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901B1 -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901B1
KR100563901B1 KR1020040077491A KR20040077491A KR100563901B1 KR 100563901 B1 KR100563901 B1 KR 100563901B1 KR 1020040077491 A KR1020040077491 A KR 1020040077491A KR 20040077491 A KR20040077491 A KR 20040077491A KR 100563901 B1 KR100563901 B1 KR 10056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okbinding
motor
printed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식
Original Assignee
문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식 filed Critical 문영식
Priority to KR102004007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0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interpos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제본물의 절첩부에 절곡선을 형성하여 쉽게 접히도록 하고, 접힘된 인쇄 제본물의 제본부 부피가 감소하도록 압착하는 공정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물에 절곡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와, 절곡된 인쇄물의 제본부를 압착하는 장치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각의 장치를 소형화하여 인쇄물의 제본 작업이 용이해지고, 연관된 작업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속도가 증가되고, 장치의 설치면적이 저감되어 공간활용에도 일조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운동변환부와, 상기 제1운동변환부에 설치되어 인쇄물에 절곡선을 형성하는 절곡날이 마련된 절곡선 형성부와,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운동변환부와, 상기 제2운동변환부에 설치되어 절곡된 인쇄물과 간지가 교번적으로 적층된 제본 대상물을 가압하는 프레스판이 구비된 압착부를 포함한다.
인쇄, 제본, 간지, 사진, 모터, 절곡, 프레스

Description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APPARATUS FOR MAKING BOOK WITH PRINTED MATTERS BIND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 제본물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 제본물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본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본물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의 절곡선 형성부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선 형성부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선 형성부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의 압착부의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부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52 : 베이스 플레이트
54 : 가이드패널 60 : 절곡선 형성부
62 : 제1작업판 63 : 고무판
64 : 제1안내판 65 : 안내가이드
66 : 누름판 67 : 안내블록
70 : 절곡날 71 : 제1센서
72 : 제1모터 73 : 제1제어부
75 : 기어체 76 : 회전판
77 : 돌부 78 : 결합블록
78a, 78b : 상, 하부 걸림턱 79 : 베어링
90 : 압착부 92 : 제2작업판
94 : 제2안내판 95 : 가이드 레일
98 : 프레스판 99 : 가이드 블록
102 : 제2모터 104 : 연결부재
105 : 아이들 기어 106 : 배력부재
108 : 제2센서 109 : 제2제어부
110 : 정렬부 112 : 가이드 홈부
114 : 정렬편 116 : 체결부재
본 발명은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제본물의 절첩부에 절곡선을 형성하여 쉽게 접히도록 하고, 접힘된 인쇄 제본물의 제 본부 부피가 감소하도록 압착하는 공정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물은 인쇄용지에 정보를 인쇄시킨 것으로서, 인쇄용지 또는 인쇄될 정보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전술된 인쇄물은 낱장으로 배포되거나, 책자와 같은 형태로 제본된다. 한편, 전술된 인쇄물의 일예로 사진과 같은 인쇄물은 책자형태로 제본된 사진첩에 고정, 보관된다.
이러한, 사진첩은 투명한 비닐필름 포켓을 속지의 전후에 형성시키고 그 비닐포켓 내부에 사진을 삽입하여 보관하는 포켓식과, 속지의 전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사진을 고정시키고 속지의 여백에 투명필름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접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포켓식 및 접착식 사진앨범은 인쇄물들을 획일적으로 제작된 책 형태에 단숙 보관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현상되거나 인쇄된 인쇄물을 제본형태로 간직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단순 보관용 사진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과 같은 인쇄물(12)이 책 형태로 제조된 사진첩과 같은 인쇄 제본물(10)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쇄 제본물(10)은 책자 형태로 제작된 반 완제품의 제본물의 내부를 구성하는 속지(14)의 일면마다 각각 낱장 형태로 인쇄물(12)을 부착 고정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물(12)이 최종적으로 부착되어 압축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14)가 다소 두껍기 때문에 완전히 절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속지(14)가 제본부(16)로부터 분리되거나, 벌어지게 되어 인쇄 제본물(10)의 미관이 떨어지고, 보관성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인쇄 제본물(10)은 두꺼운 속지(14)를 절곡하고, 이를 원하는 두께로 감소시키기 위해 장시간의 압축시간이 요구되는 공정상의 문제가 있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번 18은 상기 인쇄 제본물(10)의 표지부인 커버(18)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쇄 제본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제2003년 특허출원 제83079호로 제안되었다. 전술된 인쇄 제본물 및 그 제조방법은 속지(14)를 절곡하여 제본하는 종래방식을 탈피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물(22)을 절곡하여 제본함으로써 인쇄물(22)의 제본부(26)가 절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제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두꺼운 속지(24)를 절곡하지 않게 되어 인쇄 제본물(2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전술된 인쇄 제본물 및 그 제조방법은 통상의 절곡기에 인쇄물(22)을 삽입하고, 인쇄물(22)의 편집방향에 맞추어 적절한 부위를 절곡한다. 다음으로 편집순서를 고려하여 인쇄물(22)과 소정 크기의 속지(24)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면서 인쇄물(22)과 속지(22)를 접착시킨다. 다음으로 완성된 제본물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통상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소정시간 압착한다. 이와 같이 압착공정이 마무리되면 통상의 재단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재단한 후, 절곡부에 보강테이프(26a)를 붙여 제본부(26)를 본딩한다. 