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674B1 -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 Google Patents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674B1
KR100556674B1 KR1020050109965A KR20050109965A KR100556674B1 KR 100556674 B1 KR100556674 B1 KR 100556674B1 KR 1020050109965 A KR1020050109965 A KR 1020050109965A KR 20050109965 A KR20050109965 A KR 20050109965A KR 100556674 B1 KR100556674 B1 KR 10055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e
steel pipe
polyurethane foam
outer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훈
이홍재
김홍용
Original Assignee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0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이용해서 난간부재에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난간부재에 관한 것으로, 장공(24)이 형성된 타공판(22)을 둥글게 말면서 심용접하여 원형의 외측파이프(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열가소성의 연질튜브(30) 표면에 접착층(32)을 형성한 다음 그 접착층(32)에 내마모성입자를 분사하여 마찰층(34)을 형성하는 단계와, 연질튜브(30)를 외측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양측을 접착하는 단계와, 연질튜브(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강관(40)의 외주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그 강관(40)을 연질튜브(3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폴리우레탄발포재(50)를 주입하고 실링(52)(54)으로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의 양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외측파이프(20)를 히터(60)(61)로 가열하여 연질튜브(30)에 가소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강관(4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폴리우레탄발포재(50)가 부풀어 오르면서 연질튜브(30)의 일부가 장공(24)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단계와, 히터(60)(61) 구동과 열풍공급을 중단하고 강관(40)을 제거하는 단계와, 폴리우레탄발포재(50)의 안쪽으로 충진재(70)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건축,발코니,난간,폴리우레탄,발포,열풍,내마모,계단

Description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난간부재{Non-slip railing manufacturing method and non-slip railing which is manufactu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의 외측파이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공정을 보인 공정도
도 3은 도2의 화살표 A로부터 이어지는 도면 공정도
도 4는 도3의 화살표 B로부터 이어지는 도면 공정도
도 5는 도2의 F부 확대도
도 6은 도4의 G부 확대도
도 7은 도4의 H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가 발코니난간에 적용된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외측파이프 22 : 타공판
24 : 장공 30 : 연질튜브
32 : 접착층 34 : 마찰층
36 : 실러 38 : 돌출부
40 : 강관 50 : 폴리우레탄발포재
52,54 : 실링 60,61 : 히터
70 : 충진재
본 발명은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난간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이용해서 난간부재에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난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이나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은 표면이 매끄러운 파이프로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에 손으로 잡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질 염려가 있었으며, 특히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가 이용하는 경우 더욱 위험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제 U2003-270578호(출원일; 2003.7.10)에 기술된 종래 논슬립난간에서는 난간 본체의 표면에 딱딱하거나 탄성이 있는 돌기물을 코팅 또는 압착하여 손으로 잡았을 때 이 돌기물에 의해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논슬립 난간은 돌기물을 표면에 코팅하거나 압착하는 것에 의해 부착하였기 때문에 사용 중 난간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조공법상 돌기물을 크게 형성할 수 없어 그립력이 약하고 마찰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돌출부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큰 돌출부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립력을 향상시키고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난간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은 장공이 형성된 타공판을 둥글게 말면서 심용접하여 원형의 외측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와, 열가소성의 연질튜브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그 접착층에 내마모성입자를 분사하여 마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연질튜브를 외측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외측파이프와 연질튜브 양단 사이에 실러를 주입하여 양측을 접착하는 단계와, 연질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강관의 외주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그 강관을 연질튜브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연질튜브와 강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주입하고 실링으로 연질튜브와 강관 사이의 양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외측파이프를 히터로 가열하여 연질튜브에 가소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강관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폴리우레탄발포재가 부풀어 오르면서 연질튜브의 일부가 장공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단계와, 히터 구동과 열풍공급을 중단하고 강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폴리우레탄발포재의 안쪽으로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는 표면에 접착층과 마찰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연질튜브를 외측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연질튜브의 내측에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주입하고 양단을 실링으로 폐쇄하여 연질튜브의 일부에 외측파이프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폴리우레탄발포재의 내측에 충진재를 주입하여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은 장공(24)이 형성된 타공판(22)을 둥글게 말면서 심용접하여 원형의 외측파이프(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열가소성의 연질튜브(30) 표면에 접착층(32)을 형성한 다음 그 접착층(32)에 내마모성입자를 분사하여 마찰층(34)을 형성하는 단계와, 연질튜브(30)를 외측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외측파이프(20)와 연질튜브(30) 양단 사이에 실러(36)를 주입하여 양측을 접착하는 단계와, 연질튜브(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강관(40)의 외주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그 강관(40)을 연질튜브(3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폴리우레탄발포재(50)를 주입하고 실링(52)(54)으로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의 양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외측파이프(20)를 히터(60)(61)로 가열하여 연질튜브(30)에 가소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강관(4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폴리우레탄발포재(50)가 부풀어 오르면서 연질튜브(30)의 일부가 장공(24)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단계와, 히터(60)(61) 구동과 열풍공급을 중단하고 강관(40)을 제거하는 단계와, 폴리우레탄발포재(50)의 안쪽으로 충진재(70)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여기서 히터(60)(61)는 전열히터, 가스히터, 고주파히터와 같은 것을 이용하며, 열풍은 고속으로 하면 열전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강관(40)의 내경에 따른 단면적을 감안하여 적절한 속도로 공급한다.
