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208B1 -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208B1
KR100563208B1 KR1020050054479A KR20050054479A KR100563208B1 KR 100563208 B1 KR100563208 B1 KR 100563208B1 KR 1020050054479 A KR1020050054479 A KR 1020050054479A KR 20050054479 A KR20050054479 A KR 20050054479A KR 100563208 B1 KR100563208 B1 KR 100563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ayer
adhesive
paper
layer materia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968A (ko
Inventor
정우창
고경섭
Original Assignee
(주)그라미
(주)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라미, (주)보영 filed Critical (주)그라미
Priority to KR102005005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2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 인쇄된 종이;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상층재;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상온에서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접착 후 일정시간 이상 숙성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가 제공된다. 또한, 종이에 원하는 모양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종이와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상층재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층재와 상기 종이를 접합 후 이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이로 인하여, PVC 등의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배제하고,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제작 단가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식용 시트, 접착제, 숙성, 폴리우레탄

Description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DECOR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75713호에 따른 장식용 시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시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시트의 전체적인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숙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장식용 시트 110:종이
120:상층재 130:접착제
210: 제1롤러 220: 제2 롤러
230: 접착제 용기 240: 건조실
245: 건조실 팬 250: 제3 롤러
260: 가압롤러 300: 숙성실
310: 열풍팬 311: 열발생장치
312: 팬 320: 진공 펌프
본 발명은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가공하면서도 접착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이나 박리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제작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식용 시트의 구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시트란 재료를 보호하고 외관을 다양한 색상과 질감으로 표현한 마감재를 일컫는 것으로, 특히 실내 인테리어용품 건자재나 가구, 책상 등의 표면을 장식하는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장식용 시트는 도장하거나 적층(laminating)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적층되는 필름(laminating film)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PVC 장식시트와 종이, 그리고 멜라민 시트(melamine sheet)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PVC 장식시트를 나누어 보면 오버레이(overlay)용은 가구나 건축자재의 중밀도섬유판(이하,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이나 PB(Particle Board)의 평평한 상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소폭의 샷시나 몰딩부분 등 곡면가공이 필요한 부분에는 랩핑(wrapping)용이 사용된다.
최근 들어 다양한 목무늬 제품의 장식시트 이외에 도장질감의 외관을 갖는 PVC장식시트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PVC장식시트는 원하는 무늬를 표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도가 약해 표면에 흠이 생기거나 또는 일상 생활의 오염물에 오염되면 제거가 쉽지 않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색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많은 원가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 큰 문제점으로는 소각 또는 화재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므로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어 국제적으로 규제대상인 환경유해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실내공기오염방지법이 제정 시행되고 있는바, 건축자재 및 마감재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 유기용제 등의 화학물질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두통과 호흡기질환 등의 현상이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화학물질과민증이라 불리는 질병을 야기시키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종이 시트를 이용한 장식용 시트는 기재 표면에 인쇄된 종이시트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내구성과 내마모성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인쇄된 종이를 합성수지에 함침시켜 기재에 접착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 종이시트는 접착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이나 박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이와 멜라민 수지등의 합성수지를 접착하는 방식은 소위 열접착 방식으로서 제작공정상의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75713호는 표면수지층을 갖는 장식용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등록특허공보 175713호에 따른 장식용 시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종이(16)위에 함침용 수지(14)를 침투시킨 후 건조한 피복 함침된 종이(X)를 제작한 후, 표면층(18), 좁은 계면 부분(22) 및 제2 층(20)으로 구성된 장식용 적층시트(Y)를 제작하고, 이를 장식용 적층체(Z)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면층과 함께 가열 압착하여 적층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제작공정은 종이에 높은 압력 및 온도를 가하게 되므로 종이의 손상의 위험이 있으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다칠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가열 및 가압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식용 시트로서 저압 멜라민 함침지(Low pressure Melamine impregnated paper 이하, LPM)를 이용하는 방법은 종이에 요소수지를 이용하여 1차 함침시키고, 멜라민 수지를 이용하여 2차 함침시키며 이를 열과 압력을 가압하면서 보드를 생산하는 방식이므로 상기와 같이 종이의 손상의 위험이 있으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다칠 위험이 항상 존재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에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장식용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피니싱 포일(finishing foil)을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피니싱 포일은 모양지에 열경화성 수지(멜라민, 요소, 아크릴, PVA 등)를 함침시킨 후 표면을 도장 처리한 제품을 말한다. 이 제품은 LPM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무늬목 제품의 도장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피니싱 포일의 접착은 LPM과 달리 부가적으로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아크릴 공중합형 PVAC나 요소수지가 적합하며, EVA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피니싱 포일은 무늬목이나 다른 소재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 나 장식용 시트의 내마모성에서 심각한 문제를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의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식용 시트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용 시트를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여도 기포의 발생이나 박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식용 시트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식용 시트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식용 시트는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 인쇄된 종이;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상층재;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이와 상층재를 상온에서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접착 후 일정시간 이상 동안 숙성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재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PET, PP 등의 올레핀계 소재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구성비가 60:40 내지 85:15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적으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구성비가 약 70:30인 것이 좋다.
