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547B1 -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547B1
KR100561547B1 KR1020050047761A KR20050047761A KR100561547B1 KR 100561547 B1 KR100561547 B1 KR 100561547B1 KR 1020050047761 A KR1020050047761 A KR 1020050047761A KR 20050047761 A KR20050047761 A KR 20050047761A KR 100561547 B1 KR100561547 B1 KR 10056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cylinder
filter
filter unit
coffe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기
박종온
Original Assignee
(주)유로
김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로, 김응기 filed Critical (주)유로
Priority to KR102005004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입설배치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면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필터드럼과, 상기 필터드럼하면에 부착된 필터막과, 상기 필터드럼의 측방에서 가이드플레이트를 수직관통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파이프형태의 호퍼로 구성된 상부필터유닛; 상기 상부필터유닛의 아래에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수직 승강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필터유닛의 필터드럼이 상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수직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추출실린더; 상기 추출실린더의 아래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크랭크와, 크랭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추출실린더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로 구성됨으로써 크랭크축의 회전작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추출실린더에 전달하는 링크기구; 상기 추출실린더의 관통홀내에서 수직승강 되는 원통형태의 필터드럼과, 상기 필터드럼의 상면에 부착된 필터막, 필터드럼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커넥팅로드와 연결되는 수직작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드럼이 추출실린더의 관통홀을 통해 상방으로부터 인입된 상부필터와 조합되어 원두커피분말을 압착하는 하부필터유닛; 상기 추출실린더의 승강이동과 연동하여 상부필터유닛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호퍼 및 상부필터를 추출실린더의 관통홀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는 수평이동링크수단; 상기 하부필터와 추출실린더를 연동하여 상승시킴과 동시에, 추출실린더만을 하부필터에 앞서 하강시킴으로써 커피슬러지가 추출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승강링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에 의하면 원두의 맛과 향이 살아있는 커피원액을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원액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커피찌꺼기 케이크의 처리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추출을 위한 원두의 공급량이 적절하게 조절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automatic coffee abstrac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2b, 2c, 2d, 2e,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베이스 프레임 20: 상부 필터유닛
22: 가이드 플레이트 221: 링크핀
24: 상부 필터드럼 241: 유출포트
28: 호퍼 30: 추출실린더
301: 경사받침대 302: 센터핀
32: 유입포트 34: 케이크 푸셔
40: 하부 필터유닛 42: 하부 필터드럼
46: 수직작동축 461: 커넥터핀
50: 크랭크축 52: 크랭크
54: 커넥팅로드 54a: 커넥팅슬롯
60: 수평이송레버 60a: 상부 걸림슬롯
60b: 하부 걸림슬롯 601: 메인막대부
602: 보조막대부 70: 서포트캠
71: 하부필터 복귀레버 72: 아이들샤프트
74: 서포트레버 76: 아이들크랭크
78: 하향링크레버
본 발명은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 등에 내장되며, 커피원두의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하여 추출할 수 있는 원두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즉석음용 커피는 냉동건조된 커피분말을 주원료로 하고, 이에 프림, 설탕 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만들게 된다.
이러한, 냉동건조 커피분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커피는 맛과 향이 커피원두를 갈아서 우려내는 이른바 원두커피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맛과 향이 살아있는 원두커피를 즐기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직접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를 만들어 마시거나 원두커피 전문점 등을 이용하였는 바 ,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이펀드롭식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서는 커피향이 농축된 에스프레소 등의 진한커피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원두커피를 즐길 수 없으며, 커피전문점에서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부담없이 커피를 즐기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한 원두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입설배치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면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필터드럼과, 상기 필터드럼하면에 부착된 필터막과, 상기 필터드럼의 측방에서 가이드플레이트를 수직관통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파이프형태의 호퍼로 구성된 상부필터유닛; 상기 상부필터유닛의 아래에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수직 승강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필터유닛의 필터드럼이 상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수직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추출실린더; 상기 추출실린더의 아래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크랭크와, 크랭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추출실린더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로 구성됨으로써 크랭크축의 회전작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추출실린더에 전달하는 링크기구; 상기 추출실린더의 관통홀내에서 수직승강 되는 원통형태의 필터드럼과, 상기 필터드럼의 상면에 부착된 필터막, 필터드럼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커넥팅로드와 연결되는 수직작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드럼이 추출실린더의 관통홀을 통해 상방으로부터 인입된 상부필터와 조합되어 원두커피분말을 압착하는 하부필터유닛; 상기 추출실린더의 승강이동과 연동하여 상부필터유닛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호퍼 및 상부 필터드럼을 추출실린더의 관통홀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는 수평이동링크수단; 상기 하부필터와 추출실린더를 연동하여 상승시킴과 동시에, 추출실린더만을 하부 필터유닛에 앞서 하강시킴으로써 커피찌꺼기 케이크가 추출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승강링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부터 도 2f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입설배치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10)(10')과, 상기 양 베이스프레임(10)(10') 사이에서 수평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필터유닛(20)과, 상기 상부 필터유닛(20)의 아래에서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추출실린더(30)와, 상기 추출실린더(30)를 통해 수직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 필터유닛(40)과, 상기 추출실린더(30)의 작동을 위한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필터유닛(20)은, 그 양단이 베이스프레임(10)(1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0a)(10a')에 끼워짐으로써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2)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의 하면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상부 필터드럼(24)과, 상기 상부 필터드럼(24)하면에 부착된 필터막(26)과, 상기 상부 필터드럼(24)의 측방에서 가이드 플레이트(22)를 수직관통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파이프형태의 호퍼(28)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의 양 측단에는 양 베이스 프레임(10)(10')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가이드슬롯(10b)(10b')을 관통하는 링크핀(221)이 구비된다.
