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311B1 - 유로전환밸브 - Google Patents

유로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311B1
KR100558311B1 KR1020040006147A KR20040006147A KR100558311B1 KR 100558311 B1 KR100558311 B1 KR 100558311B1 KR 1020040006147 A KR1020040006147 A KR 1020040006147A KR 20040006147 A KR20040006147 A KR 20040006147A KR 100558311 B1 KR100558311 B1 KR 10055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k
body portion
flow path
low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047A (ko
Inventor
정웅
이왕준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3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입수구와 출수구들을 갖추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유로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 바닥면에는 각각 복수의 입수구들과 출수구들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구멍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 하면이 마주하고, 상기 구멍들에 일치하도록 중앙 관통공과 그 주위의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들을 형성하는 하부 디스크; 상기 하부 디스크에 하면이 접촉하고, 상기 하면에는 상기 하부 디스크의 중앙 관통공과 하나의 외측 관통공을 연결하는 제 1오목홈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외측 관통공들을 이어주는 제 2오목홈이 형성된 상부 디스크; 상기 상부 디스크에 결합하여 하부 디스크에 대하여 상부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및 상기 하부 디스크, 상부 디스크및 회전판들을 차례로 상기 몸체부내에 배치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을 덮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판의 샤프트가 관통되어지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유로전환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전환용 상,하부 디스크들을 경면 처리함으로써 효과적인 실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들이 침투하더라도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입수구, 출수구, 상,하부 디스크, 유로전환 밸브, 경면 처리

Description

유로전환밸브{VALVE FOR CHANGING FLOW PATHS}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에 갖춰진 상부 디스크의 평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에 갖춰진 하부 디스크의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에 갖춰진 몸체부의 내부 유로를 도시한 평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가 제 1모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가 제 2모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수직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9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1개의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를 구비한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 그리고
제 10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2개의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를 구비한 유로전환밸브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로전환 밸브 2,4.... 입수구
6,8... 출수구 10.... 몸체부
12,14,16,18,20.. 제1내지 제5구멍
24.... 하부 디스크 26.... 중앙 관통공
28a,28b,28c,28d... 외측 관통공
38.... 오-링 40.... 상부 디스크
42.... 제 1오목홈 44.... 제 2오목홈
50.... 회전판 52.... 절단홈
54.... 돌기 56.... 샤프트
70.... 덮개부 74.... 나사 고정리브
76.... 나사 고정플랜지 80.... 브라켓
115.... 밸브몸체 116.... 로타리 밸브
201.... 몸체 211.... 조정봉
212.... 환수구멍 215.... 공급구멍
본 발명은 4방향 유로를 갖추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유로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복수의 입수구와 출수구들을 갖추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유로 변경할 수 있으며, 유로전환용 상,하부 디스크들을 경면처리함으로써 효과적인 실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들이 침투하더라도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유로전환밸브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 대부분은 입수구가 1개소이거나 출수구가 1개소이다. 그와 같은 유로전환밸브의 일례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밸브몸체(115)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된 로타리 밸브(116)를 구비하고, 상기 로타리 밸브(116)의 외주면에는 밸브가 전환된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를 안내하는 유선형 안내면(117,118)을 형성하며, 상기 밸브몸체(115)에는 입수구 혹은 출수구가 3개(A,B,C) 형성된 3방향 밸브의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양하게 유로를 변경할 수 없고, 그에 따라서 1가이 유체만을 사용하는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며, 밸브 몸체(115)와 로타리 밸브(116)의 접촉면 사이에서도 완벽한 실링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입수구와 출수구가 각각 2개인 방향전환 밸브장치도 제10도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8-74533호의 방향전환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밸브캡의 조정봉을 조절하여 내부의 방향전환볼을 180°로 회전시켜 주므로 유체의 흐름경로, 즉 난방환수 및 난방공급수의 경로를 사용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4방향 