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807B1 - 유증기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807B1
KR100557807B1 KR1020040033017A KR20040033017A KR100557807B1 KR 100557807 B1 KR100557807 B1 KR 100557807B1 KR 1020040033017 A KR1020040033017 A KR 1020040033017A KR 20040033017 A KR20040033017 A KR 20040033017A KR 100557807 B1 KR100557807 B1 KR 10055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il
oil vapor
pressure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467A (ko
Inventor
조용웅
Original Assignee
한국엔디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엔디이 (주) filed Critical 한국엔디이 (주)
Priority to KR102004003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80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대기와 유류저장탱크를 통기시키는 기존의 통기관로상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기와 유류저장탱크를 통기시키기 위한 통기관이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측부로부터 분기되어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형성하는 유증기 회수부로 구성된 분기관과, 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통기관을 본체부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와, 본체부의 상·하부에 개재되어 통기관을 본체부의 상·하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커플러를 조일 때 커플러에 의해 가압되어 측부로 팽창하면서 통기관을 고정시키는 신축성의 고정부재와, 유증기 회수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관이 연결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개방시키고 관이 분리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및 본체부의 상부에 내장되어 회수되는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본체부의 상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여 유증기중 일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증기압 조정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기관, 커플러, 고정부재, 체크밸브, 유증기압 조정밸브

Description

유증기 회수장치{Oil vapor recovery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 통기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압력조정밸브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7은 유증기가 유증기 회수부를 통해 회수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유증기중 일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대기의 공기가 유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유증기 회수장치 110 : 분기관
120, 120′: 커플러 130 : 고정부재
140 : 체크밸브 141 : 안착판
142 : 밸브하우징 143 : 스프링
144 : 차폐구 145 : 제1차폐판
146 : 기밀유지부재 147 : 제1가이드로드
150 : 차폐캡 160 : 유증기 조정밸브
161 : 가이드관 162 : 제2차폐판
163 : 제2가이드로드 164 : 이탈방지고리
170 : 탱크압 조정밸브 171 : 고정고리
172 : 제3차폐판 173 : 스프링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 내로 유류를 주입할 때 발생되는 유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대기와 유류저장탱크를 통기시키는 기존의 통기관로상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등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에 유류를 주입할 때는 유류저장탱크 내에서 유증기(油蒸氣) 즉,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이 다량으로 발생되어 대기로 방출될 우려가 있다.
이 때, 유류저장탱크 내에 유증기가 가득 차게 되면 유증기저장탱크 내로 유류를 주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필히 유류저장탱크 내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해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유증기를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할 경우,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면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고, 인체에 접촉되거나 흡입되어 각종 암을 유발한다. 또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고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며 악취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에, 최근에는 유류저장탱크에 가득찬 유증기를 유류로 회수하거나 유조차 등으로 회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유증기로 인한 각종 폐해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가운데 유증기를 유조차 등으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58432호에 ‘유증기 회수장치’라는 명칭으로 이미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저장탱크와 연결되는 관로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110)와, T형 커넥터(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20)과, T형 커넥터(110)의 측부에 결합되는 가이드관(160)과, T형 커넥터(110)와 가이드관(16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150), 및 상부 하우징(120) 내에 장착되는 압력조절밸브(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증기 회수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유조차 등과 같은 유류 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가이드관(160)의 단부에 연결하면, 밸브 조립체(150)가 작동하여 유류저장탱크로부터 T형 커넥터(110)로 유입되는 유증기가 가이드관(160)을 통해 유류 공급장치로 회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증기 회수장치는, 기존에 유류저장탱크와 연결된 연결관로를 절단하고 연결관로의 절단면과 T형 커넥터의 유입측 및 상부 하우징에 플랜지를 각각 장착한 후, 서로 맞대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T형 커넥터 및 상부하우징에는 플랜지를 나사 결합하여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나, 연결관로의 절단면에는 플랜지를 용접을 통해 장착하게 되므로, 연결이 간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결관로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를 연결관로의 절단면에 용접하게 되면 폭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플랜지를 연결관로의 절단면에 용접하기 위해서는 유류저장탱크 내의 유류 및 유증기를 전부 제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플랜지 없이 통기관로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연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관로에 연결할 때 폭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는, 대기와 유류저장탱크를 통기시키기 