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612B1 - Wiper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iper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612B1
KR100559612B1 KR1020040019202A KR20040019202A KR100559612B1 KR 100559612 B1 KR100559612 B1 KR 100559612B1 KR 1020040019202 A KR1020040019202 A KR 1020040019202A KR 20040019202 A KR20040019202 A KR 20040019202A KR 100559612 B1 KR100559612 B1 KR 10055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blades
metal cover
electro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4084A (en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612B1/en
Publication of KR2005009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Markers with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배치되는 이중날 구조를 가지면서 두 개의 날 중 선택된 하나가 글래스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로 회전이 가능한 블레이드가 채용되고, 선택 자화되는 전자석에 의해 와이퍼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적절히 회전되어 상기 두 개의 날 중 하나씩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라 글래스면을 번갈아 닦아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의 소음 발생 원인이었던 단일 날에서의 마찰면 이동 없이 와이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and has a double blade structure that is arrang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wiper, and a blade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so that the selected one of the two blad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he blade is properly rotated at the upper and lower limit positions of the wiper by an optional magnetized electromagnet to alternately wipe the glass surface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one by one of the two blades, thereby causing a single blade that was a noise source of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system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performing a wiping function without moving the friction surface at

이러한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 의하면, 와이퍼의 방향 전환시점에서 전자석에 의해 이중날 구조의 블레이드가 회전되어지면서 두 날 중 하나가 와이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의 취부방향이 적절히 변경되어짐으로써, 종래 와이퍼의 방향 전환시에 발생하였던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lade of the double blade structure is rotated by the electromagnet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per,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blade is appropriately changed so that one of the two blades can perform the wip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wiper.

와이퍼, 블레이드, 이중날 구조, 전자석, 에탁스(ETACS), 위치감지부, 소음 저감Wipers, blades, double blade construction, electromagnets, ETACS, position detector, noise reduction

Description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Wiper system for vehicle}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Wiper system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i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per blade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 리미트 스위치, 에탁스 및 릴레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limit switch, etax and relay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른 전자석의 자화상태와 금속재 커버 및 블레이드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4a and 4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magnetization state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rotation state of the metal cover and the blade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와이퍼 시스템의 블레이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de of a conventional wiper syst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와이퍼 모터 20 : 링키지 시스템10: wiper motor 20: linkage system

30 : 피봇기구 40 : 와이퍼 아암30: pivot mechanism 40: wiper arm

50 : 와이퍼 블레이드 51 : 고무재 블레이드50: wiper blade 51: rubber blade

52 : 날 53 : 금속재 커버52: day 53: metal cover

54 : 커버 프레임 55 : 힌지 브라켓54: cover frame 55: hinge bracket

56a, 56b : 전자석 60 : 위치감지부56a, 56b: electromagnet 60: position detecting unit

61 : 제1리미트 스위치 62 : 제2리미트 스위치61: first limit switch 62: second limit switch

70 : 에탁스 81, 82 : 릴레이70: Etax 81, 82: relay

100 : 글래스100: glass

본 발명은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배치되는 이중날 구조를 가지면서 두 개의 날 중 선택된 하나가 글래스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로 회전이 가능한 블레이드가 채용되고, 선택 자화되는 전자석에 의해 와이퍼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적절히 회전되어 상기 두 개의 날 중 하나씩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라 글래스면을 번갈아 닦아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의 소음 발생 원인이었던 단일 날에서의 마찰면 이동 없이 와이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and has a double blade structure that is arrang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wiper, and a blade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so that the selected one of the two blad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he blade is properly rotated at the upper and lower limit positions of the wiper by an optional magnetized electromagnet to alternately wipe the glass surface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one by one of the two blades, thereby causing a single blade that was a noise source of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system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performing a wiping function without moving the friction surface at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원활한 전방 시야 확보이다.As is well known,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is to have a good forward vision.

따라서, 통상의 차량에는 운전자의 원활한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윈드실드 글래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특히 우중시 글래스 표면의 빗물을 닦아주는 와이퍼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Therefore, a typical vehicle is equipped with a wiper system that removes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indshield glass surface and cleans rain water from the glass surface during raining, in order to ensure a smooth forward view of the driver.

