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861B1 -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861B1
KR100562861B1 KR1020030067641A KR20030067641A KR100562861B1 KR 100562861 B1 KR100562861 B1 KR 100562861B1 KR 1020030067641 A KR1020030067641 A KR 1020030067641A KR 20030067641 A KR20030067641 A KR 20030067641A KR 100562861 B1 KR100562861 B1 KR 10056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ischar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1495A (en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861B1/en
Publication of KR2005003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4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류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있어서 국부 방전으로 발생되는 국부 방전 영역의 잔상(Image Sticking) 개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ment of image sticking of a local discharge region generated by local discharge in an AC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서로 대향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기판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한 쌍의 방전 유지 전극, 상기 방전 유지 전극 각각에 형성된 버스 전극, 상기 방전 유지 전극과 버스 전극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상에 도포된 보호막, 상기 배면 기판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형광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삼산화 티탄(TiO3)의 반사판 및 반사판 상에 적(Red), 녹(Green), 청(Blue) 형광체의 입도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급형광체를 사용한 형광층을 포함한다.A pair of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s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said front substrate, bus electrodes formed on each of said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s, dielectric layers covering said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s and bus electrodes, said dielectric material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coated on a layer, an address electrod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address electrode, a partition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a fluorescent layer applied in a reg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And a fluorescent layer using a classification phosphor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particle size of red, green, and blue phosphors on the reflecting plate and the reflecting plate of titanium trioxide (TiO 3 ) applied in the partitioned area. Includ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삼산화 티탄, 형광체, 잔상, 휘도Plasma display panel, titanium trioxide, phosphor, afterimage, luminance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교류형 면방전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ypical AC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잔상(Image Sticking) 현상도.2 is an image sticking phenomeno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도 3은 종래의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체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잔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n afterimage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a phosphor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도 4는 풀 화이트에서 온도를 외부에서 강제로 55℃까지 상승시킨 후 온도 인가를 끊었을 때 발생하는 휘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a luminance change generated when the temperature is stopped after forcib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to 55 ° C. in full white.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방전 원인을 나타낸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a cause of mis-discharg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청색 형광체의 색좌표 변화를 확대하여 색 밸런스의 변화를 도시한 색균형의 변화도.FIG. 6 is a change in color balance diagram showing a change in color balance by enlarging a change in color coordinates of the blue phosphor shown in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밀도를 크게 한 경우에 있어서, 형광체 발광 두께 편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phosphor emission thickness variation when the phosphor dens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밀도를 크게하고, 삼산화 티탄(TiO3)의 반사판을 적용한 형광체의 발광 참여층의 복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turn state of a light emitting part of a phosphor to which a phosphor dens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and a reflector of titanium trioxide (TiO 3 ) is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밀도를 크게하고, R G B 형광체의 두께를 달리한 개략도.9 is a schematic diagram of increasing the phosphor dens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R G B phosph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1, 302, 303, 701, 702, 703, 801, 802, 803, 901 ; 형광체 발광층 301, 302, 303, 701, 702, 703, 801, 802, 803, 901; Phosphor light emitting layer

304, 704, 804, 904 ; 분급 형광체304, 704, 804, 904; Classification phosphor

305, 705, 805, 905 ; 어드레스 전극305, 705, 805, 905; Address electrode

306, 706, 806, 906 ; 글라스 307, 707, 807 ; 미복귀 형광체306, 706, 806, 906; Glass 307, 707, 807; Returned phosphor

310, 710, 810 ; 초기 풀 화이트시 형광체의 발광310, 710, 810; Luminescence of Phosphor at Early Full White

320, 720, 820 ; 윈도우 패턴시 형광체의 발광320, 720, 820; Luminescence of Phosphors During Window Patterns

330, 730, 830 ; 풀 화이트 복귀시 형광체의 발광330, 730, 830; Phosphor emission on full white return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류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에 있어서 국부 방전으로 발생되는 국부 방전 영역의 잔상(Image Sticking) 개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ment of image sticking of a local discharge region generated by local discharge in an AC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P). .

도 1은 일반적인 교류형 면방전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general AC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교류형 면방전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100 내지 200㎛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투명한 유리재의 전면 기판(122) 및 배면 기판(124)을 포함한다. 이 때, 배면 기판(124)에는 전면 기판(122)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후막 인쇄 기술을 통하여 격벽(126)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26) 사이의 간격은 400㎛이고, 각각의 격벽(126)의 폭은 50㎛이다. As illustrated in FIG. 1, a typical AC type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front substrate 122 and a back substrate 124 made of transparent glas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of 100 to 200 μm. 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126 is formed in parallel on the rear substrate 124 through a thick film printing technique in order to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front substrate 122. The distance between these partitions 126 is 400 µm, and the width of each partition 126 is 50 µm.