상기 타공판(22)은 스텐리스 스틸판과 같은 내식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질튜브(30)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판을 이용하고, 마찰층(34)은 표면이 매끄럽게 마무리된 세라믹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는 표면에 접착층(32)과 마찰층(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연질튜브(30)를 외측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연질튜브(30)의 내측에 폴리우레탄발포재(50)를 주입하고 양단을 실링(52)(54)으로 폐쇄하여 연질튜브(30)의 일부에 외측파이프(20)에 형성된 장공(24)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8)를 형성하며, 폴리우레탄발포재(50)의 내측에 충진재(70)를 주입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0은 발코니난간을 나타낸 것이며, 82는 발코니난간(80)의 상부레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공정은 장공(24)이 형성된 타공판(22)을 둥글게 말면서 심용접하게 되 면, 원형의 외측파이프(20)가 만들어지게 되며, 열가소성의 연질튜브(30) 표면에 접착층(32)을 형성한 다음 그 접착층(32)이 굳기 전에 내마모성입자를 분사하게 되면, 접착층(32)이 굳으면서 내마모성입자가 고착되어 연질튜브(30)의 표면에 마찰층(34)이 형성된다.
이후 연질튜브(30)를 외측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외측파이프(20)와 연질튜브(30) 양단 사이에 경화제를 첨가한 에폭시수지와 같은 실러(36)를 주입하게 되면, 연질튜브(30)가 외측파이프(20)의 내주면에 접착되며, 연질튜브(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강관(40)의 외주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다음 그 강관(40)을 연질튜브(30)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폴리우레탄발포재(50)를 주입하고 실링(52)(54)으로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의 양단을 폐쇄하게 되면, 폴리우레탄발포재(50)가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갇히게 된다.
그 다음 외측파이프(20)를 히터(60)(61)로 가열하게 되면, 외측파이프(20)를 통해 연질튜브(30)로 열이 전도되면서 연질튜브(30)가 흐물흐물하게 되어 가소성이 부여되는데 이때 강관(4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게 되면, 강관(40)을 통해 폴리우레탄발포재(50)로 열이 전도되어 폴리우레탄발포재(50)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부풀어 오르는 폴리우레탄발포재(50)에 의해 연질튜브(30)의 일부가 체적증가분 만큼 장공(24)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연질튜브(30)에 돌출부(38)가 형성된다.
이후 히터(60)(61) 구동과 열풍공급을 중단한 다음 강관(40)을 축방향으로 인출하게 되면, 강관(40)의 외주면에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강관(40)이 폴리우레탄발포재(50)로부터 부드럽게 인출되는데, 이때 폴리우레탄발포재(50)의 안쪽 공간에 충진재(70)를 주입하게 되면, 논슬립난간부재가 제조된다.
한편, 위와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난간부재를 첨부도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난간(80)의 상부레일(82)에 적용하게 되면, 사용 중 외측파이프(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38)가 손바닥에 접촉하여 표면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38)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그립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지압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돌출부(38)의 표면에 마찰층(3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면마찰력이 더욱 증대된다.
또, 연질튜브(30)의 내측에 채워진 폴리우레탄발포재(50)와 충진재(70)에 의해 돌출부(38)의 함몰이 방지된다.