이러한 와이퍼 시스템는 와이퍼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운동이 와이퍼 링키지 시스템(wiper linkage system)을 거쳐 와이퍼 아암으로 전달되고, 이 와이퍼 아암의 좌우 왕복 회동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소정 와이핑 구간을 이동하여 글래스를 닦아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such a wiper system, the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wiper motor is transferred to the wiper arm through the wiper linkage system, and the wiper blade moves the predetermined wiping section to wipe the glass by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wiper arm. It is.

윈드실드 글래스용 와이퍼 시스템의 경우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 각 피봇기구와 와이퍼 아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에 위치된 하나의 와이퍼 모터로부터 링키지 시스템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게 된다.The windshield wiper system is equipped with a pivot mechanism, a wiper arm, and a wiper blade on the driver's side and the passenger's side, which operate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through a linkage system from a central wiper motor.

이와 같이 윈드실드 글래스를 와이핑하는 와이퍼가 대부분이지만, 승합차의 경우에는 테일 게이트 글래스(또는 리어 글래스)를 와이핑하기 위한 리어 와이퍼 시스템이 장착되기도 한다.Most wipers use this type of wiper to windshield glass. However, vans are equipped with a rear wiper system for wiping tail gate glass (or rear glass).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는 글래스면에 직접 접촉하여 눈, 빗물,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고무재질의 부품이며, 글래스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날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per blade is a rubber material that directly contacts the glass surface to remove snow, rain water, dust, etc., and has a blade made of contact with the glass.

첨부한 도 5는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는 하단부에 형성된 하나의 날(2)을 가지며, 이 날(2)의 상측 양쪽으로는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홈(3)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wiper blad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lade 1 has one blade 2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the blad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2. The groove 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 is formed long.

블레이드(1)는 와이퍼의 좌우 회동시 이 홈(3)에서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유연하게 꺾여지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날(2)에서 글래스와의 마찰되는 면을 크게 하며, 이때 상기 홈(3)은 블레이드(1)의 이동방향이 바뀌는 시점에서 글래스와의 마찰되는 면이 원활히 옮겨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blade 1 is to be flexibly b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in the groove 3 when the wiper rotates left and right, which increases the friction surface with the glass on the blade (2), wherein the groove (3) serves to smoothly move the surface friction with the glass at the time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lade (1) is changed.

그러나, 종래에는 와이퍼가 회동구간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때 글래스에 밀착된 블레이드로부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 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wiper changes direction at the upper limit position and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rotation s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generated from the blad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이는 와이퍼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에서 블레이드가 꺾이는 동시에 마찰면이 옮겨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이와 같이 마찰면의 이동에 의한 소음으로 인해 운전자의 불만이 다수 있었는 바,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is is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blade is bent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wiper and the friction surface is shifted. As a result, the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friction surface has caused a lot of complaints from the driver.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와이퍼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배치되는 이중날 구조를 가지면서 두 개의 날 중 선택된 하나가 글래스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로 회전이 가능한 블레이드가 채용되고, 선택 자화되는 전자석에 의해 와이퍼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적절히 회전되어 상기 두 개의 날 중 하나씩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라 글래스면을 번갈아 닦아주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일 날에서의 마찰면 이동 없이 와이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의 소음 발생이 최소화 되는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lade having a double blade structure that is arrang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wiper while being rotat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selected one of the two blades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And the blades are rotated properly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wiper by an electromagnet to be selectively magnetized so that one of the two blades alternately wipes the glass surface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friction surface on a single bla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perform a wiping function without moving, thereby minimizing noise generation of a conventional wiper blad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와이퍼 진행방향에 대하여 두 개의 날이 전후로 배치된 이중날 구조의 블레이드, 이 블레이드의 두 날을 제외한 상측 나머지 부분을 둘러싼 구조의 금속재 커버, 와이퍼 아암이 연결되는 부분이면서 상기 금속재 커버 및 일체 조 립된 블레이드를 와이퍼 진행방향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금속재 커버 전후 양쪽으로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금속재 커버가 부착되면서 두 날 중 하나가 글래스에 밀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와;The present invention is a blade having a double blade structure disposed two front and rea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wiper, the metal cover of the structure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ther than the two blades of the blade, the portion that the wiper arm is connected and the metal cover and A cover frame rotatably supporting the assembled blade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iper, and the cover fram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cover before and after the metal cover, and the blade is rotated so that one of the two blades adheres to the glass while the metal cover is attached when the power is applied. A wiper blade composed of an electromagnet to make;