구조의 방향전환밸브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앞뒤,좌우 및 위로 내부통로가 연결되어 있는 몸체(201) 내에 이와 대응되게 앞쪽의 조정봉(211)과 뒤쪽의 환수구멍(212), 좌측의 입출구멍(214)과 우측의 출입구멍(213), 그리고 위쪽의 공급구멍(215)이 형성되는 방향전환볼(205)이 설치되어, 상기 조정봉(211) 측으로 오링(209)이 끼워진 밸브캡(206)이, 환수측에 다른 실링(204)이 각각 결합되며, 좌측 입출구에 실링(203)과 오링(210')이 체결되는 좌측 실링나사(202')가 설치되고, 우측 출입구에 실링(203')과 오링(210')이 체결되는 우측 실링나사(202)가 각각 결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대부분 고무재료등을 이용하여 실링을 하게 되므로, 일정시간을 사용하게 되면 유체의 누설이 필수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밸브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는 유로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어 이송 유체들이 서로 혼합되어 정확하게 유로전환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의 입수구와 출수구사이에서 유로 전환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유로 사이에서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누수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밸브내에 이물질이 침투하더라도 밸브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서 내부 부품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유로전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입수구와 출수구들 을 갖추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유로를 변경할 수 있는 유로전환밸브에 있어서,
내측 바닥면에는 각각 복수의 입수구들과 출수구들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구멍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 하면이 마주하고, 상기 구멍들에 일치하도록 중앙 관통공과 그 주위의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들을 형성하는 하부 디스크;
상기 하부 디스크에 하면이 접촉하고, 상기 하면에는 상기 하부 디스크의 중앙 관통공과 하나의 외측 관통공을 연결하는 제 1오목홈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외측 관통공들을 이어주는 제 2오목홈이 형성된 상부 디스크;
상기 상부 디스크에 결합하여 하부 디스크에 대하여 상부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및
상기 하부 디스크, 상부 디스크및 회전판들을 차례로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하도록 내측 공간을 덮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판의 샤프트가 관통되어지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에 대한 상부 디스크의 회전으로 입수구와 출수구들 사이의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 밸브(1)는 복수의 입수구(2)(4)와 출수구(6)(8)들을 갖추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전환 밸브(1)는 도 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각각 복수의 입수구(2)(4)들과 출수구(6)(8)들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유로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부(10)를 구비한다.
즉, 상기 몸체부(10)는 그 하부 외측으로 복수의 입수구(2)(4)와 출수구(6)(8)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복수의 입수구(2)(4)중 제 1입수구(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5의 수직선(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45°에 위치하는 제1구멍(12)으로 부터 연장되고, 제 2입수구(4)는 수직선(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225°와 315°에 위치하는 제3및 제4구멍(16)(18)으로 부터 공통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수구(6)(8)중 제1출수구(6)는 도5에 도시된 수직선(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135°에 위치하는 제2구멍(14)으로 부터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출수구(6)(8)중 제2출수구(8)는 몸체부(10)의 중앙 제5구멍(20)으로 부터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각각의 입수구(2)(4)들과 출수구(6)(8)들은 각각 몸체부(1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것이며, 각각의 상기 제1내지 제5구멍(12)(14)(16)(18)(20)들은 해당 입수구(2)(4)들과 출수구(6)(8)들로 부터 몸체부(10)의 내측 공간으로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바닥면에 하면이 마주하고, 중앙 관통공(26)과 그 주위의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을 형성하는 하부 디스크(24)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디스크(24)는 그 외주 모서리의 양측에 각각 돌기(30a)(30b)들이 형성되고, 이 돌기(30a)(30b)들은 몸체부(10)의 내측 원주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내홈(32a)(32b)에 일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디스크(24)는 그 단면 형상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단면에 일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정확하게 일치되어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중앙 관통공(26)과 그 주위의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은 상기 몸체부(10)의 제1내지 제5구멍(12)(14)(16)(18)(20)들에 그 크기와 수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디스크(24)는 그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중앙 관통공(26)과 그 주위의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을 형성하는 바, 하부 디스크(24)가 몸체부(10)의 내부에 끼워지는 경우, 이들 관통공(26)(28a)(28b)(28c)(28d)들과 몸체부(10)의 제1내지 제5구멍(12)(14)(16)(18)(20)들을 서로 일치한다.
