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465B1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465B1
KR100563465B1 KR1020030095656A KR20030095656A KR100563465B1 KR 100563465 B1 KR100563465 B1 KR 100563465B1 KR 1020030095656 A KR1020030095656 A KR 1020030095656A KR 20030095656 A KR20030095656 A KR 20030095656A KR 100563465 B1 KR100563465 B1 KR 10056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polarizing plate
polarizer
type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300A (ko
Inventor
윤성회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4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광입사면 측에 위치하고 연신축과 투과축이 교차하는 오-타입 편광판과; 상기 액정패널의 광출사면 측에 위치하고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따라 투과축이 결정되는 이-타입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이-타입 편광판의 투과축은 상기 오-타입 편광판의 투과축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오-타입 편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타입 편광판의 투과축 및 흡수축(연신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노멀 화이트의 경우 블랙 및 화이트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편광판의 정면방향에서 벗어날수록 빛샘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실험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오-타입 편광판 및 이-타입 편광판의 투과축 및 흡수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타입 편광판을 도입함으로써 빛샘이 감소됨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도 9는 이-타입 편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보상필름이 더 위치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타입 편광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2 : 액정패널 16 : 램프 하우징
20 : 램프 24 : 도광판
26 : 반사판 30 : 확산시트
40, 140 : 하부 편광판 42 : 상부 편광판
40a : 제1 보호층 40c : 제1 보호층
40b : 편광자 145 : 오-타입 편광판
156 : 접착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Liquid Crystal Module; 이하 "LCM"라 함)과 이 LCM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케이스로 구성된다.
LCM은 두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으로 구성되게 된다. 아울러 LCM에는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액정패널쪽으로 진행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기 위한 광학 시트들이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 백 라이트 유니트 및 광학 시트들은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체결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의한 LCM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LCM의 외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케이스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LCM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LCM은 액정셀 매트릭스를 갖는 액정패널(2)과, 액정패널(2)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위치한 상/하부 편광판(42,40)과, 하부 편광판(40)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액정패널(2)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a)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b)을 구비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a)은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b)은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20)와, 램프(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램프하우징(10)과, 램프(20)로 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24)과, 도광판(24)의 배면에 설치되는 반사판(26)과, 도광판(24)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확산시트들(30)로 구성된다.
하부 편광판(4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a)의 배면에 부착되며 백라이트 유닛에서 출사되는 광빔을 편광시키고, 상부 편광판(42)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b)의 전면에 부착되어 액정패널(2)에서 출사되는 광빔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편광판(40,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40b)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보호층(40a,40c)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편광자(40b)는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 Alcohol)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와 이색성 염료용액에 담그어 요오드 분자를 연신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제1 및 제2 보호층(40a,40c)은 트리 아세테이트 셀루로스(TAC) 등이 이용되고 연신된 편광자(40b)의 수축을 방지하고 편광자(40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편광판(40,42)은 편광자(40b)를 연신한 방향인 연신축과 상기 연신축과 직교되는 투과축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평관판(40,42)은 액정패널(2)의 크기에 따라 소정 크기로 컷팅(cutting)된 후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의 경우 연신축(흡수축 또는 광축 이라 한다.)이 서로 교차되는 두개의 편광판이 액정패널(2)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정면 방향으로 부터 각각의 흡수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관측 위치를 경사시키면, 하부 편광판을 통과한 편광이 상부 편광판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 빛샘이 발생되어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부 및 하부 편광판(42,40){연신축(Y)과 투과축(X)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편광판을 오-타입(Ordinary-Type)편광판 이라 한다.} 각각은 연신축(Y)과 투과축(X)이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고, 상부 및 하부 편광판(42,40)은 각각의 연신축(Y)이 서로 수직을 이룸과 동시에 투과축(X) 또한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액정패널(2)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편광판(42,40)의 특성을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노멀리 화이트의 경우에 비추어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 하부 편광판(40)의 투과축(X)을 통과한 선편광이 액정분자들의 장축이 수평전계방향에 90도 뒤틀려 있는 배열상태를 갖는 TN액정셀을 통과함으로써 90도로 편광된다. 이와 같이 TN액정셀에 의해 90도로 편광된 선편광은 상부 편광판의 투과축(X)을 경유함으로써 화이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하부편광판(40)의 투과축(X)을 통과한 선편광이 액정의 장축이 전기장에 평행하도록 액정이 배열됨으로써 편광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편광상태가 변하지 않은 선편광은 상부 편광판(42)의 투과축(X)에 직교(또는 흡수축과 일치)됨으로써 블랙을 구현하게 된다.
