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53B1 -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53B1
KR100561453B1 KR1019990014208A KR19990014208A KR100561453B1 KR 100561453 B1 KR100561453 B1 KR 100561453B1 KR 1019990014208 A KR1019990014208 A KR 1019990014208A KR 19990014208 A KR19990014208 A KR 19990014208A KR 100561453 B1 KR100561453 B1 KR 100561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mponent
value
color
componen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829A (ko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0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aiming at correcting other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05Ink jet for printing a discrete number of tones
    • B41J2/2056Ink jet for printing a discrete number of tones by ink density change
    • B41J2002/2058Ink jet for printing a discrete number of tones by ink density change selecting different ink densities from one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하여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후,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1과 0으로 이치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0과 1로 이치화하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의 최대 계조값보다 클 경우에는 정상적인 중간조 처리를 수행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밝은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C 성분 또는 M 성분이 동시에 1이 되는 경우를 금지시킴으로써 CMY가 모두 1인 흑색(K) 색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어두운 영역에서는 정상적으로 흑색(K)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밝은 영역에서 흑색이 띄엄뜨엄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운 계조 표현 능력을 갖도록 하여 고화질의 칼라 중간조 화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색 칼라 인쇄, 칼라 오차 확산, 적응형 중간조 처리, CMYK 칼라

Description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Adaptive color halftoning processing method for 4-color printing in printer}
도 1은 각각 종래의 4색 프린팅을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각각 종래의 4색 프린팅을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플로이드-스타인베르그 및 스터키가 제안한 오차 확산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정렬 디더 행렬의 일종인 4 ×4 베이어 디더 마스크 및 8 ×8 베이어 디더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 시스템에서의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라 오차 확산 방법에 있어서, 흑색(K)의 발생이 억제되어야 하는 밝은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C 성분 또는 M 성분이 동시에 1이 되는 경우를 금지시킴으로써 CMY가 모두 1인 흑색(K) 색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흑색(K)이 인쇄되어야 하는 어두운 영역에서는 정상적으로 흑색(K)이 발생되도록 한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간조 처리 기법은 제한된 계조값 재현 특성을 갖는 장치에서 화소당 양자화 계조를 줄이면서도 원래의 화상에 가깝게 보이게 만드는 화상 처리 기법이다. 이 기법은 인쇄 윤전기(cylinder printing press),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레이져 프린터(laser printer)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조 처리 방법은 잘 알려진 바 있는 정렬 디더 방법(ordered dither method), 오차 확산 방법(error diffusion method), 도트 확산 방법(dot diffusion method) 등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중간조 처리 방법들 중에서 우수한 중간조 표현 능력을 제공하는 오차 확산 방법은 고정된 역치를 기준으로 하여 역치보다 큰 계조값에는 인쇄를 수행하는 도트로 할당하고, 그렇지 않은 계조값에는 인쇄를 수행하지 않는 도트로 할당하도록 하는 역치 처리(threshold process)를 통해 연속 계조 화상을 중간조 화상으로 변환·처리한다. 