즉,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관통공(26)은 상기 몸체부(10)의 제5구멍(20)인 중앙에 일치하고,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은 각각 제1내지 제4구멍(12)(14)(16)(18)들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디스크(24)가 몸체부(10)에 결합되면, 몸체부(10)의 제1내지 제5구멍(12)(14)(16)(18)(20)들에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에 중첩되어 각각 그 유로들이 연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디스크(24)와 몸체부(10)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개의 오-링(38)들이 배치되어 하부 디스크(24)와 몸체부(10)의 사이에서 협지(挾支)된다.
상기 오-링(38)들은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재료로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은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에 일치되어 배치되며, 하부 디스크(24)와 몸체부(10)의 바닥면사이에 협착되어 몸체부(10)의 제1 내지 제5구멍(12)(14)(16)(18)(20)들과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이 일치하여 연통되는 경우, 유체의 누설없이 안정적으로 그 유로들이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디스크(24)의 상면에 하면이 면접촉하고, 하면에는 상기 중앙 관통공(26)과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중의 하나를 연결하는 제 1오목홈(42)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외측 관통공들을 이어주는 호형의 제 2오목홈(44)이 형성된 상부 디스크(40)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하부 디스크(24)의 상부면과 상부 디스크(40)의 하부면들은 각각 경면(鏡面)처리되어 면접촉하는 상태이며, 이들 디스크(24)(40)들의 재질은 경면을 제작할 수 있는 세라믹과 유사한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부 디스크(24)와 상부 디스크(40)들은 서로 경면 접촉하게 되므로, 그 사이에서 유체누출을 방지하는 실링접촉면의 기능을 하게 되고, 이들 경면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하더라도, 디스크(24)(40)의 회전과 물흐름에 의해서 밸브의 외부로 배출되기 쉽다.
한편, 상기 상부 디스크(40)는 그 하면에 형성되는 제 1오목홈(4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출수구(8)에 연결된 제5 구멍(20)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상기 입수구(2)에 연통되는 제 1구멍(12)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a)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오목홈(42)은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상부 디스크(4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오목홈(44)은 나머지 출수구(6)에 연결된 제 2구멍(14)의 외측 관통공(28b)과, 나머지 입수구(4)의 제 3구멍(16)에 위치하는 외측 관통공(28c)을 연결하는 구조이며, 이는 상부 디스크(40)의 원형 단면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의 호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상부 디스크(40)의 제 1오목홈(42)과 제 2오목홈(44)들은 각각 복수의 입수구(2)(4)중의 어느 하나와 복수의 출수구(6)(8)중의 어느 하나를 각각 동시에 이어주도록 배치된다. 즉 입수구(2)로 부터 출수구(8)로 이어지고, 동시에 입수구(4)로 부터 출수구(6)로 이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입수구(4)로 부터 출수구(8)로 이어지고, 동시에 입수구(2)로 부터 출수구(6)로 이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디스크(40)는 하부 디스크(24)와의 사이에서 회전을 이루기 위하여 그 상부측에 회전판(50)과 연결되는 바, 상기 회전판(50)은 상부 디스크(40)의 상면에 그 하면이 접촉하고, 상부 디스크(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홈(52)에 일치하여 결합하는 돌기(54)들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다. 이 러한 결합구조로 인하여 상기 회전판(50)은 상부 디스크(40)의 절단홈(52)에 돌기(54)들이 결합하여 끼워지게 되며, 회전판(50)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56)가 상부면 중앙에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디스크(24), 상부 디스크(40)및 회전판(50)들을 차례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공간에 배치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을 덮어 주는 덮개부(70)를 구비하는 바, 상기 덮개부(70)는 그 중앙에 상기 회전판(50)의 샤프트(56)가 관통하는 구멍(7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70)는 몸체부(10)와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 사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 고정리브(74)에 일치하도록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나사 고정플랜지(76)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70)는 몸체부(10)의 내측 공간에 차례로 오-링(38)들과, 하부 디스크(24), 상부 디스크(40), 회전판(50)들을 내장하고, 다수개의 볼트(78)로서 조립하게 되면, 본 발명의 유로전환밸브(1)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80)는 몸체부(10)로 부터 돌출된 브라켓(bracket)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로전환밸브(1)는 상기 하부 디스크(24)에 대한 상부 디스크(40)의 회전으로 복수의 입수구(2)(4)로 부터 복수의 출수구(6)(8)로의 유로 전환이 교대로 이루어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안내홈(32a)(32b)에 돌기(30a)(30b)들이 끼워져서 결합되고, 그 사이에 오-링(38)들을 협착하는 하부 디스크(24)는 상부 디스크(40)가 회전되어도 회전되지 않고,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 디스크(40)는 그 상부면에 형성된 절단홈(52)으로 회전판(50)의 돌기(52)들이 결합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판(50)의 회전으로 상부 디스크(40)는 회전되며, 하부 디스크(24)와의 사이에서는 경면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로전환밸브(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모드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로전환된 제 2모드 사이에서 작동가능하다.
