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45B1 -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전극을 가진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전극을 가진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45B1
KR100563745B1 KR1019997010633A KR19997010633A KR100563745B1 KR 100563745 B1 KR100563745 B1 KR 100563745B1 KR 1019997010633 A KR1019997010633 A KR 1019997010633A KR 19997010633 A KR19997010633 A KR 19997010633A KR 100563745 B1 KR100563745 B1 KR 10056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s
dielectric
discharge lamp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672A (ko
Inventor
프랑크 폴콤머
로타르 히취케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1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관(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도전된 스크린(12, 13)을 가진 방전 램프(1)에 관한 것이다. 전극(3-5)은 유전 장벽(6-8)에 의해 방전관(2)의 내부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이 스크린(12, 13)은 유전체에 의해 전극(3-5)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동작시, 램프 전극(3-5)으로 공급된 전원이 도전된 스크린(12, 13)에 용량성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B의 두께와 εD의 유전 상수를 가진 장벽(6-8) 뿐 아니라 dB의 두께와 εD의 유전 상수를 가진 유전체는 전극(3-5)을 가스 충진재로부터 분리하며 , 다음의 관계에 따라 채워지도록 상호 정합된다:
Figure 112005054607685-pct00005

Description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전극을 가진 방전 램프{DISCHARGE LAMP WITH DIELECTRICALLY IMPEDED ELECTRODES}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고 가스 충진재로 채워진 방전관, 상기 방전관의 벽 표면이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극 및 상기 방전관에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에서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에 적당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가스 충진재 사이에서 dBi의 두께와 εBi의 유전 상수를 가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 장벽을 포함하는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방전 램프는 가스 충진재를 밀폐하는 방전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방전관의 적어도 일부분은 목표된 스펙트럼 영역의 방사선, 특히 빛에 대하여 투명한 부분을 가진다. 이 빛은 진공 자외선 방사선(VUV)뿐 아니라 자외선 방사선(UV) 또는 가시 전자기 방사선을 포함한다. 다수의 전극은 적당한 전원으로 가스 충진재의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 방전은 목표된 방사선을 직접 발생시키거나, 방전에 의한 방사선은 발광 물질에 의해 목표된 방사선으로 전환된다.
이것은 특히,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에 의해 동작하기에 적당한 방전 램프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어느 한쪽 극성의 전극 또는 모든 전극, 즉 양쪽 타입의 전극은 가스 충진재 또는 동작중 방전으로부터 유전층에 의해 분리된다(일측 또는 양측에서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예를 들면 WO 94/23442 또는 EP 0 363 832를 참조하라). "유전 장벽"의 설계는 이 유전층에 사용되고 용어 "장벽 방전"은 같은 방법으로 발생된 방전에 또한 사용된다. 또한 유전 장벽은 이 목적을 위하여 전극에 특정적으로 사용되는 층일 필요가 없지만, 예를 들면, 전극이 이 벽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방전관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소된 전자기 간섭 방사선을 가진 청구항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전 램프를 제공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의해 청구항 1항의 전제부의 특성을 가진 램프의 경우에 달성된다. 특히, 종속항에서 유리한 개선점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전관을 에워싼 전기적으로 도전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방전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이 스크린은 전위 관계에 따라, 적어도 한 전극 또는 가능한 모든 전극으로부터 유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동작중 램프 전극에 공급된 전원이 전기적으로 도전된 스크린에 용량성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D의 두께 및 εD의 유전 상수를 가진 유전체 뿐 아니라 dB의 두께 및 εD의 유전 상수를 가진 가스 충진재로부터 전극을 분리시키는 장벽은 아래와 같은 관계를 만족하도록 서로 협력된다:
Figure 111999015055073-pct00001
및 F≥1.5, 바람직하게 F≥2.0 특히 바람직하게 F≥2.5