추출실린더(30)는, 중심부에 수직 관통홀(30a)이 형성된 블록형태로 이루어지며, 추출실린더(30)의 일측에는 커피찌꺼기 케이크를 내려보내기 위한 경사받침대(301)가 구비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베이스프레임(10)의 수직가이드슬롯(10c)을 통과하여 걸리는 센터핀(30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추출실린더(30)의 상면에는 케이크푸셔(cake pusher)(34)가 구비되는데, 상기 케이크푸셔(34)는 호퍼(28)의 하단이 관통되는 블록형태로서, 상부필터유닛(20)의 이동에 따라 추출실린더(30)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 필터유닛(40)은 추출실린더(30)의 관통홀(30a)내에서 수직승강 되는 원통형태의 하부 필터드럼(42)과, 상기 하부 필터드럼(42)의 상면에 부착된 필터막(44), 하부 필터드럼(42)의 하단에 구성된 수직작동축(46)으로 구성되는데, 수직작동축(46)의 측면에서는 커넥팅로드(54)의 커넥팅슬롯(54a)에 끼워지는 커넥터핀 (461)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실린더(30)의 일측에는 커피원액 추출을 위한 수증기가 관통홀(30a)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포트(32)가 구비되고, 상부 필터유닛(20)의 상부 필터드럼(24)에는 수증기의 유출을 위한 유출포트(241)가 구비된다.
링크기구는 추출실린더(30)의 아래에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50)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크랭크(52)와, 상기 크랭크(52)에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이 추출실린더(30)에 링크연결되는 커넥팅로드(54)로 구성되는데, 커넥팅로드(54)는 상단이 일정길이만큼 양갈래로 나뉘어진 형태로서 나뉘어진 부위에는 소정길이의 커넥팅슬롯(54a)이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추출실린더(30)의 승강이동과 연동하여 상부 필터유닛(20)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호퍼(28) 및 상부 필터드럼(24)을 추출실린더(30)의 관통홀(30a)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는 수평이동링크수단과, 하부 필터유닛(40)과 추출실린더(30)를 연동하여 상승시킴과 동시에, 추출실린더(30)만을 하부 필터유닛(40)에 앞서 하강시킴으로써 커피찌꺼기가 추출실린더(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승강링크수단 또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이동링크수단은, 그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에서 베이스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에 형성된 상부 걸림슬롯(60a)을 통해 상부필터유닛(20)의 가이드 플레이트(22) 측면에서 돌출된 링크핀(221)에 걸리는 메인막대부(601)와, 상기 메인막대부(601)의 하단에서 분기되어 절곡된 형태로서 메인막대부(601)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형 성된 하부 걸림슬롯(60b)을 통해 추출실린더(30)의 측방으로 돌출된 센터핀(302)에 걸리는 보조막대부(602)로 형성된 수평이송레버(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강링크수단은, 크랭크축(50)의 일측에 장착되어 크랭크축(50)과 함께 회전되는 소정각도의 원호(圓弧)형상 서포트캠(support cam)(70)과, 크랭크축(50)의 타측에 장착되어 크랭크축(50)과 함께 회전되는 소정길이의 하부필터복귀레버(71)와, 크랭크축(50)의 상방에 배치되며 그 양단이 베이스프레임(10)(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샤프트(idle shaft)(72)와, 상기 아이들샤프트(72)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서포트캠(70)과 접촉 가능하게 됨으로써 회전하는 서포트캠(70)에 의해 간헐적으로 지지되는 서포트레버(74)와, 상기 아이들샤프트(72)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필터복귀레버(71)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하부필터복귀레버(71)에 의해 간헐적으로 하향 회전되는 아이들크랭크(76), 상기 아이들샤프트(72)에 그 하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 필터유닛(40)의 수직작동축(46)과 링크연결됨으로써 하부필터복귀레버(71)의 하향회전에 의한 아이들샤프트(72)의 하향회전작동으로 하부 필터유닛(40)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하향링크레버(78)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작동은 크랭크축(50)의 회전에 따라 기준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상부 필터드럼(24)이 추출실린더(30)에 유입되는 상부필터 이동행정, 상부 필터드럼(24)과 하부 필터드럼(42)이 원두분말을 압착한 상태에 서 원액을 추출하는 압착행정, 원액추출후에 상부 필터드럼(24)이 추출실린더(30)로부터 이탈되는 분리행정. 