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234B1 -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234B1
KR100554234B1 KR1020040012457A KR20040012457A KR100554234B1 KR 100554234 B1 KR100554234 B1 KR 100554234B1 KR 1020040012457 A KR1020040012457 A KR 1020040012457A KR 20040012457 A KR20040012457 A KR 20040012457A KR 100554234 B1 KR100554234 B1 KR 10055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receiving frame
curing
prese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105A (ko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서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석 filed Critical 서효석
Priority to KR102004001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2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6Seeders with other distributing devices, e.g. brushes, discs, screws o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가 일체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 부터 하부까지의 공간은 비어있는 수용틀을 만드는 단계; 상기 수용틀 속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목재 들을 세로 방향으로 촘촘히 채우는 단계;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경화제와 색소를 혼합하여 상기 목재 들로 채워진 상기 수용틀 속에 붓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가 끝난 후 필요한 부위를 필요한 두께 만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려지는 목재들을 재활용할 수 있고, 목재 마다의 제 각각의 단면의 무늬 들을 원래 그대로 살려서 다양한 모양과 색상과 무늬를 지닌 우수한 생활용품용 소재를 제공한다.
목재,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 생활용품용 소재

Description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materials for daily necessities using timber}
도 1은 본발명의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예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수용틀 2: 목재
3: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
4: 절단부 5: 생활용품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려지기 쉬운 다양한 크기, 형태 및 색상을 지닌 목재 들을 활용하여, 목재 마다의 제 각각의 단면의 무늬 들을 원래 그대로 살려서, 다양한 모양과 색상과 무늬를 지닌 우수한 생활용품용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건축 현장이나, 제재소, 목공소, 가구 제조업체 등 목재가 많이 사용되는 곳 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 곳곳에서 쓰다 버린 목재 들은 지천으로 널려 있다.
그러나, 난방수단 등이 석유나 전기로 대체된 현대에서 버려지는 이들 자투리 목재 들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극히 제한적이여서, 유용한 자원이 낭비되고 그 처리 비용도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버려지는 자투리 목재들을 재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할 것인 바, 본 발명자는 목재 들이 외관적으로는 볼품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 횡단면은 말할 수 없이 아름답고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색상과 무늬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색상, 모양, 및 무늬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목재 횡단면을 어우러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다가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마다의 제 각각의 횡단면의 무늬들을 원래 그대로 살려서 다양한 모양과 색상과 무늬를 연출할 수 있는,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가 일체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 부터 하부 까지의 공간은 비어있는 수용틀을 만드는 단계; 상기 수용틀 속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목재 들을 세로 방향으로 촘촘히 채우는 단계;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경화제와 색소를 혼합하여, 상기 목재 들로 채워진 상기 수용틀 속에 붓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가 끝난 후 필요한 부위를 필요한 두께 만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활용품 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려지는 목재 들을 재활용할 수 있고, 목재 마다 제 각각인 색상, 모양, 및 무늬를 나타내는 다양한 목재 횡단면 들을, 자연 그대로 살려 서로 어울어지게 함으로써, 다양한 생활용품의 생산에 쓰일 수 있는 우수한 생활용품용 소재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발명의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예시한 개략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먼저, 목재 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틀(1)을 만들되, 상기 수용틀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가 일체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 부터 하부까지의 공간은 비어있도록 만든다. 여기서, 수용틀(1)의 상부는 목재(2)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해야하며, 측면과 하부는 목재(2)를 투입한 다음 단계에서,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3)를 부을 때 수지가 밖으로 새지 아니하도록 밀폐되어야 한다. 수용틀(1)의 넓이와 높이 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수 있으며, 형상은 목재(2)의 투입을 쉽게 하고, 수지(3)가 고루 잘 섞힐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기둥 형상이나 직사각기둥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틀(1)의 재료로는 목재(2)를 촘촘히 투입했을 때의 힘을 견디면서 일정한 형상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재료면 모두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완성이후 수용틀(1)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두꺼운 종이가 바람직하다.
수용틀(1)이 만들어지면, 이 수용틀(1) 속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다른 목재 들을 세로 방향으로 촘촘히 채운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다음 단계에서 목재(2)의 횡단면을 자연 그대로 노출시키고자 하는 데 있으므로 하부에 직각 방향은 아니더라도 가능한 세로 방향으로 목제(2) 들을 배열해야 한다. 투입되는 목재(2)의 종류가 다양할 수록 다음 단계에서 나타나는 목재의 횡단면 들도 다양해진다.
다음 단계는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3)와 경화제와 색소를 혼합하여 상기 목재들로 채워진 수용틀(1) 속에 붓고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3)는 흔히 호마이카(Formica)로 불리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수지로 경화제와 결합하여 화학반응으로 굳어진다. 국내에서는 포리코트, 에포비아, 포리스타, 포리마이카 등의 고유 상표로 많은 회사들의 제품이 나와 있으며, 본 발명자는 이 중에서 주로 미원화학의 에포비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수지와 경화제의 배합비율은 20:1 정도가 바람직하나 경화 시간의 단축을 위해 경화제를 좀 더 첨가할 수도 있 다. 이 단계에서의 색소 첨가는 목재의 자연상태의 횡단면 노출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단계로서 그때 그때 다양한 색소를 혼합하여 멋진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로서, 경화가 끝나면, 만들고자 하는 생활용품(5)의 용도에 맞추어서 필요한 부위를 필요한 두께 만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렇게 가로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4)는, 색소가 첨가되어 경화된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자연 상태로 노출된 다양한 목재(2)들의 횡단면이 서로 어우러져 멋진 생활용품용 소재로서 재탄생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생활용품용 소재는 매우 아름다운 외관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함함으로서, 수저받침, 컵 받침, 액자, 악세서리, 벽면, 마루판 혹은 실내건축 소재 등 다양한 용도의 생활용품(5)을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그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수공적인 방법에 초점을 두었지만, 본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그 방법 그대로 기계를 이용한 대량생산 공정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려지는 목재 들을 재활용할 수 있고, 목재 마다 제 각각인 색상, 모양, 및 무늬를 나타내는 다양한 목재 횡단면 들을, 자연 그대로 살려 서로 어울어지게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생활용품의 생산에 쓰일 수 있는 우수한 생활용품용 소재를 제공한다.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가 일체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 부터 하부까지의 공간은 비어있는 수용틀을 만드는 단계;
    상기 수용틀 속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목재 들을 세로 방향으로 촘촘히 채우는 단계;
    강화플라스틱용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경화제와 색소를 혼합하여 상기 목재 들로 채워진 상기 수용틀 속에 붓고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가 끝난 후 필요한 부위를 필요한 두께 만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의 재료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KR1020040012457A 2004-02-25 2004-02-25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KR10055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57A KR100554234B1 (ko) 2004-02-25 2004-02-25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57A KR100554234B1 (ko) 2004-02-25 2004-02-25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05A KR20050086105A (ko) 2005-08-30
KR100554234B1 true KR100554234B1 (ko) 2006-02-22

