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803Y1 - Windshield Wiper Structure - Google Patents

Windshield Wip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803Y1
KR200301803Y1 KR2019970043679U KR19970043679U KR200301803Y1 KR 200301803 Y1 KR200301803 Y1 KR 200301803Y1 KR 2019970043679 U KR2019970043679 U KR 2019970043679U KR 19970043679 U KR19970043679 U KR 19970043679U KR 200301803 Y1 KR200301803 Y1 KR 200301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rubber contact
windshield
windshield wiper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6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0981U (en
Inventor
박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43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803Y1/en
Publication of KR19990030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98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8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작동에 따른 윈드 시일드 글라스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주행중에 초래되는 비나 눈 또는 먼지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데 있어 장애를 받게 되더라도 전방의 시야가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to be wid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ndshield wiper so that the front vision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front vision is prevented by natural phenomena such as rain, snow or dust caused during driving. This is to avoid narrowing the field of view.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부 윈드 시일드 글라스(1)와 접촉하는 고무 접촉부재(10a)와, 상기 고무접촉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구(10b)를 포함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0)에 있어서, 상기 고무 접촉부재(10a)의 양측에 형성되며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에 삽입되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와, 상기 내측고무 접촉부재(14)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구조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비나 눈 또는 먼지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전방시야가 좁아짐으로써, 발생되는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shield wiper 10 including a rubber contact member 10a in contact with the front windshield glass 1 of the vehicle, and a support 10b into which the rubber contact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 Guide parts 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and having a lower side opened, an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30, and the inner rubber contact. By providing a windshield wip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means for moving the member 14 to the left and right to reduce the blind spots generated by the driver by narrowing the front field of view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rain, snow or dust. will be.

Description

윈드 시일드 와이퍼구조(structure of wind shield wiper)Structure of wind shield wiper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 유리창인 윈드 시일드 글라스를 닦아주는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에서 작동하는 면적을 크게할 수 있는 와이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for wiping the windshield glass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per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area to operate in the windshield glas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우천시나 짙은 안개가 끼었을 때, 전방 유리창에 형성되는 물방울을 닦아 내리도록 하는 와이퍼 유니트가 구비되어 있어, 물방울이 형성됨으로 인해 전면 시야가 불량해지는 것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per unit to wipe off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front window when rain or heavy fog,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oor front view due to the water droplets are formed.

그럼, 여기서 종래 자동차에 윈드 시일드 글라스를 닦아주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구조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는 바,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structure of the windshield wiper for wiping the windshield glass in a conventional vehicle is shown in Figures 1 and 2, which will be described briefly as follows.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에 접촉되는 고무 접촉부재(110a) 및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에 고무 접촉부재(110a)를 균일하게 밀착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구(110b)로 이루어진 윈드 시일드 와이퍼(110)와, 윈드 시일드 와이퍼(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윈드 시일드 글라스(110)에 슬라이딩시키도록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 모터링크(111)와, 이 모터링크(111)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와이퍼 스위치(미도시)의 선택에 따라 모터링크(111)를 구동시키는 모터(112)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rubber contact member 110a in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101 and the rubber contact member 110a in uniform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101 ( A windshield wiper (110b) consisting of 110b), a motor link (111) formed of a link mechanis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ndshield wiper (110) and sliding on the windshield glass (110), and the motorlink It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111) is composed of a motor 112 for driving the motor link 111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wiper switch (not shown).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10)는 주행중 운전자가 전방의 시야를 관측하는데 있어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의 표면에 쌓이는 먼지라든지 자연 현상에 따른 비나 눈 그리고 안개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과 같은 것들에 의해 전방의 시야를 제대로 관측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The windshield wiper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dust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glass 101 while the driver observes the front view while driving, and water droplets generated by rain, snow, and fog due to natural phenomena and The same can be used when it is difficult to see the view ahead.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가 주행중에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와이퍼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며, 와이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모터(112)에 전류가 인가되면, 모터(112)의 회전에 따라 모터링크(111)가 연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bove case occurs while driving, the driver operates the wiper switch,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1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per switch, the motor link 111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112. It will work.