또한, 서로 인접한 격벽(126) 사이에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X전극의 열 Xj (j=1, 2,…, m)가 어드레싱(address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100nm의 두께로 격벽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R,G,B 형광체막이 각각의 X전극을 10~30㎛ 두께로 덮이면서 발광층(13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column Xj (j = 1, 2, ..., m) of an X electrode made of aluminum (Al) or an aluminum alloy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26 adjacent to each other is partitioned to a thickness of 100 nm to perform an addressing function. It is formed parallel to. The light emitting layer 136 is formed while the R, G, and B phosphor films cover each X electrode with a thickness of 10 to 30 µm.

한편, 배면 기판(124)과 대향하는 전면 기판(122)의 면에는 Y전극 및 Z전극의 행전극 Yi, Zi (i=1, 2,…, n)이 X전극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Y전극 및 Z전극은 ITO나 산화 주석(SnO) 등의 증착에 의해 대략 수백 nm의 두께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서로 인접하는 행 전극 Yi와 Zi는 쌍을 이루어 행 전극쌍(Yi, Zi)을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ow electrodes Yi and Zi (i = 1, 2, ..., n) of the Y electrode and the Z electrode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X electrode on the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122 facing the rear substrate 124. The Y electrode and the Z electrode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by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several hundred nm by deposition of ITO or tin oxide (SnO), and the row electrode Yi and Zi adjacent to each other form a pair of row electrode pairs Yi, Zi).

또한, 각각의 행 전극 Yi, Zi에는 행 전극 Yi, Zi 의 폭보다 좁은 금속제의 버스 전극 αi, βi가 행 전극 Yi , Zi 에 밀착 형성된다. 이들 버스 전극 αi, βi은 보조 전극으로서 도전성이 떨어지는 행 전극 Yi, Zi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in each of the row electrodes Yi and Zi, metal bus electrodes? I and? I narrower than the widths of the row electrodes Yi and Zi ar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ow electrodes Yi and Zi. These bus electrodes alpha i and beta i are complementary to the row electrodes Yi and Zi having low conductivity as auxiliary electrodes.

이러한 행 전극 Yi, Zi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전체층(130)이 약 20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유전체층(130)에 접하여 산화 마그네슘(MgO)으로 된 MgO층(132)이 대략 수백 nm의 두께로 적층 형성된다.In order to protect the row electrodes Yi and Zi, the dielectric layer 13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20 to 30 μm. In contact with the dielectric layer 130, an MgO layer 132 made of magnesium oxide (MgO) is laminated to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several hundred nm.

각 전극(Xj,Yi,Zi,αi,βi), 유전체층(130) 및 발광층(136)이 형성된 이후, 전면 기판(122) 및 배면 기판(124)은 봉합되고, 방전 공간(128)의 배기가 행해진 다음, 베이킹에 의해 MgO층(132)의 표면의 수분이 제거된다. 이어서, 방전 공간(128)으로 NeXe가스를 3 내지 7% 포함한 불활성 혼합 가스가 400 내지 600 torr 주입된다.After the electrodes Xj, Yi, Zi, αi, βi, the dielectric layer 130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136 are formed, the front substrate 122 and the back substrate 124 are sealed and exhaust of the discharge space 128 Then,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MgO layer 132 is removed by baking. Subsequently, an inert mixed gas including 3 to 7% of NeXe gas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128 at 400 to 600 torr.

이러한 Yi,Zi 전극과 교차하는 Xj전극과의 교점을 중심으로 단위 발광 영역이 1화소셀 P(i,j)로 정의된다. 이러한 화소셀 P(i,j)은 Xj전극과 Yi전극 사이의 어드레싱 방전에 의하여 벽전압이 형성되면, Yi전극과 Zi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어 방전이 유지됨으로써 형광체(136)의 발광이 유지되고, Xj, Yi 및 Zi 전극 간의 전압인가에 의해 화소셀P(i,j)의 발광 방전의 선택, 유지 및 소거를 통해 발광이 제어된다. The unit emission region is defined as one pixel cell P (i, j) around the intersection with the Xj electrode intersecting the Yi, Zi electrode. When the wall voltage is formed by the addressing discharge between the Xj electrode and the Yi electrode , the pixel cell P (i, j) is sustained by applying a sustain pulse between the Yi electrode and the Zi electrode,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phosphor 136 is maintained. The light emission is controlled by selecting, holding and erasing the light emission discharge of the pixel cells P (i, j) by applying voltage between the Xj, Yi and Zi electrodes.

