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754B1 - Safety Lane Driving System - Google Patents

Safety Lane Driv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754B1
KR100552754B1 KR1020030087503A KR20030087503A KR100552754B1 KR 100552754 B1 KR100552754 B1 KR 100552754B1 KR 1020030087503 A KR1020030087503 A KR 1020030087503A KR 20030087503 A KR20030087503 A KR 20030087503A KR 100552754 B1 KR100552754 B1 KR 10055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ser beam
lamp
driving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54167A (en
Inventor
구자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54B1/en
Publication of KR2005005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 경계점을 도로 상에 레이점 빔으로 표시하는 레이저 빔 램프(Laser Beam Lamp)를 차량의 헤드 램프(Head Lamp) 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되었지를 확인할 때 레이점 빔 램프를 켜서 도로 상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차선 이탈을 확인함으로써,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laser beam lamp (Laser Beam Lamp) that displays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as a ray point beam on the road in the head lamp of the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ut of the driving lane when driving the vehicle A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by turning on a point beam lamp to check lane departure through a laser beam displayed on a road.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빔 램프;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레이저 빔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차량경계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A battery for power supply; A laser beam lamp emitting the laser beam; And a vehicle boundary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laser beam lamp.

본 발명에 의하면, 초보 운전자의 경우 차량 주행 경계점으로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차선을 유지하며 안전한 주행 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vice driver can safely drive while maintaining a lane through a laser beam indicated by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차선 이탈, 차량, 도로, 주행, 레이저 빔, 헤드 램프, 전조등Lane departure, vehicle, road, driving, laser beam, headlamp, headlight

Description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Safety Lane Driving System} Lane Lane Safet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레이저 빔이 적절한 각도로 도로 상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 빔 램프(12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ser beam lamp 120 for causing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on the road at an appropriate angle.

도 3은 주행 차선과 차량 경계점이 일정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면서 차량을 안전하게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safely drive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 driving lane and a vehicle boundary poi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 110 : 배터리100: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110: battery

120 : 레이저 빔 램프 130 : 차량경계 스위치120: laser beam lamp 130: vehicle boundary switch

140 : 헤드 램프 142 : 상향등140: headlamp 142: high light

144 : 하향등 150 : 헤드램프 스위치144: downlight 150: headlamp switch

160 : 헤드램프 릴레이 170 : 점등 스위치160: headlamp relay 170: light switch

172 : 상향 스위치 174 : 하향 스위치172: up switch 174: down switch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경계점을 도로 상에 레이저 빔으로 표시하는 레이저 빔 램프(Laser Beam Lamp)를 차량의 헤드 램프(Head Lamp) 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되었지를 확인할 때 레이점 빔 램프를 켜서 도로 상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차선 이탈을 확인함으로써,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ystem that prevents vehicle lane depar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lamp of a vehicle in which a laser beam lamp displaying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as a laser beam on a road is provided. In the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lane point beam lamp is turned on to check the lane departure through a laser beam displayed on the road when the vehicle is moved out of the driving lane, thereby preventing lane departure. It is about.

도로 상에서 차량은 차선을 따라 주행한다. 도로 상에 표시된 차선은 각 주행 차량의 경계를 짓는 생명선으로서 중앙선, 정지선 등이 있으며, 빛에 대해 반사도가 큰 흰색이나 눈에 잘 띄는 노랑색 등으로 도색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road, the vehicle travels along the lane. The lanes displayed on the roads are lifelines that bound each driving vehicle, including a center line and a stop line. The lanes are painted in white with high reflectivity or yellow, which is easy to identify by the driver.

한편, 일반적으로 노면 공사로 인하여 도로에 형성된 차선을 차량이 지킬 수 없을 경우에는 교통 안전 표시구를 도로에 설치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임의대로 차선을 형성시켜 주고, 교통 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도로의 중앙선 및 도로 양측으로 교통 안전 표시구를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도로의 중앙선 및 양측의 길가를 인식할 수 있음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the vehicle can not keep the lane formed on the road due to road construction, traffic lanes are installed on the road to form a lane at random so that the vehicle can communicate safely, and a lot of traffic accidents occur By installing traffic safety signs on both the center line of the road and on both sides of the road, the driv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enter line and the roadsides on both sides of the road, thereby enabling safe driving.