종이 상으로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PET, PP 등의 소재가 밀착하여 종이를 보호하기 때문에, 본 장식용 시트에 사용되는 종이는 약 30 내지 120/m2지와 같이 다양한 두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코 페이퍼(deco paper) 외에도 박엽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종이라도 본 발명의 장식용 시트로 사용될 수가 있다.
상기 종이는 유성 혹은 수성 인쇄를 한 후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이와 상층재를 접착한 후 접착된 시트를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될 수 있는 고온에서 진공 또는 확산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은 종이에 원하는 모양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종이와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상층재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층재와 상기 종이를 접합 후 이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에 인쇄하는 단계는 유성 혹은 수성 인쇄를 한 후 이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접합하는 단계는 제1 롤러에 감겨져 있는 상층재를 풀어서 제2 롤러까지 안내하는 상층재 안내단계; 상기 제2 롤러의 일부가 접착 제 용기에 잠겨 있어서 제2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부착단계; 및 하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상층재를 가압롤러까지 안내하며, 제3 롤러에 미리 감겨져 있던 종이가 풀어지면서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부착되어 함께 가압롤러를 거치는 가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부착단계는 건조실 팬이 구비된 건조실로 안내되어 접착제가 건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접합하는 단계는 제1 롤러에 감겨져 있는 상층재를 풀어서 제2 롤러까지 안내하는 상층재 안내단계; 상기 제2 롤러의 일부가 접착제 용기에 잠겨 있어서 제2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부착단계; 접착제가 묻어져 있는 상층재의 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제1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상층재를 건조실 팬이 구비된 건조실로 이송하여 접착제가 건조되는 단계; 및 제2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건조실에서 나온 상층재와 제3 롤러에 미리 감겨져 있던 종이가 풀어지면서 접착제가 묻어있는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부착되어 함께 가압롤러를 거치는 가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가 건조되는 단계는 건조실에서 수행되며, 그 건조실은 상기 상층재 안내단계, 상기 접착제 부착단계 및 가압단계가 수행되는 접착실 상층에 위치하여 제1 이송롤러에 의하여 상층재가 건조실로 이송되며 다시 제2 이송롤러에 의하여 접착실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접합된 상층재와 종이를 진공 펌프와 열풍팬이 구비된 숙성실 안으로 안내하여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될 수 있는 고온으로 유지 하여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시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시트(100)는 종이(110), 상층재(120) 및 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130)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110)는 약 30 내지 120 g /m2지를 사용한다. g/㎡은 평량을 말하는 것으로 가로, 세로 각 1m로 잘라진 종이를 무게를 일컫는 종이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이다. 상기 종이(110)는 원하는 무늬를 유성 혹은 수성 인쇄를 한 후 이를 건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상층재(120)에 사용되는 올레핀(olefin)계 수지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하,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이하,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이하, PC) 등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접착제(130)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데, 폴리우레탄은 화학적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합성된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선택범위가 넓으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가 각각 60:40 내지 85:1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조성비에 관하여 [표1]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1]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조성비의 예를 보인 표이다.
성분(단위, %)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A 85 15
B 55 45
C 70 30
일반적으로 폴리올은 접착제에 접착력을 제공하고, 이소시아네이트는 유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만약, 성분 A와 같이, 폴리올의 구성비가 85%를 초과하게 되면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성분 B와 같이, 폴리올의 구성비가 55%보다 작게 되면 접착력이 감소하고 경화 속도가 증가되어 상온에서 작업하기 곤란해 질 뿐만 아니라 생산비가 상승하게 된다. 즉, 이소시아네이트는 반응속도가 빨라 그 양이 많아지면 경화속도가 증가하고, 접착력이 떨어짐에 따라 시트의 박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험에 의하면 성분 C와 같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성비는 약 7:3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합물은 상온에서 조성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 다만, 이소시아네이트는 그 반응 속도가 빨라 그 구성비가 약 45%를 넘으면 경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제작이 어려워진다.