이 때, 서스테인 펄스는 Yi전극과 Zi전극에 각각 교대로 인가된다. 즉, Yi전극에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면 Zi전극에는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지 않고 Zi전극에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면 Yi전극에는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교류를 이용한 면방전이 유지된다. At this time, a sustain pulse is alternately applied to the Yi electrode and the Zi electrode, respectively. That is, if a sustain pulse is applied to the Yi electrode, no sustain pulse is applied to the Zi electrode, and if a sustain pulse is applied to the Zi electrode, the sustain pulse is not applied to the Yi electrode, thereby maintaining surface discharge using alternating current.

상술한 바와 같은 PDP는 형광체 여기를 이용한 표시 장치가 일반적으로 갖는 잔상 문제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DP has a problem of afterimage that a display device using phosphor excitation generally has.

도 2는 종래의 PDP에서 발생되는 국부 잔상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ccurrence of local afterimage occurring in a conventional PDP.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윈도우 패턴을 화면 중앙 부분에 표시하는 경우, 윈도우 패턴은 패널 표시면(200)의 일부분(200a)에 집중적으로 방전을 일으킨다. 이어서, 패널 전체(200b)에 방전을 일으키면, 패널 표시면(200)의 일부분(200a)에 표시되었던 윈도우 패턴이 잔상(200c)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잔상(200c)은 형광체의 열화, 보호막의 표면 물성 변화 또는 PDP의 불안전한 구동에 따른 오방전된 소거방전에 따라 더욱 심해진다. As shown in FIG. 2, when a predetermined window pattern is display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the window pattern intensively discharges a portion 200a of the panel display surface 200. Subsequently, when the entire panel 200b is discharged, the window pattern displayed on the portion 200a of the panel display surface 200 appears as an afterimage 200c. The afterimage 200c is further exacerbated by deterioration of the phosphor, surface property change of the protective film, or mis-discharged erase discharge due to unsafe driving of the PDP.

이와 같은 잔상(200c)은 높은 전압과 높은 온도에 의해서 발생된다. 즉, 방전시 높은 전압 또는 높은 온도는 방전 공간 내에 과잉 하전입자들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하전입자들의 충격에 의해 형광체가 열화 되어 화면에 잔상이 남게 되는 것이다. Such an afterimage 200c is generated by a high voltage and a high temperature. That is, a high voltage or high temperature during discharge generates excessive charged particles in the discharge space, and the fluorescent material is deteriorated by the impact of the generated charged particles, leaving an afterimage on the screen.

PDP는, R G B의 형광체 각각의 여기를 통해 색을 재현하므로, 패널의 임피던스 변동과 전력 집중 현상에 의해 형광체의 발광 특성이 변화하게 되고, 이 특성 변화가 얼마나 빨리 복귀되느냐에 따라 잔상 특성이 좌우된다. 이처럼 PDP가 형광체의 발광 특성의 변화와 복귀 특성에 좌우되는 것은, 액정 표시 장치(LCD)의 경우, 백라이트의 발광을 이용하고, 액정을 on/off 하면서 컬러 필터로 색재현을 하기 때문에, 잔상은 백라이트의 발광의 영향만을 받는 것과 대비된다. 이처럼 PDP의 잔상 특성은 특히 R G B의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에서 PDP의 특성을 열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LCD의 경우, 색 균형은 칼라 필터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잔상이 발생하고 없어지는 과정에서 휘도 변화율이 R G B 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용을 하여, 색좌표 특성의 변화가 없다. PDP는 R G B 형광체의 휘도 복귀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발광 과정에서 잔상이 발생하고 없어지 는 과정에서 색좌표에 변동이 생기는 것이다.Since the PDP reproduces colors through the excitation of each of the phosphors in RGB,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phosphors are changed by the impedance variation of the panel and the power concentration phenomenon, and the afterimage characteristic depends on how quickly the characteristic changes are returned. . As described above, the PDP depends on the change i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return characteristics of the phosphor.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ince the color is reproduced using a color filter while the liquid crystal is turned on and off, the afterimage is Contrast with only being affected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backlight. As such, the afterimage characteristic of the PDP is a major factor deteri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DP in that i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hosphor of the R G B.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CD, since the color balance is adjusted by the color filter, the luminance change rate acts the same with respect to R G B in the process in which an afterimage occurs and disappears, so that there is no change in color coordinate characteristics. In the PDP, since the luminance returns of the R G B phospho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variations in color coordinates occur in the process of remaining after image emission and disappearance.

