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126B1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3126B1 KR100563126B1 KR1020040032061A KR20040032061A KR100563126B1 KR 100563126 B1 KR100563126 B1 KR 100563126B1 KR 1020040032061 A KR1020040032061 A KR 1020040032061A KR 20040032061 A KR20040032061 A KR 20040032061A KR 100563126 B1 KR100563126 B1 KR 100563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prestressed
- composite girder
- spans
- prestr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경간이상의 다경간 교량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 지점부에 연이어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 빔을 서로 연결한 다음 거더의 지점부 및 중앙부에 설치된 긴장장치에 의하여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시공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피에스씨 빔 및 강합성 거더를 포함한 프리스트레스 합성빔의 긴장효과와 부분적인 하강에 따른 상부 구조물에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설치하는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하강시 상대변위 측정을 할 수 있는 변위계를 부착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품질관리장치를 이용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ed to a multi-span bridge over two spans, connecting the beams installed at a constant height in succession to the inner point, and then by the construction stage so that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by the tension device installed in the point and the center of the gir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ridge using a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in which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including a PSC beam and a reinforced composite girder and a compressive stress is installed in an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a partial drop. It is to use a quality control device to prevent deformation by attaching a displacement gauge that can measure the relative displacement when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descends.
다경간 교량중에서 5경간까지 또는 5경간 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6경간 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에 일정한 높이의 고임을 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연속화하고 슬래브를 타설한 다음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양측단부 지점부에 설치된 정착구를 강연선으로 서로 연결한 지점부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압축력 도입으로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The first inner point of a bridge with an odd span of five to five spans or more than five spans, or an even span of six or more spans, and a fixed height at the first inner and central spots.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lab is poured, and then the prestressed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ension lines connected to the anchorages connected to the two end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To introduce
종래 업다운 및 다운 공법에서 적용하지 못했던 3경간 이상의 다경간 연속교에서도 양질의 내구성 향상과 원활한 시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종래기술과는 달리, 모든 교각에서 업다운 및 다운 공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5경간까지 또는 5 경간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에서만 다운을 실시하거나,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에서 하강을 실시하는 다운 공정에 의해서 필요한 프리스트레스를 상부 구조물에 도입하는 부분 다운공정을 거친다음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보의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정착구에 의하여 설치된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피에스씨 강재를 긴장함으로서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합성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있어서 피에스씨 강재와 부분적인 다운 공정에 의해서 시공단계별 압축력을 유발함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Unlike the prior art,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smooth construction even in multi-span continuous bridges of 3 spans or more, which were not applied in the conventional up-down and down methods, up to 5 spans are not performed in all bridge piers. Alternatively, the down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at the first inner point of a bridge having an odd span of five spans or more, or in the case of even spans of six or more spans.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tructure by tensioning the PS steel by introducing tension to the strand installed by the anchorag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after the partial down process of introducing the necessary pre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Prestress to the girder In the introdu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ausing the compressive force for each construction stage by the PS steel and the partial down process.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하강할 때 상기 거더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변위계를 부착하여 하강시 상기 합성거더에 유해한 응력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품질관리장치인 변위계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 prestressed composi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placement gauge, which is a quality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harmful stress from acting upon the synthetic girder, is installed by attaching a displacement meter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girder when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is lowered.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도 1 (a),(b),(c),(d),(e),(f)는 종래의 기술인 가지점 상승 및 하강을 이용한 피에스씨빔 연속교 시공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1 (a), (b), (c), (d), (e), (f) is a diagram showing a step-by-step CS bridge construction using a conventional branch point rise and fall.
도 2 (a),(b),(c),(d),(e),(f)는 본 발명의 부분 다운(Down) 공정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연속교를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Figure 2 (a), (b), (c), (d), (e), (f)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 in stages using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단면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3 is a view showing a section A of FIG. 2 in detail;
도 4는 도 2의 A 단면에 설치된 변위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cement meter installed in section A of FIG.
도 5는 도 4의 변위계의 횡방향 및 수직 스케일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5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ransverse and vertical scale of the displacement meter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고임 및 하강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Figure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ol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고임 및 하강장치를 내측 지점부 위에 설치한 것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the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ner point portion.
도 8(a)(b)(c)(d)(e)는 본 발명의 부분 다운 공정을 다경간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면.8 (a) (b) (c) (d) (e) show moments generated when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ver multiple spans.
도 9(a)(b)(c)는 또 다른 종래기술인 다경간 연속교에서 발생되는 모멘트를 보여주는 모멘트 분포도. Figure 9 (a) (b) (c) is a moment distribution diagram showing the moment generated in another conventional multi-span continuous bridge.
도 10(a)(b)는 본 발명의 부분다운 공정의 또 다른 실시예인 중앙부교각에서 다은공정을 실시하고 강연선에 의한 단계별 긴장을 부분적으로 하여 발생된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면. Figure 10 (a) (b) is a view showing the moment generated by performing the next step in the central pier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artially tensioned step by the strand.
