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981B1 -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981B1
KR100555981B1 KR1020050109817A KR20050109817A KR100555981B1 KR 100555981 B1 KR100555981 B1 KR 100555981B1 KR 1020050109817 A KR1020050109817 A KR 1020050109817A KR 20050109817 A KR20050109817 A KR 20050109817A KR 100555981 B1 KR100555981 B1 KR 10055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foundation
balcony
rise building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훈
이홍재
김홍용
Original Assignee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0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2Underlayers coated with adhesive or mortar to receive the flooring
    • E04F15/183Underlayers coated with adhesive or mortar to receive the flooring for areas prone to frost damage, e.g. for balconies or ter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발코니등과 같이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를 단열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 바닥콘크리트에 연장형성되는 발코니기초(30)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발코니기초(30)에 미리 공장제작된 기초단열체(10)를 삽입고정하는 단계(S20)와, 상기 기초단열체(10)에 삽입되도록 관통홀(a)이 전면에 구비된 복합단열체(20)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S30)와, 상기 기초단열체(10)가 고정된 발코니기초(30) 상부에 베란다상판(40)을 고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상기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과 그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기초단열체, 복합단열체

Description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Method and structure of projection frame outer insulation}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에 돌출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도2b, 도2c, 도2d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구조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초단열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단열체의 구조를 되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단열구조가 설치된 건축물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단열공법의 시공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초단열체 20 : 복합단열체
30 : 발코니기초 31 : 거치홈부
31a : 앵커홀 40 : 베란다상판
50 : 고정앵커 100 : 거실바닥
101 : 몸체 101a : 개방부
101b : 걸림턱 102 : 신축부재
102a : 체결홀 200 : 벽체
201 : 경질단열재 201a,202a : 홈부
201b, 202b : 돌기부 a (201c,202c,203c) : 관통홀
202 : 연질단열재 203 : 외장보드
401 : 삽통홀 402 : 돌출부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외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공사의 시공시 연질단열재와 경질단열재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외단열패널을 벽체의 외벽에 설치하여 단열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열을 차단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단열하기 위하여 그 벽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건축물에 있어서는 벽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공법으로서, 외벽과 내벽과의 사이의 공동에 단열울(wool)등의 단열재를 충진하는 공법, 소위 내단열공법이 일반적으로 시행된다.
건축물의 내단열공법에서는 단열재의 불완전한 충전에 의하여 단열효과의 저하가 발생하고 또한 단열재를 뒤에 붙일 수 없으며, 작업에 품이 많이 드는 등의 결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벽처럼 벽면이 내용물이고, 그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기 위한 공동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벽체에 단열재를 벽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직접 설치하는 공법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벽면에 단열재를 직접 설치하는 단열공법은 단열재를 벽면에 못박기 하는 것이고, 충분한 설치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개소에 못타를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외단열공법은 벽면전체가 내용물로 충진되어서 어느 장소에서도 못타가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밖에 적용할 수 없었다.
단열재를 벽면의 외측에 설치하는 외단열공법에는 작업의 간편함과 작업시간의 단축등의 면에서 큰 이점이 있으며, 여름철의 일사에 의한 열팽창이나 겨울철의 방사냉각에 의한 수축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는 외단열공법의 개발이 기대되어 왔다.
한편으로, 외벽에 석재를 이용하여 마감되는 건축공사에서 구조체 외부에 석재 앵글을 이용하여 석재를 고정하고, 외부와의 단열을 위하여 구조체의 내부에는 단열재를 설치하고 그 바깥쪽에 유리섬유나 암면등을 충진하고 이를 마감하기 위하여 수직 및 수평의 스터드를 설치하고 석고보드 또는 밤라이트등 으로 마감후 페인트도장 또는 벽지마감을 하였다.
석공사에서의 내단열 공법은, 벽체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조체의 내부에 표면에 수성페인트가 도포된 단열재가 삽입되었다. 이러한 내부 단열재는 유리섬유나 암면등이 사용되었으며 여기에는 반드시 석고보드등 보드류가 내단열재 외부에서 이를 지지 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추가로 내벽 마감이 필요 하였다.
그런데, 요즘음에 들어 이러한 내단열 공법은 효과적인 단열을 위해 점차 외 단열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석공사로 외부가 마감되는 건축공사에서는 외부 석재 고정시 앵글이 부착되는 부분에 단열을 할 수가 없어 내부에서 단열을 하는 내단열 공법의 사용이 범용화 되어 왔다.
