBSC(240)와 IP망(18)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으로 상호 통신한다.
상술한 형태로 연동되어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가 공중 이동통신망과 사설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모두 받기 위해서는 양쪽 모두에 가입자의 단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단말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이하 MDN이라 한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이하 IMSI라 한다.),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이라 한다.),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이하 ESN이라 한다.)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MDN은 단말 사용자들이 착/발신 시 사용하게 되는 번호이고, IMSI(또는 MIN) 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번호이며, ESN은 단말을 구분하는 고유의 일련 번호이다. 상기 IMSI 에는 MIN 이 포함되어 있으며, 공중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의 요구에 따라 IMSI 또는 MIN 이 사용될 수 있다.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 정보를 등록할 시, 사용자가 알고 있는 MDN 과 사설망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사설 이동통신망 번호는 바로 등록할 수 있었으나, IMSI(또는 MIN)와 ESN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알지 못하므로 공중 이동통신망 사업자에게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문의하거나, 단말의 디버그를 통해 알아내어 등록하여야 했다.
이때, 단말기 디버그의 경우 단말기 제조사 별로 사용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단말의 등록을 담당하는 인력이 모든 제조사의 디버그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공중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문의하는 경우에는 각 사이트 별로 가입자의 IMSI(또는 MIN) 문의가 빈번히 발생하여 업무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사설 이동통신망에 단말 등록 시, 필요한 단말장치정보(IMSI/MIN, ESN)를 복잡한 절차 없이 단말의 발신에 의해 한번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등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이동통신망에 속한 단말로부터 발신되어 pBTS(8-k)를 통해 수신된 ORM(Origination Message)으로부터 기능코드, MDN 및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31), 상기 데이터 추출부(31)에서 추출된 기능코드가 등록기능코드인지 확인하는 기능코드 확인부(32), 상기 데이터 추출부(31)에서 추출된 MDN을 이용하여 pHLR(250)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해 단말등록정보를 갱신하여 등록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의 단말 등록 방법은, 상기 사설 이동통신망에 속한 pBTS(8-k)로부터 단말에서 발신된 ORM을 수신하는 제 1단계, 수신된 ORM으로부터 기능코드, MDN 및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기능코드가 등록기능코드일 경우 상기 추출된 MDN 을 이용하여 pHLR(250)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는 제 3단계, 상기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일 경우 상기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등록정보를 갱신하여 등록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장치(30)의 블록 구성도이다.
pBTS(8-k)는 사설 이동통신망 내부에서 단말(24)이 발신한 메시지를 pBSC(24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전송된 모든 메시지는 pBSC(240) 내부에서 공중망호와 사설망호를 구분하는 pBTMR(241)에 의해 라우팅 되는데, ORM 또한 pBTMR(241)로 전송된다.
상기 ORM은 단말이 처음 호를 시도할 경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중 하나로, 표준 Spec. 3GPP2. TSG-C C.S0005에 정의되어 있고, 기능코드와 MDN, IMSI(또는 MIN) 및 ESN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기능코드와 MDN은 사용자가 단말로 다이얼링한 것으로서, 예컨데 '###0103003000' 라고 다이얼링을 했을 경우 '###' 은 기능코드, '0103003000' 은 MDN 이 된다.
그리고, 데이타 추출부(31)는 등록하고자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ORM 메시지에서 해당 단말 의 사설 이동통신망 등록에 필요한 기능코드와 MDN 및 단말장치 정보를 추출하여 기능코드 확인부(32)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 정보는 IMSI(또는 MSI) 와 ESN을 포함한다.
기능코드 확인부(32)는 데이터 추출부(31)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타 중 기능코드가 등록기능코드의 형식인지 확인하고, 등록기능코드의 형식과 일치할 경우 데이터 추출부(3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3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3)는 기능코드 확인부(3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MDN을 이용하여 pHLR(25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으로 저장되어 있을 경우 수신된 데이터 중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해 상기 검색된 단말등록정보를 pHLR(250)에 갱신하여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든 단말등록정보에는, 적어도 사설망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MDN과 구내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알고 있는 것이다.
상기 등록 초기화 패턴으로 저장된 상태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MDN과 구내번호 외 IMSI(또는 MIN) 및 ESN의 값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실제 단말등록정보에 저장되는 데이타 필드에는 정해진 패턴, 예컨데 'FFFFF' 와 같은 특정 패턴으로 저장된 것을 뜻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상에는 IMSI(또는 MIN) 및 ESN이 공란인 것으로 표시된다.