위한 통기관이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측부로부터 분기되어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형성하는 유증기 회수부로 구성된 분기관과, 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통기관을 본체부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와, 본체부의 상·하부에 개재 되어 통기관을 본체부의 상·하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커플러를 조일 때 커플러에 의해 가압되어 측부로 팽창하면서 통기관을 고정시키는 신축성의 고정부재와, 유증기 회수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관이 연결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개방시키고 관이 분리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및 본체부의 상부에 내장되어 회수되는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본체부의 상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여 유증기중 일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증기압 조정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체크밸브는, 유증기 회수부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안착판과, 일단이 유증기 회수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양단부로 개방된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 내에서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를 차폐하는 차폐판과, 차폐판의 외측에 구비되어 차폐판과 밸브하우징 타단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유지부재와, 차폐판에 축 결합되어 안착판의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차폐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 및 안착판과 차폐판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차폐판을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에 밀착시켜 개방된 타단부가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유증기압 조정밸브는, 본체부의 상부에 내장되며 내측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관과, 분기관 내의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하일 때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가이드관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가이드관의 중공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상일 때에는 유증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가이드 관의 중공부를 개방하는 중공의 제1차폐판과, 제1차폐판의 저면에 이격 형성되어 가이드관을 관통하면서 제1차폐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로드, 및 가이드로드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1차폐판 상승시 가이드관의 걸림턱에 걸려 제1차폐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일 때에는 제1차폐판의 중공부를 폐쇄하고, 유류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규정압력 이하일 때에는 제1차폐판의 중공부를 개방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유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탱크압 조정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탱크압 조정밸브는, 가이드로드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고리와, 고정고리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차폐판의 중공부를 차폐하는 제2차폐판, 및 고정고리와 제2차폐판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차폐판을 제1차폐판의 저면에 밀착시켜 제1차폐판의 중공부가 차폐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는, 체크밸브의 선단을 차폐하는 차폐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는, 본체부의 상부 및 유증기 회수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화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100)는, 유증기의 회수를 위해 유류저장탱크(1)와 대기를 통기시키는 통기관로상에 설치되는 분기관(110), 분기관(110)의 상·하부에 통기관(2)(3)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120)(120′)와, 분기관(110)의 상·하부에 내장되어 통기관(2)(3)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와, 분기관(110)에 장착되어 유증기의 회수관로를 차폐하는 체크밸브(140)와, 회수되는 유증기압을 조정하는 유증기압 조정밸브(160), 및 유류저장탱크(1)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탱크압 조정밸브(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분기관(110)은 대기와 유류저장탱크(1)를 통기시키기 위한 통기관(2)(3)이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본체부(111), 및 본체부(111)의 측부로부터 분기되어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형성하는 유증기 회수부(112)로 구성된다.
이 때, 본체부(111)의 상·하단 내측 및 유증기 회수부(112)의 단부 외측에는 커플러(120)(120′) 및 체크밸브(140)를 각각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11)의 상·하부 내측에는 고정부재(130)가 안착되는 제1안착턱(111a)이 각각 형성되고, 유증기 회수부(112)의 내측에는 후술할 체크밸브(140)의 안착판(141)이 안착되는 제2안착턱(112a)이 형성되며, 본체부(111)의 상부 내측중 제1안착턱(111a)의 하방에는 후술할 유증기압 조정밸브(160)의 가이드관(161)이 안착되는 제3안착턱(111b)이 형성되고, 본체부(111)의 하부 내측중 제1안착턱(111a)의 상방에는 통기관(2)(3)이 본체부(111) 내로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삽입제한턱(111c)이 형성된다.
한편, 분기관(110)은 고압·고온·내화학성에 견딜 수 있도록 주철로 제작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플러(120)(120′)는 본체부(111)의 상·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통기관(2)(3)을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하게 본체부(111)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11)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하부로 고정부재(130)를 가압하는 중공의 가압부(121), 및 가압부(1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외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중공의 손잡이부(122)로 구성된다.
이 때, 손잡이부(122)는 가압부(121)가 본체부(111) 내로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부재(130)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11)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제1안착턱(111a)에 안착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 등으로 제작됨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하부에 통기관(2)(3)을 각각 끼우고 커플러(120)(120′)를 완전히 조이면 커플러(120)(120′)에 의해 가압되면서 그 내측면이 통기관(2)(3)쪽으로 팽창되어 통기관(2)(3)을 견고히 고정시킨다.