Family

ID=3727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57A KR100554234B1 (ko) 2004-02-25 2004-02-25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2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05A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7164B1 (de) Kunstste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DE69718653D1 (de) Polymer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materialien daraus
UA79054C2 (uk) Формувальна маса,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формованого виробу із формувальної маси і формований виріб
KR100554234B1 (ko) 목재를 이용한 생활용품용 소재의 제조방법
RU274645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ей сборного корпуса гроба, поверхн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и корпус гроба с группой указа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DE3919854C2 (ko)
RU233539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рцевой декоративной панели
CN104271349B (zh) 大尺寸聚苯乙烯面板
GB2294926A (en) Structural material from waste
ATE265313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nständen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
KR100518948B1 (ko) 부품용 판재 제조방법
RU2614618C2 (ru) Заготовка для обуч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объемной резьбе (варианты)
CN108608787A (zh) 一种绘画和雕塑结合的雕塑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052329B1 (ko) 한지공예품의 성형방법
KR100541934B1 (ko) 폐지를 이용한 전통 문양 제조방법
RU202617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из отходов древесины и изделие из отходов древесины
EP4101614A1 (en) Method for obtaining a panel from recycled material, and the resulting panel
KR101035289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테이블 상판 및 그 성형방법
DE202019004661U1 (de) Ladungsträger
Janakieska et al. Digitalisation in Wood Design
CN1050702A (zh) 大尺寸木结构贴皮制品的制做方法
KR20210057878A (ko) 테이블 상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테이블 상판
GB2246536A (en) A model for use in moulding a mould
KR20050005833A (ko) 건축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nderson The Use of Decorative Plastic Parts in Wood Furnitur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