와이퍼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A pos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wiper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이 위치감지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 도달시점을 판단하여 각 도달시점에서 상기 두 전자석의 전원인가상태를 절환시켜 주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와;An étax for receiving a signal of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a time point for reaching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and outputting a relay driving signal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states of the two electromagnets at each arrival point;

이 에탁스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각 방향의 전자석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A relay for selectivel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s in the respective directions by the relay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etax;

를 포함한다.It includes.

특히, 상기 금속재 커버가 블레이드의 두 날을 제외한 상측 나머지 부분을 원형의 단면형태로 둘러싼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 커버 및 블레이드가 상기 커버 프레임의 반원형 단면구조 내부공간에서 상부면 중앙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metal cover is provid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lade except the two blades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metal cover and the blade is a hinge bracke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n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ver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또한, 상기 힌지 브라켓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ing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ranged on the length of the wiper blade.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는 와이퍼 상한위치와 하한위치에서 와이퍼 아암이 접촉하면서 온동작되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wo limit switches to be operated on the wiper arm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of the wip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리미트 스위치가 와이퍼 피봇기구 인근의 차체 카울 패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limit switches is installed on the body cowl panel near the wiper pivot mechanism.

상기 에탁스는, 상한 및 하한위치의 도달시점에서 상기 양쪽의 전자석 중 이후의 와이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쪽에 위치한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절환하고 그 절환된 전원인가상태가 다음 도달시점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tax can be switched so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located in front of the two wiper electromagnets at the time of reach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the switched power applied state can be maintained until the next arrival point. It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relay drive signa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종래에 와이퍼 방향 전환시 발생하였던 블레이드의 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와이퍼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배치되는 이중날 구조를 가지면서 두 개의 날 중 선택된 하나가 글래스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로 회전이 가능한 블레이드가 채용되고, 선택 자화되는 전자석에 의해 와이퍼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적절히 회전되어 상기 두 개의 날 중 하나씩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라 글래스면을 번갈아 닦아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의 소음 발생 원인이었던 단일 날에서의 마찰면 이동 없이 와이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noise of the blade that has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wiper direction change, while having a double blade structure arrang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and rotat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selected one of the two blades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his blade is adopted, and the blade is properly rot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wiper by an electromagnet to be selectively magnetized to alternately wipe the glass surface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one by one of the two blades, thereby providing a conventional wiper bla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which enables the wiping function to be performed without moving the friction surface on a single blade which caused the noise of the vehicle.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 리미트 스위치, 에탁스 및 릴레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per blade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ure 1, Figure 3 is a limit switch,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tax and relay.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도 글래스면을 직접 닦게 되는 와이퍼 블레이드(50)와, 모터 구동력을 링키지 시스템(20) 및 피봇기구(30)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를 이동시키는 와이퍼 아암(40)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채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Here, FIG. 1 is a wiper blade 50 to directly wipe the glass surface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the motor driving force through the linkage system 20 and the pivot mechanism 30 to move the wiper blade 50 The wiper arm 40 is shown, and FIG. 2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wiper blad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면부호 40은 와이퍼 아암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와이퍼 모터(10)에서 발생한 회전운동이 링키지 시스템(20) 및 피봇기구(30)를 거쳐 와이퍼 아암(40)으로 전달되고, 이 와이퍼 아암(40)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50)가 소정 와이핑 구간을 이동하여 글래스를 닦아주게 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wiper arm, and as a whole, a rotational motion generated in the wiper motor 10 is transmitted to the wiper arm 40 through the linkage system 20 and the pivot mechanism 30 as in the prior art. The wiper blade 50 moves the wiper section by the wiper arm 40 to wipe the glass.