그런데, 도로 상에서 위와 같은 차선을 따라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 중 초 보 운전자나 운전 미숙자의 경우에는 대부분 차선에서 우측으로 붙는 경향이 있다. 이는 초보 운전자나 운전 미숙자의 경우 중앙선이 있는 2차선에서 주행하게 될 때 반대쪽에서 오는 차량 때문에 부담이 되거나 두려움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4차선 이상의 경우에는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추월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차선의 우측으로 붙어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among the drivers who drive the vehicle along the above lanes on the road, most of the novice drivers or inexperienced drivers tend to stick to the right side of the lanes. This is because a novice driver or an inexperienced driver is burdened or feared by the vehicle coming from the other side when driving in the second lane with the center li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ur or more lanes,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side lane may pass along the right side of the lane, thinking that it may pass.

따라서, 초보 운전자가 차선의 우측에 붙어서 운행하는 경우, 우측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과 미미한 접촉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선의 우측에 붙어서 운행하다가 가끔씩 옆 차선을 넘어 주행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의 마음이 불안하게 되어 주행하는 동안 안전 사고에 계속 신경을 써야 하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novice driver is driving on the right side of the lan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slight contact accident with other vehicles running in the right side lan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lane and sometimes runs beyond the side lane, the driver's mind becomes unstabl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must keep an eye on a safety accident while driving.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주행 경계점을 도로 상에 레이저 빔으로 표시하는 레이저 빔 램프(Laser Beam Lamp)를 차량의 헤드 램프(Head Lamp) 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되었지를 확인할 때 레이점 빔 램프를 켜서 도로 상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차선 이탈을 확인함으로써,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laser beam lamp (Laser Beam Lamp) in the head lamp of the vehicle to display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as a laser beam on the road, the vehicle in the driving la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by checking lane departure through a laser beam displayed on a road by turning on a ray point beam lamp when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epar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도로 상에 차량 주행 경계점으로 조사하는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으로서,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빔 램프;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레이저 빔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차량경계 스위치;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밝게 하기 위해 빛을 앞쪽으로 밝게 멀리 내비추는 헤드 램프;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헤드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헤드램프 스위치; 상기 헤드램프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 램프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헤드램프 릴레이; 및 상기 헤드 램프의 전조 방향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방사하기 위한 점등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on a road, comprising: a battery for power supply; A laser beam lamp emitting the laser beam; A vehicle boundary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laser beam lamp; A headlamp that illuminates the light forward in order to brighte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 headlamp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of the battery to the headlamp; A headlamp relay configur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of the headlamp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of the headlamp switch; And a turn-on switch for radiating the headlamp direction of the headlamp upward or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후측 방향의 피사체를 확인하는 백미러;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밝게 하기 위해 빛을 앞쪽으로 밝게 멀리 내비추는 헤드 램프;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헤드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헤드램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도로 상에 차량 주행 경계점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빔 램프;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레이저 빔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차량경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view mirror for identifying the subject in the rear direction; A battery for power supply; A headlamp that illuminates the light forward in order to brighte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nd a headlamp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of the battery to the headlamp, the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comprising: a laser beam lamp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on a road; And a vehicle boundary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laser beam lam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signat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100)은 배터리(110), 레이저 빔 램프(120), 차량경계 스위치(130), 헤드 램프(140), 헤드램프 스위치(150), 헤드램프 릴레이(160), 점등 스위치(17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The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10, a laser beam lamp 120, a vehicle boundary switch 130, a head lamp 140, a headlamp switch 150, and a headlamp relay 160. And the lighting switch 170 and the like.

배터리(Battery)(110)는 헤드 램프(140)와 레이저 빔 램프(120)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battery 110 supplies power for turning on the head lamp 140 and the laser beam lamp 120.

레이저 빔 램프(120)는 차량 주행 경계점을 레이저 빔으로 방출하며, 이때 적색의 레이저 빔이 도로 상에 닿을 때 둥근 점 모양으로 나타나게 하거나, 화살표 모양으로 나타나게 하여 차량 주행 경계점을 표시하게 된다. 이 외에도 별 모양이나 삼각형, 사각형, 막대 모양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laser beam lamp 120 emits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as a laser beam, and when the red laser beam touches the road, the laser beam lamp 120 appears as a round dot or an arrow shape to display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star shape, triangle, rectangle, and bar shape.