pHLR(250)은 사설 이동통신망 가입자의 단말등록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 등록 서비스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등록장치는 통상 pBSC(240) 내의 pBTMR(24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사설망 관리자에 의해 등록을 원하는 가입자 단말의 MDN과 구내번호를 pHLR(250)의 단말등록정보에 저장한다. 상기 등록을 원하는 가입자 단말이 기능코드와 MDN을 포함하는 호를 발신하면, pBTS(8-k)에서 상기 호를 수신하고 pBSC(240)로 전송한다. 상기 pBSC(240)는 상기 호에 포함되어 있는 ORM을 수신하고(400), 상기 ORM에서 기능코드, MDN, 등록장치정보를 추출한다.(402) 상기 등록장치정보에는 IMSI(또는 MIN) 및 ESN이 포함되어 있다. 제 404 단계에 따라 pBSC(240)는 추출되어진 데이터 중 기능코드가 단말등록 기능코드인지 판단하여, 단말 등록 기능코드이면, 추출된 데이터 중 MDN을 이용하여 pHLR(250)에 미리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한다.(406) 반면 기능코드가 단말등록 기능코드가 아닌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을 종료한다. 이후 제 408 단계에 따라, 검색되는 단말등록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단말등록정보가 존재하면,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인지 판단한다.(410) 만약 단말등록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을 종료한다. 제 410단계에 따라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이라 판단되면, 단말등록정보에 특정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등록장치정보를 추출된 데이터 값으로 갱신한 후 등록을 완료 한다.(412) 만약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을 종료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방법을 상세히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중망에서 '0163003000' 이라는 번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설망 관리자는 상기 단말을 등록하기 위해 pHLR(250)의 단말등록정보에 공중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한 '0163003000' 과 사설망 번호인 '2580'을 입력한다. 여기서 '0163003000'은 MDN이다.
단말의 등록을 위해 가입자는 등록기능코드인 '###'과 MDN 번호인 '0163003000'을 조합하여 '###0163003000' 으로 발신하면, pBTS(8-k)는 상기 호를 수신하여 pBSC(240)로 전송하고, pBSC(240) 내부의 pBTMR(241)에서 상기 호에 포함된 ORM을 수신한다. 상기 ORM에는 기능코드와 MDN, IMSI(또는 MIN), ESN이 포함되어 있다.
필드 필드값
기능코드 ###
MDN 0163003000
IMSI(MIN) 450000114004000(0114004000)
ESN B0 15 75 FC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 1>은 일례를 들기 위해 ORM의 포맷을 간략히 도표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0163003000'을 사용하던 가입자가 번호 이동을 하여 공중망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를 바꾼 경우이며, 그로 인해 MIN 필드 값은 '0114004000' 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표 1>과 같은 포맷의 ORM을 수신한 pBTMR(241)은 필요한 데이터 필드인 기능코드, MDN, IMSI(또는 MIN), ESN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먼저 기능코드 필드 값이 등록 기능코드 '###'(이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인지 확인한 후 일치하면, MDN 값인 '0163003000'을 이용하여 pHLR(250)에 미리 저장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한다. 일치하는 단말등록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 즉, IMSI(또는 MIN) 과 ESN의 값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 추출된 IMSI(또는 MIN), ESN을 이용하여 단말등록정보를 갱신한 후 등록을 완료한다. 이때 사설망 관리자가 설정한, 등록 완료음을 송출하여 등록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면 5(a) 와 5(b)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pHLR(250)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 인터페이스이다.
도 5(a)는 단말을 등록하기 전 단말등록정보가 사설망 번호(MS TEL)(51) 와 MDN(52)이 저장되어 있고, ESN(53)과 IMSI(54) 값이 정해지지 않은 등록 초기화 패턴으로 저장된 상태이며, 사업자가 MIN이 아닌 IMSI를 단말장치정보로 활용하는 경우를 보여준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pHLR(250)의 단말등록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50)이 있고, 그 내부 항목에 MDN(52)이 '0169707701' 인 단말이 사설망 번호(MS TEL)(51)를 '7022' 로 배정받아 사설망 관리자에 의해 저장되어 있다. ESN(53)과 IMSI(54) 는 특정되어지지 않은 패턴으로 남겨져 있으며, 이는 인터페이스 상으로 공란인 상태이다. 이 때, 사업자에 따라 IMSI 대신 MIN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b)는 5(a)의 상태에 있던 단말등록정보를 본 발명에 의한 단말 등록 방법에 의해 등록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IMSI 와 ESN 값을 갱신하여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도 상기 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ORM에 포함되어 있던 ESN 값 'B0 15 75 FC'(55) 와 IMSI 값 '450000169707701'(56) 가 특정되어지지 않은 패턴에서 일정한 값으로 갱신되어 있는 상태로, 단말이 등록 완료되어 사설 이동통신망에서도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에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 대한 단말의 등록을 위한 것이지만, BTS, HLR, BSC 가 구비된 공중 이동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을 수행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 등록할 때 필수 정보인 IMSI(또는 MIN) 및 ESN을 단말기 디버그나 공중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문의하지 않고 단말의 발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알아내어 등록할 수 있어, 사설망 관리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고 운영 오류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 있고, 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단말기의 단말등록정보를 저장하는 pHLR(private Home Location Register)과 상기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공중 이동통신망을 연동하는 pBSC(private Base Station Controller)를 구비한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pBSC에 의한 상기 사설 이동 통신망에 대한 단말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 이동통신망에 속한 pBTS(Base Transceiver Station)로부터 단말에서 발신된 ORM(Origination Message)을 수신하는 제 1단계;
    상기 수신된 ORM으로부터 기능코드, MDN(Mobile Directory Number) 및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기능코드가 등록기능코드일 경우 상기 추출된 MDN을 이용하여 pHLR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일 경우 상기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등록정보를 갱신 등록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와 ESN(Electronics Serial Numb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등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정보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과 ES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등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단말 등록이 완료되면 일정한 송출음을 단말로 발송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등록 방법.
