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978B1 - 조개류 양식용 어구 - Google Patents

조개류 양식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978B1
KR100558978B1 KR1020030061130A KR20030061130A KR100558978B1 KR 100558978 B1 KR100558978 B1 KR 100558978B1 KR 1020030061130 A KR1020030061130 A KR 1020030061130A KR 20030061130 A KR20030061130 A KR 20030061130A KR 100558978 B1 KR100558978 B1 KR 10055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phrase
casing
nylon
f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533A (ko
Inventor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호 filed Critical 정정호
Priority to KR102003006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9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조개류 양식에 있어서 천적에 의한 종패의 희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양식작업 시에 인력소모의 최소화, 수확률의 극대화, 양식작업의 편의성 및 양식 장소에 따른 장치의 호환성도 동시에 구비하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1)는 다수개의 어구체(2)와, 상기 어구체(2)를 상호 결속하여 연결하는 나일론줄(3)로 구성되고, 상기 어구체(2)는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되며 연결리브(5)에 의해 보강된 망(網) 형태의 상하 케이싱(4,4a)과, 상기 케이싱(4,4a)을 간단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나일론줄(3)이 경유하면서 고정될 수 있는 조립용 록커(6,7,28)와, 상기 조립용 록커(6,7)를 록킹할 수 있는 록킹캡(11) 내지는 고정너트(34)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4,4a) 내부에는 추(15) 내지는 추 대체물(자갈 등)이 적량 수납될 수 있는 추수납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나일론줄(3)은 일정 위치에 어구체(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나일론줄고정구(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조개류의 양식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매우 적은 인력으로도 조개류 수확률은 극대화할 수 있으며, 양식 과정에 있어서 조개류를 천적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다양한 양식조건에 맞는 설치상의 호환성을 제공하며, 바다나 민물 등에서 수류의 변화 등에도 안정적인 양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조개류 양식용 어구, 어구체, 조립용 록커, 나일론줄고정구, 흡착부재

Description

조개류 양식용 어구{Fishing tackle for cultivating shellfish}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바람
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바람
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바람
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바람
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록커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
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
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있어서, 어구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중 흡착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및 저면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사용하는 일 사용상태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상
태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사용
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사용
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조개류 양식용 어구 2: 어구체
3: 나일론줄 3A: 로프
3B: 로프 4,4a: (상하)케이싱
5: 연결리브 6,7: (조립용)록커
8,9: 걸림편 10: 결합홈
11: 록킹캡 12: 록킹홀
13: 걸림턱 14: 걸림홈
15: 추 16: 추수납부
17: 캡 17a: (원터치)록커
18: 나일론줄경유홈 19: 나일론줄고정구
20: 결합공 21: 고정구
22: 고정구 22a: 걸림턱
23,24: 암수나사 25: 결합공
26: 결합편 27: 결합공
28: (조립용)록커 29,30: 절개홈
31: 숫나사 32: 결합공
33: 암나사 34: 고정너트
35: 숫나사 36: 고정구
37: 절개홈 38: 암나사
39: 고정구 39a: 걸림턱
40: 흡착부재 41: 걸림환턱
42: 걸림환홈 43: 흡착판
43a: 공간부 44: 플로트
45: 닻
본 발명은 조개류 양식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조개류 양식에 있어서 천적에 의한 종패의 희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양식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수확률은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양식작업의 편의성 및 양식장소에 따른 호환성도 동시에 구비하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민들이 조개류를 양식, 채취코자 할 시는 개인 또는 마을 공동단위로 종패(種貝)를 해상에 살포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개를 채취하여 공동 또는 개인이 분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개류 양식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종패를 해상에 살포하여 수확 때까지 각종 천적(불가사리, 문어 등)의 침입으로 인한 종패의 희생을 막을 수 없었고,
종패에서 성패(成貝)가 될 때 까지 조개들도 물속에서 나비처럼 날아서 유영을 하는 바, 종패를 살포한 어장 지역 외부로 유영하여 달아나는 조개들도 있고, 각종 천적의 영역 침입으로 달아나는 조개들도 있어 정작 수확되는 성패는 초기 종 패 투입비율에 비하여 최저 30%에서 최고 50% 정도밖에 안되는 저급한 수확률을 보여 왔고,
조개류 수확시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조개를 채취하느라 인력소모도 클 뿐 아니라 조합에 가입한 모든 인원은 양식작업에 수시로 투입되어야 하므로 사생활에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재래식 조개류 양식방법에 있어서 양식 면적은 모래 또는 갯벌 속 수중 지면 1층만 양식함으로써 양식범위가 극히 제한적이었던 것이다.
