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387B1 -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387B1
KR100561387B1 KR1019990022874A KR19990022874A KR100561387B1 KR 100561387 B1 KR100561387 B1 KR 100561387B1 KR 1019990022874 A KR1019990022874 A KR 1019990022874A KR 19990022874 A KR19990022874 A KR 19990022874A KR 100561387 B1 KR100561387 B1 KR 10056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etermination
memory
judg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852A (ko
Inventor
윤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3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4Double foot controls, e.g. for instructio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장치에 있어서, 용지 유무 확인을 위해 기존의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가 키를 누름에 따라 장치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키 처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내부 구성 요소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전달 받아 장치를 운영하고 있는 사용자의 인쇄 여부를 확인한 후, 용지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급지부에 용지가 구비되어 있을 시에는 인쇄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장치 외부에 용지 보충 메시지를 보내어 용지 유무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는 프린터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용지 감지 센서가 없이도 운영 방법을 달리하여 똑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프린터, 용지 감지, 키 처리, 시간 처리, 용지 위치 감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Printing Method Based on Key Processing in the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이 적용된 장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이 적용된 키(Key) 처리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센서부 20: 표시부
30: 전원제어부 40: 리세트
50: 병렬 인터페이스 70: 스캐너
80: 제어부 90: 메모리부
100: 모뎀 110: 링감지부
120: 네트워크 제어장치( NCU: Network Control Unit)
본 발명은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장치에 있어서, 용지 확인을 위해 운영 방법을 달리한 키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용지 유무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무 자동화에 편승하여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각각의 사무 자동화 장치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프린터 역시 눈부신 발전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장치 자체에 인쇄 용지 감지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받은 각종 데이터를 장치 구성 요소인 표시부에 나타냄으로써 인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쇄 여부 판단 결과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의해 인쇄를 하고자 할 경우 자동적으로 용지 감지 센서가 작동하여 인쇄 용지 유무를 판단하여 인쇄 여부를 결정지었다.
즉, 외부로부터 인쇄 명령을 전달받을 경우, 장치 내의 용지 감지 센서는 용지 유무를 감지하여 용지가 없다고 감지되면 장치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받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장치 내의 급지부에 용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고, 장치 내부에 메모리부가 있을 경우 메모리 수신을 하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프린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됨에도 불구하고 용지 감지 센서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용지 감지 센서의 장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정상적인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인쇄 작업을 시작하고, 용지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인쇄 용지의 위치가 감지될 경우에는 해당 인쇄 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인쇄 오류 상황을 외부에 통지함으로써 용지 유무의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은,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유무 확인을 위해 기존의 용지 감지 센서 없이 단지 키를 누름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키 처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의 구성 요소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전달받아 장치를 운영하 고 있는 사용자의 인쇄 여부를 확인한 후, 용지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용지가 구비되어 있을 시에는 인쇄를 하고, 용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에 용지 보충 신호를 보내어 용지 유무 여부를 확인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감지 센서가 없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감지 센서가 없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센서부(10)는 외부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아 중앙 처리 장치(80)에 데이터 신호를 입력시키고, 중앙 처리 장치(80)의 여러 작업에 대한 진척 상황과 시스템 정보와 같은 표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전원 제어부(30)는 상기 광학적 발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20)로부터 입력된 신호값을 중앙 처리 장치(80)에 전달하고, 그와 동시에 리세트부(40)에 신호를 입력하여 리세트부(40)의 전원을 제어한다.
스캐너(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디지털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 후, 메모리부(90)에 화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80)에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90)에는 복합기의 작동을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과 프로토콜 (Protocol)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에 관련된 내용이 저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스캐너부(7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시키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80)의 명령을 따른다.
병렬 인터페이스(50)는 상기 장치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와 여러가지 데이터를 공유 및 교환하고 컴퓨터에서 내려받은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그와는 반대로 컴퓨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하여 화상을 컴퓨터에 저장시키는 하나의 통로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제어 장치(NCU; Network Control Unit)(120)는 장치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망(Ring과 Tip으로 구성됨)의 통화 루프(loop)를 통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시스템 관리를 하며, 연결된 전화망의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를 인터페이싱 (Interfacing) 해주는 역할을 하는 모뎀(100)의 데이터를 서로 지정된 장소에 교환한다.