따라서, 내단열 공법은 내단열을 위한 공간이 추가로 필요로 하여 가옥의 내부의 면적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내단열 공법자체가 시공이 복잡하고 많은 노력과 자재가 소요 되었으며 내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우려되고 단열재의 밀실한 충진이 안되어 단열효과가 부분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외단열구조라 하더라도 공통복도나 발코니나 베란다인 어떤 벽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인 경우에는 단열결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벽면으로부터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물의 외단열구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외단열구조는 건물을 지지하는 구조물(1)의 외벽부(3)의 외면에는 단열재(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의 외단열구조에서는 외벽부(3)의 외부에 설치되는 벽면돌출구조물(4)은 외벽부(3)와 접하는 전단면에서 건물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열재(2)가 벽면돌출구조물(4)로부터 분단되고 큰면적의 단열결손 부분이 만들어진다.
상기 도1의 쇄선은 벽면돌출구조물(4)의 주위의 온도 분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등온선이다.
외부온도와 실내온도와의 차이가 현저할 때에는 단열결손 부분으로 열교가 생기고 상기 열교에 따라서 벽면돌출구조물(4)로 부터 외벽부(3)에 열이동이 생기 고 건물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열재가 벽면 돌출구조물로 분단되는 단열결손부를 최소한으로 한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열재가 벽면돌출구조체로 분단되는 단열결손부를 생기지 않는 건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는 달성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발코니등과 같이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를 단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거실 바닥콘크리트에 연장형성되는 발코니기초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코니기초에 미리 공장제작된 기초단열체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단열체에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전면에 구비된 복합단열체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단열체가 고정된 발코니기초 상부에 베란다상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과,
고층건물의 발코니등과 같이 구조물로 부터 돌출되는 부위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구조에 있어서, 앵커홀이 구비된 거치홈부가 형성된 발코니기초에 끼움장착되도록 내부가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의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몸체의 중간부위에는 체결홀이 형성된 신축부재가 봉제처리 되어 있는 연질단열재를 재질로 하는 기초단열체와, 상기 기초단열체가 끼움되도록 전방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편, 홈부와 돌기부가 교대로 형성된 경질단열재 가 마찬가지로 홈부와 돌기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경질단열재와 체결되어 부착되는 연질단열재 및 상기 연질단열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외장보드로 구성된 복합단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 도2b, 도2c, 도2d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구조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초단열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단열체의 구조를 되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외단열구조가 설치된 건축물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외단열공법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구조는 크게 연질단열재를 재질로 하는 기초단열체(10)와, 경질단열재(201)와 체결되어 부착되는 연질단열재(202) 및 상기 연질단열재(202)의 배면에 부착되는 외장보드(203)로 구성된 복합단열체(20)로 구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초단열체(10)는 앵커홀(31a)이 구비된 거치홈부(31)가 형성된 발코니기초(30)에 끼움장착되도록 내부가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101a)의 외주면에 걸림턱(101b)이 형성되며 몸체(101) 의 중간부위에는 체결홀(102a)이 형성된 신축부재(102)가 봉제처리 되어 있는 연질단열재(202)를 재질로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단열체(20)는 상기 기초단열체(10)가 끼움되도록 전방 양측에 관통홀(201c)이 형성되는 한편, 홈부(201a)와 돌기부(201b)가 교대로 형성된 경질단열재(201)가 마찬가지로 홈부(202a)와 돌기부(202b)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경질단열재(201)와 체결되어 부착되는 연질단열재(202) 및 상기 연질단열재(202)의 배면에 부착되는 외장보드(203)로 구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구조를 시공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거실 바닥콘크리트에 연장형성되는 발코니기초(30)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발코니기초(30)에 미리 공장제작된 기초단열체(10)를 삽입고정하는 단계(S20)를 시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기초단열체(10)에 삽입되도록 관통홀(a)이 전면에 구비된 복합단열체(20)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S30)와, 상기 기초단열체(10)가 고정된 발코니기초(30) 상부에 베란다상판(40)을 고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상기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공 공정이 줄어들어 노무비와 자재비의 추가투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단열을 위한 실내부에 단열재 설치로 인한 실내부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 단열재의 밀실한 설치가 가능한 외단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공사의 시공시 벽체의 외벽에 설치되어 단열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열을 차단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고, 다수의 외단열패널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함으로 시공공정이 줄어들어 노무비와 자재비의 추가투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단열을 위한 실내부에 단열재 설치로 인한 실내부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 단열재의 밀실한 설치가 가능한 외단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높은 경질단열재에 통풍성이 우수하고 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글래스울등의 연질단열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결로등이 발생하지 않고 건물의 열화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단열재가 벽면 돌출구조물로 분단되는 단열결손부를 최소한으로 있다.