낮은 한계값 이하에서, 즉 인자 F가 대략 1.5에서, 전원은 허용되지 않는 세기로 스크린에 미리 결합된다. 램프 방전관 내부의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의 신뢰할 만한 동작은 모든 동작 조건하에서 더이상 신뢰할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으로부터 스크린의 용량성 분리는 증가하는 인자 F와 함께 증가한다. 비교적 높은 인자 F는 이 범위까지 목표된다. 유전체 및 장벽의 유전 상수가 거의 동일한 경우, 높은 인자 F는 유전체 및 장벽의 두께 사이에 큰 비율을 나타낸다. 다른 말로, 유전체의 두께가 장벽의 두께보다 적당히 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전체의 두께는 비용 및 설계의 이유로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남은 것은 장벽의 두께를 축소시키는 것이지만, 이것은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의 균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벽의 정밀도가 높게 요구된다. 각각의 경우, 구체적으로 적당한 절충안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만일 장벽의 유전 상수(εB)가 유전체의 유전 상수(εD)보다 크다면, 상응하는 높은 인자(F)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구체적인 개선점은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전극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유전체는 방전관 자체의 벽에 의해 형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적어도 스크린과 다른 전위의 전극은 방전관의 내부벽에 배치된다. 이 절차는 기계적인 이유로, 방전관의 벽이 대개 전극의 장벽보다 두껍기 때문에, εB가 εD에 대하여 너무 작도록 선택되지 않는다면 상술한 관계가 효과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스크린과 전극사이의 유전체는 다른 유전체 상수를 가진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얇은 방전관 벽의 경우, 상술한 조건을 신뢰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임의의 환경, 특히 전극의 영역에서 편리하게 적용된다. 장벽은 대체로 다른 유전 상수를 가진 다수의 층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층을 사용하는 경우, 두개의 몫(quotient)이 합
Figure 112003038508494-pct00002
Figure 112003038508494-pct00003
에 의해 상술된 부등식(inequality)으로 대체되며, dDi, εDi, dBi, εBi 는 특정층 i에서 각각의 두께 및 유전 상수를 나타낸다. 지수(i)는 단일층 시스템의 경우 값 1, 두개층 시스템의 경우 값 1,2, n층 시스템의 경우, 값 1,2,...n을 가진다.
적어도 스크린과 다른 전위를 가진 전극이 방전관의 벽 내부에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은 방전관의 내부와 면하는 층이 스크린과 면하는 층보다 얇도록 배치된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개구부를 가진 금속성 측면부로서 구성된다. 개구부는 램프의 효과적인 방출 표면을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변형에서, 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가적으로 냉각 리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표면은 한편으로 스크린 기능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 방전 및/또는 램프의 동작에 대한 전자 기술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 열을 소산하는 이중 기능을 한다. 램프는 특히 측표면과 적당히 근접하기 때문에, 램프 및 측표면 사이에서 접촉 영역을 따르는 온도 분배는 충분히 균일하다.
스크린 동작은 측표면의 개구부와 면하는 방전관의 외부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예를 들면 산화 인듐 주석(ITO)으로 이루어진 전기적으로 도전되고 투명한 층에 의해 커버될 때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측표면 및 투명층은 전기적으로 상호 접촉하고 있다.
게다가, 측표면은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도전되고 투명한 층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런 변형에서 측표면의 냉각 동작은 불필요하다.
스크린은 부동 전위에 있을 수 있지만, 스크린 자체로부터 가능한 전자기 방출을 방지하도록, 예를 들면 접지와 같은 프레임의 전위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스크린을 가진 바형태의 개구부 형광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1은 OA(사무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용 개구부 형광 램프(1)이다. 램프(1)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스크린에 의해 둘러싸인 관형 방전관(2) 및 상기 방전관의 종축에 평행인 방전관(2)의 내부벽에 인가되는 3개의 스트립형 전극(3-5)을 포함한다. 각각의 내부벽 전극(3-5)은 유전층(6-8)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방전관(2)의 내부벽에는 직사각형 개구부(9)를 제외하고는 Al2O3 및 TiO2로 이루어진 이중 반사층(10)이 제공된다. 형광층(11)은 개구부(9)의 영역에서 관의 내부벽뿐 아니라, 이중 반사층(10)에 인가된다. 이중 반사층(10)은 형광층(11)에 의해 만들어진 빛을 반사한다. 개구부(9)의 광도는 이 방법으로 증가된다.
관형 방전관(2)의 외부 직경은 대략 9mm이다. 크세논은 160 토르의 충진 압력에서 방전관(2)의 내부에 위치한다.