추출실린더(30)에 잔류된 커피찌꺼기 케이크를 배출하는 케이크 배출행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행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기준상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호퍼(28)와 추출실린더(30)의 관통홀(30a)이 연통된 상태에서 호퍼(28) 상방의 이송덕트(92)로부터 투입되는 원두분말이 추출실린더(30)의 관통홀(30a) 내로 투입되고, 투입된 원두분말은 관통홀(30a) 내에서 하부 필터드럼(42)의 필터막(44) 위에 적층된다. 이때 크랭크(52)는 수직 하향된 상태(크랭크 각도 0°)를 유지하게 되며, 추출실린더(30)는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진행되는 상부필터 이동행정에서는, 도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크랭크축(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크랭크(52)가 수평상태(크랭크 각도 90°)로 되며, 크랭크(52)와 링크연결된 커넥팅로드(54)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커넥팅로드(54)에 의해 지지되는 추출실린더(30)가 상승하게 되고, 커넥팅로드(54)와 수직작동축(46)이 연결된 구조상 하부 필터유닛(40) 또한 일정높이 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추출실린더(30)가 상승하면서 추출실린더(30) 측면에서 돌출된 센터핀(302)과 보조막대부(602)를 통해 연결된(보조막대부의 하부걸림슬롯에 센터핀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짐) 수평이송레버(60)가 힌지점을 중심으로 도면상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메인막대부(601)에 링크핀(221)을 통해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22)가 우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상부 필터드럼(24)과 추출실린더(30)의 관통홀(30a)이 연통된다.
그리고, 압착행정에서는 도 2c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크랭크축(50)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90°만큼 회전하여 크랭크(52)가 수직 상향상태(크랭크 각도 180°)로 됨으로써 커넥팅로드(54)가 더욱 상승하여 추출실린더(30)가 상사점에 도달하게 되고, 하부 필터유닛(40) 또한 수직작동축(46)과 연결된 커넥팅로드(54)에 의해 이끌려 상승함으로써 추출실린더(30)의 관통홀(30a)내에서는 상부 필터드럼(24) 선단의 필터막(26)과 하부 필터드럼(42) 선단의 필터막(44) 사이에서 원두분말이 압착된다.
이 상태에서 추출실린더(30)의 유입포트(32)를 통해 관통홀(30a)내로 유입된 증기가 압착된 원두분말층을 통과하면서 원두분말의 향을 추출하게 되며, 향을 함유한 원액은 상부 필터드럼(24)의 유출포트(241)를 통해 유출된다.
유출된 원액은 음용수와 혼합되거나, 감미료 등이 첨가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커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수평이송레버(60)는 수직상태가 되며, 추출실린더(30)의 센터핀(302)은 보조막대부(602)의 하부 걸림슬롯(60b)을 따라 움직이므로, 수평이송레버(60)는 움직이지 않는다.
더불어, 하부 필터유닛(40)의 수직작동축(46)에 연결된 하향링크레버(78)가 상향회동되고, 서포트캠(70)이 회전하여 서포트레버(74)의 선단과 접하여 서포트레버(74)를 받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진행되는 분리행정에서는 도 2d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크랭크축(50)이 시계방향으로 90°만큼 더욱 회전하여 크랭크(52)가 다시 수평상태(크랭크 각도 270°)가 되며, 크랭크(52)와 연결된 커넥팅로드(54)가 하강함으로써 추출실린더(30)도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반면에, 서포트캠(70)에 의해 서포트레버(74)의 일단이 받쳐지기 때문에 서포트레버(74)는 아래로 회전하지 않으며, 서포트레버(74)의 타단에 고정된 아이들샤프트(72) 또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이들샤프트(72)에 연결된 하향링크레버(78)도 움직이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하향링크레버(78)에 의해 지지된 하부필터유닛(40)은 아래로 내려오지 않게 된다.