이때, 고정된 역치를 사용함에 따라 정확도가 결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오차 확산 방법에서는 연속 계조 화상의 화소값(target pixel value)과 역치화된 이진 화소값(binary pixel value) 간의 오차(error)를 인접한 화소들에 확산(diffusion)시킴으로써 이를 보상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현시점에서 처리하고 있는 연속 계조 화상의 이치화 대상 화소값과 역치화된 이진 화소값 간의 오차(error)를 가중치 결정에 참여하는 인접 화소들에 전파시킴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은 몇몇 소수의 도트들에 의해 둘러 쌓인 작은 영역에 걸쳐 있는 연속 계조(continuous tone)를 표현할 시에 더욱 더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차 확산 방법은 정렬 디더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구현 시, 보다 많은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가 필요하지만, 화질적인 측면에서 이를 상쇄시킬 수 있을 만큼의 우수한 계조 표현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오차 확산 방법은 워엄 아티팩트(worm artifact), 스타트-업 아티팩트(start-up artifact)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중간 밝기값 즉, 8비트의 256 계조 화상을 기준할 때, 127 부근의 계조값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 문서 영역에서 오차값이 잘못 누적됨에 기인하여 일정한 패턴이 연속적으로 생성되 어 극심한 시각적 거부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오차 확산 방법을 적용하여 칼라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상 3색 또는 4색 칼라 프린팅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3색 칼라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청록색(Cyan; C), 심홍색(Magenta; M), 노란색(Yellow; Y)의 3 가지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수행한다. 이 경우, 한 화소에 대해 청록색(Cyan; C), 심홍색(Magenta; M), 노란색(Yellow; Y), 청색(Blue=Cyan+Magenta; C+M), 적색(Red=Magenta+Yellow; M+Y), 녹색(Green=Yellow +Cyan; Y+C), 흑색(Black=Cyan+Magenta+Yellow; C+M+Y)의 7가지 조합의 칼라를 프린트할 수 있으며, 어떠한 색의 잉크도 찍지 않는 경우(백색, White)를 포함하면 8가지의 색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칼라 오차 확산 이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하여 청록색(Cyan; C), 심홍색(Magenta; M), 노란색(Yellow; Y) 계열로 변환한다. 입력 칼라 화상은 RGB 색좌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임에 따라 이를 CMY 색좌표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 데, RGB 색좌표계를 CMY 색좌표계로 변환하는 식은 잘 알려진 바 있는 수학식 1을 이용한다.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1
이 경우, 종래의 3색 칼라 인쇄를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으로는 청록색(Cyan; C), 심홍색(Magenta; M), 노란색(Yellow; Y)에 각각 독립적으로 오차 확산을 적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인 데, 이 방법은 종래의 오차 확산법이 가지고 있는 단점이 각 색상별로 그대로 나타남에 따라 이로 인해 칼라 문서의 밝은 배경 부분의 화질이 극도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칼라 문서의 밝은 영역에서 C,M,Y의 세가지 색상의잉크가 겹침으로 인해 색상이 왜곡되는 경우로, C,M,Y의 세가지 잉크가 겹치게 되면 그 화소는 청색(C와 M이 겹친 경우), 적색(M과 Y가 겹친 경우), 녹색(Y와 C가 겹친 경우), 짙은 갈색 또는 흑색(C, M, Y가 동시에 겹친 경우)으로 출력되는 데, 이런 경우에 이 밝은 영역에서는 겹쳐진 색상이 불규칙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색상이 왜곡되고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3색 칼라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흑색 색상이 제대로 재현되지 않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흑색 잉크를 첨가한 4 색 칼라 프린팅 시스템이 등장하였는 데, 4색(CMYK) 칼라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흑색 성분(blacK; K)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 핵심이다. 여기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4색 프린팅을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종래의 4색 프린팅을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MY 성분을 이치화하기 전에 K 성분을 만들어 낸 다음에 CMYK 각각을 이치화하는 방법이다. K 성분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UCR(Under Color Removal)을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종래의 4색 프 린팅을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의 제 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M, Y를 이치화한 후에 K 성분을 만드는 것이다.
색재현 관점에서는 종래 기술의 제 1 실시예가 제 2 실시예보다 우수하지만 하드웨어 구현 관점에서는 제 2 실시예가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색재현성만 제 1 실시예에 배해 크게 차이가 없다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법도 실용화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청록색(Cyan; C), 심홍색(Magenta; M), 노란색(Yellow; Y)에 각각 독립적으로 오차 확산을 적용하는 종래의 3색 칼라 인쇄를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을 종래의 4색 프린팅을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적용하면 색재현성에 있어서 큰 문제가 발생한다.