전극(3-5)은 기밀한 방식으로 방전관(2)의 제 1 단부를 통하여 외부에 이르 며, 각각의 경우 외부 공급 리드(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다. 다른 단부에서, 방전관(2)은 유사하게 기밀한 방식으로 관으로부터 형성된 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된다.
세개의 전극(3-5)중 제 1 전극(5)은 공급 전압의 제 1 전극을 제공하며, 다른 제 2 전극(4,5)은 제 2 전극을 제공한다. 제 1 전극(5)은 개구부(9)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며, 다른 두개의 전극(4,5)은 개구부(9)의 두개의 종방향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개구부의 폭 및 길이는 각각 대략 6.5mm 및 255mm이다.
장벽은 대략 8의 유전 상수 및 대략 250μm의 두께를 가진 유리 접합물로 구성된다. 이 결과 장벽 두께의 몫은 대략 0.031mm의 유전 상수이다.
방전관(2)은 대략 7의 유전 상수 및 대략 0.6mm의 벽 두께를 가진 저 알칼리 소다 석회 유리(쇼트 #8350)를 포함한다. 이 결과 벽 두께의 몫은 대략 0.086mm의 유전 상수이다. 이 몫은 장벽에 대한 대응 몫보다 대략 2.77배 높다. 결과적으로, 상세한 설명에서 요구된 관계가 여기에서 충족된다.
램프(1)의 스크린은 단단하며, 입방형인 금속 측표면(12) 및 투명층(13)을 포함한다. 측표면(12)은 램프의 개구부(9)만이 외부로 보여지는 방식으로 램프의 개구부(9)와 일치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투명층(13)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하며 개구부(9)의 영역에서만 방전관(2)의 외부벽을 커버한다. 투명층(13)은 개구부를 따라 측표면(1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EMI에 대하여 측표면(12)의 스크린 동작을 완성한다. 측표면(12)은 개구부의 반대쪽에 다수의 냉각 리브(14)를 갖는다. 열 전달 화합물(15)은 방전관(2) 및 측표면(12) 사이의 열 전달을 향상시킨다. 형광층(11)은 3개 대역의 형광물질이다. 상기 형광 물질은 블루 성분 BaMgAl10O17:Eu, 그린 성분 LaPO4:Ce,Tb 및 레드 성분 (Y,Gd)BO3:EU의 혼합물이다. 결과적인 컬러 좌표는 x = 0.395 이며 y = 0.383 로 구성된다. 즉, 방전에 의해 생성된 UV 방사선은 백색광으로 전환된다.

Claims (6)

  1.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고 가스 충진재로 채워진 방전관(2);
    상기 방전관(2)의 벽 표면이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극(3-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3-5) 및 상기 가스 충진재 사이에서 dBi의 두께와 εBi의 유전 상수를 가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전관(2)의 상기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에서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방전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 장벽(6-8)을 포함하는 방전 램프(1)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전기적으로 도전되는 스크린(12,13);
    dDi의 두께와 εDi의 유전 상수를 가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3-5)으로부터 상기 스크린(12,13)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Figure 112005054607685-pct00004
    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2)은 접지와 같은 프레임 전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방전관(2)의 외부벽의 적어도 개구부(9)에 배치되는 투명층(1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13)은 인듐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3-5)은 상기 방전관(2)의 내부벽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3-5)으로부터 상기 스크린(12,13)을 분리시키는 상기 유전체는 상기 방전관(2)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추가로 냉각 리브(1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KR1019997010633A 1998-03-17 1999-03-02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전극을 가진 방전 램프 KR100563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1520A DE19811520C1 (de) 1998-03-17 1998-03-17 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en
DE19811520.2 1998-03-17
PCT/DE1999/000543 WO1999048134A1 (de) 1998-03-17 1999-03-02 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lektro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672A KR20010012672A (ko) 2001-02-26
KR100563745B1 true KR100563745B1 (ko) 2006-03-24

Family

ID=786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633A KR100563745B1 (ko) 1998-03-17 1999-03-02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전극을 가진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04028B1 (ko)
EP (1) EP0981831B1 (ko)
JP (1) JP4108770B2 (ko)
KR (1) KR100563745B1 (ko)
AT (1) ATE205961T1 (ko)
CA (1) CA2289536C (ko)
DE (2) DE19811520C1 (ko)
HU (1) HU223240B1 (ko)
WO (1) WO1999048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3419A1 (de) * 1998-09-22 2000-03-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lektroden
JP3674695B2 (ja) * 1999-06-07 2005-07-2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放電ランプ、放電ランプ装置
DE19955108A1 (de) * 1999-11-16 2001-05-1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verbesserter Temperaturhomogenität
DE10048409A1 (de) * 2000-09-29 2002-04-1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kapazitiver Feldmodulation
US6762556B2 (en) * 2001-02-27 2004-07-13 Winsor Corporation Open chamber photoluminescent lamp
DE10133326A1 (de) * 2001-07-10 2003-01-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Dielektrische Barrieren-Entladungslampe mit Zündhilfe
ES2295832T3 (es) * 2003-03-18 2008-04-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ampara de descarga de gas.