한편, 세계적으로 맛과 향이 우수한 국산 조개의 품질로 각종 부가상품(예; 통조림 또는 분말조미료 등 여러 가지 가공품)을 무한정 개발하여 세계시장으로 수출도 할 수 있는 국내의 지리적인 천혜의 여건을 가지고도 이 분야에 지금까지도 미개척 상태로 있은 것은 무엇보다도 조개 수확량이 극소수로 한정되어 구입부터 필요량 만큼 할 수가 없었고, 필요량을 구입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지금도 조개 가격은 비싸고 원가가 높아 수지타산을 맞출 수가 없었으며, 국토 3면이 황금어장임에도 불구하고 현시점 까지도 영원히 잠재워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여건으로 공동조합에 가입한 사람들은 개인의 사생활 및 여가시간을 활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았던 바,
이러한 기존 조개류 투망 및 양식, 채취에 따르는 여러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의 개발은 수산업계의 절실한 숙원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개류 양식을 위한 투망 및 양식, 채취 중에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연산 조개류를 양식할 수 있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제공하되, 특히 마을단위로 전 조합원이 투자는 함께하더라도 양식을 위한 작업에는 극소수의 인원으로 종패를 살포하고 수확을 위한 채취시 극소수 인원으로 신속하게 조개류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한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제공하며,
어민이 거주하는 어촌 바다 등에 한번의 투자에 장기간 동안 고소득을 올리면서 노동에 참가하지 않고도 때 마다 소득분배를 받아 문화생활과 기타 여가시간을 복지생활을 누릴 수 있고, 타 업종에도 종사하면서 양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양식장의 수심에 따라 수중 지면 1층에서 상측으로 10층, 20층 다단으로 어구체를 설치하여 양식할 수 있으며, 조개들의 먹이는 미생물 내지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여 산란하기 때문에 국내 연안 어느 곳이던 개발된 과학적 본 발명의 양식방법은 수중지면 1층에서 수중 몇십층까지 양식을 설치하여도 층의 위치에 따라 수중에는 조개 먹이가 산재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조개의 습성은 먹이잡이를 따라 다리는 것이 아니고 현 위치에서 물과 함께 마셨다 품었다 하면서 숨쉬는 역할에서 먹이 역할도 함께 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개 산란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먹이인 미생물과 플랑크톤은 썰물과 밀물의 물살 흐름 역할로 물이 살아 숨쉬며 물이 살아 숨쉬는 자연의 이치 때문에 미생물과 플랑크톤도 살아 물속에서 부유하는 것이며, 조개의 식성에 따라 먹이를 주는 것이 아니고 자연 상태에서 자연 먹이를 먹고 자라는 것이기 때문에 조개의 현 위치에서 천적이 없는 한 그리고 천적으로부터 위험을 느끼지 않는 한 조개는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서 숨을 쉬며 먹이를 찾아 먹기 때문에 위와 같이 다단으로 양식하여도 먹이 걱정은 없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1)를 구성하는 어구체(2)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개류 양식용 어구(1)를 구성하는 핵심부재인 어구체(2)는 그 재질을 합성수지재 내지는 세라믹 성분이 혼입된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수중에서 수면위로 수심에 따라 10층 내지는 20층 등으로 다양하게 다단 설치할 수도 있으며, 수중에서 횡으로 설치 사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설치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조개류 양식용 어구(1)를 구성하되, 이는 수중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개류 양식용 어구체(2)와, 상기 어구체(2)를 상호 연결하는 나일론줄(3)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어구체(2)는 종패가 성패가 되었을 때 밀도를 감안하여 다양한 형상(원 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마름모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서, 이는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되는 망(網) 형태의 케이싱(4,4a)이 수개의 연결리브(5)에 의해 보강되고, 좌우 단부에는 상하 케이싱(4,4a)을 조립할 시에 사용되는 조립용 록커(6,7)가 각각 일체 형성된다.