또한, 논슬립난간부재를 발코니난간(80)이나 계단난간에 적용할 때 양단을 절단하여 실링(52)(54)이 위치된 부분을 제거한 다음 외측파이프(20)를 "T"자 모양 또는 일직선으로 용접하면 다양한 형태의 난간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충진재(70)가 채워져 있으므로 압축강도가 개선되어 절곡할 때 함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돌출부가 외측파이프의 내측에서 장공을 통해 바깥쪽으로 융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중 탈락의 염려가 없게 되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폴리우레탄발포재의 발포에 의해 연질튜부의 일부가 융기되면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그립력과 마찰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연질튜브의 내측이 폴리우레탄발포재와 충진재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돌출부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돌출부의 표면에 형성된 마찰층에 의해 표면 마찰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논슬립난간부재를 절곡할 때 내부에 채워진 폴리우레탄발포재와 충진재에 의해 압축강도가 향상되어 절곡부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함몰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공(24)이 형성된 타공판(22)을 둥글게 말면서 심용접하여 원형의 외측파이프(20)를 형성하는 단계;
    열가소성의 연질튜브(30) 표면에 접착층(32)을 형성한 다음 그 접착층(32)에 내마모성입자를 분사하여 마찰층(34)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질튜브(30)를 외측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외측파이프(20)와 연질튜브(30) 양단 사이에 실러(36)를 주입하여 양측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연질튜브(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강관(40)의 외주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그 강관(40)을 연질튜브(3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폴리우레탄발포재(50)를 주입하고 실링(52)(54)으로 연질튜브(30)와 강관(40) 사이의 양단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외측파이프(20)를 히터(60)(61)로 가열하여 연질튜브(30)에 가소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강관(4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폴리우레탄발포재(50)가 부풀어 오르면서 연질튜브(30)의 일부가 장공(24)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히터(60)(61) 구동과 열풍공급을 중단하고 강관(40)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발포재(50)의 안쪽으로 충진재(70)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2. 표면에 접착층(32)과 마찰층(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연질튜브(30)를 외측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연질튜브(30)의 내측에 폴리우레탄발포재(50)를 주입하고 양단을 실링(52)(54)으로 폐쇄하여 연질튜브(30)의 일부에 외측파이프(20)에 형성된 장공(24)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8)를 형성하며, 폴리우레탄발포재(50)의 내측에 충진재(70)를 주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난간부재.
KR1020050109965A 2005-11-17 2005-11-17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KR10055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965A KR100556674B1 (ko) 2005-11-17 2005-11-17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965A KR100556674B1 (ko) 2005-11-17 2005-11-17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674B1 true KR100556674B1 (ko) 2006-03-10

Family

ID=3717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965A KR100556674B1 (ko) 2005-11-17 2005-11-17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6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257A (ja) * 1995-05-30 1996-12-10 Tokiwa Chem Kogyo Kk 滑り止め付手摺
JPH094167A (ja) * 1995-06-20 1997-01-07 Sekisui Jushi Co Ltd 合成樹脂製手摺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2229A (ja) * 1995-07-24 1997-02-04 Sekisui Jushi Co Ltd 合成樹脂製手摺
JPH09296580A (ja) * 1996-04-30 1997-11-18 Toto Ltd 手摺り
JPH10169139A (ja) * 1996-12-16 1998-06-23 Sekisui Chem Co Ltd 手 摺
KR200169809Y1 (ko) * 1999-08-17 2000-02-15 서상원 어린이 추락방지용 안전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257A (ja) * 1995-05-30 1996-12-10 Tokiwa Chem Kogyo Kk 滑り止め付手摺
JPH094167A (ja) * 1995-06-20 1997-01-07 Sekisui Jushi Co Ltd 合成樹脂製手摺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2229A (ja) * 1995-07-24 1997-02-04 Sekisui Jushi Co Ltd 合成樹脂製手摺
JPH09296580A (ja) * 1996-04-30 1997-11-18 Toto Ltd 手摺り
JPH10169139A (ja) * 1996-12-16 1998-06-23 Sekisui Chem Co Ltd 手 摺
KR200169809Y1 (ko) * 1999-08-17 2000-02-15 서상원 어린이 추락방지용 안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745B2 (en) Structural foam
US7141197B2 (en) Grip element
US7819487B2 (en) Method of molding a cleaning device with a squeegee
WO2001065017A3 (en) Faux stone concrete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556674B1 (ko)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논슬립난간부재
WO2005120419A2 (en) Ergonomic wheelchair hand rim
ATE495878T1 (de) Verfahren zum verankern eines steckers und stecker
WO2009001456A1 (ja)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
US20140353084A1 (en) Swimming pool descending structure with overmolded anti-slip coating
EP1256438A3 (en) A method of curing foam filled tires and rim used thereby
JP2003011132A5 (ko)
US6696174B2 (en) Method of repairing multiple tube structures and repaired multiple tube structures
US8674940B2 (en) Custom grip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8029794A1 (fr) Procédé de renfort de structure existante avec des fibres de carbone
JP4511239B2 (ja) 充填方法
CN209852455U (zh) 双面异型齿环形同步带
US20050081677A1 (en) Handle vibration dampening
AU732071B2 (en) Finishing trowel handle
JPH0448049B2 (ko)
JP2859562B2 (ja) 合成樹脂製手摺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134626U (zh) 一种勾缝工具
KR100556678B1 (ko) 논슬립난간부재 및 그 논슬립난간부재 제조장치
JP2002309744A (ja) 弾性部材組付け手すり
KR100590121B1 (ko) 계단용 논슬립난간부재의 제조방법 및 계단용논슬립난간부재
CS199337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bodies,especially stairs and step on surfaces with anti-slid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