도 11은 본 발명의 부분다운 공정의 도 다른 실시예인 내부교각에서 다운크기를 서로 다르게 한 부등다운에 의하여 발생된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면. FIG. 11 is a view showing a moment generated by uneven down with different down sizes in an inner pier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 연속교 11 : 외측 지점부 10: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11: outer point
12 : 내측 지점부 13 : 바닥판 12: inner branch portion 13: bottom plate
14 : 교좌장치 15 : 연결부 14: teaching device 15: connection portion
16 : 아스콘 포장 16: ascon packaging
20 ;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 20;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30 ; 하강량 31 : 고임량 30; Lowering amount 31: High wage
40 : 지점부 긴장장치 41 : 정착구 40: branch tension device 41: anchorage
42 : 강연선 42: stranded wire
50 : 중앙부 긴장장치 50: central tension device
60 : 고임 및 하강장치 60: pulling and lowering device
70 : 변위계 71 : 변위측정 수평프레임 70: displacement meter 71: displacement measurement horizontal frame
72 : 수포 73 : 방충패드 72: blister 73: insect repellent pad
81 : 수직 스케일 82 : 횡방향 스케일 81: vertical scale 82: lateral scale
83 : 날개부 84 : 눈금 83: wing 84: scale
85 : 구멍 86 : 결합철편 85: hole 86: bonded iron piece
100 : 피에스씨빔 101 : 지점부 100: PS seabeam 101: Branch part
102 : 중앙 지점부 103 : 교좌장치 102: central point portion 103: the chair device
110 : 피에스씨빔 111 : 가지점 110: PS seabeam 111: branch
112 : 고임량 113 : 상승량 112: high wage 113: increase
114 : 하강량 115 : 연결부 114: descending amount 115: connecting portion
116 : 바닥판 116: bottom plate
본 발명은 다경간의 교량에서 5경간까지 또는 5경간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에 일정한 높이의 고임을 하여 설치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바닥판을 타설하여 연속 화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양측단부 지점부에 설치된 정착구를 강연선으로 서로 연결한 지점부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합성거더에 도입하고,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f a bridge having an odd span of five spans or more than five spans or an even span among bridges having six or more spans has a constant height in the first inner spot and central spots. Point tension where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plate is placed and sequentially connected, and the anchorag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adjacent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strand.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mposite girder by introducing compressive stress using the device,
종래 업다운 및 다운 공법에서 적용하지 못했던 3경간 이상의 다경간 연속교에서도 양질의 내구성 향상과 원활한 시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종래기술과는 달리, 모든 교각에서 업다운 및 다운 공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5경간까지 또는 5경간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에서만 다운을 실시하거나,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에서 하강을 실시하는 다운 공정에 의해서 필요한 프리스트레스를 상부 구조물에 도입하는 부분 다운공정을 거친, 다음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보의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정착구에 의하여 설치된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피에스씨 강재를 긴장하여 후긴장 효과를 극대화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합성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있어서 피에스씨 강재와 부분적인 다운 공정에 의해서 시공단계별 압축력을 유발하도록 한 것이다. Unlike the prior art,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smooth construction even in multi-span continuous bridges of 3 spans or more, which were not applied in the conventional up-down and down methods, up to 5 spans are not performed in all bridge piers. Alternatively, the down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at the first inner point of a bridge having an odd span of five spans or more, or in the case of even spans of six or more spans of a bridge. After the partial down process of introducing the necessary pre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strand installed by the anchorag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to tension the PS steel to maximize the post-tension effect to the bridge upper structure. By introducing prestress, In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 to the composite girder, it is to induce compressive force by construction stage by PS steel and partial down process.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하강할 때 상기 거더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변위계를 부착하여 하강시 상기 합성거더가 하강량의 차이로 인하여 변위(tilting)되어 상기 합성빔에 유해한 응력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Prestress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composite gird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all when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is lowered by attaching a displacement meter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girder to prevent harmful stress on the composite bea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girders.
본 발명의 목적은 당초에 고임량 만큼 만 하강하므로서 종래 거더 상승으로 인해 지점부에 발생하였던 거더에 유해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상기 거더에 설치된 강연선을 긴장하여 거더에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므로서 연속교의 공사의 공정을 줄여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공사비를 절감하도록 하면서, 상기 거더 하강시 거더에 발생할 수 있는 편측처짐을 검측할 수 있도록 하여 거더에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는 품질관리장치인 변위계를 설치하고, 상기 연속교가 노후되거나 또는 교량의 내하력의 보강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거더에 설치된 상기 긴장장치를 재긴장하여 교량의 내하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후긴장 효과를 지닌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 연속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wer the amount of the original girder initially,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harmful stress on the girder that occurred in the point due to the conventional girder while tensioning the stranded wire installed in the girder so that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girder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bridge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process of the process, and to measure the unilateral deflection that may occur on the girder when the girder is lowered, so a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stress that may occur on the girder, To provide a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having a post-tension effect to reinforce the load capacity of the bridge when the continuous bridge is aging or reinforcement of the load capacity of the bridge to re-tension the tension device installed on the girder It is.
상기에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의 특징을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ummary of the features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1) 다경간 연속교중에서 5경간까지 또는 5경간 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경우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고임 및 하강장치(60)의 상부로 일정한 높이의 고임량(31)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설치하고, (1) In the case of bridges with odd spans of up to 5 spans or more than 5 spans in multi-span continuous bridges, the first inner spot and center spots in case of even spans among bridges of 6 spans or more. The
(2) 상기 빔(20) 양측면부의 상부 양측단부에 설치된 지점부 긴장장치(40)에 연결된 강연선(42)을 긴장하여 상기 거더(20)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며, (2) the prestress is introduc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3) 상기 5경간까지 또는 5경간 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고임량(31)에 의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다운(Down)하고, (3) If the first inner point of a bridge having an odd span of up to five spans or more than five spans, or an even span among six or more spans, a fixed high dose on the first inner spot and a central spot ( Down the prestressed
(4) 상기 빔(20)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중앙부 긴장장치(50)에 연결된 강연선(42)을 긴장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며, (4) to tension the
(5) 상기 내측 지점부(12)상에 일정한 고임량(31)으로 들어올려져 설치된 거더(20)를 하강할 때 고임 및 하강장치(60)에 설치된 변위계(70)에 설치된 수포(72)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2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교좌장치(14)에 안착되도록 하는 품질관리장치를 부착하여 교량의 품질을 관리하는 것이다. (5) When the
상기의 본 발명에 대응되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일본토목학회에서 1989년 3월 20일에 발행한 강, 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설계가이드라인에 소개된 중간지점 상승하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법이 소개되어 있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완공후 유지관리가 힘들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공법으로서 그 상세한 시공방법은 도 1의 시공순서와 같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tress introduction method by the mid-point rise and fall introduced in the design guideline of the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issued by the Japanese Society of Civil Engineers on March 20, 1989 is introduced. Due to the disadvantages of complicated and difficult maintenance after completion, the construction method is not used at present, the detailed construction method is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FIG.
상기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그 시공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struction sequence is as follows.
