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401B1 -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 Google Patents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401B1
KR100557401B1 KR1020040029909A KR20040029909A KR100557401B1 KR 100557401 B1 KR100557401 B1 KR 100557401B1 KR 1020040029909 A KR1020040029909 A KR 1020040029909A KR 20040029909 A KR20040029909 A KR 20040029909A KR 100557401 B1 KR100557401 B1 KR 10055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propylene
spunbond nonwoven
polypropylene spunbond
fine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577A (ko
Inventor
황우창
김명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40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7Covering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insulation, e.g. foam fi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5Covering metal frames with plastic or metal profil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용융지수(MFR)가 20∼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용융, 혼합, 균질화시켜 방사 구금을 통하여 용융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폴리머를 냉각된 공기로 급냉하고, 벨트 하부로부터 셕션 블로우어의 회전속도를 400 내지 600 RPM으로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여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스판본드 웹을 형성시킨 후, 칼렌더 가공을 통해 열접착시키는 단계로 제조되며, 상기 필라멘트가 4 내지 16 데니어를 갖는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자동차, 페인트 제조분야에서 사용하는 집진기 필터용; 또는 자동차 폐수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예비필터(PREFILTER)용; 또는 반도체, 식품, 제약, 의료, 특수 화학분야 및 공기 또는 특정가스 적용분야에 사용되는 고성능 필터용 지지체용으로 유용하다.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Description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MANUFCTERING METHOD OF POLYPROPYLENE SPUNBOND NONWOVEN FABRIC HAVING HIGH DENIER AND ITS FABRIC MADE THEREFROM}
도 1은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a는 종래의 사용되는 스판본드 부직포의 표면을 2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태섬도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표면을 2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구성된 수처리 필터의 적용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 용융지수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태데니어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되, 필터, 초배지, 포장지 등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성상을 최적화시킨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경제성, 경량성, 성형성, 내약품성, 아름다운 외관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위생자재, 가전제품, OA 기기 포장재료, 자동차 내장재료, 일회용 작업복 등 잡화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제약, 의료, 반도체, 가스산업 등의 초정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극세섬유 멜트 불로운을 활용한 필터류에 주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이 현재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필터류에 부직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극율, 공극의 크기, 두께, 공극의 표면성등의 여재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즉, 입자의 크기가 수 마이크론 이하이면 포집효율을 높이기 위해 멜트 블로운등의 극세섬유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고성능 필터의 여재를 보호하고,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MESH), 스판본드 부직포 또는 단섬유 열융착(THERMAL BOND) 부직포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통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2 내지 3 데니어의 낮은 데니어의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하므로, 절곡성은 양호하나 유량이 적어 필터 효과가 낮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또 낮은 데니어의 부직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탈락이 유발되고 이로 인하여, 필터 이후 재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에, 와이어 메쉬는 유량은 증가하나 절곡성이 불리한 성질이 있고, 또한 수처리 필터류(도 3)는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할 때 생기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섬유 열융착 부직포(THERMAL BOND)와 혼용하나,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서 열융착 부직포에 비해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은 얻을 수 있으나 유량이 적은 단점이 지적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류의 용도에 적합한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배지용 또는 포장지용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용융지수(MFR)가 20∼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용융, 