상기 조립용 록커(6,7)는 개략 반원통 사다리꼴로 구성되고, 단부에는 걸림편(8,9)이 형성되어 원통 사다리꼴의 결합홈(10)을 가진 록킹캡(11)을 끼움결합시킨 후 약 90ㅀ 회전시키면 단부의 걸림편(8,9)이 결합홈(10) 내부의 록킹홀(12) 상에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결합홈(10)의 내연부에는 돌출형의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어 록커(6,7) 외연부에 형성된 걸림홈(14)상에 대응하여 탄력걸림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4,4a) 중 하부 케이싱(4a)에는 사각형의 추(15)를 수납할 수 있는 추수납부(16)가 형성되어 나사식으로 개폐되는 캡(17)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15)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양식 조건에 따라 추(15)의 개수를 하나 이상 적절하게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구체(2)를 이웃하여 소정 간격으로 연결할 시에 사용되는 나일론줄(3)이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록커(6,7)에는 반달형의 나일론줄경유홈(18)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나일론줄(3)의 일측에 결합되어 나일론줄(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일론줄고정구(19)는 나사식 결합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나일론줄고정구(19)는 나일론줄(3)이 경유할 수 있는 결합공(20)을 일측 고정구(21)에 형성하며, 타측 고정구(22)와 상호 암수나사(23,24) 결합에 의해 나일론줄(3)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21)와 대응하는 고정구(22) 대응면에는 산형 걸림턱(22a)이 수개 형성되어 나일론줄(3)을 고정 시 슬립되지 않고 강하게 압박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구체(2)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단면도 등을 보인 것으로서, 이는 어구체(2)를 상하 케이싱(4,4a)으로 구성하되, 조립용 록커(28)가 상부에 위치토록 하고, 어구체(2)를 상호 연결하는 나일론줄(3)도 상하로 연결하여 조개류를 양식토록 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즉, 이러한 경우는 어구체(2)를 구성하는 분할형의 상하 케이싱(4,4a)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4a) 중앙에는 나일론줄(3)이 경유할 수 있는 상협하광(上狹下廣)형의 결합공(25)을 갖는 결합편(26)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26)의 상부에는 나일론줄(3)이 결합고정될 수 있는 결합공(27)을 가진 조립용 록커(28)를 형성하되, 상기 조립용 록커(28)는 외연부 전후에 절개홈(29,30)을 가진 숫나사(31)로 구성하여 숫나사(31) 부위가 상부 케이싱(4)에 형성된 대응 결합공(32) 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상부 케이싱(4) 상측에서 암나사(33)를 가진 고정너트(34)로 상하 케이싱(4,4a)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어구체(2)의 구조를 적용할 경우 상하로 연결되는 나일론줄(3)을 고정할 수 있는 나일론줄고정구(19)는 전기한 바와 같이 숫나사(35)를 가진 고정구(36)에 절개홈(37)을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35)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암나사(38)를 갖는 대응 고정구(39)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구(39)의 하부에는 산형 걸림턱(39a)이 수개 형성되어 나일론줄(3)을 고정 시 슬립되지 않고 강하게 압박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케이싱(4a)에는 추수납부(16)를 형성하되, 이때는 일반적인 추(15)는 물론 자갈과 같이 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체용 추(15)를 링형의 추수납부(16)에 수납하여 원터치 록커(17a)로 개폐되는 링형의 캡(17)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추수납부(16)에는 추(15)를 투입하지 않고 공기를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추수납부(16)가 부구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8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어구체(2)를 구성하는 상하 케이싱(4,4a)을 4각형으로 구성한 경우 및 나일론줄(3)을 좌우, 그리고 상하로 선택 연결하는 경우를 예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예시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싱(4,4a)은 정면상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2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어구체(2)를 구성하는 상하 케이싱(4,4a)을 마름모꼴로 구성한 경우 및 나일론줄(3)을 좌우, 그리고 상하로 선택 연결하는 경우를 예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예시한 것이며, 상기 케이싱(4,4a) 역시 정면상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내지 도 19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어구체(2)를 전복, 진주전복이 나 다슬기 등을 양식할 시에 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어구체(2)의 하단에 암초 및 암초의 틈 사이 등에서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착상태로 어구체(2)를 잡아줄 수 있는 흡착부재(40)를 결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요부 확대 발췌 사시도 등을 보인 것이다.