예를 들면, R: 30cd/m2, G: 60cd/m2, B: 10cd/m2인 풀 화이트 (총 100cd/m2)의 제품이, 윈도우 패턴에 의해, R: 60cd/m2, G: 120cd/m2, B: 20cd/m2 인 풀 화이트 (총: 200cd/m2)로 바뀌었다가 다시 원래로 복귀되었을 때, R: 22cd/m2, G: 105cd/m2, B: 13cd/m2 인 풀 화이트 (총: 140cd/m2)가 되었다면, 이는 뚜렷한 휘도 잔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이는 휘도 복귀시간을 줄이면 그 잔상은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다시 R: 26cd/m2, G: 59cd/m2, B: 9cd/m2 인 풀 화이트 (총 : 94cd/m2)로 바뀌었다면 인간의 시각에 6cd/m2 차는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R G B 형광체의 휘도 복귀율은 각각 86.7%, 98.3%, 90% 가 된다. 결국, 휘도 복귀율이 각각 100%, 100%, 100% 이 되어야만 색균형이 유지가 되는데, 이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실제로는 색 균형이 크게 훼손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PDP 제품에서 발생되고 있는 잔상은, R G B 형광체의 휘도가 서로 복귀 비율이 달라서 색 균형이 훼손된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이다.For example, a product of full white (total 100 cd / m2) having R: 30 cd / m2, G: 60 cd / m2, and B: 10 cd / m2 is R: 60 cd / m2, G: 120 cd / m2 by a window pattern. , When B: 20cd / m2, full white (total: 200cd / m2), and then back to the original, R: 22cd / m2, G: 105cd / m2, B: 13cd / m2 full white (total: 140 cd / m &lt; 2 &gt;), this is represented by a clear luminance afterimage. Therefore, this can be easily solved by reducing the luminance recovery time. However, if it is changed back to full white (total: 94cd / m2) with R: 26cd / m2, G: 59cd / m2, and B: 9cd / m2, the 6cd / m2 difference may not be felt by human vision. In this case, the luminance recovery rates of the R G B phosphors are 86.7%, 98.3%, and 9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olor balance is maintained only when the luminance return ratios are 100%, 100%, and 100%, respectively, and thus, the color balance is largely impaired. Therefore, the problem remains even more serious in that afterimages generated in PDP products are deteriorated in color balance due to different luminance ratios of R G B phosphors.

도 3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체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잔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형광체 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형광체 자체 발광 특성에 기인하는 것과 형광체 형상에 기인하는 특성으로 구별지을 수 있고, 형광체 자체 발광 특성에 기인된 것은 형광체 물질을 바꾸어야 해결된다는 점에서 재료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형상에 따른 관점은 구조적 문제로 결부시킬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은 형광체의 구조적 관점에서 접근한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afterimage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phosphor of the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In general, the influence on the phosphor brightnes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characteristics due to the phosphor self-luminous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due to the shape of the phosphor, and the approach caused by the phosphor self-luminous characteristics is solved by changing the phosphor material. It is possible to do this, and the aspect of shape can be linked to structural issues. As shown, Figure 3 shows the principle approached from the structural point of view of the phosphor.