상기 제 1모드는 상부 디스크(40)의 제 1오목홈(42)이 몸체부(10)의 중앙에 배치된 출수구(8)의 제 5구멍(20)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몸체부(10)의 입수구(2)의 45°지점의 제 1구멍(12)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a)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또한, 호형의 제 2오목홈(44)은 몸체부(10)의 나머지 출수구(6)의 135°지점의 제 2구멍(14)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b)과, 몸체부(10)의 나머지 입수구(4)의 225°지점의 제 3구멍(16)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c)을 호형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하부 디스크(24)의 나머지 외측 관통공(28d), 즉 몸체부(10)의 제 4구멍(18)에 위치하는 외측 관통공(28d)은 상부 디스크(40)에 의해서 막혀진 상태이다.
그리고, 제 2모드는 제 1모드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된 상태이거나, 시계방향으로 270°회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회전은 사용자가 회전판(50)으로 부터 돌출된 샤프트(56)를 잡고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판(50)에 연결된 상부 디스크(40)가 몸체부(10)에 고정된 하부 디스크(24)에 대하여 회전하여 쉽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디스크(40)의 제 1오목홈(42)이 몸체부(10)의 중앙에 배치된 출수구(8)의 제 5구멍(20)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몸체부(10)의 입수구(4)의 315°지점의 제 4구멍(18)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d)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또한, 호형의 제 2오목홈(44)은 몸체부(10)의 나머지 출수구(6)의 135°지점의 제 2구멍(14)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b)과, 몸체부(10)의 나머지 입수구(2)의 45°지점의 제 1구멍(12)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a)을 호형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디스크(24)의 나머지 외측 관통공(28c), 즉 제 3구멍(16)에 위치하는 외측 관통공(28c)은 상부 디스크(40)에 의해서 막혀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제 1모드와 제 2모드에서 유로를 연결하는 상부 디스크(40)의 제 1오목홈(42)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입수구(2)또는 입수구(4)측에 형성된 구멍(12) 또는 구멍(18)들로 부터 하부 디스크(24)의 관통공(28a)또는 관통공(28d)들을 경유하여 유체를 받고, 몸체부(10)의 출수구(8)측에 형성된 구멍(20)에 유체를 각각 전달하는 통로의 역활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체 흐름 메카니즘은 제 1모드와 제 2모드에서 유로를 연결하는 상부 디스크(40)의 제 2오목홈(4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제 2오목홈(44)이 연결하는 하부 디스크(24)의 관통공들의 위치만이 다를 뿐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상부 디스크(40)의 회전시, 하부 디스크(24)에 대한 각도조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나 각도 표시수단(미도시)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항상 정확하게 제 1모드와 제 2모드의 사이에서 유로전환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샤프트(56)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동 모터(미도시)들을 사용하는 기계적인 작동식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에서 입수구(2)(4)와 출수구(6)(8)를 각각 반대로 배치하여 출수구(2)(4)로 하고, 입수구(6)(8)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유로 전환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대략, 45°, 대략 135°,대략 225°와 315°에 위치하는 구멍들은 해당 각도로 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는 의미이며, 반드시 상기에서 규정한 각도만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닌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은 어떠한 경우에도 이러한 구조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개시내용으로 부터 본 발명의 구조들을 수정하고 변형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재질과 형상들은 당업계에서 사용가능한 것들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변형 가능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범위안에서 이러한 모든 수정및 변형구조들과 재질및 형상변경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판(50)의 샤프트(56)를 회전시켜 제 1모드와 제 2모드를 전환시킴으로써 복수의 입수구(2)(4)와 출수구(6)(8)사이에서 유로 전환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디스크(40)와 하부 디스크(24)들 사이에는 경면처리되어 실링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로전환시에 완벽한 실링을 이룰 수 있고 누수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밸브내에 이물질이 침투하더라도 상,하부 디스크(24)(40)의 상대 회전시에 유체와 함께 밸브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서 밸브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복수의 입수구와 출수구들을 갖추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유로를 변경할 수 있는 유로전환밸브에 있어서,