링 감지부(110)는 외부에 연결된 전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여, 중앙 처리 장치(80)에 보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프린터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프린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10)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10)의 판단 결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 요청 데이터가 메모리에 수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20)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10)의 판단 결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이후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S30)와;
상기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단 단계로 가는 단계(S40)와;
상기 제 2 판단 단계(S20)의 판단 결과, 상기 인쇄 요청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수신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인쇄 확인 여부를 문의하기 위해 인쇄 확인 키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쇄 확인 키 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받고 급지 기능을 구동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면서 용지 위치 센서부(10)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S60)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상기 용지 위치 센서부(10)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면,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용지상에 인쇄하는 단계(S70)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상기 용지 위치 센서부(10)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용지의 보충을 요청하는 용지 부족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하는 단계(S80)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감지 센서가 없는 장치에서의 시스템 운영방법의 수행 절차를 도 2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 1 판단 단계(S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 패널을 통해 키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 2 판단 단계(S20)에서는 제 1 판단 단계(S10)의 판단 결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 요청 데이터가 메모리에 수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메모리부(90)에 수신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중앙 처리 장치(80)에서 메모리부(90)에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단계 S30은 제 1 판단 단계(S10)의 판단 결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이후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한다.
그리고, 단계 S40에서는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단 단계(S20)로 간다.
이후, 제 2 판단 단계(S20)의 판단 결과, 단계 S50에서는 상기 인쇄 요청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수신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인쇄 확인 여부를 문의하기 위해 인쇄 확인 키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제 3 판단 단계(S6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쇄 확인 키 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받고 급지 기능을 구동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면서 용지 위치 센서부(10)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3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단계 S70에서는 상기 용지 위치 센서부(10)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면,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용지상에 인쇄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 3 판단 단계(S60)의 판단 결과, 단계 S80에서는 상기 용지 위치 센서부(10)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용지의 보충을 요청하는 용지부족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 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장치에 있어서, 용지 유무 확인을 위해 기존의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가 키를 누름에 따라 장치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키 처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내부 구성 요소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전달받아 장치를 운영하고 있는 사용자의 인쇄 여부를 확인한 후, 용지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용지가 구비되어 있을 시에는 인쇄를 하고, 용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에 용지 보충 신호를 전송하여 용지 유무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용지 감지 센서로 인한 추가비용 없이 운영방법을 달리하여 똑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제품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들에게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용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 요청 데이터가 메모리에 수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제 2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인쇄 요청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수신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인쇄 확인 여부를 문의하기 위해 인쇄 확인 키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쇄 확인 키 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받고 급지 기능을 구동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면서 용지 위치 센서부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와;
    상기 제 3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용지 위치 센서부를 통해 용지의 위치가 감지되면,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용지상에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용지 위치 센서부를 통해 용지의 위 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용지의 보충을 요청하는 용지 부족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임의의 키 입력이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이후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단 단계로 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용지 급지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19990022874A 1999-06-18 1999-06-18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KR10056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874A KR100561387B1 (ko) 1999-06-18 1999-06-18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874A KR100561387B1 (ko) 1999-06-18 1999-06-18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852A KR20010002852A (ko) 2001-01-15
KR100561387B1 true KR100561387B1 (ko) 2006-03-16

Family

ID=1959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874A KR100561387B1 (ko) 1999-06-18 1999-06-18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3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852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0793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portable terminal that preregisters a job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88730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70105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consumable item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4790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37144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US20030004832A1 (en) Consumable-supplies purchase order method and system, customer equipment, and purchase order processing apparatus
US20060132532A1 (en)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633394B2 (en) Image output device and image output method
KR100561387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키 처리 기반 인쇄 방법
US6559979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5208995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US8724179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9197243A (ja)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デバイス、通信装置およびデバイス管理方法
JPH113213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41753B1 (ko) 퍼스널컴퓨터를통한복합기팩시밀리장치의관리리포트확인방법
US20240012592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H08339278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1205890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3078692A (ja) 画像読取処理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ドライバ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0233408B1 (ko) 팩시밀리 장치에서 문서 송신방법
KR100202421B1 (ko) 복합기에서 프린터 억세스 불능시 송신/전화모드수행방법
JP3356572B2 (ja) デジタル複合機
GB2297009A (en) Displaying number of remaining record sheet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90079459A (ko) 이면지 감지장치
JP574394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