하부 필터유닛(40)의 수직작동축(46)은 커넥터핀(461)이 커넥팅슬롯(54a)을 관통하여 연결된 구조상 커넥팅로드(54)의 하향작동에 간섭이 되지 않는다.
즉,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는 하부 필터유닛(40)은 하강하는 추출실린더(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적층된 원두분말을 추출실린더(30) 위로 밀어올리게 되는데, 추출실린더(30) 내에서 압착된 원두분말은 어느 정도 응고된 상태이기 때문에 특정형태를 유지하는 원두찌꺼기 케이크 상태로 드러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배출행정에서는 크랭크축(50)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크랭크(52)가 최종적으로는 하향 수직상태(크랭크 각도 360°)로 복귀되는데, 이 과정에서 커넥팅로드(54)가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커넥팅로드(54)에 연결된 추출실린더(30)와 하부 필터유닛(40)이 일정치 만큼 하향이동하며, 추출실린더(30)의 센터핀(302)이 보조막대부(602)의 하부걸림슬롯(60b)에 관통연결된 구조상 수평이송레버(60) 또한 도면상 왼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송레버(60)의 메인막대부(601)에 링크핀(221)이 결속된 상부필터유닛(20)의 가이드 플레이트(22)가 도면상 왼쪽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며, 도 2e에 나타난 것과 같이 호퍼(28)의 하단에 연결된 케이크푸셔(34)가 호퍼(28)에 의해 좌측으로 이끌려 이동하면서 추출실린더(30)위로 노출된 원두찌꺼기 케이크를 밀어서 배출시키게 된다. (크랭크 각도 약 340°)
그리고, 크랭크축(50)에 연결된 서포트캠(70) 또한 더욱 회전하여 서포트캠(70)에 의한 서포트레버(74)의 지지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하부필터복귀레버(71)가 회전하면서 아이들샤프트(72)에 연결된 아이들크랭크(76)를 아래로 누르게 됨으로써 아이들샤프트(72)가 도면상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2f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이들샤프트(72)에 연결된 하향링크레버(78)가 하향 회전하면서 하부 필터드럼(42) 아래의 수직작동축(46)을 아래로 끌어내림으로써 하부 필터유닛(40)만이 더욱 아래로 내려와 기준상태로 복귀하게 된다.(크랭크 각도 36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는 크랭크축의 1회전하는 동안에 각 구성요소들이 연계되어 1사이클의 작동을 완료하게 되며, 1사이클당 1잔의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원액을 추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원액은 그 농도가 상당히 진하기 때문에 커피원액과 음용수의 혼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음용수 및 감미료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등이 구비된 커피머신 내지는 자동판매기내에 핵심구성요소로서 설치되어 활용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에 의하면 원두의 맛과 향이 살아있는 커피원액을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원액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커피찌꺼기 케이크의 처리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입설배치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면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필터드럼과, 상기 필터드럼하면에 부착된 필터막과, 상기 필터드럼의 측방에서 가이드플레이트를 수직관통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파이프형태의 호퍼로 구성된 상부필터유닛;
    상기 상부필터유닛의 아래에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수직 승강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필터유닛의 필터드럼이 상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수직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추출실린더;
    상기 추출실린더의 아래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크랭크와, 크랭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추출실린더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로 구성됨으로써 크랭크축의 회전작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추출실린더에 전달하는 링크기구;
    상기 추출실린더의 관통홀내에서 수직승강 되는 원통형태의 필터드럼과, 상기 필터드럼의 상면에 부착된 필터막, 필터드럼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커넥팅로드와 연결되는 수직작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드럼이 추출실린더의 관통홀을 통해 상방으로부터 인입된 상부필터와 조합되어 원두커피분말을 압착하는 하부필터유닛;
    상기 추출실린더의 승강이동과 연동하여 상부필터유닛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호퍼 및 상부 필터드럼을 추출실린더의 관통홀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는 수평이동링크수단;
    상기 하부필터와 추출실린더를 연동하여 상승시킴과 동시에, 추출실린더만을 하부 필터유닛에 앞서 하강시킴으로써 커피찌꺼기 케이크가 추출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승강링크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링크수단은
    하단이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에 형성된 상부걸림슬롯을 통해 상부필터유닛의 가이드플레이트 측면에서 돌출된 링크핀에 걸리는 메인막대부와,
    상기 메인막대부의 하단에서 분기되어 절곡된 형태로서 메인막대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형성된 하부 걸림슬롯을 통해 추출실린더의 측방으로 돌출된 센터핀에 걸리는 보조막대부로 형성되어 추출실린더의 수직승강운동에 의해 회전작동함으로써 상부 필터유닛을 수평운동시키는 수평이송레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승강링크수단은
    크랭크축의 일측에 장착되어 크랭크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정각도의 호형상 서포트캠과,
    크랭크축의 타측에 장착되어 크랭크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정길이의 하부필터복귀레버와,
    크랭크축의 일측 윗쪽에 배치되며 그 양단이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샤프트(idle shaft)와,
    상기 아이들샤프트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서포트캠과 접촉 가능하게 됨으로써 회전하는 서포트캠에 의해 간헐적으로 지지되는 서포트레버와,
    상기 아이들샤프트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필터복귀레버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하부필터복귀레버에 의해 간헐적으로 하향 회전되는 아이들크랭크,
    상기 아이들샤프트에 그 하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필터유닛의 수직작동축과 링크연결됨으로써 하부필터복귀레버의 하향 회전에 의한 아이들샤프트의 하향회전작동으로 하부필터유닛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하향링크레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두커피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실린더의 상면에 수평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호퍼의 하단과 연통 연결되는 블록형태로서, 상부필터유닛이 수평이동 함에 따라 호퍼에 이끌려 이동됨으로써 추출실린더의 상선단으로 드러난 커피찌꺼기 케이크를 밀어서 배출하는 케이크푸셔가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두커피추출장치.