초기 풀 화이트시 형광체의 발광 참여층(310)은 발생되는 진공 자외선 (vaccum ultraviolet, VUV)이 입사되는 두께만큼 형광체는 빛을 방출(301)하나, 풀 화이트에서 윈도우 패턴시(320)는 진공 자외선의 세기가 강해지게 되어 형광체의 발광체 참여 두께(302)는 더 커진다. 다시 윈도우 패턴에서 풀 화이트 패턴으로 복귀할 경우(330)에는 윈도우 패턴시 참여한 형광체 발광층(307)이 정상 상태로 복귀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최초 풀 화이트시 발생되는 진공 자외선이 형광체에 입사되는 두께가 가령 5㎛미만이라면 형광체는 5㎛정도의 두께에서 그 빛을 방출 한다. 그러나 풀 화이트에서 윈도우 패턴시는 진공 자외선의 세기가 강해지게 되는 데 이때 진공 자외선의 입사 두께는 7㎛정도로 상승한다고 했을 때 형광체의 발광체 참여 두께는 7㎛가 된다. 다시 윈도우 패턴에서 풀 화이트 패턴으로 복귀할 경우에는 7㎛정도에서 발광에 참여한 형광체는 5㎛정도의 두께에서만 발광에 참여하게 되는데, 문제는 이전에 참여했던 2㎛정도의 형광체 두께가 참여하지 않았던 2㎛ 형광체 두께와 그 특성이 같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형광체 휘도 복귀에 영향을 주게 되고, 그 물성이나 구조적 문제에 따라 그 정도는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The phosphor emits light 301 as much as a thickness of a vacuum ultraviolet ray (VUV) generated by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layer 310 when the initial full white is incident (301). The intensity of s becomes stronger so that the phosphor participating thickness 302 of the phosphor becomes larger. In the case of returning from the window pattern to the full white pattern again (330), the phosphor emitting layer 307 participating in the window pattern may not return to the normal state.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vacuum ultraviolet rays generated during the first full white incident on the phosphor is less than 5 μm, the phosphor emits the light at a thickness of about 5 μm. However, when the window pattern is full white, the intensity of the vacuum ultraviolet ray becomes stronger, and when the incident thickness of the vacuum ultraviolet ray rises to about 7 μm, the thickness of the phosphors participating in the phosphor becomes 7 μm. In the case of returning from the window pattern to the full white pattern, the phosphor that participated in the light emission at about 7 μm participates in the light emission only at the thickness of about 5 μm, but the problem is that the phosphor thickness of about 2 μm did not participate. The thickness of the µm phosphor and its properties are not the same. This affects the return of the luminance of the phosphor, which may be deepened depending on physical properties or structural problems.

도 4는 풀 화이트에서 온도를 외부에서 강제로 55℃까지 상승시킨 후 온도 인가를 끊었을 때 발생하는 휘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풀 화이트에서 온도를 외부에서 강제로 55℃까지 인가한 후 인가된 온도를 끊었을때, 그 온도를 끊은 시점(0 분)으로부터 30 분이 경과할 때 까지의 온도와 R G B 형광체의 휘도 복귀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끊은 시점 (0분)으로 부터 각각의 형광체의 휘도 복귀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30 분이 경과한 후에도 온도 상승 전 R G B 형광체의 정상 상태의 휘도선를 기준으로 볼 때, R G B형광체의 칼라 밸런스가 맞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이 잔상의 원인이 되는 이유이다.4 is a graph showing a luminance change generated when the temperature is stopped after forcib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to 55 ° C. in full white. Fig. 4 shows the luminance of the RGB phosphor and the temperature from when the temperature is cut off (0 minutes) until 30 minutes have elapsed when the applied temperature is cut out after forcibly applying the temperature to 55 ° C. in full white. It is showing a return. As shown in Fig. 4, the luminance of each phosphor is restored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emperature is cut off (0 minutes). However, even after 30 minutes have elapsed,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balance of the R G B phosphor is not corrected based on the luminance line of the steady state of the R G B phosphor before the temperature rise, which is the cause of the afterimage.

도 5는 오방전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색좌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Green) 형광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온도 인가 전(Rise Temperature ; RT)의 녹색 형광체의 색좌표가 온도가 하강하면서 y축은 감소하고 x축은 증가하는 좌표계로 변화하여 오방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5 is a graph showing color coordinates for explaining the cause of the mis-discharge. As shown in FIG. 5, when looking at the green phosphor, the color coordinate of the green phosphor before temperature application (Rise Temperature; RT) changes to a coordinate system in which the y-axis decreases and the x-axis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occurs.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청색 형광체의 색좌표 변화를 확대하여 색 밸런스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풀 화이트에서 온도를 외부에서 강제로 55℃까지 인가한 후 인가된 온도를 끊었을때, 청색 형광체의 색 밸런스의 변화를 색좌표에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에서 온도를 인가한 다음 온도를 끊었을때 온도 차단 직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좌표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0분이 경과된 후에도 색좌표가 상온에서의 색좌표와 크게 어긋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6 illustrates a change in color balance by enlarging a change in color coordinates of the blue phosphor illustrated in FIG. 5. FIG. 6 shows the change in the color balance of the blue phosphor in color coordinates when the applied temperature is forcibly applied to 55 ° C. from outside in full white. As shown in FIG. 6, when the temperature is appli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he temperature is cut off, the color coordinates change significantly as time passes immediately after the temperature cutoff.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even after 30 minutes have elapsed, the color coordinates deviate greatly from the color coordinates at room temperature.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시 온도 상승에 의해 R G B의 휘도가 서로 복귀 비율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잔상 문제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ma display panel having an improved afterimage problem caused by varying the return ratios of the luminance of R G B due to a rise in temperature during dischar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기판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한 쌍의 방전 유지 전극, 상기 방전 유지 전극 각각에 형성된 버스 전극, 상기 방전 유지 전극과 버스 전극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상에 도포된 보호막, 상기 배면 기판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형광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삼산화 티탄(TiO3)의 반사판 및 반사판 상에 적(Red), 녹(Green), 청(Blue) 형광체의 입도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급형광체를 사용한 형광층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ir of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 having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facing each other,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a bus electrode formed on each of the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 the A dielectric layer covering a discharge sustain electrode and a bus electrode, a protective film coated on the dielectric layer, an address electrod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address electrode, a partition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a reg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In a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coated fluorescent layer, particle sizes of red, green, and blue phosphors are reflected on a reflector and a reflector of titanium trioxide (TiO 3 ) coated in a partitioned area. Includes a fluorescent layer using a substantially uniform classification phosphor.