회전력을 전달 받은 모터링크(111)는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윈드 시일드 와이퍼(110)를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에 밀착시키며 왕복시키게 된다. 이때,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에 밀착된 상태로 모터링크(111)와 동기 왕복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10)의 고무 접촉부재(110a)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의 빗물이나 이물질등을 닦아내리게 된다.The motor link 111 received the rotational force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to reciprocate the wind shield wiper 110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 shield glass 101. At this time, the rubber contact member 110a of the windshield wiper 110, which is synchronously reciprocated with the motor link 111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101, is rainwater or foreign matter of the windshield glass 101. Wipe off.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 접촉부재(110a)는 지지구(110b)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윈드 시일드 글라스(101)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슬라이딩하더라도 윈드 시일드 와이퍼(110)의 지지구(110a)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rubber contact member (110a) as shown in Figure 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110b) is firmly fixed, even if the windshield wiper 110 firmly adhered to the windshield glass 101 sliding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110a.

그러나, 이와 같은 윈드 시일드 와이퍼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와의 접촉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우천시에는 운전자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함에 있어 사각지대가 평상시 주행하는 과정에서 느끼게 되는 범위보다 더욱 넓어지게 됨으로써, 전방의 시야가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windshield wiper has such a small area of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in the rainy weather, the driver's view of the windshield becomes wider than the range felt by the blind spot during normal driving. The problem of narrowing the field of view occur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작동에 따른 윈드 시일드 글라스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주행중에 초래되는 비나 눈 또는 먼지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데 있어 장애를 받게 되더라도 전방의 시야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 함으로써, 운전자가 좀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각지대가 넓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wide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ndshield wiper to cause natural phenomena such as rain, snow or dust caused while driving By preventing the front view from narrowing even if the obstacle to secure the front view by the purpose, the driver can secure a wider field of view and thereby not to widen the blind spot.

도 1은 종래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indshield wiper;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 시일드 와이퍼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shield wip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윈드 시일드 글라스 10 : 윈드 시일드 와이퍼1: windshield glass 10: windshield wiper

10a : 고무 접촉부재 10b : 지지구10a: rubber contact member 10b: support

11 : 링크모터 12 : 모터11: link motor 12: motor

14 : 내측고무 접촉부재 16 : 브라켓14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6 bracket

18 : 전자석 20 : 로드18: electromagnet 20: rod

22 : 스위치부 24 : 삽입구22: switch portion 24: insertion hole

26 : 공간부 28 : 개구부26: space portion 28: opening

30 : 가이드부30: guide part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부 윈드 시일드 글라스와 접촉하는 고무 접촉부재와, 고무 접촉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고무 접촉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며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내측고무 접촉부재와, 상기 내측고무 접촉부재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지지구의 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두 개의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고무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두 개의 로드와,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극성을 바꾸어주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windshield wiper comprising a rubber contact member in contact with the windshiel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and a support for the rubber contact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the rubber A guide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member and having a lower side opened, an inner rubber contact member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and a sliding means for flowing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from side to side. A bracket formed inside the earth and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having insertion holes form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electromagnet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of the bracket and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s respectively Two rod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It provides a windshield wiper structure comprising a switch unit for changing the polarity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이하, 본 고안의 실시에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윈드 시일드 와이퍼(10)구조는 양측에 상하부가 갈라진 가이드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 접촉부재(10a)가 윈드 시일드 글라스(1)과 접촉하고 있고, 이 고무 접촉부재(10a)의 가이드부(30)에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가 삽입되어 있으며, 고무 접촉부재(10a)와 내측고무 접촉부재(14)는 양측 상하부가 개구된 개구부(28)을 갖는 지지구(10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As shown in Figures 3, 4 and 5, the windshield wiper 10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ubber contact member (10a) is a windshield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3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glass 1, an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30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and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and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are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upport 10b having the opening 28 opened.