도 1의 (a)는 종래에 정정 구조물인 단경간 피에스씨빔 제작을 나타내는 것이며, Figure 1 (a) shows the manufacturing of short span PS beam which is conventionally a correction structure,
(b)는 상기 제작된 피에스씨빔(110)을 양측의 지점부(101)와 중앙 지점부(102)에 설치된 일정한 길이로 상향으로 올라간 가지점(111)인 유압잭에 상기 피에스씨빔(110)을 거치하여 중앙 지점부(102) 상에서는 상기 피에스씨빔(110)이 유압잭 위에서 일정한 고임량(112)으로 고임된 상태로 들어올려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b) is the PS beam (110) to the hydraulic jack that is the
(c)는 상기 중앙 지점부(102)에 연이어서 일정하게 고임된 상태로 된 상기 피에스씨빔(110)의 연속부에 철근 및 강판을 설치하고 이를 용접하여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연결부(115)를 형성하여 연속교(100)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c) installs reinforcing bars and steel sheets in the continuous portion of the
(d)는 상기 중앙 지점부(102) 상으로 일정한 고임량(112)으로 들어올려지게 설치된 상기 피에스씨빔(110)을 다시 일정한 양(113)만큼 상승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d) shows that the
(e)는 상기의 (d) 단계에서 고임량(112)과 상승량(113)만큼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기 피에스씨빔(110)의 상부에 바닥판(116)을 타설하고 빔과 빔을 연결하는 가로보를 설치한 다음 상기 들어올려진 상기 피에스씨빔을 다시 상기 고임량과 상승량만큼의 길이를 하강(114)하여 상기 중앙 지점부(102)에 설치된 교좌장치(103)에 안착시키는 것이며, (e) pours the
(f)는 상기의 (e) 단계를 거치 상기 연속설치된 상기 피에스씨빔(110)의 상부에 교량을 설치하도록 하여 피에스씨빔 연속교(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f) shows step by step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SC beam
상기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설치된 연속교(100)의 주요 구성부의 특징은, Features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1) 지점부 상에 일정한 고임량(112)에 의해 빔(110)을 고임설치한 후에 (1) After installing the
(2) 다시 상기 빔(110)에 일정한 크기의 상승량(113) 만큼 위로 상승시켰다가 (2) The
(3) 다시 상기 고임량과 상승량만큼 위로 들어 올려진 빔을 다시 상기 중앙 지점부(102)의 교좌장치(103)에 일정한 하강량(114)만큼 내려놓는 것으로서 (3) again lowering the beam lifted up by the high and rising amounts by a certain amount of descending 114 to the
즉, 들어올려진 빔을 다시 들어올리고 이렇게 이중으로 들어 올려진 빔을 하강하여 지점부에 안착시키 과정을 거치면서 연속교가 설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ntinuous bridge is installed while lifting the raised beam again and descending the beam which is lifted in this way to be seated at the point.
또한, 상기 공법을 이용하여 출원한 기술로서는 1998년 10월 08일자로 출원하여 제10-0328320호로 특허 등록된 "지점 상승 및 하강을 이용한 피에스씨 빔의 연속화 공법"과 1998년 01월 22일자로 출원하여 제10-0283603호로 특허등록된 "지점 상승 및 하강을 이용한 피에스 씨 빔의 연속화 공법"과 1999년 01월 21일자로 출원하여 제 10-0341342호로 특허등록된 "가지점의 상승.하강을 이용한 피에스 씨 빔교의 시공 및 보수, 보강공법"등이 있으며, 이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공법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는 기술로서 그 문제점으로서는 중앙 지점부의 응력개선을 목적으로 빔을 상승할 때, 바닥판 타설전의 지점부 구조계에서는 부모멘트가 추가로 작용하게 되어 빔 상연(上椽)에는 유해한 인장응력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므로 하강량을 상승량보다 더욱 크게 작용시켜 상기 빔의 상연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응력을 제거하고자 하였으나, 실제 시공시에는 상승 및 하강량의 편차만큼을 조절하여야 하기에 상당한 크기의 상승 및 하강량을 필요로 하여 시공성이 복잡하고,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점과 지점부에서는 유해한 응력이 도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In addition, as a technology filed using the above method, filed on October 08, 1998 and registered as a Patent No. 10-0328320, "Continuous Method of PS Beam Using Point Rise and Fall" and January 22, 1998 The application method is a patented "No. 10-0283603", "Pease C beam continuity method using the rising and falling poi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date of January 21, 1999, and registered as "10-0341342",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branch Construction,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S beam beam bridge, which is used, and the same method as the above-mentioned method, which also includes the following problems. The problem is to raise the bea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tress at the central point. At this time, in the structure of the point part before the bottom plate is placed, the parent moment acts additionally, and harmful tensile stress is additionally generated at the upper edge of the beam. To remove the harmful stress generated at the upper edge of the beam by acting greatly, but in actual construction, as much as the amount of rise and fall must be controlled by the deviation of the rise and fall amount, the construction complexity is complicated, Problems such as increased construction costs and harmful stresses have been introduced at the branch.
참고적으로 상기 도 1에서 적용하고 있는 30m 경간의 연속교에서의 고임량(112)은 150mm이며, 상승량(113)은 200mm이고, 상기 고임량(112)과 상승량(113)을 합한 하강량(114)은 350mm이다.For reference, the
즉, 상기에서 설명한 연속교의 특징을 상기의 수치를 대입하여 설명하면,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ous bridg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y substituting the above numerical values.
(1) 지점부 상에 일정한 고임량(150mm)에 의해 빔이 고임설치된 후에 (1) After the beam is fixedly installed by a constant high dose (150 mm) on the point portion
(2) 다시 상기 빔에 일정한 크기의 상승량(200mm) 만큼 위로 상승 (2) ascending up the beam by a certain amount (200 mm)
(150mm+200mm)시켰다가 (150mm + 200mm)
(3) 다시 상기 고임량과 상승량만큼 위로 들어 올려진(150mm+200mm) 빔을 다시 상기 중앙 지점부의 교좌장치에 하강량(350mm) 만큼 내려놓아 연속교를 설치 (3) Install the continuous bridge by lowering the beam (150mm + 200mm) that is lifted up by the high dose and the amount of lift up by the amount of descending (350mm) to the seating device of the central point.