또한, 도 2에서 도면부호 51은 날(52)을 통해 글래스(100)면에 직접 밀착되어 와이핑 기능을 수행하는 고무재질의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날(52)을 가지는 블레이드(51)가 채용된다.In addition, in FIG. 2, reference numeral 51 denotes a blade of rubber material which is direct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100 through the blade 52 to perform a wiping function.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blades 52 are provided. The blade 51 having a is adopted.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날(52)은 블레이드(51)의 하단에서 와이퍼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양쪽, 즉 도면상의 좌우 양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돌출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wo blades 52 protrude in an obliquely inclined form at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ing,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per at the lower end of the blade 51.

또한, 상기 고무재질의 블레이드(51)에는 후술하는 전자석(56a,56b)에 부착 가능한 철 등의 금속재질로 제조된 커버(53; 이하, 금속재 커버라 칭함)가 날(52)을 제외한 상측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있는 바, 금속재 커버(53) 안쪽으로 두 개의 날(52)을 가지는 블레이드(51)가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rubber blade 51 has a cover 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tal cover)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attachable to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to be described later, except for the blade 52. Since it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remaining part, the blade 51 having two blades 52 is fitted inside the metal cover 53.

또한, 상기 금속재 커버(53)는 후술하는 커버 프레임(54)의 내부공간에서 도면상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형태로 블레이드(51)를 둘러싸는 구조로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metal cover 53 is provid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blade 51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o enable left and right rotation in the draw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frame 5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금속재 커버(53)와 일체 조립된 블레이드(51)는 반원형 단면구 조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커버 프레임(54) 내에 상기 두 날(5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54)의 내부공간 상부면 중앙에는 힌지 브라켓(55)이 고정 설치되며, 이 힌지 브라켓(55)의 하단은 블레이드(51)와 일체로 조립된 금속재 커버(53)의 바깥면 중앙에 힌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blade 51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metal cover 53 as described above is rotatably installed to expose the two blades 52 to the outside in the cover frame 54 having an inner space of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hinge bracket 55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frame 54, and the lower end of the hinge bracket 55 is formed of the metal cover 53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blade 51. It is hing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상기 커버 프레임(54)은 와이퍼 아암(40)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와이퍼 아암(40)의 회동동작에 의해 글래스(100)의 와이핑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The cover frame 54 is a portion to which the end of the wiper arm 40 is connected, and moves the wiping section of the glass 100 by the rotation of the wiper arm 40.

여기서, 상기 금속재 커버(53)의 바깥면과 상기 커버 프레임(54)의 안쪽면은 금속재 커버(53) 및 블레이드(51)가 커버 프레임(54) 내부공간에서 힌지 브라켓(55)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두고 이격되어 있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cover 5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54 is the metal cover 53 and the blade 51 is a hinge point of the hinge bracket 55 in the cover frame 54 inner space. Spaced apart enough to be rotated about the center.

또한, 커버 프레임(54) 내부에서 금속재 커버(53) 및 블레이드(51)를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55)으로는 와이퍼 블레이드(50)의 길이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50) 양 끝단과 중간지점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등간격으로 그 이상의 갯수로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55 supporting the metal cover 53 and the blade 51 in the cover frame 54 are arrang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ngth of the wiper blade 50. The wiper blades 50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and intermediate points one by one, and may be installed in a larger number at equal intervals.

또한, 커버 프레임(54)의 내부면에는 블레이드(51)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상의 좌우 양쪽(진행방향의 전후 양쪽)으로 전자석(56a,56b)이 설치되는 바, 두 전자석(56a,56b) 중 어느 한쪽이 자화되는 경우 그 안쪽의 금속재 커버(53)가 자화된 전자석에 부착되면서 금속재 커버(53) 및 블레이드(51) 전체가 힌지 브라켓(5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54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front and rear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drawing, centering on the blade 51, and among the two electromagnets 56a and 56b. When either side is magnetized, the inner metal cover 53 is attached to the magnetized electromagnet so that the entire metal cover 53 and the blade 51 rotate about the hinge bracket 55.