앞에서, 종래의 3색 칼라 인쇄를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은 밝은 영역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겹칠 수 있기 때문에 색상이 왜곡되며 화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지적한 바 있는 데, 이와 같은 문제가 4색 칼라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즉, CMY가 모두 겹치는 화소에서 K 성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밝은 영역에서 흑색이 띄엄뜨엄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심각한 시각적 거부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흑색(K)의 발생이 억제되어야 하는 밝은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C 성분 또는 M 성분이 동시에 1이 되는 경우를 금지시킴으로써 CMY가 모두 1인 흑색(K) 색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흑색(K)이 인쇄되어야 하는 어두운 영역에서는 정상적으로 흑색(K)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밝은 영역에서 흑색이 띄엄뜨엄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은,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하여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후,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1과 0으로 이치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0과 1로 이치화하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의 최대 계조값보다 클 경우에는 정상적인 중간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밝은 영역에서 흑색 색상이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한 후, 청록색(Cyan; C) 성분, 심홍색(Magenta; M) 성분, 노란색(Yellow; Y)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S10)와;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한 후,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단계(S20)와;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에 대해 오차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제 1 수정 색성분값과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혼색 성분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성분인 제 3 색성분에 상기 오차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S30)와;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인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40)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40)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모두 0으로 이치화한 후,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과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각각 제 1 계조 오차값과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S50)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40)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값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60)와;
제 2 비교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S70)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S7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S80)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S7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S90)와;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의 0.5배인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 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며,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상기 제 2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2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면, 상기 흑색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 아니면, 상기 흑색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S1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색성분 및 상기 제 2 색성분은 각각 청록색(Cyan; C) 성분 및 심홍색(Magenta; M)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소당 비트수가 8비 트일 때, 상기 중간 계조값은 127이고, 최대 계조값은 2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오착 확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S10에서는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한 후, 청록색(Cyan; C) 성분, 심홍색(Magenta; M) 성분, 노란색(Yellow; Y) 성분으로 변환하고, 단계 S20에서는 C 성분, M 성분, Y 성분 중에서 C 성분과 M 성분을 선택한 후, C 성분과 M 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C+M)을 만든다.
단계 S30에서는 C 성분과 M 성분에 대해 오차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수정된 C 성분값과 수정된 M 성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혼색 성분(C+M)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성분인 Y 성분에 상기 오차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한다.
주지하다시피, 공지된 오차 확산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플로이드와 스타인베르그(Floyd-Steinberg)가 제안한 방법이 있으며, 또 다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스터키(Stucki)가 제안한 방법이 있다.
도 4a는 플로이드와 스타인베르그가 제안한 오차 확산 마스크이고, 도 4b는 스터키가 제안한 오차 확산 마스크이다.
플로이드-스타인베르그에 의한 오차 확산 방법은 2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2
3 오차 확산 마스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화질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오차 확산 마스크의 크기가 너무 작은 관계로 주변 화소를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오차값이 잘못 누적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스터키는 도 4b의 3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3
5 오차 확산 마스크를 공지하고 있다.
예컨대, 플로이드와 스타인베르그((Floyd-Steinberg)가 제안한 오차 확산 마스크(error diffusion mask)는 도 4a와 같은 데, 이 오차 확산 마스크의 각 셀(cell) 내에 기술된 숫자들은 해당 위치의 화소가 갖는, 이치화 시에 발생한 계조 오차값들의 가중치를 의미한다. 통상, 오차 확산 방법은 라인 메모리를 통해 이전 라인의 계조 오차값을 저장하고 있어야 함은 가장 기본적인 전제 사항이다.
수학식 2와 같이, 현 좌표 위치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4
의 주목 화소값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5
과 인접 화소들의 계조 오차값들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6
에 상관성 정도에 따라 각각 1/16, 5/16, 3/16, 7/16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정 주목 화소값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7
을 산출한다. 여기서,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8
는 수직 좌표(vertical coordinate)이며,
Figure 111999003719785-pat00009
는 수평 좌표(horizontal coordinate)이다.
Figure 111999003719785-pat00010
수학식 2를 통해 수정 주목 화소값
Figure 111999003719785-pat00011
을 산출한 후, 수학식 3과 같은 조건식에 의해 현 좌표 위치
Figure 111999003719785-pat00012
에 대한 이치화 결과값
Figure 111999003719785-pat00013
을 산출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계조 오차값
Figure 111999003719785-pat00014
을 산출한다.