즉, 어구체(2)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싱(4a) 하단 외주면을 따라 언더컷(under-cut) 형태의 걸림환턱(41)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환턱(41)에 강제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흡착부재(40)의 대응면에는 걸림환홈(4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40)는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다수개의 흡착판(43)으로 구성하되, 상기 흡착판(43)의 하부는 요입형의 공간부(43a)를 갖도록 하여 파도나 강한 수류 등이 어구체(2)에 가해질 시에 그 충격을 완충 및 암초 등에 흡착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흡착판(43)의 외측 단부는 케이싱(4a)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하여 케이싱(4a)이 바닥과 직접 접하는 것이 아니라 흡착판(43)이 바닥과 접하면서 흡착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흡착부재(40)를 갖는 어구체(2) 역시 나일론줄(3)을 좌우 및 상하로 선택 연결할 수 있도록 전기한 조립용 록커(6,7,28) 및 나일론줄고정구(19)를 사용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한 다양한 어구체(2)를 연결하는 나일론줄(3)은 10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나이론줄(3)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각각의 나일론줄(3)을 연결하는 로프(3A,3B)는 20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로프(3A,3B)를 사용토록 한다.
한편, 도면 중에서 부호 44는 플로트(float)를 나타낸 것이며, 45는 닻(anchor)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조개류 양식용 어구(1)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어구체(2)는 도 20내지 도 24에서 보는 바와 로프(3A,3B) 및 나일론줄(3)로 연결하여 수중에서 각종 조개류를 양식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어구체(2)의 내부에 형성된 추수납부(16)에 일반적인 추(15)는 물론 자갈과 같은 대체용 추(15)를 수납하여 이를 폐쇄하는 나사식 캡(17) 내지는 원터치 록커(17a)를 가진 캡(17)으로 폐쇄하고, 각종 조개류의 종패를 투입한 후 상하 케이싱(4,4a)을 조립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추(15)가 부식되면서 발생되는 녹물 등으로 인해 조개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캡(17)은 내외 밀봉이 확실히 될 수 있도록 한다.
어구체(2)를 구성하는 상하 케이싱(4,4a)의 고정수단은 전기 구성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횡방향) 고정 및 상하방향(=종방향) 고정수단 2가지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바,
횡방향 고정은 상하 케이싱(4,4a)의 좌우 단부에 형성된 조립용 록커(6,7)와 록킹캡(11)에 의해 나일론줄(3)을 어구체(2) 상으로 통과시키면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하부 케이싱(4a)의 조립용 록커(6) 상면부에 형성된 나일론줄경유홈(18)에 나일론줄(3)을 위치시킨 후 상부 케이싱(4)의 조립용 록커(7) 하면부에 형성된 나일론줄경유홈(18)이 나일론줄(3)의 상부에 연접되게 케이싱(4)을 상호 연접시키면 좌우 단부에 상하로 대향되게 형성된 록커(6,7)가 상호 연접하게 되고, 나일론줄(3)에 먼저 끼워져 있는 록킹캡(11)을 상하 록커(6,7)가 연접된 방향으로 밀어서 록커(6,7)에 형성된 걸림편(8,9)이 록킹캡(11)의 결합홈(10)을 통하여 단부에 형성된 록킹홀(12)상으로 진입되도록 한 후 록킹캡(11)을 약 90ㅀ 정도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편(8,9)이 록킹홀(12)에서 이탈이 불가하게 고정 결합되며, 록커(6,7)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4)이 록킹캡(11)의 결합홈(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에 탄력걸림되어 더욱 견고한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방향(=종방향)으로 케이싱(4,4a)을 조립토록 한 어구체(2)는 하부 케이싱(4a) 중앙에 형성된 결합편(26)을 상부 케이싱(4)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32) 사이로 결합하고, 나일론줄(3)은 결합편(26) 상부에 형성된 조립용 록커(28)상의 결합공(27)으로 통과시킨 후 조립용 록커(28) 외연 숫나사(31) 부에 고정너트(34)를 나사결합하면 나일론줄(3)이 어구체(2)와 고정됨과 동시에 상하 케이싱(4,4a)이 동시에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어구체(2)를 사용할 경우 상하로 연결되는 나일론줄(3)을 고정할 수 있는 나일론줄고정구(19)는 숫나사(35)를 가진 고정구(36)에 절개홈(37)을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35)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암나사(38)를 갖는 대응 고정구(39)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구(39)의 하부에는 산형 걸림턱(39a)이 수개 형성되어 나일론줄(3)을 고정 시 슬립되지 않고 강하게 압박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일론줄(3)은 어구체(2)의 적정 간격 고정을 위하여 나일론줄고정구(19)를 사용하여 암수나사의 결합으로 나일론줄(3)을 해당 위치에서 고정을 시킨 후 다양한 양식조건에 맞추어 어구체(2)를 수중에 설치토록 한다.