숙성과정은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될 수 있는 고온으로, 예를 들어 약 350~500 C정도, 유지되는 진공실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숙성시간은 48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접착제는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하게 되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비가 8:2 정도가 되며, 새집증후군이나 화학물질과민증의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을 제거하여 친 환경적인 장식용 시트로 거듭나게 된다.
상기 장식용 시트(100)는 중밀도섬유판(이하,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이나 PB(Particle Board) 등의 하층재(40)의 평평한 상부에 오버레이(overlay)용으로 사용되거나, 소폭의 샷시나 몰딩부분 등 곡면가공이 필요한 부분에는 랩핑(wrapping)용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장식용 시트는 PVC의 사용을 배제하고 숙성과정을 거침으로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제거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온에서 가공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식용 시트의 제작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시트의 전체적인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종이에 유성 혹은 수성 인쇄를 한 후 이를 건조시킨다(S1). 이를 롤러에 감아서 후술하는 접착 공정을 준비한다.
다음, PET, PP 등의 올레핀계 상층재를 종이와 접착시키게 되는데(S2), 그 자세한 공정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제1 롤러(210)에는 상층재(120)가 감겨 있으며, 이를 풀어서 제2 롤러(220)까지 안내한다. 제2 롤러(220)는 그 일부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130)가 담겨진 접착제 용기(230)에 잠겨있어서 제2롤러(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층재(120)의 하면에 접착제(130)를 바르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성비가 각각 60:40 내지 85:15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층재(120)는 건조실 팬(245)이 구비된 건조실(240)로 안내되어 접착제의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여 박리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후, 제3 롤러(250)에서 미리 인쇄된 종이(110)가 풀어지면서 상층재(12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층재(120) 및 종이(110)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260)를 거치면서 접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제1 롤러(210)에는 상층재(120)가 감겨 있으며, 이를 풀어서 제2 롤러(220)까지 안내하고, 제2 롤러(220)는 그 일부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130)가 담겨진 접착제 용기(230)에 잠겨있어서 제2롤러(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층재(120)의 하면에 접착제(130)를 바르게 되는 것은 전술한 예와 같다. 이 때, 상기와 같은 과정이 일어나는 접착실(400) 상층에 건조실(240)을 위치시키며, 접착제(130)가 묻어져 있는 상층재(120)의 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이송하는 제1 가이드 롤러(410)에 의하여 상기 건조실(240)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실(240)의 상부 벽면에는 건조실 팬(245)이 구비되어 건조를 돕게 된다. 접착제(130)가 묻어져 있는 면이 상부로 향하게 하여 자연적인 기화가 활발히 일어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건조실 팬(245)에 의한 바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상층재(120)는 다시 제2 가이드 롤러(420)에 의하여 접착실(400)로 안내되게 된다. 안내된 상층재(120)는 제3 롤러(250)에서 미리 인쇄된 종이(110)가 풀어지면서 상층재(12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층재(120) 및 종이(110)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260)를 거치면서 접착된다. 접착된 상층재(120) 및 종이(110)는 수납롤러(430)에 의하여 수납되게 된다.
다음, 장식용 시트(100)는 숙성과정을 거치게 되는데(S3), 이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숙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숙성실(300)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하여 장식용 시트(100)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숙성실(3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열풍을 불어넣어 그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풍팬(310)이 구비되며, 상기 숙성실(300)의 타측에 위치하여 숙성실을 진공시키는 진공 펌프(320)가 구비된다.