Figure 111999003719785-pat00015
다시 말해서, 수정 주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16
이 기설정된 고정 역치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17
, 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인 256 계조 화상을 기준할 때, 127이 됨)보다 크거나 같으면, 이치화 결과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18
으로 백색(WHITE)을 출력한 후, 주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19
에서 최대 계조값(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인 256 계조 화상을 기준할 때, 255가 됨)을 감산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계조 오차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20
으로 지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치화 결과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21
으로 흑색(BLOCK)을 출력한 후, 주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22
을 해당 위치에 대한 계조 오차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23
으로 지정한다. 다시 말해서, 수정 조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2
이 기설정된 고정 역치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3
, 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인 256 계조 화상을 기준할 때, 127이 됨) 보다 크거나 같으면, 이치화 결과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4
으로 백색(WHITE)을 출력한 후, 수정 주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5
에서 최대 계조값(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인 256 계조 화상을 기준할 때, 255가 됨)을 감산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계조 오차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6
으로 지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치화 결과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7
으로 흑색(BLACK)을 출력한 후, 수정 주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8
을 해당 위치에 대한 계조 오차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39
으로 지정한다. 여기서, 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인 경우에, 백색(WHITE)은 모든 비트가 1인 255이고, 흑색(BLACK)은 모든 비트가 0인 0이 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목값에 대한 이치화 결과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40
으로 백색(WHITE)을 출력한 경우에는, 상기 주목 화소값에 대한 오차
Figure 112005062788145-pat00041
는 수정 주목 화소값
Figure 112005062788145-pat00042
에서 최대 계조값 255를 감산함으로써 0을 포함한 음수(-128 ~ 0)가 되고, 흑색(BLACK)을 출력한 경우에는, 주목 화소값에 대한 오차
Figure 112005062788145-pat00043
는 수정 주목 화소값을 취하여 0을 포함한 양수(0 ~ 126)가 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후, 제 1 판단 단계 S40에서는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인지를 비교·판단한다. 상기 제 1 판단 단계(S40)의 비교 결과, 단계 S50에서는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면, C 성분과 M 성분을 모두 0으로 이치화한 후, 수정된 C 성분값과 수정된 M 성분값을 각각 제 1 계조 오차값과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한다.
제 2 판단 단계 S60에서는 상기 제 1 판단 단계(S40)의 비교 결과,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 아니면, 제 1 혼색(C+M) 성분값이 단일 색성 분값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한다.
제 2 비교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제 1 혼색(C+M)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 3 판단 단계 S70에서는 수정된 C 성분값이 수정된 M 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한다.
상기 제 3 판단 단계(S70)의 판단 결과, 수정된 C 성분값이 수정된 M 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 S80에서는 C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C 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M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M 성분값을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한다.
상기 제 3 판단 단계(S70)의 판단 결과, 수정된 C 성분값이 수정된 M 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단계 S90에서는 C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C 성분값을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M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M 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한다.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제 1 혼색(C+M)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단계 S100에서는 수정된 C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의 0.5배인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수정된 C 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C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C 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C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C 성분값을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며, 수정된 M 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수정된 M 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M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M 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M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수정된 M 성분값을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한다.
단계 S110에서는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인지를 판단하여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면, 흑색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하고,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 아니면, 상기 흑색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모두 끝나면, 단계 S10으로 되돌아가서 모든 화소에 대한 오차 확산 처리가 끝날 때까지 이상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흑색(K)의 발생이 억제되어야 하는 밝은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C 성분 또는 M 성분이 동시에 1이 되는 경우를 금지시킴으로써 CMY가 모두 1인 흑색(K) 색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흑색(K)이 인쇄되어야 하는 어두운 영역에서는 정상적으로 흑색(K)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밝은 영역에서 흑색이 띄엄뜨엄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한 후, 청록색(Cyan; C) 성분, 심홍색(Magenta; M) 성분, 노란색(Yellow; Y)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S210)와;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한 후,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단계(S220)와;
상기 제 1 혼색 성분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성분인 제 3 색성분에 기설정된 중간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S230)와;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인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240)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240)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모두 0으로 이치화하는 단계(S250)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240)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 과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값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260)와;
제 2 비교 판단 단계(S26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S270)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S27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1과 0으로 이치화하는 단계(S280)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S27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0과 1로 이치화하는 단계(S290)와;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S26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에 기설정된 중간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S300)와;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면, 상기 흑색 성분을 1로 이치화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 과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 아니면, 상기 흑색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S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색성분 및 상기 제 2 색성분은 각각 청록색(Cyan; C) 성분 및 심홍색(Magenta; M)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일 때, 상기 중간 계조값은 127이고, 최대 계조값은 2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오착 확산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S210에서는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한 후, 청록색(Cyan; C) 성분, 심홍색(Magenta; M) 성분, 노란색(Yellow; Y) 성분으로 변환하고, 단계 S220에서는 C 성분, M 성분, Y 성분 중에서 C 성분과 M 성분을 선택한 후, C 성분과 M 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C+M)을 만든다.
