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850B1 -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 Google Patents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850B1
KR100559850B1 KR1020030060569A KR20030060569A KR100559850B1 KR 100559850 B1 KR100559850 B1 KR 100559850B1 KR 1020030060569 A KR1020030060569 A KR 1020030060569A KR 20030060569 A KR20030060569 A KR 20030060569A KR 100559850 B1 KR100559850 B1 KR 10055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ump shaft
power steering
bus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828A (ko
Inventor
김양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8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62D5/063Pump driven by vehicle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보디에 삽입 설치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펌프축과, 상기 펌프보디와 펌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디부쉬(Body bush)와, 상기 펌프축과 보디부쉬 사이의 접촉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펌프축에 대한 상기 보디부쉬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상기 펌프축의 회전저항을 감소시키는 마찰저항 저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를 제공함으로써, 펌프의 구동마력이 저감되어 차량의 연비가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동력조향장치, 유압펌프, 펌프축, 보디부쉬, 홈

Description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POWER STEERING PUM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펌프축과 보디부쉬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축과 보디부쉬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51 : 펌프보디 53 : 펌프축
55 : 풀리 59 : 보디부쉬
63 : 홈
본 발명은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디부쉬와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축의 직경이 축소되는 효과까지 볼 수 있도록 펌프축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펌프의 구동마력이 저감되어 차량의 연비가 개선되도록 한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에 관한 것이다.
고급 승용자동차, 대형 트럭 그리고 전륜구동방식의 자동차와 같이 조향차축 의 하중이 무거운 자동차들은 차륜 조향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조향기어비를 크게 하면 조향휠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는데, 이처럼 조향기어비를 크게 하면 스톱퍼에서 스톱퍼까지 조향하기 위해서는 조향휠을 여러번 회전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보통의 조향기어비를 이용하면서도 조향휠의 조작력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동력조향장치를 이용한다.
동력조향장치는 형식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조향기어, 유압펌프, 유압제어장치, 1개 또는 2개의 작동피스톤 등으로 구성되고, 작동피스톤은 조향기어 메카니즘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펌프축과 보디부쉬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보디(1)에 삽입 설치된 펌프축(3)이 그 선단에 설치된 풀리(5)를 통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동력조향에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은 제어밸브에 의해 조향휠의 조작방향에 따라 작동피스톤의 필요한 쪽에 공급되어 조향기어에 작용함으로써 조향휠의 회전운동에 필요한 조작력을 경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유압펌프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엔진에 걸리는 부하를 증가시켜 차량의 연비를 떨어뜨리게 되는 역기능이 있다.
따라서, 유압펌프의 구동마력을 저감시켜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키기 위한 많 은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고 이 방법들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펌프축(3)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것이지만, 상기 펌프축(3)의 직경을 축소시킬 경우에는 펌프축(3)은 물론, 펌프보디(1), 오일실(7), 보디부쉬(9) 등의 부품들을 모두 다시 설계하여 금형들도 새롭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개발기간도 과다하게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펌프축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보디부쉬와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축의 직경이 축소되는 효과까지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펌프축의 회전저항이 감소되어 펌프의 구동마력이 저감되고, 그 결과 차량의 연비가 개선되도록 하는 하는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는, 펌프보디에 삽입 설치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펌프축과, 상기 펌프보디와 펌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디부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축에는 이 펌프축과 보디부쉬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은 펌프축과 보디부쉬가 보디부쉬의 양끝단 부분에서만 접촉되는 길이로 펌프축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축과 보디부쉬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보디(51)에 삽입 설치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풀리(5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펌프축(53)과, 상기 펌프보디(51)와 펌프축(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축(53)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디부쉬(59)와, 상기 펌프축(53)과 보디부쉬(59) 사이의 접촉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펌프축(53)에 대한 상기 보디부쉬(59)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상기 펌프축(53)의 회전저항을 감소시키는 마찰저항 저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저항 저감수단은 펌프축(53) 중 상기 보디부쉬(59)로 감싸인 부분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축(53)과 보디부쉬(59)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홈(63)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63)은 펌프축(53)과 보디부쉬(59)가 상기 보디부쉬(59)의 양끝단에서만 접촉되도록 상기 펌프축(53)의 둘레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펌프축(53)과 보디부쉬(59)간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상기 펌프축(53)에 대한 보디부쉬(59)의 마찰저항이 감소되는 동시에 펌프축(53)의 직경이 부분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펌프축(53)의 중량이 감소되 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펌프축(53)이 회전되면서 동력조향에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킬 때, 상기 펌프축(53)의 회전저항이 감소되어 유압펌프로 인해서 엔진에 걸리게 되는 부하가 감소되게 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57은 오일실, 참조번호 61은 커버, 참조번호 65는 로터, 참조번호 67은 베인, 참조번호 69는 캠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는, 보디부쉬와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축의 직경이 축소되는 효과까지 볼 수 있도록 상기 펌프축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펌프축의 회전저항이 감소되어 펌프의 구동마력이 저감되고, 이에 따라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되어 차량의 연비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축의 구조만을 부분적으로 변경시킬 뿐 다른 부품들의 구조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펌프축의 구조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다시 설계하고 그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부수적인 개발비용의 추가 없이 펌프의 구동마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펌프보디에 삽입 설치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펌프축과, 상기 펌프보디와 펌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디부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축에는 이 펌프축과 보디부쉬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은 펌프축과 보디부쉬가 보디부쉬의 양끝단 부분에서만 접촉되는 길이로 펌프축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2. 삭제
  3. 삭제
KR1020030060569A 2003-08-30 2003-08-30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KR10055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69A KR100559850B1 (ko) 2003-08-30 2003-08-30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69A KR100559850B1 (ko) 2003-08-30 2003-08-30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28A KR20050022828A (ko) 2005-03-08
KR100559850B1 true KR100559850B1 (ko) 2006-03-10

Family

ID=3723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569A KR100559850B1 (ko) 2003-08-30 2003-08-30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8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28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422B1 (ko) 무한궤도차량용차륜구동장치
CN1310109A (zh) 转矩变换器
JPS6487928A (en) Hydraulic controller
JP2002513883A (ja) 駆動プーリに対して軸を液圧的に回転角調節する装置
KR100559850B1 (ko) 동력조향장치의 유압펌프
CN100400329C (zh) 汽车发动机附件驱动系统
US6591714B2 (en) Coupling device
CN2929289Y (zh) 轮用摆线液压马达
JP3991755B2 (ja) ベーンポンプ
Forbes et al. 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An advanced system for unique applications
CA2456462C (en) Oil pump drive assembly
KR100217677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용 오일펌프의 내구력향상구조
KR200149898Y1 (ko) 차량용 크랭크샤프트의 댐퍼 풀리 조립체
JPS628191Y2 (ko)
CN210218392U (zh) 一种曲轴中心摇臂
KR10099199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 피스톤 구조
KR100348071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오일펌프의 장착구조
KR20080114205A (ko) 차량의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와 리저버 탱크간의 u너트방식 조립 구조
JPH0726986A (ja) 制振装置付燃料噴射装置
JPS6032347Y2 (ja) 動力取出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
KR200284162Y1 (ko)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의 샤프트 지지구조
KR0126667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유격감소 구조
KR0126670Y1 (ko) 파워스티어링 장치용 로타리밸브의 구조
KR0149079B1 (ko) 타이어의 접지면 보상장치
CN112112881A (zh) 一种用于可变有效曲拐半径机构的曲轴中心摇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