상기 열풍팬(310)은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장치(311)와, 상기 열발생장치(311) 주위의 가열된 공기를 숙성실(300) 내부로 불어넣는 팬(3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 펌프(320)는 숙성실(30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며, 확산 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대로 상기 숙성실(300) 내부는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될 수 있는 고온으로, 예를 들면 약 350-500 C 정도가 되도록 하며, 48시간 정도 숙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온에서 가공하면서도 접착과정에서 기포의 발생이나 박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VC 등의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배제하고,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웰빙 시대에 걸맞는 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재질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서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피니싱 포일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종이에 원하는 모양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종이와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상층재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층재와 상기 종이를 접합 후 이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에 인쇄하는 단계는 유성 혹은 수성 인쇄를 한 후 이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접합하는 단계는
    제1 롤러에 감겨져 있는 상층재를 풀어서 제2 롤러까지 안내하는 상층재 안내단계;
    상기 제2 롤러의 일부가 접착제 용기에 잠겨 있어서 제2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부착단계; 및
    하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상층재를 가압롤러까지 안내하며, 제3 롤러에 미리 감겨져 있던 종이가 풀어지면서 접착제가 묻어있는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부착되어 함께 가압롤러를 거치는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부착단계는 건조실 팬이 구비된 건조실로 안내되어 접착제가 건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접합하는 단계는 제1 롤러에 감겨져 있는 상층재를 풀어서 제2 롤러까지 안내하는 상층재 안내단계;
    상기 제2 롤러의 일부가 접착제 용기에 잠겨 있어서 제2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부착단계;
    접착제가 묻어져 있는 상층재의 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제1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상층재를 건조실 팬이 구비된 건조실로 이송하여 접착제가 건조되는 단계; 및
    제2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건조실에서 나온 상층재와 제3 롤러에 미리 감겨져 있던 종이가 풀어지면서 접착제가 묻어있는 상기 상층재의 하면에 부착되어 함께 가압롤러를 거치는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건조되는 단계는 건조실에서 수행되며, 그 건조실은 상기 상층재 안내단계, 상기 접착제 부착단계 및 가압단계가 수행되는 접착실 상층에 위치 하여 제1 이송롤러에 의하여 상층재가 건조실로 이송되며 다시 제2 이송롤러에 의하여 접착실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의 제작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접합된 상층재와 종이를 진공 펌프와 열풍팬이 구비된 숙성실 안으로 안내하여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될 수 있는 고온으로 유지하여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8.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 인쇄된 종이;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상층재;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상온에서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접착 후 일정시간 이상 숙성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구성비가 60:40 내지 85:15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구성비가 7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와 상기 상층재를 접착한 후에는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부 휘발될 수 있는 고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30 ~ 120g /m2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유성 혹은 수성 인쇄를 한 후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
KR1020050054479A 2005-06-23 2005-06-23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KR10056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79A KR100563208B1 (ko) 2005-06-23 2005-06-23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79A KR100563208B1 (ko) 2005-06-23 2005-06-23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68A KR20050079968A (ko) 2005-08-11
KR100563208B1 true KR100563208B1 (ko) 2006-03-22

Family

ID=3726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479A KR100563208B1 (ko) 2005-06-23 2005-06-23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708A (ja) 2001-02-23 2002-09-03 Fuji Kobunshi Kk 表面硬度、耐熱性および意匠性にすぐれた熱硬化性樹脂化粧積層シート
KR200364153Y1 (ko) 2004-07-07 2004-10-08 박복수 페트필름에 종이 장식지가 합지된 건조가열 접착시트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708A (ja) 2001-02-23 2002-09-03 Fuji Kobunshi Kk 表面硬度、耐熱性および意匠性にすぐれた熱硬化性樹脂化粧積層シート
KR200364153Y1 (ko) 2004-07-07 2004-10-08 박복수 페트필름에 종이 장식지가 합지된 건조가열 접착시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68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2849B2 (en) Panel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panels
KR100716404B1 (ko) 인쇄목질 단판층을 기재층에 적층한 강화 온돌마루
EP1985426B1 (en) Wood veneer surfaced decorative laminat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BRPI0812194A2 (pt) Placa de decoração laminada e processo para sua fabricação
JP2009101648A (ja) 木質複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1680A (ja) 強化床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US20060177633A1 (en) Back grooved wood flooring composed of hpl, waterproof plywood and soundproof layer, and method of manufactruing the same
KR20180026827A (ko) 컬링 현상이 없는 내오염성 화장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3055757A1 (en) The substantially formaldehyde-free laminat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formaldehyde-free laminates
JP2008120024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0563208B1 (ko)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CN111976255A (zh) 一种三聚氰胺饰面板中基材板的处理工艺
JP6489458B1 (ja) 床材
KR101939460B1 (ko) 친환경성 크라프트데코페이퍼의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멜라민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JP5879872B2 (ja) 床用化粧材
JP2577193B2 (ja) 耐熱性化粧板
US2004024790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ire-resistant laminated veneer-covering product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KR10163715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가구용 경량패널의 제조방법
JP2005288788A (ja) ラミネート部材製造装置
KR20200045293A (ko) 디자인시트가 부착된 불연 무기질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5859222B2 (ja) 木質床材の製造方法
JP2000167811A (ja) 板材およびこの板材を利用した建材
KR19990065077A (ko) 염화 비닐 수지 시트 적층 멜라민 수지 패션 벽 판넬
JP6153286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