지지구(10b)의 내부에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에는 좌우로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딩수단이 작동될 수 있도록 전류의 흐름을 바꾸어 주는 스위치부(2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고무 접촉부재(10a)의 가이드부(30)에 삽입되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는 그 하부가 고무 접촉부재(10a)와 일치되며 상부측은 고무 접촉부재(10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is provided with a sliding means for allowing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to flow left and right inside the support 10b, and is composed of a switch part 22 for changing the current flow so that the sliding means can be operated. have. In addition,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30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has a lower portion coinciding with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larger than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

슬라이딩수단은 지지구(10b)의 개구부(28) 상측면에 공간부를 갖으며 지지구(10b)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28)와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24)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1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16)의 내부에는 서로 극성이 다른 두 개의 전자석(18)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전자석(18)과 각각 연결되며 브라켓(16)의 삽입구(24)에 삽입되는 로드(20)와 연결되어 있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가 고무 접촉부재(10a)의 가이드부(30) 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전류를 전자석(18)에 흐르게 하는 스위치부(22)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진다.The sliding means has a space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28 of the support 10b and a bracket 16 having an insertion hole 24 for communicating the opening 28 with the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b. And two electromagnets 18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racket 16, and ar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s 18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24 of the bracket 16, respectively.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22 for causing a current to flow in the electromagnet 18 so that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connected with the 20 can reciprocate in the guide portion 30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It works according to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윈드 시일드 와이퍼구조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windshield wip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운전자가 주행중에 윈드 시일드 글라스(1)에 접촉되는 비나 눈 등에 의해 전방시야의 확보가 어렵게 되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윈드 시일드 와이퍼(10)를 작동시키기 위해 모터(12)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며, 모터(12)에 회전이 발생됨에 따라 모터(12)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링크(11)가 모터(12)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바꾸어주게 됨으로써, 윈드 시일드 와이퍼(10)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1)에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First,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front view due to rain or snow contacting the windshield glass 1 while driving, the driver may operate the motor 12 to operate the windshield wiper 10 as shown in FIG. 3. As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12 and the rotation occurs in the motor 12, the motor link 11 connected to the motor 12 chang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12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reby providing a wind seal. The wiper 10 is reciprocating while draw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in the windshield glass 1.

이때, 윈드 시일드 와이퍼(10)가 윈드 시일드 글라스(1)에서 궤적을 그리며 윈드 시일드 글라스(1)를 닦아주어도 평상시 보다 좁은 시야만을 확보하게 되어 시계의 사각지대가 많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0)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수단을 작동시켜 윈드 시일드 와이퍼(10)가 윈드 시일드 글라스(1)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even if the windshield wiper 10 draws a trace on the windshield glass 1 and wipes the windshield glass 1, only a narrower field of view is secured than usual, and thus a lot of blind spots of the watch occur. By operating the sliding means formed on the windshield wiper 10 allows the windshield wiper 10 to have a wider contact area with the windshield glass 1.

이와 같이, 윈드 시일드 와이퍼(10)가 윈드 시일드 글라스(1)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스위치부(22)를 온시킴으로써, 지지구(10b)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6)의 공간부(26)에 삽입되어 서로 붙어있는 전자석(18)중 전자석(A)의 전류 흐름을 바뀌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전자석(A)가 가지고 있는 극성이 바뀌게 된다.In this way, the driver turns on the switch part 22 so that the windshield wiper 10 can widen the contact area with the windshield glass 1, so that the bracket 16 of the bracket 16 provided on the support 10b can be turned on. The current flow of the electromagnets A of the electromagnets 18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26 is changed, thereb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s A.