상기 두 전자석(56a,56b)은 와이퍼 블레이드(50)가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금속재 커버(53) 및 블레이드(51)를 와이퍼의 진행방향에 맞게 적절히 회전시켜 주고,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50)의 각 방향 이동시 금속재 커버(53) 및 블레이드(51)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two electromagnets 56a and 56b rotate the metal cover 53 and the blade 51 appropriate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per when the wiper blade 50 reaches the upper limit position and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wiper blade. When moving in each direction of 50 serves to hold the metal cover 53 and the blade 51.

특히, 상기 두 전자석(56a,56b)은 후술하는 에탁스(ETACS; 70)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자화되는 바, 실제 적용시 에탁스(70)는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두 전자석(56a,56b) 중 하나만을 자화시키며, 또한 와이퍼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서 자화되는 전자석을 교대시켜 줌으로써, 금속재 커버(53) 및 블레이드(51)를 방향 전환시점에서 힌지 브라켓(5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the two electromagnets 56a and 56b are magnetized by a power applied by ETAS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ctual application, the Etax 70 selectively applies power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 direction. By magnetizing only one of the two electromagnets 56a and 56b and alternating the electromagnets magnetized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wiper, the hinge bracket 55 at the time of turning the metal cover 53 and the blade 51 is changed. It will rotate around.

한편,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60)를 포함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감지부(60)는 와이퍼 피봇기구(30) 인근의 차체 카울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와이퍼 아암(40)의 접촉에 의해 온(on)동작하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61,62)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detecting unit 60 for detect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of the wip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sition detecting unit 60 is a vehicle cowl near the wiper pivot mechanism 30 It is composed of two limit switches 61 and 62 mounted on a panel (not shown) and operated on by contact of the wiper arm 40.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61,62)는 소정 구간 내에서 좌우 회동하는 와이퍼 아암(40)의 접촉에 의해 온동작되는 스위치로서, 와이퍼 아암(40)의 상한위치에서 온동작되어 와이퍼 상한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리미트 스위치(61)와, 와이퍼 아암(40)의 하한위치에서 온동작되어 와이퍼 하한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리미트 스위치(62)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limit switches 61 and 62 are switches that are turned on by the contact of the wiper arm 40 which rotates left and right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re operated on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wiper arm 40. And a first limit switch 61 for detecting the wiper upper limit position, and a second limit switch 62 for detecting the wiper lower limit position by being operated on at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wiper arm 40.

여기서, 상기 각 리미트 스위치(61,62)로서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 는 경우, 통상의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가 내장된 스프링력에 의해 댐핑 작용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는 와이퍼 아암의 갑작스런 속도변화에 따르는 완충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Here, in the case of using a mechanical limit switch as each of the limit switches 61 and 62, since the damping action can be performed by a spring force in which a normal mechanical limit switch is incorporated, each mechanical limit switch can be used as a wiper arm. It can also act as a buffer against sudden speed changes.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위치감지부(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퍼가 상한위치에 도달한 시점과 하한위치에 도달한 시점을 판단하고 각 도달시점에서 상기 두 전자석(56a,56b)의 전원인가상태를 절환시켜 주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70)와, 이 에탁스(70)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각 해당 전자석(56a,56b)에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릴레이(81,8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60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wiper reaches the upper limit position and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at each time of arrival of the two electromagnets (56a, 56b) The battery power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respective electromagnets 56a and 56b by the Etax 70 which outputs the relay drive signal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state and the relay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Etax 70. Relays (81, 82).

여기서, 에탁스(70)는, 와이퍼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온(on)상태에서,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른 전자석(56a,56b)의 선택 구동을 위해, 상기 두 리미트 스위치(61,62)의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퍼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그로부터 와이퍼 진행방향을 판단하여, 와이퍼 진행방향에 맞게 상기 두 전자석(56a,56b) 중 어느 하나에 반드시 전원을 인가시키는 바, 해당되는 전자석(56a,56b)쪽의 릴레이(81,82)를 와이퍼 진행동안 계속해서 온상태로 유지시킨다.Herein, the two limit switches 61 and 62 are used for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according to the wiper travel direction in the on state of the witax switch (not shown). Determining the upper and lower limit position of the wiper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wiper from the direction of the wiper, by applying power to any one of the two electromagnets (56a, 56b)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iper, The relays 81 and 82 on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are kept on during the wiper process.