본 발명에 따른 형광체의 가공 및 도포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fore describing the processing and coating method of the phosp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general method as follows.

적색 형광체는 Y2O3:Eu, (Y,Gd)BO8:Eu, 녹색 형광체는 Zn2SiO 4:Mn, BaAl12O9:Mn, 청색 형광체는 BaMgAl10O17:Eu가 주로 사용되며, 각각 공침법, Sol-Gel법, 공침법 내지 Flux Aided Solid State Reaction법에 의해 가공되어 진다.Red phosphor is mainly Y 2 O 3 : Eu, (Y, Gd) BO 8 : Eu, green phosphor is Zn 2 SiO 4 : Mn, BaAl 12 O 9 : Mn, blue phosphor is BaMgAl 10 O 17 : Eu Each is processed by coprecipitation method, Sol-Gel method, coprecipitation method or Flux Aided Solid State Reaction method.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형광체 도포 방법으로는 스크린 프린팅(Screem Printing) 방법, 샌드 브라스트(Sand Blast) 방법, 포토리소그라피 (Photolisography)법, 전지 전착법등이 있다. 이중에서 스크린 프린팅 방법과 샌드 브라스트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체의 가공 및 도포 방법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In addition, currently used phosphor coating methods include a screen printing method, a sand blast method, a photolithography method, a battery electrodeposition method, and the like. Among them, the screen printing method and the sand blast method are the most widely used. Process and coating method of the phosph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made by any one of the above method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체의 도포 밀도를 종래의 것보다 높임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처럼 형광체의 도포 밀도를 종래의 것보다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입도가 일정한 형광체를 이용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bject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coating density of the phosphor than the conventional one. In this way, in order to increase the coating density of the phospho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 phosphor having a constant particle size is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현재 형광체의 입도는 1 내지 5㎛로 각기 다른 크기의 입도를 갖는 형광체들이 모여 있어 형광체 도포시 그 도포 밀도가 상당히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형광체의 도포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형광체의 입도가 균일한 형광체(즉, 분급 형광체)를 구별하여 가공한 형광체를 사용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입도가 1㎛인 것은 1㎛만, 3㎛인 것은 3㎛만 구별하여 형광체를 만든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밀도가 큰 형광체는 형광체의 입도를 1㎛이하로 하는 분급 형광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러종류의 형광체의 입도 중 1㎛이하의 입도를 가진 형광체를 사용하는 것이 형광체의 밀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Currently, the particle size of phosphors is 1 to 5 μm, and phosphor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are gathered, so that the coating density of the phosphor is considerably decreas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phosphor processed by distinguishing a phosphor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that is, a classification phosphor) in order to increase the coating density of the phosphor. For example, only one micrometer having a particle size of 1 μm and only three micrometers having a particle size of 3 μm produce a phospho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fluorescent substance having a high dens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lassification phosphor whose particle size of the phosphor is 1 μm or less. This is because the use of a phosphor having a particle size of 1 μm or less among the particle sizes of various kinds of phosphors can further increase the density of the phosphor.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DP의 형광체 밀도를 크게 한 경우의 형광체 발광 두께 편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phosphor emission thickness variation when the phosphor density of the PD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풀 화이트시 형광체의 발광 참여층(710)은 발생되는 진공 자외선이 입사되는 두께만큼 형광체는 빛을 방출(701)하고, 풀 화이트에서 윈도우 패턴시(720)는 진공 자외선의 세기가 강해지게 되어 형광체의 발광체 참여 두께(702)는 커지게 되나, 형광체의 입도가 균일한 분급 형광체(705)에 의해 다시 윈도우 패턴에서 풀 화이트 패턴으로 복귀할 경우(730)에 윈도우 패턴시 참여한 형광체 발광층(707)이 정상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는 두께가 도 3에 도시된 미복귀 발광층(307) 보다 작아지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light emitting part layer 710 of the phosphor during initial full white emission emits light 701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generated vacuum ultraviolet rays is incident, and when window pattern in full white 720 is performed. The intensity of the vacuum ultraviolet light is increas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participation thickness 702 of the phosphor becomes large, but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phosphor returns from the window pattern to the full white pattern again by the uniform classification phosphor 705 (730) The thickness at which the phosphor light emitting layer 707 participating in the pattern does not return to the normal state becomes smaller than the return light emitting layer 307 shown in FIG. 3.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체의 밀도를 크게 하는 것과 동시에, 이에 따른 휘도 loss를 보상하기 위해 삼산화 티탄의 반사판을 휘도 보상용으로 도포함으로써 잔상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fterimage problem can be improved by applying a reflector of titanium trioxide for luminance compensation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phosphor and to compensate for the luminance loss.