전술한 체크밸브(140)는 유증기 회수부(112)의 선단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별도의 관이 연결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관로를 개방시키고 별도의 관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관로를 폐쇄시킨다.
이 체크밸브(1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증기 회수부(112)의 내측에 형성된 제2안착턱(112a)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홀(141a)이 형성된 안착판(141)과, 일단이 유증기 회수부(112)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양단부로 개방된 밸브하우징(142)과, 스프링(143)에 의해 밸브하우징(142) 내에 탄설되어 외부에서 별도의 관이 연결될 때에는 이 관의 핀에 의해 눌려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하우징(142)의 개방된 타단부를 개방하고 관이 분리될 때는 스프링(143)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밸브하우징(142)의 개방된 타단부를 폐쇄하는 차폐구(144)로 구성된다.
이 때, 차폐구(144)는 밸브하우징(142)의 개방된 타단부를 차폐하는 원판 형태의 제1차폐판(145)과, 제1차폐판(145)과 외측에 구비되어 제1차폐판(145)과 밸브하우징(142) 타단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유지부재(146), 및 제1차폐판(145)에 축 결합되어 제1차폐판(145) 이동시 안착판(14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141a)을 관통함으로써 제1차폐판(14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봉형태의 제1가이드로드(147)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프링(143)은 제1가이드로드(147)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그 하부는 안착판(141)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홈(141b)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홈(141b)의 둘레에 돌출된 고정돌부(141c)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안착판(141)의 고정돌부(141c) 양쪽으로는 유증기의 소통을 위한 소통홀(141d)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체크밸브(140)의 외측에는 유류 주입이 완료된 후 체크밸브(140)의 선단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캡(150)이 결합된다. 이 차폐캡(150)은 체크밸브(140)의 선단을 차폐함으로써, 외부의 관이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체크밸브(140)의 제1차폐판(145)으로 가해지는 힘을 차단하여 제1차폐판(145)이 강제로 눌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차폐캡(140)에는 유류를 주입하는 작업자외의 개방을 방지하는 시건장치(미도시)가 부착된다.
전술한 유증기압 조정밸브(160)는, 본체부(111)의 상부에 내장되어 회수되는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부를 개방하여 유증기중 일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압력상승으로 인한 폭발의 위험을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유증기압 조정밸브(160)는, 본체부(1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제3안착턱(111b)에 안착되며 내측 상부에 걸림턱(161a)이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관(161)과, 분기관(110) 내의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하일 때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가이드관(161)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가이드관(161)이 중공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상일 때에는 유증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가이드관(161)의 중공부를 개방하는 중공의 제2차폐판(162)과, 제2차폐판(162)의 저면에 이격 형성되어 가이드관(161)을 관통하면서 제2차폐판(16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세 개의 제2가이드로드(163), 및 제2가이드로드(163)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2차폐판(162) 상승시 가이드관(161)의 걸림턱(161a)에 걸려 제2차폐판(162)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고리(164)로 구성된다.
전술한 탱크압 조정밸브(170)는, 유류저장탱크(1) 내의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일 때에는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를 폐쇄하고, 유류저장탱크(1) 내의 압력이 규정압력 이하일 때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를 개방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유류저장탱크(1)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류저장탱크(1) 내의 압력을 증가시켜 유류저장탱크(1) 내에 저유된 유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탱크압 조정밸브(170)는, 제2가이드로드(163)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고리(171)와, 고정고리(171)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를 차폐하는 제3차폐판(172), 및 고정고리(171)와 제3차폐판(172)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3차폐판(172)을 제2차폐판(162)의 저면에 밀착시켜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가 차폐되도록 하는 스프링(173)으로 구성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80, 181은 본체부(1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제1안착턱(111a)과 유증기 회수부(112)의 내측에 형성된 제2안착턱(112a)에 각각 설치되어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그물망이다. 