즉, 상기 에탁스(70)가 와이퍼의 방향 전환시 각 릴레이(81,82)를 적절히 온/오프시켜 두 전자석(56a,56b)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절환시켜 주는데, 현 방향 전환시점에서 해당 전자석(56a,56b)쪽 릴레이(81,82)의 코일측을 여자시켜 온(on)시킨 상태에서는 다음 번 방향 전환시점까지 그 릴레이(81,82)의 코일측을 계속적으로 여자시켜 해당 전자석(56a,56b)의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That is, the Etax 70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power applied to the two electromagnets 56a and 56b by appropriately turning on / off each relay 81 and 82 when the wiper changes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coil side of the relays 81 and 82 of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is excited and turned on, the coil side of the relays 81 and 82 is continuously excited until the next direction change point. The driving states of the 56a and 56b are maintained.

상기 릴레이(81,82)는 에탁스(70)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전류에 의해 온(on)동작하여 배터리 전원을 와이퍼 블레이드(50)의 해당 전자석(56a,56b)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50)의 커버 프레임(54) 내에 블레이드(51) 전후쪽(와이퍼 진행방향 기준)으로 각각 전자석(56a,56b)이 설치되므로, 각 방향의 전자석(56a,56b)마다 하나씩을 위한 두 개의 릴레이(81,82)가 구비된다.The relays 81 and 82 operate on by the excitation current output from the etax 70 to apply battery power to the corresponding electromagnets 56a and 56b of the wiper blade 50.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are installed in the cover frame 54 of the wiper blade 50 before and after the blade 51 (based on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Two relays 81 and 82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electromagnets 56a and 56b.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한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에서 와이퍼 진행방향에 따른 전자석의 자화상태와 금속재 커버 및 블레이드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진행방향쪽의 전방에 위치한 전자석(56a,56b)이 자화되고, 이 자화된 전자석(56a,56b)에 금속재 커버(53)가 부착되면서 이중날 구조의 블레이드(51)가 커버 프레임(54) 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agnetization state of an electromagnet and a rotation state of a metal cover and a blade according to a wiper advancing direction in the wi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an electromagnet positioned in front of the wiper advancing direction 56a and 56b are magnetized, and the metal cover 53 is attached to the magnetized electromagnets 56a and 56b so that the blade 51 of the double blade structure rotates in the cover frame 54.

먼저, 도 4a는 와이퍼의 전진(와이퍼가 하한위치에서 상한위치로 이동)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는 도면상 블레이드(51) 우측의 전자석(56b)이 전원을 인가받아 자화되며, 이 자화된 전자석(56b)에 금속재 커버(53)가 부착되면서 블레이드(51)는 힌지 브라켓(54)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First, FIG. 4A shows a state when the wiper is moved forward (the wiper moves from the lower limit position to the upper limit position), and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 56b on the right side of the blade 51 is magnetized by receiving power. While the metal cover 53 is attached to the 56b, the blade 5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bout the hinge bracket 54.

결국, 두 개의 날(52) 중 와이퍼 진행방향 후측으로 위치되는 하나의 날이 글래스(100)면에 밀착되어 와이핑을 수행하게 된다.As a result, one of the two blades 52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lass 100 to perform wiping.

이후, 와이퍼 아암(40)이 상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한위치에 도달한 와 이퍼 아암(40)에 의해 제1리미트 스위치(61)의 스위치 단자가 눌러져 온(on)동작하게 되고, 이때 에탁스(70)는 제1리미트 스위치(61)의 온(on)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퍼의 상한위치 도달을 감지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wiper arm 40 reaches the upper limit position, the switch terminal of the first limit switch 61 is pressed on by the wiper arm 40 having reached the upper limit position. The tax 70 receives the on signal of the first limit switch 61 to sense the arrival of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wiper.

