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909B1 -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909B1
KR100555909B1 KR1020040047500A KR20040047500A KR100555909B1 KR 100555909 B1 KR100555909 B1 KR 100555909B1 KR 1020040047500 A KR1020040047500 A KR 1020040047500A KR 20040047500 A KR20040047500 A KR 20040047500A KR 100555909 B1 KR100555909 B1 KR 10055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audio signal
output
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405A (ko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909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1Aspects relating to docking-station type assemblies to obtain an acoustical effect, e.g. the type of connection to external loudspeakers or housings, frequency impr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모듈레이터의 신호 입력 단자로 스위칭되도록 하는 단계와, TV 튜너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RF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로 판단되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필요한 잭의 연결과 그에 따른 부품 추가가 필요 없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AUDIO SIGNAL OUTPUT METHOD IN DV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02 : 스위칭부
104 : 하이파이 처리부
106 : 키 입력부
본 발명은 디지털 재생 장치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레이터 잭을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 잭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재생 장치,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출력 전용 잭을 이용하여 디지털 TV에서의 고음질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재생한다. 또한, DVD 플레이어의 모듈레이터 잭은 일반적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즉 비교적 저화질, 저음질의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모듈레이터, 특히 RF(Radio Frequency) 모듈레이터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Video Cassette Recorder), 및 게임 머신(Game Machine) 등에 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RF 모듈레이터의 주요 기능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게임 머쉰 등과 같은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특정 RF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RF 모듈레이터는 주파수 사용 대역에 따라 고주파(VHF: Very High Frequency) 방식과 초고주파(UHF: Ultra High Frequency)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고주파 방식은 주로 2개의 특정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초고주파 방식은 10개 이상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의 고주파 방식의 RF 모듈레이터는 표면 탄성파(SAW) 공명기(Resonator)를 사용하는 방법과 위상 고정 루프(PLL: Phase Lock Loop)를 이용하는 방법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시청자가 DVD나 그 밖의 디지털 방송 시청시에는 이와 같은 모듈레이터를 통해 출력되는 저화질 저음질의 신호는 듣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시청시에 사용되지 않는 모듈레이터 잭을 디지털 오디 오 신호의 출력 잭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별도의 디지털 오디오 출력 전용 잭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데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착안에 의해 안출한 것으로, 모듈레이터 잭을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 잭으로 이용하여 TV 튜너에서 그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여 MPEG 신호처리 함으로써 불필요한 잭 연결을 없애고 그에 따른 부품 추가를 삭제토록 한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모듈레이터의 신호 입력 단자로 스위칭되도록 하는 단계와, TV 튜너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RF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재생 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DVD로 한정하기로 하며, 기타 DVD-ROM, DVD-RW 등의 재생 장치도 적용이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키 입력부(106)의 키 신호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라인입력(LINE1), 튜너(TUNER), 디브이디 재생기(DVD)에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라인 출력(LINE OUTPUT)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102)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라인입력(LINE1), 튜너(TUNER), 디브이디 재생기(DVD)에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하이파이(HiFi) 처리하여 모듈레이터 출력으로써 출력하는 하이파이 처리부(10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들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은 스위칭부(102)는 DVD 재생기의 오디오신호(DVD)를 선택하여 라인 출력(LINE OUTPUT)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라인 출력(LINE OUTPUT)은 오디오 신호의 좌(L)/우(R) 잭을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은 하이파이 처리부(104)는 튜너(TUNER)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하이파이 처리하여 모듈레이터 출력(MODULATOR OUTPUT)으로써 출력하여 도시 생략된 오디오헤드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녹화한다.
그리고, 모듈레이터 출력(MODULATOR OUTPUT)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D에서의 오 디오 신호 출력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200)에서 제어부(10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DVD 플레이어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MPEG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단계(S200)에서의 판단 결과,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00)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모듈레이터의 신호 입력 단자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02)를 제어한다. 즉,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모듈레이터에서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모듈레이션을 하지 않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하여 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해 준다. 이때 모듈레이터는 단지 신호를 패스(pass)시켜주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단계(S204)에서는 TV 튜너에서 현재 출력되는 신호가 RF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RF 신호라고 판단되면 단계(S206)로 진행하여 현재 출력되는 신호를 방송신호로 인식하여 신호 처리토록 한다.
반면, 단계(S204)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출력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08)로 진행하여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즉, TV 또는 디지털 수신기의 MPEG 튜너부는 모듈레이터 신호, 즉 변조된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디지털 오디오 재생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TV 또는 디지털 수신기의 디코더로 보내어 신호를 아날로그로 디코딩 해준다.
끝으로 단계(S210)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해 준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필요한 잭의 연결과 그에 따른 부품 추가가 필요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모듈레이터의 신호 입력 단자로 스위칭되도록 하는 단계와,
    TV 튜너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RF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TV 튜너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RF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 방송신호로 인식하여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계는 상기 모듈레이터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패스시키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재생 장치는 DV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20040047500A 2004-06-24 2004-06-24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055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500A KR100555909B1 (ko) 2004-06-24 2004-06-24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500A KR100555909B1 (ko) 2004-06-24 2004-06-24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405A KR20050122405A (ko) 2005-12-29
KR100555909B1 true KR100555909B1 (ko) 2006-03-03

Family

ID=3729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500A KR100555909B1 (ko) 2004-06-24 2004-06-24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9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405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147B1 (ko) 다중음성기록재생시스템
KR20050024183A (ko) 기록 재생 장치, 재생 처리 방법
KR100555909B1 (ko) 디지털 재생 장치에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2003008245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 리모트 컨트롤러 및 재생 방법
JP2006033120A (ja) テレビ放送受信システム
WO2007097355A1 (ja) 放送番組表示装置、放送番組表示方法および放送番組表示システム
KR100813068B1 (ko) 전계 강도에 따른 화질 보상 방법 및 장치
KR20060024827A (ko) 영상재생기기가 부가된 텔레비전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0153989B1 (ko) 브이씨알의 이중기록재생장치
KR200157418Y1 (ko) 오디오 입력 셀렉터를 가지는 브이시알
JP3294996B2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再生装置
KR20050091539A (ko) 리시버 연결형 dvd/vcr 복합 제품의 재생 장치 및방법
KR100290450B1 (ko) 브이티알(vtr)의 av 모드 16:9 줌 해제방지 방법
KR100343708B1 (ko) 티브이씨알의 음성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347359B1 (ko) 음성 처리 방법
KR19990041372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오디오 신호 절환 장치
JP3097877U (ja) ビデオ装置
JP200827827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80023268A (ko) 동작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50122408A (ko) 홈씨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960035608A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한 유무선 겸용 휴대용 영상가요 반주기
KR20000003825A (ko) 클럭 타이밍 제어에 의한 영상 및 사운드의 재생속도 제어장치
KR20000046174A (ko) 2 개의 튜너를 가진 음성처리 시스템
KR19980023267A (ko) 동작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00028242A (ko) Pip기능을 구비한 hifi tvcr의 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