전술된 인쇄 제본물(20)은 커버(28)를 양외측에 부착시켜 책자 형태로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인쇄 제본물을 제작하는 과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를 살펴보았으나, 종래의 인쇄 제본물(20)은 각각의 공정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간의 이동시간이 증가된다. 또한, 종래의 절곡기 또는 압축기는 사진과 같은 작은 인쇄물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절곡기 또는 압축기를 이용할 경우, 장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동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고, 장치의 크기로 인해 설치공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물에 절곡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와, 절곡된 인쇄물의 제본부를 압착하는 장치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각의 장치를 소형화하여 인쇄물의 제본 작업이 용이해지고, 연관된 작업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속도가 증가되고, 장치의 설치면적이 저감되어 공간활용에도 일조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운동변환부와, 상기 제1운동변환부에 설치되어 인쇄물에 절곡선을 형성하는 절곡날이 마련된 절곡선 형성부와,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운동변환부와, 상기 제2운동변환부에 설치되어 절곡된 인쇄물과 간지가 교번적으로 적층된 제본 대상물을 가압하는 프레스판이 구비된 압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운동변환부는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곽부에 형성된 돌부와, 상기 절곡날을 고정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돌부가 상, 하로 걸리는 상, 하부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판의 돌부가 회전되며 상기 누름판과 결합된 결합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부에는 상기 결합블록의 상, 하부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운동변환부는 상기 누름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선 형성부는 인쇄물이 안착되는 제1작업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작업판에 직교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제1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작업판은 인쇄물이 안착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본물이 안착되는 제2작업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운동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스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프레스판을 상기 제2작업판에 탄성가압하는 배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터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프레스판을 당겨 상기 제2작업판과 이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력부재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운동변환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경로를 변환하는 복수의 아이들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업판에는 안착될 인쇄물을 정렬하는 정렬부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2작업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부와, 상기 제2작업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본물의 제본부 반대편을 상기 제2작업판에 누르는 정렬편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편은 상기 가이드 홈부에 이동이 안내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핑손실감소를 위한 내연기관의 연소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의 절곡선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선 형성부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제본 제작장치(5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2)의 상부 일측에는 인쇄물의 표면에 절곡선을 형성하는 절곡선 형성부(60)와, 절곡된 인쇄물과 간지가 교번적으로 적층된 제본물의 제본부를 가압하는 제본부를 압착하는 압착부(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선 형성부(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2)의 상면에 절곡선을 형성할 대상 인쇄물이 안착되는 제1작업판(62)이 설치되고, 상기 제1작업판(62)에는 제1안내판(64)이 직교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안내판(64)의 전면부에는 누름판(66)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안내판(64)의 전면에는 안내가이드(65)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66)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가이 드(65)에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안내블록(67)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가이드(65)는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기둥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쇄기형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블록(67)의 요홈은 상기 쇄기형 홈에 대응되게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안내블록(67)과 안내가이드(65)의 결합시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요동은 차단되고,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66)의 저면에는 인쇄물에 절곡선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날(70)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판(66)의 하부에는 상기 절곡날(70)을 끼우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66)의 후면에는 끼워진 절곡날(70)을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안내판(64)의 후면에는 상기 누름판(66)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절곡날(70)을 인쇄물에 가압하기 위한 제1모터(7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안내판(66)의 일측에는 상기 누름판(66)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72)의 작동을 단속하는 제1센서(71)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안내판(66)의 일측에는 상기 제1센서(71)에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모터(7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7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73)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모터(72)와 누름판(66) 사이에는 상기 제1모터(72)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1운동변환부가 설치된다.