상기 나일론줄고정구(19)는 어구체(2)를 종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양식을 할 시에 강한 수류 등에 의하여 어구체(2)가 나일론줄(3)상에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임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사전에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0은 수중 바닥에 닻(45)과 수중에서 부상하는 플로트(44)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어구체(2)를 로프(3A,3B) 및 나일론줄(3)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다단 설치하여 양식을 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도 21, 22, 23은 수중 바닥에 닻(45)과 수상에서 부상하는 플로트(44)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어구체(2)를 로프(3A,3B) 및 나일론줄(3)을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다단 설치하여 양식을 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도 24는 수중의 암초 등에 흡착부재(40)를 구비한 어구체(2)를 뭍에 일단이 고정된 나일론줄(3)을 사용하여 연결설치하여 양식을 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어구체(2)의 설치는 조개류를 양식코자 하는 수상 및 수중환경에 맞추어 예시한 사용상태는 물론 다양하게 연결설치하여 양식을 수행하게 된다.
수중에 로프(3A,3B) 및 나일론줄(3)로 연결설치된 어구체(2) 내부에는 종패가 투입되어 수중의 미생물, 플랑크톤 등을 먹이로 하여 양식이 이루어지며, 어구체(2)는 필요시 로프(3A,3B) 및 나일론줄(3)을 당겨 어구체(2)를 구성하는 케이싱(4,4a) 내에 수납된 종패의 성장정도를 양식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망 형태로 이루어진 어구체(2)의 망 조밀도는 미생물과 플랑크톤이 충분히 출입하는데 제약을 받지 않는 대신 조개의 천적인 불가사리, 문어들은 출입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조개가 천적에 대해 본능적으로 갖는 공포심을 애초부터 차단하여 조개들의 산란 환경을 평화롭게 조성할 수 있으며, 어구체(2)를 세라믹이 혼입된 재질로 만들어 조개 자체에서 적을 막기 위한 독소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조개들이 독소를 만드는 열량을 성장에너지로 사용토록 하여 조개의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종패가 수중에서 성장하여 성패가 되면 양식자는 어구체(2)를 인양한 후 케이싱(4,4a)을 분해하여 성패를 인출한다. 케이싱(4,4a)을 분해할 시는 록킹캡(11)을 전기한 록킹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90ㅀ 정도 회전시키면 록커(6,7)에 형성된 걸림편(8,9)이 록킹캡(11)의 록킹홀(12)상에서 결합홈(10)을 통하여 언록킹 상태로 해제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이때 록커(6,7)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4) 역시 록킹캡(11)의 결합홈(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에서 탄력분리되어 언록킹 상태로 전환되어 케이싱(4,4a)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개양식용 어구(1)를 주로 바위틈의 이끼를 먹이로 삼아 성장하는 전복, 진주전복 및 민물에서 다슬기를 양식할 시에 사용할 경우 수중의 암초 또는 수중 바닥이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어구체(2)를 안정적으로 안치하여 양식을 할 수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어구체(2)가 도 16내지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구체(2) 하단에 간단히 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흡착판(43)으로 이루어진 흡착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흡착판(43)이 암초 등에 흡착되어 안정적으로 양식을 할 수 있고, 특히 파도나 우기 등에 급류에 의해 물살이 강해지더라도 흡착판(43) 저부의 공간부(43a)가 강한 물살을 완충하여 어구체(2)가 뒤집어지는 문제를 일소할 수 있어 정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조개류 양식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흡착판(43)은 연질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유연성이 우수하여 지면이 고르지 못한 바위틈에 흡착 시 추(15)의 무게에 의해 어구체(2)가 하부로 하중을 받게 되므로 흡착상태가 유지되어 수류의 힘에도 어구체(2)가 유동하지 않고 원위치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추수납부(16)는 어구체(2)에서 2가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추수납부(16) 속의 내용물, 즉 추(15) 및 자갈과 같은 대체용 추(15)를 투입했을 시에는 추의 역할을 수행하고, 추(15)를 추수납부(16)에서 인출했을 시에는 튜브처럼 어구체(2)가 부력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어장 설치 방법처럼 지면에서 상향으로 어구체(2)를 수직 상방으로 설치시 로프(3B)가 지면에 설치되고, 이때 추수납부(16)에는 추(15)를 인출한 후 공기만 주입되도록 하여 어구체(2)가 수직 상방으로 잘 부상되도록 하며, 수면위에서 수직하방으로 설치할 경우는 로프(3B)를 수면위로 설치한 후 추수납부(16)에는 추(15)를 투입하고 빈공간은 물로 가득 채워 중량추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어구체(2)가 수직 하방으로 고정되면서 어구체(2)가 수면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한다.