본 발명의 형광체와 삼산화 티탄의 도포 공정을 살펴보기로 한다.An application process of the phosphor and titanium tri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형광체의 밀도를 크게함으로써 진공 자외선에 의한 형광체의 발광 참여 두께가 적어지게 되어 이에 따라 휘도 loss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삼산화 티탄의 반사판을 휘도 보상용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형광체의 도포 방법은 격벽이 형성된 하판 상에 적색 형광체를 도포하기 위한 스크린 마스크를 정위치 시킨 후, 적색 형광체를 인쇄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적색 형광체를 도포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녹색 및 청색 형광체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삼산화 티튬의 도포 방법은 공지의 기술로서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하부기판 상에 어드레스 전극과 하부 유전체층 및 격벽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판 위에 스크린 마스크를 정위치 시킨 다음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스퀴즈(Squeeze)를 이용하여 스크린 마스크가 배치된 하판 상에 삼산화 티탄의 물질을 인쇄하게 된다. 이어서, 스크린마스크를 제거하면 삼산화 티탄 물질은 하판 상에 도포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삼산화 티탄 물질이 도포된 하판을 건조시키게 되면 삼산화 티탄 격벽의 표면에만 도포된 삼산화 티탄의 반사판이 완성되게 된다. 여기에 상기의 형광체 도포 방법을 통하여 형 광체를 도포하게 된다.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phosphor, the thickness of the luminescent part of the phosphor due to the vacuum ultraviolet ray is reduced, thereby resulting in luminance lo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reflector of titanium trioxide is applied for luminance compensation. In the current method of applying a phosphor, a red phosphor is applied by placing a screen mask for applying a red phosphor on a lower plate on which a partition is formed, and then printing and drying the red phosphor. Then, green and blue phosphors are sequentially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applying titanium tri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l-known technique,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 screen mask is placed on a lower substrate in which an address electrode, a lower dielectric layer and a partition are sequentially stacked on a lower substrate, and then a predetermined A pressure applied squeeze is used to print the material of titanium trioxide on the bottom plate on which the screen mask is placed. Subsequently, when the screen mask is removed, the titanium trioxide material is applied onto the bottom plate. When the lower plate coated with the titanium trioxide material is dried, a reflector plate of titanium trioxide coat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titanium trioxide partition wall is completed. The phosphor is applied to the phosphor through the phosphor coating method described above.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입도 분포가 균일한 분급 형광체를 사용함으로써 휘도 loss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삼산화 티탄의 반사판을 적용하였을때 형광체의 발광 참여층의 복귀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형광체의 두께를 1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8 schematically shows the return state of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hosphor when the reflector of titanium trioxide is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luminance loss by using a classification phosphor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shown in FIG. 7. It is. Sin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FIG. 7, it will be omitted below.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hosphor is preferably 10 μm or less.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체의 밀도를 크게 하는 것과 동시에, R G B 형광체의 두께를 각각 달리함으로써 잔상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fterimage problem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phosphor and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R G B phosphor.

R G B 형광체의 휘도 복귀 시간이 각각 다름으로 R G B 형광체의 도포 두께를 각각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thicknesses of the R G B phosphors are different because the luminance recovery times of the R G B phosphors are different.