US7863816B2 (en) * 2003-10-23 2011-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JP3893404B2 (ja) * 2003-12-09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源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196473B2 (en) * 2004-05-12 2007-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DE102004047374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slampe mit elektrischer Abschirmung
DE102004047376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slampe mit steckbaren Elektroden
DE102004047375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e behinderte Entladungslampe mit Manschette
DE102004047373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system mit dielektrisch behinderter Entladungslampe und zugehörigem Vorschaltgerät
JP7429424B2 (ja) 2020-01-14 2024-02-08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引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6168A5 (ko) * 1988-10-10 1990-12-14 Asea Brown Boveri
US5220236A (en) * 1991-02-01 1993-06-15 Hughes Aircraft Company Geometry enhanced optical output for rf excited fluorescent lights
JP3532578B2 (ja) * 1991-05-3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表示装置
US5325024A (en) 1992-10-16 1994-06-28 Gte Products Corporation Light source including parallel driven low pressure RF fluorescent lamps
DE4311197A1 (de) * 1993-04-05 1994-10-0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inkohärent strahlenden Lichtquelle
JPH10223182A (ja) * 1997-02-10 1998-08-21 Stanley Electric Co Ltd 蛍光ランプ
JP3218561B2 (ja) * 1997-06-27 2001-10-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蛍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11520C1 (de) 1999-08-12
HUP0002438A3 (en) 2001-12-28
EP0981831A1 (de) 2000-03-01
ATE205961T1 (de) 2001-10-15
HUP0002438A2 (hu) 2000-11-28
DE59900265D1 (de) 2001-10-25
US6304028B1 (en) 2001-10-16
JP4108770B2 (ja) 2008-06-25
KR20010012672A (ko) 2001-02-26
HU223240B1 (hu) 2004-04-28
EP0981831B1 (de) 2001-09-19
CA2289536C (en) 2007-05-15
CA2289536A1 (en) 1999-09-23
WO1999048134A1 (de) 1999-09-23
JP2001526828A (ja) 2001-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745B1 (ko) 유전체적으로 임피드된 전극을 가진 방전 램프
KR100745958B1 (ko) 외부 전극 방전 램프
US7586261B2 (en) Rare gas fluorescent lamp
KR100802665B1 (ko) 저압 가스 방전 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팅용 장치
US20080203891A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With Protective Coating
JP4848879B2 (ja) 希ガス蛍光ランプ
TW455898B (en) Discharge luminescent device
JP2001325919A (ja) 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US20040108803A1 (en) Gas discharge lamp
KR100786401B1 (ko) 가스 방전 램프
JP3171622B2 (ja) 蛍光放電灯
KR100433193B1 (ko) 이중관 형광램프
KR20030041704A (ko) 관외 전극 형광램프
JP2001102004A (ja) 希ガス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KR100859858B1 (ko) 이중관 형광램프
US20060087242A1 (en) Low-pressure gas discharge lamp with electron emitter substances similar to batio3
KR101343284B1 (ko) 희가스 방전 램프
KR20070029591A (ko) 방전 램프
JP2010113921A (ja) 放電ランプ
JP2002367567A (ja) 低圧放電ランプ及び蛍光ランプ
JPH05190150A (ja) 放電ランプ
JP3376818B2 (ja) 無電極蛍光ランプ
KR2001000956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223037A (ja) 放電セル及びプラズマアドレス電気光学装置
JP2001256925A (ja) 希ガス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