혼합, 균질화시켜 방사 구금을 통하여 용융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폴리머를 냉각된 공기로 급냉하고, 벨트 하부로부터 셕션 블로우어의 회전속도를 400 내지 600 RPM으로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여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스판본드 웹을 형성시킨 후, 칼렌더 가공을 통해 열접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칼렌더 가공은 엠보롤의 온도가 145 내지 165℃, 판상 롤의 온도가 145 내지 165℃이며, 압력이 45 내지 70 dyne/cm2 (1dyne=10-5N(뉴턴), 1kg의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重力)의 크기는 9.8N으로, 이하 "dyne/cm2"으로 표시한다)로 설정되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필라멘트가 4 내지 16 데니어를 갖는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15 내지 250 g/m2의 중량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0.15 내지 1.0 ㎜의 두께, 10 내지 45%의 본딩율 및 20 내지 1000㎤/㎠/s의 공기투과량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필터용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배지용 또는 포장지용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융지수(MFR)가 20∼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용융, 혼합, 균질화시켜 방사 구금을 통하여 용융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폴리머를 냉각된 공기로 급냉하고, 벨트 하부로부터 셕션 블로우어의 회전속도를 400 내지 600 RPM으로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여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스판본드 웹을 형성시킨 후, 칼렌더 가공을 통해 열접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로(SILO)(10)에 저장된 상기 폴리프로필렌 칩이 원료를 계량하는 공급기(DOSING)(11)로 이송되어 일정량씩 압출기(12)에 공급된다. 공급된 주원료는 압출기(12)에서 용융 및 혼합되어 다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구금을 통하여 방사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냉각공기 및 벨트(17) 하부의 셕션 블로우어(SUCTION BLOWER)(16)로부터 방출되는 흡입 에어를 이용하여 연신시키고,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17)상에 스판본드 웹을 형성시킨다. 이후, 연속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형성된 웹을 역학적 특성 및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칼렌더(18)에서 열과 압력으로 결합시켰다. 이때 칼렌더 롤의 구성은 한쪽은 본딩율이 10∼45%를 가지는 요철형 엠보롤(Emboss roll), 한쪽은 표면이 매끄러운 판상 롤(Plate Roll)로 구성된다. 또한, 부여되는 칼렌더의 압력은 45∼70dyne/cm2이며, 온도는 145∼165℃가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 상기 방사된 필라멘트가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고화되고,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될 때, 통상 직경 20㎛의 미세 섬도를 갖는 실로 형성되고, 이후 과정을 거쳐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방사된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과정에서, 냉각공기 및 벨트(17) 하부에 셕션 블로우어(SUCTION BLOWER)(16)를 장착하여 그 회전속도를 400 내지 600 RPM으로 낮게 설정하여 흡입 에어량을 종래의 연신비보다 낮게 조절함으로써,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가 직경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인 태섬도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에서 "태섬도"라 함은 폴리프로필렌의 필라멘트의 섬도가 3 데니어(22㎛) 이상으로 종래보다 큰 섬도를 말하며, 본 발명은 4 데니어(25㎛) 내지 16 데니어(50㎛),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데니어(33㎛) 내지 10 데니어(40㎛)인 것이다. 이때, 필라멘트의 굵기가 25㎛ 이하이면, 공극율이 낮아 필터 효과를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필라멘트의 굵기가 50㎛ 이상이면, 본 발명의 제조단계 중, 방사구금에서 방사된 폴리머를 냉각된 공기로 급냉하고, 벨트 하부로부터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여 연신하는 단계에서 방사된 필라멘트가 상호 융착하여 조절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섬유의 굵기를 결정하는 방사 구금 또는 퀸칭 쳄버(14)의 변경이 요구되므로 제조시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에 사용된 원료는 용융지수(MFR)가 20∼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사용한다. 이때, 용융지수가 20g/10분 이하이면,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 결과적으로 제사성이 떨어진다. 또한, 용융지수가 80g/10분을 초과하면, 용융점도가 너무 낮아 방사성이 떨어지고, 결국 안정적인 조업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라멘트가 4(25㎛) 내지 16 데니어(50㎛)를 갖는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상기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최소한 15g/㎡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5g/㎡ 내지 250g/㎡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60 g/m2의 중량을 갖는다. 이때, 부직포의 중량이 15g/㎡ 이하로 낮으면, 필터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병용하는 극세섬유 여재층 멜트 블로운 부직포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으며, 강도가 낮고, 형태안정성을 부여할 수 없다. 또한, 부직포의 중량이 250g/㎡ 이상이면, 섬유간 간격이 좁아지고 조직이 치밀해져 종래의 2(18㎛) 내지 3데니어(22㎛) 수준의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필터효과가 저하된다.