도 5는 블랙을 구현하는 경우 관측자의 관측 위치에 따른 빛샘량을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랙을 구현하는 경우 편광판의 정면 방향에서는 최대의 시야각을 보이는 반면, 정면 방향으로 부터 벗어날수록(각각의 흡수축(Y)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관측 위치를 경사시키면) 하부 편광판(40)을 통과한 편광이 상부 편광판(42)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 빛샘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상부 편광판(42)의 흡수축(Y) 및 투과축(X)을 정면으로 관찰하게 되면 블랙이 구현되지만, 정면에서 벗어날수록 빛샘이 발생됨으로써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광입사면 측에 위치하고 연신축과 투과축이 교차하는 오-타입 편광판과; 상기 액정패널의 광출사면 측에 위치하고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따라 투과축이 결정되는 이-타입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이-타입 편광판의 투과축은 상기 오-타입 편광판의 투과축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타입 편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의한 굴 절율 및 액정셀갭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타입 편광판은 일정 편광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상하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0.5~2㎛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의 광출사면 측에 위치하고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따라 투과축이 결정되는 이-타입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의 광입사면 측에 위치하고 연신축과 투과축이 교차하는 오-타입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타입 편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상기 액정패널에 의한 굴절율 및 액정셀갭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타입 편광판은 일정 편광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0.5~2㎛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LCM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LCM은 액정셀 매트릭스를 갖는 액정패널(102)과, 액정패널(102)의 전면(또는 광출사면)에 위치한 이-타입(Extra Ordinary Type) 편광판(145)과, 액정패널(102)의 배면(또는 광입사면)에 위치한 오-타입 편광판(140)과, 오-타입 편광판(140)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액정패널(102)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을 구비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은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은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120)와, 램프(1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램프하우징(110)과, 램프(120)로 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124)과, 도광판(124)의 배면에 설치되는 반사판(126)과, 도광판(124)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확산시트들(130)로 구성된다.
오-타입 편광판(140)은 종래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40b)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보호층(40a,40c)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편광자(40b)는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 Alcohol)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와 이색성 염료용액에 담그어 요오드 분자를 연신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형성 되며, 제1 및 제2 보호층(40a,40c)은 트리 아세테이트 셀루로스(TAC) 등이 이용되고 연신된 편광자(40b)의 수축을 방지하고 편광자(40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오-타입 편광판(140)은 편광자(40b)를 연신한 방향인 연신축과 상기 연신축과 직교되는 투과축을 갖는다. 이러한, 오-타입 편광판(14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의 배면에 부착되며 백라이트 유닛에서 출사되는 광빔을 편광시킨다.
이-타입 편광판(145)은 라이오트로픽(Lyotropic) 액정 수용액이 기판 상에 도포된 후 코팅바에 의한 러빙공정과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건조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이-타입 편광판(145)의 투과축(X) 또는 광축은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들의 배향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여기서, 이-타입 편광판(145)의 두께는 0.5~2㎛ 정도이다.
이러한 이-타입 편광판(145)을 액정패널의 전면(또는 광출사면)에 형성하는 경우 종래 대비 시야각 및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배향 방향이 투과축을 이루는 이-타입 편광판(145)을 액정패널의 전면(또는 광출사면)에 형성하고 상기 이-타입 편광판(145)의 투과축(X)과 오-타입 편광판(140)의 투과축(X)이 서로 직교되도록 오-타입 편광판(140)을 액정패널(102) 배면(또는 광입사면)에 형성한다.
노멀리 화이트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종래의 도 4a를 참고하면,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 오-타입 편광판(140)의 투과축을 통과한 선편광이 액정들의 장축이 수평전계방향에 90도 뒤틀려 있는 배열상태를 갖는 TN액정셀을 통과함으로 써 90도로 편광된다. 이와 같이 TN액정셀에 의해 90도로 편광된 선편광은 이-타입 편광판(145)의 투과축을 경유함으로써 화이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오-타입 편광판(140)의 투과축을 통과한 선편광은 액정분자의 장축이 전기장에 평행하도록 액정이 배열됨으로써 편광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편광상태가 변하지 않은 선편광은 오-타입 편광판(145)의 투과축(X)(또는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직교됨으로써 블랙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블랙을 구현하는 경우 종래와 비교하여 관측 위치가 편광판의 정면 방향으로 벗어나더라도 오-타입 편광판(140)을 통과한 편광이 이-타입 편광판(145)에 흡수되게 된다. 이는 도 8의 실험 결과에 의해 빛샘의 발생 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오-타입 편광판을 액정패널의 상하부에 형성하는 경우 편광판의 흡수축 및 투과축을 정면으로 관찰하게 되면 블랙이 구현되지만, 정면에서 벗어날수록 빛샘이 발생되어 콘트라스트 및 시야각이 저하되었으나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로 형성된 이-타입 편광판(145)을 이용하는 경우 시야각 및 콘트라스트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타입 편광판(145)과 액정패널(102) 사이에 출원번호 제10-2002-0018580 등에 공지된 보상필름(Compensator Film)(15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필름(155))은 액정패널(102)의 상부 및 하부에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n이 증가하는 역파장 분산성(reverse wavelength)을 가지는 양성(positive) 또는 음성(negative)의 a 플레이트 보상 필름을 적절히 조합하여 배치하거나 하이 브리드 c 플레이트 보상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틸렌(polystyrene) 등의 플라스틱을 연신하여 제조된 필름을 첩착제 등으로 합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필름(155)은 액정패널(102)의 굴절율이방성(Δn)과 액정셀갭(d)으로 인한 retardation(위상차)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이 합착된 액정표시패널을 마련한다.