하는 것이다.It is.
상기에서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기술적 차이점을 설명한 것을 발생되는 응력도를 이용하여 다시한번 요약하여 비교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technical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in the above summarized once again by using a degree of stress generated as follows.
상기의 모멘트 비교표에서보는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공법에서는 상향으로 200mm의 상승량 만큼 빔을 들어 올리는 업(UP)공정이 적용되어 모멘트가 발생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업(UP) 공정이 없어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후긴장 공정이 없어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긴장 공정이 있어 모멘트가 발생되는 것을 볼 수가 있다.As shown in the above moment comparison table, in the prior art, a moment is generated by applying an up (UP) process of lifting a beam upward by 200 mm,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up (UP) process and a moment is generated.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post-tension process and no moment is genera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ost-tension proce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oment is generated.
즉, 다시말하면 종래기술의 업(up)공정은 빔을 지점부에서 상향으로 다시 들어 올린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로인하여 상기 빔에 유해한 응력이 작용되어 빔에 균열등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빔을 다시 들어올리는 공정인 업(up)공정이 없어 빔에 유해한 응력이 발생되지 않아 빔에 균열등이 발생될 소지를 원천적으로 배제한 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의 후긴장공법은 본 발명에서는 빔의 중앙부 하부에 강연선을 정착구를 이용하여 설치하여 빔을 지점부에 설치하고 빔을 연속화 시킨 후에 상기 빔에 설치된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프리스트레스를 빔에 도입하는 것으로서 빔에 내하력을 보강하는 의미인 반면에 종래기술에서는 후 긴장 공정이 없어 빔에 별도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의 후긴장에 사용된 정착구와 강연선은 나중에 교량의 노후화 및 내하력의 보강이 필요할 때 상기 강연선을 재긴장하여 빔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보수보강장치로서도 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rior art up process means that the beam is lifted upward from the point part, which means that harmful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beam and cracks may be generated in the bea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up process, which is a process of lifting the beam again in the prior art, so that harmful stress does not occur in the beam, and thus, the possibility of causing cracks in the beam is basically excluded. In the post-tension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an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eam by using a fixing unit, the beam is installed at a point, and after the beam is continually introduced, the prestress is separately introduced into the beam by introducing a tension force to the strand installed on the beam.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post-tension process, so the beam is prestressed separately. It means that there can be introduced. In addition, the anchorage and the strand used in the post-tension as a reinforcing reinforcement device to re-tension the strand when the aging of the bridge and reinforcement of the load is required later to introduce tension to the beam to extend the durability of the bridge. It is to play a role.
상기의 모멘트 비교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업(up) 공정시 단면제원과 본 발명의 다운(down) 공정시의 단면제원이 서로 동일하다면, M7=M5-M3, M8=M6-M4인 관계가 형성되므로 후 긴장 효과 크기만큼, 즉, M9와 M10 만큼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구조역학적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above moment comparison table, if the cross-sectional specification in the up process and the cross-sectional specification in the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in the prior art, M7 = M5-M3 and M8 = M6-M4. As the relationship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al dynamic effect by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by the magnitude of the post-tension effect, that is, M9 and M10.
시공성 면에서도 무거운 중량 구조물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과 세밀한 주의가 요구되는 시공이기에 종래기술에서는 채택하고 있는 업(UP) 공정을 본 발명에서는 배제하고 빔을 하강할 때 빔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운(DOWN) 공정만을 실행한다면 간편한 시공성과 후긴장 효과를 응용한다면 경제적이고 품질이 확보된 내구성이 우수한 교량건설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 모멘트 비교표에서 확실하게 입증하고 있다. In terms of workability, since the construction requires a great deal of power and attention to raise a heavy weight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the UP process, which is adopted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beam can be leveled when the beam descends. The moment comparison table clearly demonstrates that if only the DOWN process is carried out, simple construction and post-tension effects can be applied and economical and secured bridges with excellent quality can be constructed.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2002년 5월 8일자로 출원하여 등록번호 제20-0285993호로 등록된 "상승 공정이 생략된 다경간 연속 합성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교량에서 발생되는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 9와 같이 모멘트가 발생되며, 상기 고안은 주형을 거치하고 연결전에 외측지점 및 내측지점 위에 설계 하강량 만큼 거치고임을 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고임을 제거하여 주형의 하부 플랜지와 내측 지점부의 바닥판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거이다. Another prior art relates to a "multi-span continuous composite structure without an ascending process," filed on May 8, 2002, registered under registration number 20-0285993, which shows a moment generated in a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oment is generated as shown in Figure 9, the design is to mount the mold and before the connection and the amount of the design fall on the outer point and the inner point before the connection, and the bottom flange of the mold by removing the mounting gripping in the state of plac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plate concrete at the inner point.
상기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When describing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invention in detail
- 내측지점에는 바닥판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하강량에 상응하는 거치고임을 설치하면서 2개소의 외측지점중 어느 1개소의 외측지점부에 거치고임을 하고 상기 거치고임을 해제하여 바닥판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거나, -At the inner point, install the mounting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descending amount to introduce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and attach it to the outer point at any one of the two outer points, and release the mounting ring to apply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Introducing,
- 내측 지점에 거치고임을 실시하면서 2개소의 외측지점 모두에 거치고임을 하고 상기 거치고임을 해제하여 바닥판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것이다. -It is to apply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by releasing the ridge and releasing the ridge in both of the two outer points while carrying out the ridge in the inner point.
상기의 기술내용은 결국 내측지점부와 외측의 지점부 2개소 전부 또는 1개소에 거치고임을 실시하여 상기 지점부상에는 최소한 1개의 경간사이에 있는 거더는 항상 전체가 고임된 상태이며 이를 하강하는 것으로서 최소한 1개의 거더 전체가 통째로 고임되었다가 하강하는 것입니다. The above description is carried out at all or one of the two points of the inner branch and the outer branch, so that the girder between at least one span is always in the state of being totally held on the branch and is lowered. The whole of one girder is held down and descends.