Claims (2)

  1. 고층건물의 발코니등과 같이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를 단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거실 바닥콘크리트에 연장형성되는 발코니기초(30)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발코니기초(30)에 미리 공장제작된 기초단열체(10)를 삽입고정하는 단계(S20)와;
    상기 기초단열체(10)에 삽입되도록 관통홀(a)이 전면에 구비된 복합단열체(20)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S30)와;
    상기 기초단열체(10)가 고정된 발코니기초(30) 상부에 베란다상판(40)을 고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상기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2. 고층건물의 발코니등과 같이 구조물로 부터 돌출되는 부위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구조에 있어서,
    앵커홀(31a)이 구비된 거치홈부(31)가 형성된 발코니기초(30)에 끼움장착되도록 내부가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101a)의 외주면에 걸림턱(101b)이 형성되며 몸체(101)의 중간부위에는 체결홀(102a)이 형성된 신축부재(102)가 봉제처리 되어 있는 연질단열재를 재질로 하는 기초단열체(10)와;
    상기 기초단열체(10)가 끼움되도록 전방 양측에 관통홀(201c)이 형성되는 한편, 홈부(201a)와 돌기부(201b)가 교대로 형성된 경질단열재(201)가 마찬가지로 홈부(202a)와 돌기부(202b)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경질단열재(201)와 체결되어 부착되는 연질단열재(202) 및 상기 연질단열재(202)의 배면에 부착되는 외장보드(203)로 구성된 복합단열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구조.
KR1020050109817A 2005-11-16 2005-11-16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KR10055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17A KR100555981B1 (ko) 2005-11-16 2005-11-16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17A KR100555981B1 (ko) 2005-11-16 2005-11-16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981B1 true KR100555981B1 (ko) 2006-03-03

Family

ID=3717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817A KR100555981B1 (ko) 2005-11-16 2005-11-16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9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545A (ja) 1999-11-24 2001-06-05 Ohbayashi Corp 外断熱工法により断熱施工された建造物およびその建造方法
JP2002220887A (ja) 2001-01-24 2002-08-09 Yonezawa Kogyo:Kk 外断熱構造体における建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545A (ja) 1999-11-24 2001-06-05 Ohbayashi Corp 外断熱工法により断熱施工された建造物およびその建造方法
JP2002220887A (ja) 2001-01-24 2002-08-09 Yonezawa Kogyo:Kk 外断熱構造体における建築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47324A (ja) 耐火構造壁
KR101709253B1 (ko)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KR101215467B1 (ko)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JP2011510197A (ja) コーナパネルを使用して建物を建築する方法
KR101360496B1 (ko) 통기층이 구비된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0555981B1 (ko) 고층건물 돌출구조물의 외단열공법 및 그 구조
JP3860738B2 (ja) 建物の耐火構造とその施工方法
CN209817737U (zh) 装配式飘窗及其结构体系
JP4025910B2 (ja) 二重梁構造とそれに支持された二重壁構造により外断熱施工された建築物および建築方法
KR100549181B1 (ko) 공동주택의 외단열패널의 구조
KR20090005274A (ko)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KR100552152B1 (ko)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외단열구조
JP4077763B2 (ja) 建物の壁構造及び建物
RU2544181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золяции и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фасада
KR200182691Y1 (ko) 조립식 단열패널
JP2003049497A (ja) 断熱パネル、それを用いた断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60508B1 (ko) 통기층이 구비된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JP3686346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00006639A (ko) 외단열 건축물의 모서리 보강방법과 그 보강재
KR100641382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외단열구조
KR100498273B1 (ko) 철골조 건축물의 외단열구조
KR101770961B1 (ko) 단열성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는 황토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3474316B2 (ja) バスユニット付建物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