이 때, 유증기 회수부(1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그물망(181)의 중심부는 체크밸 밸브(140)의 제1가이드로드(147)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존에 유류저장탱크(1)와 대기를 통기시키기 위해 통기관이 입설된 경우에는 통기관을 절단하고 그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하게 되며, 기존에 통기관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두 개의 통기관을 구비하여 그중 하나는 유류저장탱크에 연결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설치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분기관(110)의 본체부(111) 상·하부에 그물망(180) 및 고정부재(130)를 각각 삽입하고 커플러(120)(120′)를 각각 나사 결합한다. 이 때, 각 커플러(120)(120′)는 느슨하게 결합시키며, 그물망(180)은 본체부(111)의 상부에만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유류저장탱크(1)에 연결되는 하부측 통기관(2)(3)의 상부를 하부측 커플러(120)를 통해 분기관(110)의 본체부(111) 하부에 끼워넣고, 하부측 커플러(120)를 조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커플러(12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부재(130)의 내측이 팽창되면서 하부측 통기관(2)을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100)가 하부측 통기관(2)의 상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처럼, 하부측 통기관(2)에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100)를 설치한 다음에는, 대기로 통기되는 상측 통기관(3)의 하부를 상부측 커플러(120′)를 통해 분기관(110)의 본체부(111) 상부에 끼워넣고, 상부측 커플러(120′)를 조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커플러(12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부재(130)의 내측이 팽창되면서 상측 통기관(3)을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유류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회수하기 위해 탱크로리(4)에 연결된 관(5)을 체크밸브(140)에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탱크로리(4)에 연결된 관(5)을 체크밸브(140)에 연결하게 되면, 관(5)의 핀(5a)에 의해 체크밸브(140)의 제1차폐판(145)이 가압되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142)의 개방된 타단부 즉, 유증기의 회수관로가 개방됨에 따라, 유류저장탱크 내의 유증기는 하부측 통기관(2), 본체부(111), 유증기 회수부(112), 안착판(141) 및 밸브하우징(142)을 통해 탱크로리로 회수된다.
이 때, 회수되는 유증기의 압이 규정압 이상일 경우에는, 유증기압에 의해 유증기압 조정밸브(160)의 제2차폐판(162)이 도 8에서와 같이 상승하게 되고, 유증기중 일부가 가이드로드(147)들 사이를 통해 본체부(111)의 상부로 이동한 후 상측 통기관(3)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됨으로써, 분기관(110) 내의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내로 조정된다.
만일,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내로 조정되지 않으면 유증기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분기관이 폭발할 위험도 있다.
유류저장탱크 내의 유증기를 모두 회수하였거나 회수된 유증기가 탱크로리에 가득 차게 되면, 탱크로리에 연결된 관(5)을 체크밸브(140)로부터 분리하고 체크밸브(140)의 선단에 차폐캡(150)을 씌움으로써, 유증기의 회수관로가 완전히 차단된다.
이 때, 탱크로리에 연결된 관(5)을 체크밸브(140)로부터 분리하면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제1차폐판(145)이 원상태로 복귀하여 밸브하우징(142)의 개방된 타단부 즉, 유증기의 회수관로가 폐쇄된다.
한편,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게 되면 유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만큼 유류저장탱크 내에는 공기가 부족해지게 되고, 유류저장탱크 내의 공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유류저장탱크 내의 공기압이 낮아지다가 규정압력 이하가 되면 대기와의 압력차이에 의해 탱크압 조정밸브(170)의 제3차폐판(172)이 도 9에서와 같이 하강하게 되고,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대기중의 공기는 상측 통기관(3), 본체부(111)의 상부,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 본체부(111)의 하부 및 하측 통기관(2)을 통해 유류저장탱크 내로 유입됨에 따라, 유류저장탱크 내의 공기압이 상승된다.