도 9와 같이 상기의 종래기술을 적용한 5경간 연속교에서 첫 번째 내측교각의 부모멘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모든 내측 지점부 교각에서 다운 공정을 하게되면, 도 9(b)와 같이 모든 지점부에서 다운한 경우 중앙부에 위치한 내측 교각에서는 부모멘트 Ma가 발생되어, 설계하중에서의 모멘트 분포도와 중첩으로 작용하여 유해한 품질상태를 나타내는 문제점과, 내측교각등이 추가로 설계되거나, 혹은 시공오차에 의해 추가로 지점침하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설계하중하에서 가장 큰 부모멘트를 받고 있는 첫 번째 내측 교각에서는 오히려 정모멘트(Mc)가 발생되는 모순점등에 의해서, 종래 기술은 5경간 이상의 교량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구조역학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국내 및 국외에서도 상기 기술을 5경간이상에 적용한 설계 및 시공사례가 없으며, 전 지점부에서 동일한 양의 다운 및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In the five-span continuous bridge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as shown in FIG. 9, when the down process is performed at all inner point piers to control the parent moment of the first inner piers, as shown in FIG. In one case, a parent moment Ma is generated in the inner pier located in the center part, and it acts as a moment distribution and superimposition of the design load, indicating a harmful quality state, and an inner pier is additionally designed, or additionally due to construction errors. If a problem such as point settlement occurs, the contradiction point in which the positive moment (Mc) is generated in the first inner pier that receives the largest parent moment under the design load, the prior art cannot be applied to bridges longer than 5 spans.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s, there are no cases of design and construction that apply the above technology to more than 5 spans in Korea and abroad. And, there is a very difficult dis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to make the same amount of down and rise at all poin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서, 기존의 피에스씨 콘크리트빔교 뿐만아니라,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강교에서도 똑같은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기에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라 칭하며, 이러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내측 지점부 또는 내측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의 고임량 만큼 거치된 거더를 상기의 고임량 만큼 만 하강하므로서 거더에 유해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상기 거더에 설치된 강연선을 긴징하여 거더에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연속교의 교량 설치공사의 공정을 줄여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공사비 를 절감하고, 상기 거더의 하강시 하강에따른 거더의 편측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위계를 설치하여 교량시공시 거더에 유해한 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품질관리장치인 변위계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연속교가 노후되거나 또는 내하력의 보강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거더에 설치된 상기 긴장장치를 재긴장하여 교량의 내하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후긴장 효과를 지닌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연속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same principle is applied to not only the conventional PS concrete beam bridge, but also pre-stressed steel bridge is called prestress composite girder, such pre-stress composite girder, the pre-stress composite girder Alternatively, by lowering the girder mounted by the high dose of a certain height on the inner point and the central point by only the high dose,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to the girder by lengthening the stranded wire installed in the girder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harmful stress on the girder.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reducing the process of bridge installation work of continuous bridges,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to prevent unilateral sagging of girders due to the lowering of the girders, a displacement gauge is installed to prevent harmful stresses on the girders. So that you can precisely install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with post-tensioning effect to reinforce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by installing a displacement gauge as a quality control device and re-tensioning the tension device installed on the girder when the continuous bridge is deteriorated or the load capacity needs to be reinforced. It is to provide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다경간의 교량에서 5경간까지 또는 5경간이상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에 일정한 높이의 고임을 하여 설치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바닥판을 타설하여 연속화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양측단부 지점부에 설치된 정착구를 강연선으로 서로 연결한 지점부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합성거더에 도입하고, 상기 5경간까지 또는 5경간 이상, 즉 6경간 부터의 교량중 홀수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6경간이상의 교량 중에서 짝수의 경간인 경우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고임량(31)에 의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다운(Down)하고,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f a bridge having an odd span of five spans or more than five spans or an even span among bridges having six or more spans has a constant height in the first inner spot and central spots. Point tension device that is installed by the stiffness of the joint, adjacently installe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ottom plate is placed in a continuous manner, and anchor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adjacent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nected by a strand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mposite girder by introducing the compressive stress, and the first inner point of the bridge having the odd span of the bridge up to 5 spans or more than 5 spans, i.e., from 6 spans or more spans For even spans, a constant high dose (3 Down the prestressed
상기 빔(20)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중앙부 긴장장치(50)에 연결된 강연선(42)을 긴장하여 후긴장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교량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 레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o maximize the post-tension effect by tensioning the
상기 내측 지점부(12)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고임량(31)으로 들어올려져 설치된 거더(20)를 하강할 때 고임 및 하강장치(60)에 설치된 변위계(70)에 설치된 수포(72)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2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교좌장치(14)에 안착되도록 하는 품질관리장치를 부착하여 교량의 품질을 관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When descending th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a),(b),(c),(d),(e),(f)는 본 발명의 부분 다운(Down) 공정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연속교를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2 (a), (b), (c), (d), (e), and (f)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 step by step using a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
(a)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피에스씨빔 혹은 강합성 거더교를 제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a) shows the manufacture of the PS seam beam or the composite girder bridge into which the prestress used conventionally is introduced,
(b)는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양측의 외측 지점부(11)와 내측 지점부(12)에 상기 거더를 거치하면서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로 상향으로 올라간 고임 및 하강장치(60)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 위에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거치하여 내측 지점부(12) 상에서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가 유압잭 위에서 일정한 고임량(31)으로 고임된 상태로 들어올려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b) is the prestress
(c)는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로 상향으로 고임된 상태로 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연속 부에 철근 및 강판을 용접설치하고 연속부에 콘크리트로 충전양생하여 연결부(15)를 형성하여 연속교(100)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c) welds and installs reinforcing steel and steel plate to the continuous portion of the prestressed