도 20내지 도 23의 플로트(44)는 수면위로 부상되지 않고 수중에 일정 깊이 잠긴 상태로 설치토록 하여 야간에 양식어장에 침투하는 해상절도단으로 인한 양식 조개류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야간에 해상절도단이 양식어장에 설치된 본 발명의 어구(1)를 찾기 위하여 조명을 조사할 경우 바로 신고를 할 수 있어 해상도난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1)는 각종 조개류의 종패를 천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망 형태로 구성된 어구체(2)상에 투입하여 수중에서 자연 양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패가 성패로 성장하는데 있어서 안전성 및 수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어구체(2)는 로프(3A,3B)와 나이론줄(3)로 종횡 방향으로 선택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장소에 따라 호환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각종 조개류를 양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패를 투망 시와 수확 시 2~3명의 작업 인원이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인력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어구체(2)의 형상을 원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반달형 등 다양하게 형성하여 양식을 행하는 지리적 여건 및 종패가 성패가 되었을 때 밀도를 감안하여 양식을 행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은 모래 또는 갯벌, 바위, 지면에서 또는 배를 타고 양식장에 도달한 후 투망위치까지 접근하여 어구체(2)가 다수개 연결된 나일론줄(3)을 투망 하고 잠수부 1명이 수중에 잠수하여 자세가 뒤집힌 어구체(2) 중 어구체(2)의 저면을 갯벌 또는 모래쪽으로 자세를 잡아주고, 전복 또는 다슬기를 양식할 때는 반드시 잠수부가 투입되어 상하 케이싱(4,4a)을 바다속의 바위틈에 위치토록 자세를 잡아서 고정시키면 어구체(2)의 투망작업이 완료지며, 이때 공유수면을 더욱 활용코자 할 경우는 나일론줄(3)을 수직방향으로 수심에 따라 10층, 20층 등 다단으로 연결하면 되므로 양식작업의 효율성과 수확률을 배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7)

  1. 각종 조개류의 종패를 수납하여 성패로 양식할 수 있도록 조개류 양식용 어구(1)는 분할형으로 구성되며 연결리브(5)에 의해 보강된 망(網) 형태의 상하 케이싱(4,4a)으로 이루어지는 어구체(2)와, 상기 어구체(2)를 상호 결속 연결하는 로프(3A,3B)와 나일론줄(3)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4,4a) 내부에는 추(15) 내지는 추(15) 대체물이 수납될 수 있는 추수납부(16)가 형성된 조개류 양식용 어구(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4a)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중 선택된 1방향으로 조립 및 분해하며 나일론줄(3)이 경유하면서 고정될 수 있는 조립용 록커(6,7,28)와,
    상기 나일론줄(3)은 일정 위치에 어구체(2)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나일론줄고정구(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4a)은 세라믹이 혼입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 방법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4a) 좌우 단부에 형성되는 조립용 록커(6,7)는 나일론줄경유홈(18)이 형성된 개략 반원통 사다리꼴로 구성되고, 단부에는 걸림편(8,9)이 형성되며,
    상기 록커(6,7)에 대응하는 원통 사다리꼴의 결합홈(10)과, 상기 결합홈(10)의 내연 단부에는 걸림편(8,9)이 록킹될 수 있는 록킹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록커(6,7)의 외연부와 록킹캡(11)의 결합홈(10) 내연부에는 걸림홈(14)과 대응 걸림턱(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수납부(16)는 나사식 내지는 원터치 록커(17a) 중 선택되는 하나의 개폐수단으로 개폐되는 캡(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록커(28)는 하부 케이싱(4a) 중앙에 나일론줄(3)이 경유할 수 있도록 결합공(25)을 갖는 결합편(26)과,