    내측 바닥면에는 각각 복수의 입수구들과 출수구들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구멍(12)(14)(16)(18)(20)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바닥면에 하면이 마주하고, 상기 구멍(12)(14)(16)(18)(20)들에 일치하도록 중앙 관통공(26)과 그 주위의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을 형성하는 하부 디스크(24);
    상기 하부 디스크(24)에 하면이 접촉하고, 상기 하면에는 상기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하나의 외측 관통공(28a)을 연결하는 제 1오목홈(42)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외측 관통공(28b)(28c)들을 이어주는 제 2오목홈(44)이 형성된 상부 디스크(40);
    상기 상부 디스크(40)에 결합하여 하부 디스크(24)에 대하여 상부 디스크(40)를 회전시키는 회전판(50);및
    상기 하부 디스크(24), 상부 디스크(40)및 회전판(50)들을 차례로 상기 몸체부(10) 내에 배치하도록 내측 공간을 덮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판(50)의 샤프트(56)가 관통되어지는 덮개부(70);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24)에 대한 상부 디스크(40)의 회전으로 입수구(2)(4)와 출수구(6)(8)들 사이의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수구(2)(4)중 제 1입수구(2)는 수직선(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45°에 위치하는 제1구멍(12)으로 부터 연장되고, 제 2입수구(4)는 수직선(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225°와 315°에 위치하는 제3및 제4구멍(16)(18)으로 부터 공통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6)(8) 중 제1출수구(6)는 수직선(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35°에 위치하는 제2구멍(1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출수구(6)(8) 중 제2출수구(8)는 몸체 부(10)의 중앙 제5구멍(20)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24)는 그 외주 모서리의 양측에 각각 돌기(30a)(30b)들이 형성되고, 이 돌기(30a)(30b)들은 몸체부(10)의 내측 원주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내홈(32a)(32b)에 일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하부 디스크(24)는 그 단면 형상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단면에 일치하여 내부로 끼워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24)와 몸체부(10)의 사이에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다수개의 외측 관통공(28a)(28b)(28c)(28d)들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개의 오-링(38)들이 배치되어 하부 디스크(24)와 몸체부(10)의 사이에서 협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하부 디스크(24)의 상부면과 상부 디스크(40)의 하부면들은 각각 경면(鏡面)처리되어 면접촉함으로써 그 사이에서 유체누출을 방지하는 실링접촉면의 기능을 하고, 이들 경면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하더라도, 디스크(24)(40)의 회전과 물흐름에 의해서 밸브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목홈(42)은 상부 디스크(4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오목홈(44)은 상부 디스크(40)의 원형 단면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의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스크(40)는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단홈(5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50)은 상기 절단홈(52)에 결합하는 돌기(54)들을 외주면에 형성하여 끼워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은 그 상부면 중앙에서 샤프트(56)가 일정길이 돌출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70)는 몸체부(10)의 외주면 사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 고정리브(74)에 일치하도록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사 고정플랜지(76)들을 형성하고, 볼트(78) 결합하여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부 디스크(40)의 제 1오목홈(42)이 몸체부(10)의 중앙에 배치된 출수구(8)의 제 5구멍(20)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몸체부(10)의 입수구(2)의 45°지점의 제 1구멍(12)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a)을 연결하고; 그리고,
    호형의 제 2오목홈(44)은 몸체부(10)의 나머지 출수구(6)의 135°지점의 제 2구멍(14)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b)과, 몸체부(10)의 나머지 입수구(4)의 225°지점의 제 3구멍(16)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c)을 호형으로 연결하는 제1 모드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부 디스크(40)의 제 1오목홈(42)이 몸체부(10)의 중앙에 배치된 출수구(8)의 제 5구멍(20)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중앙 관통공(26)과, 몸체부(10)의 입수구(4)의 315°지점의 제 4구멍(18)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d)을 연결하고; 그리고, 호형의 제 2오목홈(44)은 몸체부(10)의 나머지 출수구(6)의 135°지점의 제 2구멍(14)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b)과, 몸체부(10)의 나머지 입수구(2)의 45°지점의 제 1구멍(12)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크(24)의 외측 관통공(28a)을 호형으로 연결하는 제 2모드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 밸브.