이와 동시에 에탁스(70)는 전진동안 온상태로 유지시킨 릴레이(81)를 오프시키면서 반대측 전자석(56a)쪽의 릴레이(82)를 온시키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Etax 70 turns on the relay 8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ectromagnet 56a while turning off the relay 81 held on during the advancement.

물론, 에탁스(70)는 릴레이(82)의 코일측에 여자전류를 흘려주어 릴레이(82)를 온시키고, 이러한 릴레이 온상태를 이후 와이퍼의 리턴(와이퍼가 상한위치에서 하한위치로 이동)동안 계속해서 여자전류를 흘려주어 유지시킨다.Of course, the Etax 70 flows an excitation current to the coil side of the relay 82 to turn on the relay 82, and the relay on state is then changed during the return of the wiper (the wiper moves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to the lower limit position). It keeps flowing excitation current.

상기와 같이 반대측 릴레이(82)가 온되어지는 순간에는 배터리 전원이 도면상 블레이드(51) 좌측의 전자석(와이퍼 진행방향쪽의 전방에 위치한 전자석임, 56a)이 전원을 인가받아 자화되며, 도 4b에서와 같이, 이 자화된 전자석(56a)에 금속재 커버(53)가 부착되면서 블레이드(51)는 힌지 브라켓(55)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posite relay 82 is turned on, the battery power is magnetized by the electromagnet on the left side of the blade 51 (the electromagnet located at the front of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56A applied thereto, and FIG. 4B. As in, as the metal cover 53 is attached to the magnetized electromagnet 56a, the blade 51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about the hinge bracket 55.

결국, 두 개의 날(52) 중 전진시와는 반대쪽의 날(와이퍼 진행방향 후측으로 위치되는 날임)이 글래스(100)면에 밀착되어 와이핑을 수행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edge of the two blades 52 (the blades positioned to the rear side of the wiper traveling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lass 100 to perform wiping.

한편, 와이퍼 아암(40)이 다시 하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하한위치에 도달한 와이퍼 아암(40)에 의해 제2리미트 스위치(62)의 스위치 단자가 눌러져 온(on)동작하게 되고, 이때 에탁스(70)는 제2리미트 스위치(62)의 온(on)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퍼의 하한위치 도달을 감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per arm 40 reaches the lower limit position again, the switch terminal of the second limit switch 62 is pressed on by the wiper arm 40 having reached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tax 70 receives the ON signal of the second limit switch 62 to sense the arrival of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wiper.

이와 동시에 에탁스(70)는 리턴동안 온상태로 유지시킨 릴레이(82)를 오프시 키면서 반대측 전자석(56b)쪽의 릴레이(81)를 온시키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Etax 70 turns on the relay 8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ectromagnet 56b while turning off the relay 82 held on during the return.

물론, 에탁스(70)는 이러한 릴레이 온상태를 이후 와이퍼의 전진동안 계속해서 여자전류를 흘려주어 유지시킨다.Of course, the Etax 70 maintains this relay on state by continuously exciting the current during the advancement of the wiper.

이후 다시 와이퍼의 전진시에는 도 4a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결국 와이퍼 작동동안 도 4a와 도 4b의 상태는 계속해서 번갈아가면서 반복되어진다.Afterwards, the wiper advance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and as a result, the states of FIGS. 4A and 4B are repeated alternately during the wiper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에 의하면, 와이퍼의 방향 전환시점에서 전자석에 의해 이중날 구조의 블레이드가 회전되어지면서 두 날 중 하나가 와이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의 취부방향이 적절히 변경되어짐으로써, 종래 와이퍼의 방향 전환시에 발생하였던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wi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mounting of the blade so that one of the two blades to perform the wiping function while the blade of the dual blade structure is rotated by the electromagnet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per By changing the direction appropriate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generated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wiper.