  5.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 있고, 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단말기의 단말등록정보를 저장하는 pHLR(private Home Location Register)과 상기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공중 이동통신망을 연동하는 pBSC(private Base Station Controller)를 구비한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pBSC에 의한 상기 사설 이동 통신망에 대한 단말 등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설 이동통신망에 속한 단말로부터 발신되어 pBTS를 통해 수신된 ORM 으로부터 기능코드, MDN 및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기능코드가 등록기능코드인지 확인하는 기능코드 확인부; 및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MDN을 이용하여 pHLR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해 단말등록정보를 갱신하여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정보는 IMSI, ES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등록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정보는 MIN, ES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등록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단말 등록이 완료되면, 단말로 일정한 확인음을 송출하는 확인음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등록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MDN을 이용하여 pHLR에 저장된 단말등록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검색된 단말등록정보가 등록 초기화 패턴인지 판단하는 패턴 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정보를 이용해 단말등록정보를 갱신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등록 장치.
KR1020040043336A 2004-06-12 2004-06-12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6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336A KR100566247B1 (ko) 2004-06-12 2004-06-12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11/108,721 US7313396B2 (en) 2004-06-12 2005-04-19 Registering mobile station in private mobile network cooperating with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336A KR100566247B1 (ko) 2004-06-12 2004-06-12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025A KR20050118025A (ko) 2005-12-15
KR100566247B1 true KR100566247B1 (ko) 2006-03-29

Family

ID=3546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336A KR100566247B1 (ko) 2004-06-12 2004-06-12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13396B2 (ko)
KR (1) KR100566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73B1 (ko) * 2006-10-13 2008-01-0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사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EP2640157A1 (en) * 2012-03-16 2013-09-18 Alcatel Lucent A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registering a user terminal at a femtocell base station
CN110309979A (zh) * 2019-07-09 2019-10-08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基于回声状态网络的电力负荷预测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2613A1 (en) * 1999-05-25 2000-11-30 Ericsson, Inc. Acquisition of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of a mobile station
KR20020080613A (ko) * 2001-04-16 2002-10-26 (주) 콘텔라 사설 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과호처리 방법
KR20030021622A (ko) * 2001-09-07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시스템의 공중망 위치등록 장치 및 방법
KR20030025022A (ko) * 2001-09-19 200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신 메시지를 이용한 가입자등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9566B2 (en) * 2002-09-10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form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ntrance into specific servic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ncoming call indication mode to vibration or silent mo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2613A1 (en) * 1999-05-25 2000-11-30 Ericsson, Inc. Acquisition of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of a mobile station
KR20020080613A (ko) * 2001-04-16 2002-10-26 (주) 콘텔라 사설 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과호처리 방법
KR20030021622A (ko) * 2001-09-07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시스템의 공중망 위치등록 장치 및 방법
KR20030025022A (ko) * 2001-09-19 200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신 메시지를 이용한 가입자등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13396B2 (en) 2007-12-25
KR20050118025A (ko) 2005-12-15
US20050277414A1 (en)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782B1 (en) One-number communications system and service integrating wireline/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s
JP4790690B2 (ja) 通信不能な移動電話機に向けられた電話呼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324396B1 (en) Calling party number provisioning
KR10077084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JP4080471B2 (ja) ヘテロジーニアス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データプッシ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5772955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基地局装置制御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制御方法
JP4133258B2 (ja) 公衆無線通信網及び私設有無線通信網サービス装置とその方法
US20040137923A1 (en) Short text messaging-based incoming call termination control
KR100683377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망 사이의 번호이동성 서비스에따른 음성 착신호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566247B1 (ko)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을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6185425B1 (en) Call routing using direct in-dialing numbers in place of temporary routing numbers
WO2008071553A1 (en) Providing telephony services for a sip-client via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re (msc) of a circuit-switched network
KR20020069975A (ko) 상이한 시스템이 혼합된 이동통신망에서의 번호 이동성제공장치 및 방법
KR101055035B1 (ko)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번호이동성 장치 및 방법
US20140220986A1 (en) Method for Routing Telecommunication Connections to a Mobile Radio Terminal, and Mobile Radio Gateway and Mobile Radio Terminal
EP1973353A1 (en) Providing telephony services for a SIP-client via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re (MSC) of a circuit-switched network
KR100800083B1 (ko) W―cdma 망의 가상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16297B1 (ko) 이기종망간의 번호 이동성 서비스 방법
KR200900127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0148B1 (ko) 무선 핸드셋간의 메신저 서비스 중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06780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표시 및 발신 방법
KR100957640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통신망 사이의 호연결 처리 방법
JP5576661B2 (ja) 通信網、通信網に使用する移動端末機、通信網に使用するサービス制御ポイント、通信網に使用する基地局
KR20030008736A (ko) 음성을 이용한 착신 가입자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