도 2a는 종래의 사용되는 2(18㎛) 내지 3데니어(22㎛) 수준의 스판본드 부직포의 표면을 200배 확대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태섬도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표면을 200배 확대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섬유간 간격이 좁고 조직이 치밀한 반면, 본 발명의 경우는 조직간의 치밀 정도가 낮아 필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0.15 내지 1.0 ㎜의 두께, 10 내지 45%의 본딩율 및 20 내지 1000㎤/㎠/s이상의 공기투과량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용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 데니어를 갖는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된 문제점이 극복된 것으로, 스판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탈락을 방지하여 필터 후 재 오염을 예방하며, 절곡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포집효율을 높이고, 수처리 필터용 부직포로 사용시 나타난 유량의 흐름성을 개선하여 필터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한 필터의 적용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코어(CORE, 117)에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메디아(MEDIA)로 사용한(115) 것으로,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지지체로 사용(114, 116)하여 적용한 예이며, 이때 여재 멜트블로운 메디아(115)를 대신해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하여 투과량을 높게 하는 용도로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절곡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중간 메디아(115)의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며, 필라멘트 탈락으로 인한 필터후의 재 오염 및 거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라 함은 종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는 필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의 일례로서, 자동차, 페인트 제조분야에서 사용하는 집진기 필터; 자동차 폐수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예비필터(PREFILTER); 및 반도체, 식품, 제약, 의료 및 특수 화학분야 및 공기 또는 특정가스 적용분야에 사용되는 고성능 필터용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배지용 또는 포장지용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신규 아파트나 쾌적한 가정 실내 환경 도모를 위해 리모델링시 벽지를 새롭게 붙이거나 건물벽체의 균열이나 흡집이 있을 경우 그대로 벽지를 붙이면 건조후 균열선을 따라 벽지도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벽체에 스판본드 부직포를 붙이고 그위에 벽지를 붙이는 용도로 초배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낮은 섬도의 스판본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밀도가 치밀하여 접착제 침투가 어려워 결국 불균일하게 접착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대체함으로써 접착제의 침투가 상대적으로 쉬워져 벽체와 벽지간의 균일한 접착이 가능하며 건조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접착의 불균일 또는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선물 포장지의 소재로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부드러운 특성으로 인하여 선물의 종류와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를 유지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여 포장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융지수(MFR)가 35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부직포 전체 중량이 30g/㎡이 되도록 하였다. 사이로(SILO)(10)에 저장된 상기 주원료를 일정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원료 계량장치 공급기(DOSING)(11)에 제공하였다. 상기 공급된 주원료는 압출기(12)에서 용융 및 혼합되어 다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구금을 통하여 방사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냉각공기로 냉각 및 벨트(17) 하부의 셕션블루우(SUCTION BLOWER)(16)로부터 방출되는 흡입 에어를 이용하여 연신시키고,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17)상에 스판본드 웹을 형성시킨다. 이때 연신비를 조정하는 벨트(17) 하부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는 셕션블루우(SUCTION BLOWER)(16)의 RPM을 600RPM으로 설정하여 연신비를 종래의 연신비보다 낮게 하였다. 연속으로 구동되는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여 중량이 35g/㎡인 태섬도 스판본드 부직포 웹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웹을 엠보롤(Emboss Roll)이 150℃ 및 판상 롤(Plate Roll)이 148℃이며, 압력이 48 dyne/cm2로 설정된 칼렌다(18)의 조건하에서 열 압착시켜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여, 7.1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사용된 엠보롤은 본딩율이 19%였다.
<실시예 2>
부직포 전체 중량이 150g/㎡이 되도록 하고, 연신비를 조정하는 벨트(17) 하부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는 셕션블루우(16)의 RPM을 400RPM으로 설정하여 연신비를 종래 의 연신비보다 더욱 낮게 하였다.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 칼렌다(18)의 조건을 엠보롤이 160℃이고 판상 롤이 158℃이며, 압력을 70 dyne/cm2로 설정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8.6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연신비를 조정하는 벨트(17) 하부의 셕션블루우(16)의 RPM을 1200RPM으로 통상 실시조건으로 설정한 것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3.1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부직포 전체 중량이 13g/㎡이 되도록 하였고,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 칼렌다(18)의 조건을 엠보롤이 145℃, 판상 롤이 143℃이며, 압력을 45 dyne/cm2로 설정한 것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6.4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직포 전체 중량이 260g/㎡이 되도록 하였고,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 칼렌다의 조건을 엠보롤이 168℃, 판상 롤이 166℃이며, 압력을 80 dyne/cm2로 설정한 것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6.6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엠보롤의 본딩율을 50%로 설정한 것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7.1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벨트(17) 하부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는 셕션블루우(16)의 전원을 끈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6>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열융착 부직포)의 중량이 40g/㎡이고, 6데니어인 제품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물성에 대한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1. 인장강도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 K 0520 CUT STRIP법에 준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시료를 5cm×20cm의 시험편으로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을 파지 간격 10㎝ 및 인장속도 500 mm/min으로 설정하여 최대 하중을 산출하였다.