단계 S230에서는 상기 제 1 혼색 성분(C+M)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성분인 Y 성분에 기설정된 중간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조 처리 방식은 단순 역치법에서부터 정렬 디더법, 랜덤 디더법(random dither method) 등과 같은 디더법에 이르기까지 기존에 공지된 어떤 중간조 처리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정렬 디더법에 이용할 수 있는 디더 마스크로는 도 6a 및 도 6b에 예시한 베이어 디어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정렬 디더 행렬의 일종인 4 ×4 베이어 디더 마스크 및 8 ×8 베이어 디더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제 1 판단 단계 S240에서는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인지를 비교·판단한다. 상기 제 1 판단 단계(S240)의 비교 결과, 단계 S250에서는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면, C 성분과 M 성분을 모두 0으로 이치화한다.
제 2 판단 단계 S260에서는 상기 제 1 판단 단계(S240)의 비교 결과, 제 1 혼색(C+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 아니면, 제 1 혼색(C+M)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값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한다.
제 2 비교 판단 단계(S260)의 판단 결과, 제 1 혼색(C+M)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 3 판단 단계 S270에서는 C 성분값이 M 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한다.
상기 제 3 판단 단계(S270)의 판단 결과, C 성분값이 M 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 S280에서는 C 성분과 M 성분을 각각 1과 0으로 이치화한다.
상기 제 3 판단 단계(S270)의 판단 결과, C 성분값이 M 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단계 S90에서는 C 성분과 M 성분을 각각 0과 1로 이치화한다.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S260)의 판단 결과, 제 1 혼색(C+M) 성분값이 상 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단계 S300에서는 C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의 0.5배인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C 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C 성분을 1로 이치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C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하며, M 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M 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M 성분을 1로 이치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M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다.
단계 S310에서는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인지를 판단하여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면, 흑색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하고,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 아니면, 상기 흑색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C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M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Y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모두 끝나면, 단계 S210으로 되돌아가서 모든 화소에 대한 오차 확산 처리가 끝날 때까지 이상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흑색(K)의 발생이 억제되어야 하는 밝은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C 성분 또는 M 성분이 동시에 1이 되는 경우를 금지시킴으로써 CMY가 모두 1인 흑색(K) 색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흑색(K)이 인쇄되어야 하는 어두운 영역에서는 정상적으로 흑색(K)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밝은 영역에서 흑색이 띄 엄뜨엄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하여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후,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1과 0으로 이치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0과 1로 이치화하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의 최대 계조 값보다 클 경우에는 정상적인 중간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밝은 영역에서 흑색 색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밝은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C 성분 또는 M 성분이 동시에 1이 되는 경우를 금지시킴으로써 CMY가 모두 1인 흑색(K) 색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흑색(K)이 인쇄되어야 하는 어두운 영역에서는 정상적으로 흑색(K)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밝은 영역에서 흑색이 띄엄뜨엄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운 계조 표현 능력을 갖도록 하여 고화질의 칼라 중간조 화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칼라 오차 확산 방법에 있어서: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한 후, 청록색(Cyan; C) 성분, 심홍색(Magenta; M) 성분, 노란색(Yellow; Y)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한 후,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에 대해 오차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제 1 수정 색성분값과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혼색 성분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성분인 제 3 색성분에 상기 오차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인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모두 0으로 이치화한 후,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과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각각 제 1 계조 오차값과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값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 및
    상기 제 3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의 0.5배인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1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며,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큰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이 상기 중간 계조값보다 크면, 상기 제 2 색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에서 상기 최대 계조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 2 색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2 수정 색성분값을 상기 제 2 계조 오차값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면, 상기 흑색 성분을 1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 아니면, 상기 흑색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한 후에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성분 및 상기 제 2 색성분은,