따라서, 전자석(B)측은 항상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그 극성이 변화되지 않음으로써, 서로 붙어 있던 전자석(18)은 전자석(A)측의 극성이 변화됨에 따라 같은 극성을 갖게 되어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이 발생하게 되며, 두 개의 전자석(18)이 서로밀려남에 따라 서로 접촉되는 전자석(A)와 전자석(B)의 접촉면 반대면과 연결되어 있는 로드(20)가 브라켓(1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24)에 의해 지지되면서 뒤로 물러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B is not changed since current flows in the same direction at all times, the electromagnets 18 which are stuck to each other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A changes, and push each other. As the two electromagnets 18 are pushed together, the rods 20 connected to opposite sides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electromagnets A and the electromagnets B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racket 16. It is backed by being supported by the insertion hole 24 formed.

이렇게, 전자석(18)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20)가 뒤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지지구(10b)에 고정된 고무 접촉부재(10a)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30)에 삽입되어 있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가 로드(20)에 의해 고무 접촉부재(10a)의 가이드부(30)를 따라 지지구(10b)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밀어내는 전자석(18)의 양측과 연결된 로드(20)에 의해 지지구(10b)의 양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된다. 도면중,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길이변화가 이루어지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0)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의 동작을 표시한 것이다.In this way, the rods 2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lectromagnet 18 are pushed back, there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s 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fixed to the support 10b.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is moved by the rod 20 along the guide portion 30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b, thereby The rod 2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ushing electromagnet 18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10b. In the figure, the arrow shown in Figure 4 shows the operation of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to reciprocate from side to si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windshield wiper 10 is a change in length.

이때, 전자석(18)이 가지고 있는 극성이 서로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전자석(A)와 전자석(B)가 밀려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자석(18)이 슬라이딩하는 브라켓(16)의 공간부(26) 양측면 까지의 길이를 극성이 미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도록 형성시켜 놓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magnet (A) and the electromagnet (B) from being pushed to a place where the polarities of the electromagnet 18 do not reach each other, up to both sides of the space portion 26 of the bracket 16 on which the electromagnet 18 slides. The length of was set so that it might be in the range which polarity may have.

이와 같이, 전자석(18)의 연결된 로드(20)에 의해 지지구(10b)의 양측으로 내측고무 접촉부재(14)가 돌출되어 윈드 시일드 글라스(1)와 접촉하게 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윈드 시일드 글라스(1)를 닦아주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적어지게 된다.In this way,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0b by the connected rod 20 of the electromagnet 18 to be in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1. As the length of) increases, the range for wiping the windshield glass 1 is widened. Therefore, the driver can secure a wider field of view in front, thereby reducing the blind spot that the driver cannot see.

이렇게, 윈드 시일드 글라스(1)를 닦는데 사용된 윈드 시일드 와이퍼(10)는 주행 환경이 양호해 짐에 따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면, 운전자는 스위치부(22)를 오프시키게 되고, 스위치부(22)의 오프에 따라 전자석(A)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다시 바뀌게 되며, 전류의 흐름이 바뀜에 따라 전자석(A)의 극성 역시 다시 바뀌게 된다.Thus, when the windshield wiper 10 used to clean the windshield glass 1 does not need to be used as the driving environment becomes good, the driver turns off the switch unit 22, and the switch unit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A) is changed again as the off of (22),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A) is also changed again as the current flows.

따라서, 전자석(A)의 극성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전자석(B)와의 사이에는 서로 끌어 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전자석(18)이 다시 붙게 됨으로써, 지지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내측고무 접촉부재(14)가 전자석(18)의 이동에 따라 전자석(18)과 연결된 로드(20)에 의해 다시 고무 접촉부재(10a)의 가이드부(30)를 따라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지지구(10b) 안쪽으로 들어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A)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magnet (B) and the electromagnet (18) is reattached by this force, thereby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was moved i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30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by the rod 20 connected with the electromagnet 18 as the electromagnet 18 moved. (10b) It's coming in.