도 9는, R G B의 형광체 휘도 복귀 시간이 각각 다르므로, 각 R G B 형광체의 두께를 복귀 시간이 가장 긴 형광체의 도포 두께를 가장 작게하는 방법으로 형광체가 도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형광체의 두께가 가장 큰 것이 발광 참여 후 복귀 시간이 가장 짧은 형광체가 되고, 형광체의 두께가 가장 작은 것이 발광 참여 후 복귀 시간이 가장 긴 형광체가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형광체의 발광 참여 후 복귀 시간을 비슷하게 가져감으로써 잔상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형광체의 두께는 상기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Fig. 9 shows that the phosphors are coated in such a way that the phosphor luminance recovery time of R G B is different, so that the thickness of each R G B phosphor is the smallest in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phosphor having the longest recovery time. That is, the largest thickness of the phosphor is the phosphor having the shortest recovery time after the participation of light emission, and the smallest the thickness of the phosphor is the phosphor having the longest recovery time after the participation of light emission. By doing this, the cause of the afterimage can be eliminated by bringing the return time after the participation of each phosphor to be similar. The thickness of each phosphor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형광체의 밀도를 크게 가져감으로써 형광체 발광 두께의 편차를 줄여 휘도 복귀율을 높이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phosphor, the variation in the phosphor emission thickness is reduced to increase the luminance recovery rate.

또한, 형광체 밀도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삼산화 티탄의 반사판을 휘도 loss 보상용으로 적용하여 발광에 참여하지 않은 불필요한 형광체 두께를 제거하여 형광체 두께를 낮추고, 휘도 loss를 줄이게 된다. PDP제품에서 발생하는 잔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의 개선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ile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phosphor, by applying a reflector of titanium trioxide for the compensation of the loss of luminance, it eliminates the unnecessary thickness of the phosphor that does not participate in luminescence to lower the thickness of the phosphor, and to reduce the luminance loss. Since afterimages from PDP products can be minimized, product quality can be improved.

또한, 형광체 밀도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형광체의 도포 두께를 R,G,B 형광체 별로 다르게 하여 발광 참여 후 복귀 시간을 비슷하게 하여 PDP 제품에서 발생하는 잔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의 개선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density of phosphors,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phosphors is different for each of R, G, and B phosphors, and the return time after light emission can be similar to minimize afterimages generated in PDP products, thereby improving product quality. have.

Claims (5)

서로 대향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기판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한 쌍의 방전 유지 전극, 상기 방전 유지 전극 각각에 형성된 버스 전극, 상기 방전 유지 전극과 버스 전극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상에 도포된 보호막, 상기 배면 기판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형광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A pair of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s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said front substrate, bus electrodes formed on each of said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s, dielectric layers covering said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s and bus electrodes, said dielectric material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coated on a layer, an address electrod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address electrode, a partition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a fluorescent layer applied in a reg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삼산화 티탄(TiO3)의 반사판 및A reflector plate of titanium trioxide (TiO 3 ) coated in the partitioned region; 상기 반사판 상에 적(Red), 녹(Green), 청(Blue) 형광체의 입도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급형광체를 사용한 형광층Phosphor layer using classification phosphor having substantially uniform particle size of red, green, and blue phosphors on the reflecting plat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적, 녹, 청 형광체의 두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a red, green, and blue phosphor applied in the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has a different thickness.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도포된 적, 녹, 청 형광체의 입도가 1㎛이하로 하는 분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a classification phosphor having a particle size of red, green, and blue phosphors applied in the partitioned area of the partition wall to be 1 µm or less.
KR1020030067641A 2003-09-30 2003-09-30 Plasma Display Panel KR100562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41A KR100562861B1 (en) 2003-09-30 2003-09-30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41A KR100562861B1 (en) 2003-09-30 2003-09-30 Plasma Display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495A KR20050031495A (en) 2005-04-06
KR100562861B1 true KR100562861B1 (en) 2006-03-24

Family

ID=3723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641A KR100562861B1 (en) 2003-09-30 2003-09-30 Plasma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86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495A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8284A1 (en) Ac plasma display panel
JP3797084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3501498B2 (en) Plasma display panel
EP1067574B1 (en) Plasma display panel
US6469451B2 (en) Alternating-current-driven-type plasma display
JP2004119118A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392344B1 (en) Plasma display device
JP3832310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62861B1 (en) Plasma Display Panel
JP4532329B2 (en) Plasma display panel
JP4053818B2 (en) Gas discharg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21733A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264233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JP2004071219A (en) Plasma display device
US7271539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04515B1 (en) Plasma display panel using discharge gas containing nitrogen
JP2006269258A (en) Gas discharge display panel
JP4476173B2 (en) Gas discharge display panel
KR20040070563A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3288846A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60076889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JP3984558B2 (en) Gas discharge panel
JP4386214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20389B1 (en) Plasma display panel structure
JP2001006557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