KR1020050047761A 2005-06-03 2005-06-03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KR10056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61A KR100561547B1 (ko) 2005-06-03 2005-06-03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61A KR100561547B1 (ko) 2005-06-03 2005-06-03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547B1 true KR100561547B1 (ko) 2006-03-17

Family

ID=3717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761A KR100561547B1 (ko) 2005-06-03 2005-06-03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5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15B1 (ko) * 2007-06-20 2008-01-21 매일유업주식회사 에스프레소 커피추출장치
KR101325504B1 (ko) 2013-05-07 2013-11-20 백선중 상온의 정화된 자화수를 이용한 발효커피 추출장치
KR101816472B1 (ko) * 2017-01-06 2018-01-08 (주)유로 원두커피 추출기의 밸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7365A1 (en) * 1989-07-07 1991-01-09 Marcello Vallecchi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automatically making single doses of espresso coffee
KR20030078986A (ko) * 2002-04-01 2003-10-10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커피자동판매기의 커피추출장치
KR20040080671A (ko) * 2003-03-12 2004-09-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7365A1 (en) * 1989-07-07 1991-01-09 Marcello Vallecchi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automatically making single doses of espresso coffee
KR20030078986A (ko) * 2002-04-01 2003-10-10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커피자동판매기의 커피추출장치
KR20040080671A (ko) * 2003-03-12 2004-09-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JP2004275712A (ja) * 2003-03-12 2004-10-07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コーヒーマシン用コーヒー注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15B1 (ko) * 2007-06-20 2008-01-21 매일유업주식회사 에스프레소 커피추출장치
KR101325504B1 (ko) 2013-05-07 2013-11-20 백선중 상온의 정화된 자화수를 이용한 발효커피 추출장치
KR101816472B1 (ko) * 2017-01-06 2018-01-08 (주)유로 원두커피 추출기의 밸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5641A (en) Coffee brewing machine
FI91593C (fi) Kahvinkeitin
EP1152678B1 (en) Machine to produce espresso coffee
KR100897948B1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CN100493427C (zh) 用于蒸馏咖啡的饮料机的咖啡分配组
EP0296478B1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or the like
DE10111652A1 (de) Automatischer French-Press Getränke-Bereiter
US200800384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AU2007298467A1 (en) Automatic machine for citrus fruit juice extraction with functional elements allowing easier cleaning
KR100561547B1 (ko) 자동 원두커피 추출장치
CN101061926A (zh) 通过酿造水萃取微粒物质制备热饮料的装置和方法
JPH0439848B2 (ko)
US20050172818A1 (en) Apparatus for making espresso coffee
US3203340A (en) Beverage brewing and dispensing mechanism
US5337653A (en) Coffee brewing apparatus
JP2000000166A (ja) 飲料製造装置
KR20090112956A (ko)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GB2171593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CN207954735U (zh) 一种水果提取汁液用的过滤装置
CN210697240U (zh) 适用智能萃饮机的饮料萃取组
US6543336B2 (en)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CN110150985B (zh) 一种萃取装置及自动售卖机
CN108542258B (zh) 一种咖啡制备用高效率萃取设备
JP2752153B2 (ja) 飲料抽出装置
CN216822855U (zh) 一种可拆卸咖啡冲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