    상기 결합편(26)의 상부에는 나일론줄(3)이 결합고정될 수 있는 결합공(27)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용 록커(28) 외연부 전후에는 절개홈(29,30)을 가진 숫나사(31)로 구성하여 상기 숫나사(31) 부위가 상부 케이싱(4)에 형성된 대응 결합공(32) 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상부 케이싱(4) 상측에서 암나사(33)를 가진 고정너트(34)로 상하 케이싱(4,4a)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줄고정구(19)는 나일론줄(3)이 경유할 수 있는 결합공(20)을 일측 고정구(21)에 형성하며, 타측 고정구(22)와 상호 암수나사(23,24) 결합에 의해 나일론줄(3)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구(21,22)의 대응면에는 산형 걸림턱(22a)이 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체(2)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싱(4a)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환턱(41)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환턱(41)에 강제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걸림환홈(42) 을 갖는 흡착부재(40)를 구비하며,
    상기 흡착부재(40)는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되며 하부에 공간부(43a)를 갖는 다수개의 흡착판(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양식용 어구.
KR1020030061130A 2003-09-02 2003-09-02 조개류 양식용 어구 KR10055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30A KR100558978B1 (ko) 2003-09-02 2003-09-02 조개류 양식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30A KR100558978B1 (ko) 2003-09-02 2003-09-02 조개류 양식용 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533A KR20030076533A (ko) 2003-09-26
KR100558978B1 true KR100558978B1 (ko) 2006-03-10

Family

ID=3222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130A KR100558978B1 (ko) 2003-09-02 2003-09-02 조개류 양식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666A (ko) * 2019-02-22 2020-09-01 구진영 패류 양식용 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748B1 (ko) * 2020-11-19 2022-10-21 (주)오성엔에이치 수상 펜스용 표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666A (ko) * 2019-02-22 2020-09-01 구진영 패류 양식용 틀
KR102239883B1 (ko) * 2019-02-22 2021-04-12 구진영 패류 양식용 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533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191A (en) Marine habitat systems
US9681645B2 (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CN202979893U (zh) 一种悬浮式多用途网箱
KR20140060598A (ko) 궤도형 인공 어초
KR101231136B1 (ko) 전복 양식용 쉘터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JP4734509B2 (ja) スキャンピの養殖方法
KR100558978B1 (ko) 조개류 양식용 어구
JP2003047363A (ja) 藻場増殖礁
JP2007159483A (ja) 稚魚(天然・放流)の成長と魚類の産卵を育む魚礁パート2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Curtis et al. Overview of red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farming practices in northern Australia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KR102184937B1 (ko) 상시 개구부를 갖는 개체굴 양성장치
CN108112521A (zh) 一种多层式人工鱼礁
KR101606630B1 (ko)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KR102624052B1 (ko) 육상용 해삼 양식장
KR200456709Y1 (ko) 인공어초
JPH0415011Y2 (ko)
JP3742992B1 (ja) 稚魚(天然・放流)の成長と魚類の産卵を育む魚礁
JP3540771B2 (ja) 多機能型増殖礁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200475820Y1 (ko) 해조류 종사 고정용 이식패널 일체형 이식용 구조물
KR100688384B1 (ko) 해조류 초
KR101981486B1 (ko) 전복 해상가두리 중간 육성용 기능성 쉘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