    각각 상기 청록색 성분 및 상기 심홍색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계조값 및 상기 최대 계조값은,
    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일 때, 각각 127 및 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6.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 칼라 화상에서 래스터 스캐닝 순으로 주목 화소를 지정하여 주목 화소의 색상 성분을 분리한 후, 청록색(Cyan; C) 성분, 심홍색(Magenta; M) 성분, 노란색(Yellow; Y)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청록색 성분, 심홍색 성분, 노란색 성분 중 두 개의 색성분인 제 1 색성분과 제 2 색성분을 선택한 후,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가산한 제 1 혼색 성분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제 1 혼색 성분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성분인 제 3 색성분에 기설정된 중간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인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모두 0으로 이치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단일 색성분값의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 및
    상기 제 3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 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1과 0으로 이치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색성분값이 상기 제 2 색성분값 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을 각각 0과 1로 이치화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교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혼색 성분값이 상기 최대 계조값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제 1 색성분과 상기 제 2 색성분에 기설정된 중간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면, 상기 흑색 성분을 1로 이치화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이 모두 1이 아니면, 상기 흑색 성분을 0으로 이치화하고 상기 제 1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과 상기 제 2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 및 상기 제 3 색성분의 이치화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성분 및 상기 제 2 색성분은,
    각각 상기 청록색 성분 및 상기 심홍색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계조값 및 상기 최대 계조값은,
    화소당 비트수가 8비트일 때, 각각 127 및 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KR1019990014208A 1999-04-21 1999-04-21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KR100561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08A KR100561453B1 (ko) 1999-04-21 1999-04-21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08A KR100561453B1 (ko) 1999-04-21 1999-04-21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829A KR20000066829A (ko) 2000-11-15
KR100561453B1 true KR100561453B1 (ko) 2006-03-16

Family

ID=1958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208A KR100561453B1 (ko) 1999-04-21 1999-04-21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4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029A (ja) * 1994-01-27 1995-10-20 Hewlett Packard Co <Hp> 下色除去、及び誤差配分手順を改良した2レベル・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タ・システム
JPH08305330A (ja) * 1995-02-09 1996-11-22 Canon Inc 誤差拡散方法・誤差拡散装置及び中間調処理方法
US5621545A (en) * 1993-12-08 1997-04-15 Motta; Ricardo J. Image production using color error diffusion
JPH1071746A (ja) * 1996-07-12 1998-03-17 Seiko Epson Corp 適応しきい値を使用する誤差拡散型ハーフトーニング方法、装置、印刷装置および記憶媒体
EP0895408A2 (en) * 1997-07-31 1999-02-03 Hewlett-Packard Company Color halftone error-diffusion with local brightness variation redu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545A (en) * 1993-12-08 1997-04-15 Motta; Ricardo J. Image production using color error diffusion
JPH07274029A (ja) * 1994-01-27 1995-10-20 Hewlett Packard Co <Hp> 下色除去、及び誤差配分手順を改良した2レベル・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タ・システム
JPH08305330A (ja) * 1995-02-09 1996-11-22 Canon Inc 誤差拡散方法・誤差拡散装置及び中間調処理方法
JPH1071746A (ja) * 1996-07-12 1998-03-17 Seiko Epson Corp 適応しきい値を使用する誤差拡散型ハーフトーニング方法、装置、印刷装置および記憶媒体
EP0895408A2 (en) * 1997-07-31 1999-02-03 Hewlett-Packard Company Color halftone error-diffusion with local brightness variation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829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3803A (en) Combined color halftoning
EP0946049B1 (en) Processing images
EP0654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ctor error diffusion with output color control
US6813043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ed thereby
US5991512A (en) Ink relocation for color halftones
US5715073A (en) Processing by separate stages monochrome digital images to provide halftone color images
US6307647B1 (en) Digital halftoning with error diffusion
KR100561453B1 (ko) 4색 칼라 인쇄를 위한 적응형 칼라 중간조 처리 방법
JP2004135317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処理方法
JP3360476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848558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US6847732B1 (en) Image error diffusion device with noise superposition
Yu et al. Adaptive color halftoning for minimum perceived error using the blue noise mask
KR100334105B1 (ko) 칼라 프린팅 시스템의 다단계 칼라 오차 확산 방법
KR100522589B1 (ko) 적응형 칼라 오차 확산 방법
KR100381651B1 (ko) 칼라 중간조 처리 장치
KR100268336B1 (ko) 가변 역치값을 이용한 오차 확산 방법
KR100547102B1 (ko) 흑화소 이격에 기반한 적응형 오차 확산 방법
EP0863661A2 (en) Fast error diffusion algorithm
US6614943B1 (en) Method of image binary coding and image binary coding apparatus
AU676419B2 (en) Reduction of luminance noise in colour dithering
KR100321299B1 (ko) 고역 통과 필터링에 기반한 적응형 오차 확산 방법
KR20010045098A (ko) 명도 성분에 기반한 칼라 화상의 윤곽선 강조 방법
KR20000066828A (ko) 수정 주목 화소값의 일부분을 랜덤 교체하는 오차 확산 방법
JPH03204273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