유류저장탱크 내의 공기압이 규정압 이상이 되면 유류저장탱크 내의 압력과 대기의 압력차가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3차폐판(172)은 스프링(17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2차폐판(162)의 중공부를 차폐하므로, 대기로부터의 공기유입이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유증기 회수장치에 따르면, 분기관의 상하부에 결합된 커플러 및 고정부재를 이용해 통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연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연결시 용접작업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폭발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되는 유증기압이 유증기 조정밸브에 의해 조정되므로, 유증기압이 과도하게 상승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기의 파손이나 폭발의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탱크압 조정밸브에 의해 유류저장탱크 내의 공기압이 규정압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조정되므로, 유류를 탱크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대기와 유류저장탱크를 통기시키기 위한 통기관이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부로부터 분기되어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형성하는 유증기 회수부로 구성된 분기관과,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통기관을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와,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개재되어 상기 통기관을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를 조일 때 상기 커플러에 의해 가압되어 측부로 팽창하면서 상기 통기관을 고정시키는 신축성의 고정부재와, 상기 유증기 회수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관이 연결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개방시키고 관이 분리될 때에는 유증기의 회수통로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내장되어 회수되는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여 유증기중 일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증기압 조정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증기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증기 회수부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안착판;
    일단이 상기 유증기 회수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양단부로 개방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 내에서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를 차폐하는 차폐판;
    상기 차폐판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판과 밸브하우징 타단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유지부재;
    상기 차폐판에 축 결합되어 상기 안착판의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차폐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 및
    상기 안착판과 상기 차폐판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차폐판을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에 밀착시켜 개방된 타단부가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압 조정밸브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내장되며 내측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관;
    상기 분기관 내의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하일 때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관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가이드관의 중공부를 폐쇄하고, 유증기압이 규정압 이상일 때에는 유증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관의 중공부를 개방하는 중공의 제1차폐판;
    상기 제1차폐판의 저면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차폐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로드; 및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차폐판 상승시 상기 가이드관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차폐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1차폐판의 중공부를 폐쇄하고, 상기 유류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규정압력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1차폐판의 중공부를 개방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상기 유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탱크압 조정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압 조정밸브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고리;
    상기 고정고리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차폐판의 중공부를 차폐하는 제2차폐판; 및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제2차폐판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제2차폐판을 상기 제1차폐판의 저면에 밀착시켜 상기 제1차폐판의 중공부가 차폐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선단을 차폐하는 차폐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7. 삭제
KR1020040033017A 2004-05-11 2004-05-11 유증기 회수장치 KR10055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17A KR100557807B1 (ko) 2004-05-11 2004-05-11 유증기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17A KR100557807B1 (ko) 2004-05-11 2004-05-11 유증기 회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057U Division KR200357155Y1 (ko) 2004-05-11 2004-05-11 유증기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467A KR20050108467A (ko) 2005-11-16
KR100557807B1 true KR100557807B1 (ko) 2006-03-10

Family

ID=3728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017A KR100557807B1 (ko) 2004-05-11 2004-05-11 유증기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16B1 (ko) 2009-06-24 2009-10-22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의 안전밸브
KR101539920B1 (ko) * 2014-12-01 2015-07-28 (주)21하이테크 유증기 액화 부재 및 상기 유증기 액화 부재를 포함하는 유증기 액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510B1 (ko) * 2013-09-27 2014-05-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 저장탱크의 유해가스 치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16B1 (ko) 2009-06-24 2009-10-22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의 안전밸브
KR101539920B1 (ko) * 2014-12-01 2015-07-28 (주)21하이테크 유증기 액화 부재 및 상기 유증기 액화 부재를 포함하는 유증기 액화 장치
WO2016088991A1 (ko) * 2014-12-01 2016-06-09 (주)21하이테크 유증기 액화 부재 및 상기 유증기 액화 부재를 포함하는 유증기 액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467A (ko)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3722B (zh) 用在燃料分配系统中的紧急断流阀
KR101407015B1 (ko)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RU2765853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US7338089B2 (en) Pipe interruption fitting
KR20080037572A (ko) 연료 분배 시스템용 비상 차단 밸브
KR100557807B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20170002421A (ko)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KR200357155Y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100673295B1 (ko) 긴급이탈관이음매
KR20160093883A (ko) 안전밸브 시험 장치
KR100366901B1 (ko) 누출을 제한하는 환형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플로팅 풀 밀봉 조립체
CN111322518B (zh) 高压罐装置和流体排出方法
KR101221325B1 (ko) 차단기용 가스밸브
KR20040025567A (ko) 충전관이 장착된 연료 탱크의 연료 공급 밸브
KR200428568Y1 (ko) 유기화합물질 회수 설비용 압력 진공 밸브장치
CN205423972U (zh) 一种燃气自动安全阀
KR200443416Y1 (ko) 안전밸브 장치
JPH07225000A (ja) 安全弁付きバルブ装置
US20020008110A1 (en) Hydraulic or pneumatic safety device for fluid handling apparatus
KR200275990Y1 (ko)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CN111720594A (zh) 具有泄压保护功能的单向阀
KR200365523Y1 (ko) 사용 강제기능을 갖는 유증기 회수장치
KR102380073B1 (ko) 압력용기 파열 시험 잔류물 수거용 청소망을 구비한 안전 챔버장치
KR102380072B1 (ko) 편의성을 갖는 압력용기 파열 시험용 안전 챔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열 시험방법
CN201082324Y (zh) 一种取气式启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