(d)는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로 상향으로 일정한 고임량(31)으로 들어올려지게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상부에 바닥판(13)을 타설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양측단부 지점부에 설치된 정착구를 강연선으로 서로 연결한 지점부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합성거더에 도입하는 것을 보여주며, (d) is a bottom plate (13) on top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20), which is installed to be lifted at a constant high dose (31) upwards at a constant height on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central point portion. ) Shows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 into the composite girder by introducing compressive stress using the point tensioning devic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strand of anchorag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 composite girder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e)는 상기의 (d) 단계에서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연이어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에 변위계(70)를 서로 연결부착 설치하고 상기 고임된 상태의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하강하면서 상기 변위계(70)에 설치된 수포(72)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20)가 수평을 이루면서 하강하도록 하여 편측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지점부(12)에 설치된 교좌장치(14)에 안착시키는 것이며, (e) is a hydraulic jack or screw which is the spooling and lowering devic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tressed
(f)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강연선(42)을 각각 긴장하여 거더(20)에 후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상기 연속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상부에 도로포장(16)을 하고 상기 거더(20)의 주위에 설치된 정착장치(40, 50) 및 강연선(42)에 부식방지를 하여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 연속교(10)를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f) the road paveme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inuously installed prestressed
본 시공방법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is construction method
(1)은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로 상향으로 올라간 고임 및 하강장치(60)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 위에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고임거치하고, (1) sticks the prestressed
(2)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양측단부 지점부에 설치된 정착구를 강연선으로 서로 연결한 지점부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합성거더에 도입하고, (2) introduces the prestress into the composite girder by introducing a compressive stress using a point tens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trand of anchorag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 composite girder;
(3)은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연이어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에 변위계(70)를 서로 연결부착 설치하고 상기 고임된 상태의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하강하면서 상기 변위계(70)를 이용하여 수평을 이루면서 하강하도록 하고,(3) is a
(4)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강연선(42)을 각각 긴장하여 거더(20)에 후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다. (4) is to tension the
상기 일정한 고임량(31)으로 고임된 거더(20)를 다시 고임량 만큼 하강량(30)으로 하여 하강시키는 것은 상기 거더(20)에 유해한 응력인 균열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lowering of the
상기의 고임량 만큼 거더를 하강하므로서 혹시 있을 수 있는 내하력의 부족에 대하여는 상기 거더(20) 양측면의 상부 양측단부와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지점부 긴장장치(40) 및 중앙부 긴장장치(50)에 연결된 강연선(42)을 긴장하여 상기 거더(20)에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내하력을 보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Regarding the lack of load capacity that may be possible by lowering the girder as much as the high dose, the stranded wi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both ends of the
상기의 지점부 긴장장치(40) 및 중앙부 긴장장치(50)는 상기 연속교(10)가 노후되거나 또는 내하력의 보강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각각의 긴장장치(40,50)에 연결된 강연선(42)을 재긴장하여 교량의 내하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보수보강을 위하여 설치한 것이기도 하다. The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에 일정한 고임량(31)으로 고임된 거더(20)를 다시 고임량 만큼을 하강량(30)으로 하여 하강하는 경우, 일반적인 30m경간 연속교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경우, 고임량(31)이 150mm가 되도록 들어올려 거치하고, 상기 고임량인 150mm를 다시 하강량(30)으로 하여 하강한 다음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설치된 교좌장치(14)에 안착시켜 교량(10)을 설치하는 것이다. In the case where the
도 3은 도 2의 A단면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고임량(31)으로 들어올려져 연이어서 설치된 거더(20)를 하강할 때 상기 거더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고임 및 하강장치(60)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에 복수개 이상의 변위 측정 수평프레임(71)을 상하로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변위 측정 수평프레임(71)의 중앙부에 수포(72)가 형성되어 있다.3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A of FIG. 2 in detail, when lowering the
상기의 거더(20)를 고임량(31) 만큼 하강할 때 순차적으로 상기 고임 및 하강량 장치(60)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을 하강하면서 상기 거더(20)가 수평을 이루면서 하강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에 편차등이 발생되어 상 기 거더(20) 편차에 따른 변위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때 상기 변위계(70)인 상기 변위 측정 수평프레임(71)에 설치된 수포(72)가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상기 거더(20)를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거더(20)의 편차에 따른 편차변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When the
이때 상기 변위 측정 수평프레임(71)이 복수개로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의 측면에 부착되어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복수개로 확인을 하게되면은 한 개로 실시 하였을때보다 수평을 확인하는데 보다 정밀하게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measuring
상기 변위 측정 수평프레임(71)의 중앙부에 설치된 수포(72)는 측량시 측량기가 수평을 이루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만약 측량기가 수평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수포(72)가 중앙에 위치하게되므로 이를 확인한 후에 측량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연속교(10)의 시공에도 적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임 및 하강 장치(60)가 수평을 이루고 하강할때에는 상기 변위 측정 수평프레임(71)에 설치된 수포(72)가 중앙에 위치하게되므로 하강작업을 계속하게되는 것이다. The
도 4는 도 2의 A 단면에 설치된 변위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연이어서 설치된 상기 거더(20) 하부에 각각 고임 및 하강장치(60)를 설치하고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와의 사이에 상하로 복수개의 횡방향 스케일(82)을 결합부(87)에 의하여 연결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스케일(82)과 접하게 복수개의 수직 스케일(81)을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 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수직으로 고정설치한 변위계(70)인 것이다.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cement meter installed in the cross-section A of Figure 2,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central point portion on the
도 5는 도 4의 변위계의 횡방향 및 수직 스케일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설치된 고임 및 하강장치(6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수직 스케일(81)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스케일(81)과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교하도록 한 횡방향 스케일(82)을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스케일(82)의 양측단부에 중앙부에 구멍(85)이 형성된 일정한 크기의 결합철편(86)을 형성하도록 한 변위계(70)이다. 5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scale installation method of the displacement meter of Figure 4, as described in Figure 4 above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centering portion installed on the lower point ( 60, a plurality of
상기 횡방향 스케일(82)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결합철편(86)을 후술하는 도 6의 고임 및 하강장치(60)의 상하부에 설치된 날개부(83)에 볼트너트 연결을 하던지 용접을 하여 연결설치하는 것이다. The bolted connection or welding is performed by connecting