2. 인장신도
상기 인장강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후 최대 인장시의 신장율을 구하였다. 상기 결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인 비교예 6의 경우보다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시험편의 경우, 우수한 신도를 나 타내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두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KS K 0506에 준하여,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단위 면적당 중량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g/㎡)을 측정하였다.
5. 공기투과도(㎤/㎠/s)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ASTM D 737 프라지어법에 준하여, 공기투과도를 측정하였다.
6. 데니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필라멘트의 직경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시 조건 및 그에 따른 물성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표 1로부터, 방사 작업성, 절곡성, 형태 안정성, 유량 및 거품발생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는 종래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탈락을 방지하여 필터 후 재 오염을 예방하며, 절곡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포집효율을 높이고, 수처리 필터용 부직포로 사용시 나타난 유량의 흐름성을 개선하여 필터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Figure 112004018046322-pat00001
본 발명은 4 내지 16 데니어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다양한 필터 즉, 자동차, 페인트 제조분야에서 사용하는 집진기 필터용; 또는 자동차 폐수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예비필터(PREFILTER)용; 또는 반도체, 식품, 제약, 의료, 특수 화학분야 및 공기 또는 특정가스 적용분야에 사용되는 고성능 필터용 지지체용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초배지용 또는 포장지용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용융지수(MFR)가 20∼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용융, 혼합, 균질화시켜 방사 구금을 통하여 용융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폴리머를 냉각된 공기로 급냉하고, 벨트 하부로부터 셕션 블로우어의 회전속도를 400 내지 600 RPM으로 흡입 에어량을 조절하여 방사되어 나오는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연속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스판본드 웹을 형성시킨 후, 엠보롤의 온도가 145 내지 165℃, 판상 롤의 온도가 145 내지 165℃이며, 압력이 45 내지 70 dyne/cm2로 칼렌더 가공을 통해 열접착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15 내지 250 g/m2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가 0.15 내지 1.0 ㎜의 두께, 10 내지 45%의 본딩율 및 20 내지 1000 ㎤/㎠/s이상의 공기투과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6.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
  7.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폐수 분야에서 응용가능한 예비필터(PREFILTER).
  8.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식품, 제약, 의료, 특수 화학분야 및 공기 또는 특정가스 적용분야에 사용되는 고성능 필터용 지지체.
  9.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배지.
  10.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내지 16의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KR1020040029909A 2004-04-29 2004-04-29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KR10055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909A KR100557401B1 (ko) 2004-04-29 2004-04-29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909A KR100557401B1 (ko) 2004-04-29 2004-04-29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577A KR20050104577A (ko) 2005-11-03
KR100557401B1 true KR100557401B1 (ko) 2006-03-03

Family

ID=3728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909A KR100557401B1 (ko) 2004-04-29 2004-04-29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013B1 (ko) 2017-12-21 202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577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8722B2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80376B2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0070870A (ja)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不織布および不織布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EP2716800A1 (en) Polyphenylene sulfide fibers and nonwoven fabric
JP2011137267A (ja) 湿式短繊維不織布
JP6669315B1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19351A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3816828B2 (ja) 高温熱成型可能な立体成型用不織布とそれを用いた吸音材
KR100557401B1 (ko) 태섬도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CN116005356B (zh) 一种微纳交叠生物基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962494B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フィルター積層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中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7352302B2 (ja) 液体フィルター用のメルトブロー不織布、当該メルトブロー不織布の積層体及び積層体を備える液体用フィルター
KR20150113327A (ko) 파일사 파지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KR20150001364A (ko)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37167A (ja) フィルター用不織布
JPH0643660B2 (ja) 熱接着長繊維からなる不織布
JP5249713B2 (ja) 耐熱性不織布
JPWO2020116569A1 (ja) 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補強材
KR102617463B1 (ko) 심초형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3112B1 (ko) 드라이어 시트(Dryer Sheet)용 장섬유 부직포및 그의 제조방법
JP2021098930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6997527B2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不織布
JP2000096417A (ja) 成形用長繊維不織布、その製造方法、同不織布を用いてなる容器形状品
EP4337818A1 (en) Nonwoven fabric with enhanced strength
WO2022237925A1 (en) Nonwoven fabric with enhanced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