이후, 편광자(140b)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보호층(40a,40c)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하부 편광판이 별도의 공정에 의해 마련된다. 여기서, 편광자(140b)는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 Alcohol)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와 이색성 염료용액에 담그어 요오드 분자를 연신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제1 및 제2 보호층(40a,40c)은 트리 아세테이트 셀루로스(TAC) 등이 이용된다.
이후,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80) 상에 리오트로픽 액정 수용액을 도포한다. 여기서, 라이오트로픽 액정수용액은 리오트로픽 액정에 물(H2O)이 용매(또는 용제)로써 이용되나 건조 후 액정층의 방향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어떠한 용제든 이용될 수 있다.
이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바(195)를 이용하여 액정분자(147)를 배향시킨 후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건조됨으로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분자(147)의 배향방향(n)에 따라 투과축(X)이 결정되는 이-타입 편광판(1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타입 편광판(145)의 두께는 0.5~2㎛ 정도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타입 편광판(145)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56)에 의해 액정패널(102)의 전면(또는 광출사면)에 부착되거나, 액정패널(102)의 상부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오-타입 편광판(140) 및 이-타입 편광판(145)을 액정패널(102)의 전면 및 배면에 부착된다.
한편, 액정패널(102)과 이-타입 편광판(145) 사이에 보상필름(155)이 형성될 수 도 있다. 이 보상필름(155)은 양성(positive) 또는 음성(negative)의 a 플레이트, c 플레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상부 편광판 대신에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147)로 형성된 이-타입 편광판(145)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타입 편광판(145)의 투과축(또는 광축)은 라이오트로픽 분자의 배향방향(n)과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이-타입 편광판(145)에 의해 블랙을 구현하는 경우 관측 위치가 정면 방향에서 벗어나더라도 오-타입 편광판(140)을 통과한 편광이 이-타입 편광판(145)에 흡수되게 된다. 이로써, 빛샘의 발생 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으로써 종래 대비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상부 편광판 대신에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로 형성된 이-타입 편광판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타입 편광판에 의해 블랙을 구현하는 경우 관측 위치를 정면 방향에서 벗어나더라도 하부 편광판을 통과한 편광이 이-타입 편광판에 흡수되게 된다. 이로써, 빛샘의 발생 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으로써 종래 대비 콘트라스트비 및 시야각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광입사면 측에 위치하고 연신축과 투과축이 교차하는 오-타입 편광판과;
    상기 액정패널의 광출사면 측에 위치하고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따라 투과축이 결정되는 이-타입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이-타입 편광판의 투과축은 상기 오-타입 편광판의 투과축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입 편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의한 굴절율 및 액정셀갭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타입 편광판은
    일정 편광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상하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0.5~2㎛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의 광출사면 측에 위치하고 라이오트로픽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따라 투과축이 결정되는 이-타입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의 광입사면 측에 위치하고 연신축과 투과축이 교차하는 오-타입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입 편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상기 액정패널에 의한 굴절율 및 액정셀갭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타입 편광판은
    일정 편광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입 편광판은 0.5~2㎛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30095656A 2003-12-23 2003-12-23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6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656A KR100563465B1 (ko) 2003-12-23 2003-12-23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656A KR100563465B1 (ko) 2003-12-23 2003-12-23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300A KR20050064300A (ko) 2005-06-29
KR100563465B1 true KR100563465B1 (ko) 2006-03-23

Family

ID=3725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656A KR100563465B1 (ko) 2003-12-23 2003-12-23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4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300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504B1 (ko) 적층 1/4 파장판 또는 원편광판, 그를 사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0845B1 (ko) 액정표시장치
JP3894537B2 (ja) 反り応力の測定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の製造方法
US9358768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908773B1 (ko) 타원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US10207645B2 (en) Vehicle including mirror with image display apparatus
JP4573799B2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
EP3671333B1 (e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90131575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3050313A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KR100710966B1 (ko) 광학 시트, 편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486769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セット
KR100782017B1 (ko) 액정 프로젝터의 콘트라스트비 개선방법
KR100663074B1 (ko)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20100078259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991999B1 (ko) 액정표시장치용 광원측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56346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2464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98556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CN108885369B (zh) 偏振板组和使用了该偏振板组的ips模式液晶显示装置
KR101407304B1 (ko) Ips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60089402A (ko) 액정표시장치
JP2008299290A (ja) 液晶表示装置
JP6699514B2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6699513B2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