상기 수직 및 횡방향 스케일(81,82)의 전체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8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눈금을 이용하여 하강량을 일정하게하여 하강량이 서로 다르게되어 발생되는 빔의 편측변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임 및 하강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부에 설치되는 부분과 상부의 거더(20)의 하부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부분의 사이에 유압 또는 스크류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가동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두 부분의 측면에 일정한 크기의 날개부(83)가 형성되되 상기 날개부(83)의 중앙에 구 멍(84)을 형성하고, 상기 거더(2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부분에는 방충패드(73)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가 거더(20)에 밀착되어 하강시 거더(20)의 자중에 따른 충격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Figure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ol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portion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도 7은 본 발명의 고임 및 하강장치를 내측 지점부 위에 설치한 것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부면에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를 네방향으로 설치하고 이들을 서로 변위계(70)로 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20)를 하강하는 것이다.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the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ner point portion in a plan view, as shown in the draw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central point por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stall the 60 in four directions and install them by connecting to each other with a
상기의 고임 및 하강장치(60)는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거더(20)의 하부에 밀착 설치하는 것으로서, 거더(20)가 설치되는 하부에 본 도에서와 같이 설치하게 된다. Said hoisting and lowering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를 보여주는 도면이 스크류 잭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유압잭 및 지렛대를 이용한 잭(도시생략)도 아울러 사용할 수 있음도 밝혀두는 바이며 또한 상기의 모든 종류의 고임 및 하강장치(60)에 적용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모든 종류의 변위계(70)를 적용 활용할 수 있음도 아울러 밝혀두는 바이다. Although the drawing showing the pooling and lowering
상기 도4, 도 5에서 언급하고 있는 고임 및 하강장치(60)와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도 3에서 변위 측정 수평 프레임(71)을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와 연결하는 방법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4 and 5, the method of connecting with the stool and lowering
또한, 상기 변위계(70)는 기계적인 장치인 것인 반면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 기 고임 및 하강장치(60)에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를 컴퓨터에 연결하면서 상기 고임 및 하강장치(60)인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에 연결하여 컴퓨터에 이미 프로그램으로 저장시켜 놓은 하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빔(20)의 하강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거더(20)에 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유압잭의 유압량 또는 스크류 잭의 하강량을 조절하면서 하강하도록 하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In addition, while the
도 8(a)(b)(c)(d)(e)는 본 발명의 부분 다운 공정을 다경간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모멘트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도에서는 5경간 연속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2경간이상의 모든 연속교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인 것이다. 8 (a) (b) (c) (d) (e) illustrate moment distributions generated when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multiple spans. In this figure, a five span continuous bridg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to all continuous bridges of more than two spans.
도 10(a)(b)는 본 발명의 부분다운 공정의 또 다른 실시예인 중앙부 교각에서 행하고 강연선과 같은 PS 강재에 의한 단계별 긴장을 부분적으로 시행하여 발생된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중앙부 교각에서 다운 공정을 실시하여 모멘트가 발생된 것이며, (b)는 중앙부 교각에서 다운공정을 실시하고 단계별 긴장을 실시할 때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부분 스트레싱의 위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ure 10 (a) (b) is a view showing the moment generated by partially performing step tension by a PS steel, such as a strand, in a central pie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Moment is generated by performing the down process in the center piers, and (b) shows the location of the partial stresses that occur when the dow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iddle piers and stepwise tension is applied.
도 11은 본 발명의 부분다운 공정의 또 다른 실시예인 내부교각에서의 다운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부등다운 시키므로서 발생된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내측교각과 외측교각의 다운크기를 서로 다르게 한 것이다.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moment generated by varying down sizes in the inner pier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al d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fferently down, and different down sizes of the inner piers and the outer piers.
상기의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연속교 설치단계를 본 도의 모멘트 분포도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step of installing the continuous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lready described in FIG. 2 in connection with the moment distribu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피에스씨빔 혹은 강합성 거더교를 제작하여 상기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로 고임거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연속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연결부(15)를 형성 및 바닥판을 타설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의 양측단부 지점부에 설치된 정착구의 강연선을 긴장하여 상기 합성거더에 압축력을 도입하고, 상기 변위게에 의한 편측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를 하강하여 교좌장치(14)에 안착시키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20)의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강연선(42)을 각각 긴장하여 거더(20)에 후 긴장력을 도입하여 설치한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 연속교(10)를 보여주는 것이며, (a) fabricates a PSC beam or a composite girder bridge into which prestresses used in the prior art are introduced, and are high-mounted on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center point portion,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 Placing concrete on the continuous part of 20) forms the connecting
(b)는 상기 순서에 의하여 설치된 연속교에 설계하중 모멘트 분포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b) shows the design load moment distribution on the continuous bridge install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c)는 상기 거더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분포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c) shows the prestress distribution diagram introduced into the girder,
(d)는 종래 기술과 다르게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 번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만 거더에 고임을 실시하고 고임량 만큼만 다운(Down)시켜서(본도의 화살표가 다운(Down)공정을 의미함) 발생된 모멘트 분포도이다. (d)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by holding the girder on the first inner point or the first inner point and the center point and down only by the high dose (the arrow of the main figure is down). Moment distribution).
여기서 첫 번째 내측 지점부에만 설치된 거더의 고임을 하강하는 이유는 종래 모든 지점에 설치된 거더를 다운시키는 것과 비교해서 본 도의 모멘트도에서와 같이 그 성향이 전 교각을 다운했을때와 유사하나 첫 번째 내측교각에서는 그 크기가 2배이상 커서 효과적이며 ( Mb<<Md), 중앙부 내측교각이 추가로 침하되어 도 부분다운 공정과 강연선과 같은 PS 강선을 긴장하므로서 중첩효과에 의해서, 지점부에서는 정모멘트가 중앙부에서는 부모멘트를 유발시켜 설계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공정임을 알 수 있다. Here, the reason for lowering the girder of the girders installed only in the first inner point part is similar to when the entire piers are down as in the moment diagram of this figure, compared to bringing down the girders installed in all conventional points. The size of the piers is more than twice as large (Mb << Md), and even if the inner piers are subsided, the moment of tension is increased due to the overlapping effect by tensioning the PS steel wires such as the partial down process and the strand. In the center, it can be seen that it is a very effective process to offset the design load by inducing parent.