전술된 제1운동변환부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 도 10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선 형성부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상기 제1운동변환부는 상기 제1모터(72)의 회전축(72a)에 설치된 기어체(75)와, 상기 기어체(75)와 치합되고 둘레부에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판(6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판(7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76)에는 중심을 벗어난 외곽부에 돌부(7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66)의 후면에는 결합블록(78)이 설치된다. 상기 결합블록(78)은 상기 돌부(77)가 상, 하로 걸리는 상, 하부 걸림턱(78a, 78b)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모터(72)의 회전시 상기 상, 하부 걸림턱(78a, 78b)이 상기 돌부(77)에 걸리며 상기 누름판(66)을 상, 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돌부(77)에는 상기 걸림턱(78a, 78b)에 접촉시 마찰력이 감소하도록 베어링(79)이 설치된다.
상기 제1운동변환부는 상기 기어체(75)와 상기 기어체(75)와 치합된 회전판(76)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로 설명하되고 있으나,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상기 회전판(76)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변형되는 것도 물론 가능한다.
더불어, 상기 제1모터(72)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모터(72)가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제1센서(71)가 부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스텝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누름판(66)의 위상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1작업판(62)에는 장착된 인쇄물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절곡날(70)의 가압시 인쇄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충격을 완충하는 고무판(63)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2)에는 상기 제1작업판(62)과 연결되며 인쇄물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이드패널(54)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압착부(90)는 절곡된 인쇄물이 안착되는 제2작업판(92)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2)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작업판(92)에는 제2안내판(94)이 직교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안내판(94)에는 프레스판(98)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안내판(94)에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9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95)에는 상기 프레스판(98)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스판(9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99)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2)의 일측에는 제2모터(102)가 장착되고, 상기 제2모터(102)에는 상기 제2모터(102)와 연동하여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운동변환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2운동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2모터(102)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스판(98)에 연결된 연결부재(10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작업판(92)에는 상기 프레스판(98)을 상기 제2작업판(92)에 탄성가압하여 상기 제2작업판(92)에 안착된 제본물의 제본부를 가압하기 위한 배력부재(106)가 설치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번 108과 109는 상기 제2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제어부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운동전환부는 상기 제2모터(102)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104)가 상기 프레스판(98)을 당겨 상기 제2작업판(92)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제2운동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재(104)의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 향전환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제2작업판(92)의 하부 및 상기 제2안내판(94)의 상부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10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이들 기어(105)가 설치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104)가 상기 제2안내판(94)의 전방 및 상기 제2작업판(92)의 하부로 설치할 수 있어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력부재(106)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프레스판(98)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작업판(9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스판(98)을 상기 제2작업판(92)에 상시적으로 가압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4)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굴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력부재(106)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고무 또는 솔레노이드장치와 같이 상기 프레스판(98)를 상기 제2작업판(92)에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타이밍 벨트는 구동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체인으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태가 체인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아이들 기어(105)는 스프라켓으로 대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작업판(92)에는 안착될 인쇄물을 정렬하는 정렬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정렬부(110)는 상기 제2작업판(92)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부(112)와, 상기 제2작업판(9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본물의 제본부 반대편을 상기 제2작업판(92)에 누르는 정렬편(114)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편(114)은 상기 가이드 홈부(112)에 이동이 안내되는 체결부재(116)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렬편(114)에는 상기 가이드 홈부(112)에 대응되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체결부재(116)가 삽입된 후, 상기 가이드 홈부(112)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16)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작업판(92)을 관통한 볼트의 선단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작업판(92)의 하부에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홀이 형성된 체결판이 설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물을 절곡선 형성부(60)의 제1작업면에 위치시키고, 스위치를 작동하여 제1모터(72)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모터(72)가 구동되면, 상기 제1모터(72)의 회전축(72a)에 설치된 기어체(75)가 회전되고, 상기 기어체(75)와 치합된 회전판(76)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76)의 전면에 형성된 돌부(77)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부(77)의 회전운동은 상기 돌부(77)의 베어링(79)과 맞닿는 결합블록(78)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모터(72)의 회전력은 직석운동으로 전환되고, 상기 결합블록(78)과 연결된 누름판(66)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누름판(66)의 단부에 고정된 절곡날(7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절곡날(70)이 하강되면 상기 인쇄물에 절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날(70)을 다시 상승시켜 절곡선이 형성된 인쇄물을 제거한 후, 다른 인쇄물을 삽입한다.