KR1020040006147A 2004-01-30 2004-01-30 유로전환밸브 KR10055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47A KR100558311B1 (ko) 2004-01-30 2004-01-30 유로전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47A KR100558311B1 (ko) 2004-01-30 2004-01-30 유로전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47A KR20050078047A (ko) 2005-08-04
KR100558311B1 true KR100558311B1 (ko) 2006-03-10

Family

ID=3726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47A KR100558311B1 (ko) 2004-01-30 2004-01-30 유로전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3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68B1 (ko) 2007-03-14 2008-03-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유로전환밸브
WO2024025188A1 (en) * 2022-07-26 2024-02-01 Hanon Systems Low profile proportional coolant valve
WO2024048962A1 (en) * 2022-08-30 2024-03-07 Hanon Systems Fluid valv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27B1 (ko) * 2008-05-09 2015-04-10 코웨이 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KR101339338B1 (ko) * 2011-11-24 2013-12-09 비젼플랙스(주)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KR101929963B1 (ko) * 2016-09-05 2019-03-15 에이에스텍 주식회사 세탁기용 급수밸브
KR102134220B1 (ko) * 2019-08-02 2020-07-16 주식회사 유니크 멀티 포트 밸브
KR102330788B1 (ko) * 2020-07-03 2021-11-2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공압 분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68B1 (ko) 2007-03-14 2008-03-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유로전환밸브
WO2024025188A1 (en) * 2022-07-26 2024-02-01 Hanon Systems Low profile proportional coolant valve
WO2024048962A1 (en) * 2022-08-30 2024-03-07 Hanon Systems Fluid valv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47A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450B2 (en) Mixing cartridge for single-lever mixing faucets
EP2113080B1 (en) Rotary selection valve
US7255129B2 (en) Valve with elbow joint diverter
US9182045B2 (en) Concentric diverter cartridge
US8978700B2 (en) Valve cartridge with improved flow rate
EP3017219B1 (en) Temperature adjustment valve
MXPA04010735A (es) Valvula de flujo pasante con dos asas.
KR101039709B1 (ko) 수도밸브
KR100558311B1 (ko) 유로전환밸브
US7021335B2 (en) Valve for mixing cold and hot water
FI69348B (fi) Blandare
JP4976664B2 (ja) 混合水栓
KR101039732B1 (ko) 수도밸브 카트리지
KR101866630B1 (ko) 수도밸브카트리지의 조작디스크
JP3471632B2 (ja) 水栓器具
JP7093177B2 (ja) 密封部材及びガス流を遮断するための弁
JP2017160927A (ja) 流路切換弁
US11585450B2 (en) Bar valve
JP7230403B2 (ja) 湯水混合バルブ装置
JP6783631B2 (ja) 三方弁
EP3928008A1 (en) Valve
JP2023131737A (ja) 流路切換弁
JP2023183201A (ja) 複合弁
JPS5929879A (ja) ストツプ付き切換バルブ
JP3490194B2 (ja) 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