(e)는 상기 거더의 중앙부에 설치된 정착구에 연결된 강연선인 피에스 강재중 최초에 제작시 긴장되지 않은 강연선을 후긴장하여 상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추가로 도입하여 발생된 모멘트를 보여주는 것이다. (e) shows the moment generated by additionally introducing prestress into the upper structure by stretching the unstrained strand in the first steel manufacture, which is a strand steel connected to the anchorag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girder.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종래 기술에서 나타난 Ma, Mc와 같은 문제점을 부분다운 공정에 의한 Md와 단계별 강연선과 같은 PS 강재의 긴장을 통한 효과에 의해서 제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use of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liminated by the effects through the tension of the PS steel, such as Md and stepped strand by the step down process Ma, Mc such as shown in the prior art.
이상과 같이 피에스 강재인 강연선의 긴장과 부분적인 다운 공정에 의한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 공법을 적용한 결과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 간편한 시공성과 내구성 향상으로 경제적이며 우수한 연속교를 건설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 of applying the prestressing method introduced stepwise by the tension and partial down process of the steel strand of the PS steel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conomical and excellent continuous bridge by simple construction and improved dur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합성거더를 이용하여 2경간이상의 다경간 연속교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첫째 내측 지점부 또는 첫째 내측 지점부 및 중앙 지점부 상에 일정한 높이의 고임량 만큼 거치된 빔을 상기의 고임량 만큼 만 하강하므로서 거더에 유해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상기 거더에 설치된 강연선을 긴장하여 빔에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연속교의 교량 설치공사의 공정을 줄여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공사비를 절감하고, 상기 거더의 하강시 하강에따른 빔의 편측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위계를 설치하여 교량시공시 빔에 유해한 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품질관리장치인 변위계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연속교가 노후되거나 또는 내하력의 보강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의 빔에 설치된 상기 긴장장치를 재긴장하여 교량의 내하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경제적이면서 교량 시공시 교량의 계획된 내구연한을 지킬 수 있도록 품질을 철저하게 관리하면서 교량의 노후 및 내하력의 보강이 요구될때에도 보수보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연속교의 시공방법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pan continuous bridge of two spans or more using a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wherein the beam mounted on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or the first inner point portion and the center point portion by a high dose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It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by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process by reducing the process of bridge installation work of continuous bridges by tensioning the stranded wire installed in the girder whil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harmful stress on the girder while reducing only the high dose of In order to prevent the lateral deflection of the beam due to the descending of the girder, by installing a displacement meter, a displacement gauge, which is a quality control device, is installed so that precise construction is performed so that no harmful stress is generated in the beam during bridge construction. The long installed in the beam in case of aging or reinforcement of load capacity It is economical to reload the equipment to reinforce the load capacity of the bridge, and it is easy to reinforce the reinforcement even when the retirement and load capacity of the bridge is required while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bridge to ensure the bridge's planned durability life. It is a very efficient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
Claims (1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0847 | 2004-03-26 | ||
KR1020040020847 | 2004-03-26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2693U Division KR200357814Y1 (en) | 2004-05-07 | 2004-05-07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511A KR20050095511A (en) | 2005-09-29 |
KR100563126B1 true KR100563126B1 (en) | 2006-03-24 |
Family
ID=3727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2061A KR100563126B1 (en) | 2004-03-26 | 2004-05-07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312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0997B1 (en) * | 2006-07-18 | 2007-05-2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crete slab |
KR100720996B1 (en) * | 2006-07-18 | 2007-05-2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slab |
KR101383138B1 (en) * | 2013-10-24 | 2014-04-09 | 박정환 | Uniformly loa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flex composite bea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739B1 (en) * | 2007-08-28 | 2010-03-11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Long-spa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
-
2004
- 2004-05-07 KR KR1020040032061A patent/KR10056312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0997B1 (en) * | 2006-07-18 | 2007-05-2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crete slab |
KR100720996B1 (en) * | 2006-07-18 | 2007-05-2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slab |
KR101383138B1 (en) * | 2013-10-24 | 2014-04-09 | 박정환 | Uniformly loa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flex composite be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511A (en) | 2005-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114287B2 (en) | ||
KR100890455B1 (en) | Loading apparatus using gravitational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preflex composite girder using the loading apparatus | |
CN111021256B (en) | Construction method for hoisting heavy-tonnage high-precision steel box girder | |
US5144710A (en) |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CN110700113B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 applying device of non-prestressed beam bridge | |
CN113565010A (en) | Gate-type pier cross beam construction method and formwork | |
CN112609595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losure section of beam-arch combined rigid frame bridge | |
CN113186836A (en) | Construction method of brand-new prestress integral bridge falsework | |
KR101140433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 |
KR100563126B1 (en)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US5553439A (en) |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 |
KR100840190B1 (en) | I-beam segment connection method equipped with prestress steel synthetic concrete upper flange for continuous bridge | |
KR200357814Y1 (en)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 |
KR200353950Y1 (en)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constructed by int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prestressed by a construction stage and compression stress to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partial down process | |
CN115162173A (en) | Construction method of square steel-concrete combined type portal pier | |
KR20080095397A (en) |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gi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1218893B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existing line-crossing bridge by newly-added pier column bearing steel truss girder | |
KR101414811B1 (en) | Method for strengthening girder using steel plate | |
NL203493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lower cross beam of main tower of highway-railway dual-purpose and river-crossing A-type cable-stayed bridge | |
CN219653511U (en) | Steel box girder cable-stayed bridge single-column inward-inclined steel tower embedded section fixing support | |
CN115323924B (en) | Construction method of highway-railway dual-purpose river-crossing A-type cable-stayed bridge main tower | |
CN217352139U (en) | Gate-type pier crossbeam construction die carrier | |
KR10270746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Deck-Integrated Composite Girder, Deck-Integrated Composite Girder Produced Thereby, and Method of Constructing Bridge Upper Structure | |
JP2003064621A (en) | Hanging floor slab bridge and reinforcing method of hanging floor slab | |
CN111335167B (en) | Cross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temporary prestress as temporary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