한편, 전술된 과정을 거쳐 절곡선이 형성된 인쇄물은 간지와 교번적으로 적층하여 제본물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본물을 압착부(90)의 제2작업판(92)에 안착시킨후, 상기 제2모터(102)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2모터(102)의 회전축에 연결된 연결부재(104)가 프레스판(98)을 상기 제2작업판(92)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판(98)과 상기 제2작업판(92) 사이에 전술된 제본물의 제본부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본물의 제본부 반대편에는 체결부재(116)를 회전시켜 정렬편(114)이 제본부 반대편을 고정 및 정렬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모터(10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력부재(106), 즉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레스판(98)이 하강되며 제본물의 제본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는 절곡선을 형성하는 절곡선 형성부와, 제본물의 제본부를 가압하는 압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인쇄물을 제본하기 위한 연관된 작업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절곡선 형성 및 제본을 위해 가압하는 장치가 인쇄물의 크기에 따라 소형화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장치의 제조를 위한 제조비가 경감되며, 설치면적이 제한되지 않게된다. 또한, 이로인해 작업장의 공간활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된다.

Claims (11)

  1.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운동변환부와, 상기 제1운동변환부에 설치되어 인쇄물에 절곡선을 형성하는 절곡날이 마련된 절곡선 형성부와,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운동변환부와, 상기 제2운동변환부에 설치되어 절곡된 인쇄물과 간지가 교번적으로 적층된 제본 대상물을 가압하는 프레스판이 구비된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변환부는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곽부에 형성된 돌부와,
    상기 절곡날을 고정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돌부가 상, 하로 걸리는 상, 하부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판의 돌부가 회전되며 상기 누름판과 결합된 결합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부에는 상기 결합블록의 상, 하부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변환부는 상기 누름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 형성부는 인쇄물이 안착되는 제1작업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작업판에 직교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제1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판은 인쇄물이 안착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본물이 안착되는 제2작업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운동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스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프레스판을 상기 제2작업판에 탄성가압하는 배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터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프레스판을 당겨 상기 제2작업판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력부재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운동변환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경로를 변환하는 복수의 아이들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업판에는 안착될 인쇄물을 정렬하는 정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2작업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부와,
    상기 제2작업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본물의 제본부 반대편을 상기 제2작업판에 누르는 정렬편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편은 상기 가이드 홈부에 이동이 안내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KR1020040077491A 2004-09-24 2004-09-24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KR10056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491A KR100563901B1 (ko) 2004-09-24 2004-09-24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491A KR100563901B1 (ko) 2004-09-24 2004-09-24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901B1 true KR100563901B1 (ko) 2006-03-23

Family

ID=3717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491A KR100563901B1 (ko) 2004-09-24 2004-09-24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9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74B1 (ko) 2008-12-22 2009-03-16 이준구 앨범의 삼면 동시 절단장치
KR100927976B1 (ko) 2009-08-14 2009-11-24 정석희 제본기
KR200447050Y1 (ko) 2009-03-11 2009-12-21 문영식 커버제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74B1 (ko) 2008-12-22 2009-03-16 이준구 앨범의 삼면 동시 절단장치
KR200447050Y1 (ko) 2009-03-11 2009-12-21 문영식 커버제작장치
WO2010104282A1 (ko) * 2009-03-11 2010-09-16 Moon Young Sik 커버제작장치
KR100927976B1 (ko) 2009-08-14 2009-11-24 정석희 제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57810Y (zh) 省力平针订书机
EP1275522A3 (en) Bookbinding device and method
US5141143A (en) Sheet-stapling device
US10160249B2 (en) Sheet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heet post-processing device
AU2004315246B9 (en) Stapler
JP6043435B2 (ja) 平坦な見え方のための本を装丁する機械および方法
KR100563901B1 (ko) 인쇄 제본물 제작장치
KR101163648B1 (ko) 제본기의 스프링 제본 장치
JPH0584675A (ja) 電動ステープラ
WO2005009756A3 (en) Paper locator for a stapler
KR20210035484A (ko) 작업속도 향상을 위한 인쇄제본 장치
US6536646B1 (en) Stapler
JP3130100U (ja) 印刷製本物の製作装置
EP1733856B1 (en) Self-propelled stapler
US6641024B2 (en) Stapling device
KR20060130151A (ko) 용지 처리 장치
KR200428369Y1 (ko) 로터리 방식의 트윈스프링 자동 제본기
CN215792743U (zh) 一种平订装订装置
CN217124354U (zh) 线装式装订机用切线装置
JP2003136426A (ja) ステープラー内のステープル形成機構
JPS5812796A (ja) 冊子製造における分冊装置
KR101083413B1 (ko) 표지 바인더장치
JP4304971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における紙厚調整機構
EP1529987A3 (en) Roller cam mechanism and drive assembly with positive retraction
CN217892309U (zh) 一种骑马钉机用钉合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