따라서, 운전자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0)를 구동시키는 모터(12)에 흐르는 전류를 오프시킴으로써, 윈드 시일드 와이퍼(10)의 동작이 완전하게 멈추게 된다.Thus, the driver turns off the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12 driving the windshield wiper 10, whereby the operation of the windshield wiper 10 is completely stopp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윈드 시일드 글라스를 닦아주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길이를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길게 할수 있도록하여 우천시나 또는 눈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윈드 시일드 글라스와 접촉하더라도 넓은 범위를 닦아줄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전방의 시야 확보를 좀더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볼 수 없게 되는 사각지대가 적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ength of the windshield wiper for wiping the windshield glass to be lengthen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driver, so that even when rainy weather or foreign matter such as snow and du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By being able to wipe the range, the driver can better secure the field of view in the front, thereby reducing the blind spot that the driver cannot see.

Claims (2)

차량의 전면부 윈드 시일드 글라스(1)와 접촉하는 고무 접촉부재(10a)와, 상기 고무접촉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구(10b)를 포함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10)에 있어서, 상기 고무 접촉부재(10a)의 양측에 형성되며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에 삽입되는 내측고무 접촉부재(14)와, 상기 내측고무 접촉부재(14)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구조.In the windshield wiper (10) comprising a rubber contact member (10a) in contact with the front windshield glass (1) of the vehicle, and a support (10b) in which the rubber contact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A guide portion 3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ubber contact member 10a and having an open lower side, an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30, and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A windshield wiper structure comprising a sliding means for flowing from side to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지지구(10b)의 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삽입구(24)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16)과, 상기 브라켓(16)의 공간부(26)에 삽입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두 개의 전자석(18)과, 상기 전자석(18)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16)의 삽입구(24)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고무 접촉부재(14)와 연결되는 두 개의 로드(20)와, 상기 전자석(18)에 전류를 인가하여 극성을 바꾸어주는 스위치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means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10b) and the space portion 26 is formed therein and the bracket 16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opening 24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electromagnets 18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26 of the bracket 16 and having different polariti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s 18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24 of the bracket 16. Wind rod wip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rods (20) connected to the inner rubber contact member (14), and a switch unit (22) for changing the polarity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18).
KR2019970043679U 1997-12-30 1997-12-30 Windshield Wiper Structure KR2003018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679U KR200301803Y1 (en) 1997-12-30 1997-12-30 Windshield Wip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679U KR200301803Y1 (en) 1997-12-30 1997-12-30 Windshield Wipe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81U KR19990030981U (en) 1999-07-26
KR200301803Y1 true KR200301803Y1 (en) 2003-03-17

Family

ID=493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679U KR200301803Y1 (en) 1997-12-30 1997-12-30 Windshield Wip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803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81U (en)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2002391A3 (en) Device for wiping motor vehicle windscreens
KR200301803Y1 (en) Windshield Wiper Structure
KR20210046435A (en) Apparatus for Contamination Preventative of Windshield Glass
KR19980021842U (en) Car Wiper Blades
KR0122665Y1 (en) Rainwater inflow prevention structure of the front window of an automobile
KR0112767Y1 (en) Windshield wiper for a vehicle
US20020163318A1 (en) Windshield wiper parking method
KR0115858Y1 (en) An wiper pevice for vehicle
KR19990026706U (en) Double wiper blades
KR200149294Y1 (en) Wiper for a car
KR0112758Y1 (en) An windshield wiper for a vehicle
KR100384528B1 (en) Wind shield wiper for a motor vehicle
KR200160418Y1 (en) Wiper device for a car
KR100296630B1 (en) Wiper for vehicle
KR100245459B1 (en) Wiper with vice wiper blade for a vehicle
KR200165827Y1 (en) Wiper blade assembly for an automobile
KR100225170B1 (en) Wiper for outside rear view mirror
KR200167868Y1 (en) Window wiper for a vehicle
KR100189369B1 (en) Windshield wiper for a vehicle
KR19980036103A (en) Car Single Wiper
KR970010062B1 (en) A hanger of wiper blade for automobile
KR19990052036A (en) Wiper switch
KR19980018657U (en) Sliding Wiper Device for Bus
KR19990001526U (en) Positioning device of car wiper
KR19990017950A (en) Variable wiper arm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