Claims (6)

와이퍼 진행방향에 대하여 두 개의 날이 전후로 배치된 이중날 구조의 블레이드, 이 블레이드의 두 날을 제외한 상측 나머지 부분을 둘러싼 구조의 금속재 커버, 와이퍼 아암이 연결되는 부분이면서 상기 금속재 커버 및 일체 조립된 블레이드를 와이퍼 진행방향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금속재 커버 전후 양쪽으로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금속재 커버가 부착되면서 두 날 중 하나가 글래스에 밀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와;Blade having a double blade structure in which two blades are arrang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wiper, a metal cover having a structure surrounding the upper rest except for the two blades of the blade, a portion where the wiper arm is connected, and the metal cover and the integrated blade It is composed of a cover fram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wiper, and an electromagnet for rotating the blade so that one of the two blad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while the metal cover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frame before and after the metal cover. A wiper blade; 와이퍼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A pos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wiper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이 위치감지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 도달시점을 판단하여 각 도달시점에서 상기 두 전자석의 전원인가상태를 절환시켜 주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와;An étax for receiving a signal of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a time point for reaching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and outputting a relay driving signal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states of the two electromagnets at each arrival point; 이 에탁스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각 방향의 전자석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A relay for selectivel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s in the respective directions by the relay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etax; 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금속재 커버가 블레이드의 두 날을 제외한 상측 나머지 부분을 원형의 단면형태로 둘러싼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금속재 커버 및 블레이드가 상기 커버 프레임의 반원형 단면구조 내부공간에서 상부면 중앙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The metal cover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surrounding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lade except the two blades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metal cover and the blade by a hinge bracke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n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ver frame A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힌지 브라켓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The hinge bracket is a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ranged on the length of the wiper bla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위치감지부는 와이퍼 상한위치와 하한위치에서 와이퍼 아암이 접촉하면서 온동작되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And the position detecting unit comprises two limit switches which are on-operated while the wiper arms contact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wiper positions of the wiper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각 리미트 스위치는 와이퍼 피봇기구 인근의 차체 카울 패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And each of the limit switches is installed on a vehicle cowl panel near a wiper pivot mechanis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에탁스는,The etax, 상한 및 하한위치의 도달시점에서 상기 양쪽의 전자석 중 이후의 와이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쪽에 위치한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절환하고 그 절환된 전원인가상태가 다음 도달시점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Relay drive for switching the power to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located at the front of the two wiper electromagnets at the time of reaching the upper limit and the lower limit and maintaining the switched power supply state until the next arrival point. Noise reduction vehicle wiper system for outputting a signal.
KR1020040019202A 2004-03-22 2004-03-22 Wiper system for vehicle KR100559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202A KR100559612B1 (en) 2004-03-22 2004-03-22 Wiper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202A KR100559612B1 (en) 2004-03-22 2004-03-22 Wiper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084A KR20050094084A (en) 2005-09-27
KR100559612B1 true KR100559612B1 (en) 2006-03-15

Family

ID=3727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202A KR100559612B1 (en) 2004-03-22 2004-03-22 Wiper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6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65B1 (en) * 2006-09-29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per with a vibration blade of a c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65B1 (en) * 2006-09-29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per with a vibration blade of a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084A (en)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6374B2 (en) Wiper control device
KR100559612B1 (en) Wiper system for vehicle
JP4472744B2 (en) Wiper device
JP5383182B2 (en) WIPER DEVICE, WIPER CONTROL METHOD, AND WIPER CONTROL PROGRAM
JP2948327B2 (en) Wiper control device
JP5155556B2 (en) Wiper drive device
WO2021106836A1 (en) Wiper control method and wiper control device
JP5058586B2 (en) Wiper drive device
JP4158104B2 (en) Wip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3964895B2 (en) Wiper
JP4114190B2 (en) Wiper
JP2953148B2 (en) Rear wiper device for vehicles
JP2002331915A (en) Oppositely sweeping type wiper device
JP2003048514A (en) Control method for wiper device
KR900008119Y1 (en) Rear view mirror
JP2009107421A (en) Wiper device for vehicle
KR19980035953U (en) Vehicle&#39;s Rear Wiper Drive
JPS6296154A (en) Wiping area control unit for wiper device
KR20050036569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wiper for vehicles
KR20070043405A (en) Friction noise reduction wiper
KR100427382B1 (en) Wiper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for automobile
KR100189369B1 (en) Windshield wiper for a vehicle
JP2022180036A (en) Wiper device
JP2007269170A (en) Wiper blade
KR200301803Y1 (en) Windshield Wip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