차량경계 스위치(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레이저 빔 램프(120)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The vehicle boundary switch 130 supplies o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10 to the laser beam lamp 120.

헤드 램프(140)는 야간이나 시야가 흐릴 때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밝게 하기 위해 빛을 앞쪽으로 밝게 멀리 내비추는 전조등이고, 헤드램프 스위치(150)는 배터리(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헤드 램프(140)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여기서, 헤드 램프(140)의 경우, 전조 방향을 상향으로 방사하는 상향등(142)과, 전조 방향을 하향으로 방사하는 하향등(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ad lamp 140 is a headlamp that emits light brightly forward in order to brighte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t night or when the vision is blurred, and the headlamp switch 150 suppli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10 to the headlamp ( Supply or shut off. Here, the head lamp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ward light 142 radiating the rolling direction upward, a downward light 144 radiating the rolling direction downward.

헤드램프 릴레이(160)는 헤드램프 스위치(150)의 스위치 신호에 따라 헤드 램프(140)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headlamp relay 160 performs an operation of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headlamp 140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of the headlamp switch 150.

점등 스위치(170)는 헤드 램프(140)의 전조 방향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사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상향등(142)을 점등하기 위한 상향 스위치(172)와, 하향등(144)을 점등하기 위한 하향 스위치(17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ghting switch 170 is a switch for irradiating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headlamp 140 upward or downward. The lighting switch 170 is an upward switch 172 for lighting the upward lamp 142 and a downward lamp for lighting the downward lamp 144. Switch 174 or the like.

즉,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100)은, 차량의 헤드 램프(140)의 조명 구성에서, 헤드 램프(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에 레이저 빔 램프(120)와 차량경계 스위치(130)를 연결하여 폐회로를 구성하고, 차량경계 스위치(130)는 운전자가 가장 운전하기에 편안한 자세로 운전석에 착석하였을 때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다. That is, the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ing configuration of the head lamp 140 of the vehicle, the laser beam lamp 120 to the battery 1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d lamp 140. ) And the vehicle boundary switch 130 are connected to form a closed circuit, and the vehicle boundary switch 130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is easy to operate when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in a position most comfortable for driving.

그리고, 차량이 주행 중에 차선의 우측으로 너무 붙게 되어 차선을 넘었다고 생각되거나, 반대 차선에서 오는 차량으로 겁이 나거나, 옆 차선에서 주행하던 차량이 추월하므로 겁이나게 될 때, 차량경계 스위치(130)를 온(ON) 시키면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이 레이저 빔 램프(120)로 공급됨으로써, 레이저 빔 램프(120)로부터 차량 주행 경계점을 표시하는 레이저 빔이 방출되어 주행하는 도로 상에 표시된다. Then, when the vehicle is too stuck to the right side of the lane while driving, it is considered to be over the lane, when the vehicle coming from the opposite lane is scared, or when the vehicle driving in the next lane is overwhelmed, the vehicle boundary switch 130 When ON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110 to the laser beam lamp 120, whereby a laser beam indicating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is emitted from the laser beam lamp 120 and displayed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주행 차선과 차량 경계점의 간격을 눈으로 확인하여,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간격이 많이 떨어진 경우, 운전대를 조정하여 차량 주행 경계점이 차선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driver visually checks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lane and the vehicle boundary point, and when the vehicle is far from the lane, the driver adjusts the steering wheel to maintain the constant distance from the lane. do.

도 2는 레이저 빔이 적절한 각도로 도로 상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 빔 램프(12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ser beam lamp 120 for causing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on the road at an appropriate angl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램프(120)로부터 레이저 빔으로 도로 상에 조사되어 표시되는 차량 주행 경계점은 화살표 모양으로서, 주행하는 차량의 좌측 끝단이 어디에 오는지를 운전자가 확인하는 표시이다. 이때, 주행하는 차량의 경계선은 차량의 좌우측 바디라인(Body Line)이 아니라, 후측 방향의 피사체를 확인하는 백미러(Back Mirror)가 좌우측 바디(Body)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백미러의 끝점을 차량 바디라인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얻은 백미러 접선이 차량의 경계선이 된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irradiated and displayed on the road by the laser beam lamp 120 from the laser beam lamp 120 is an arrow shape, which is a display for the driver to confirm where the left end of the traveling vehicle comes from. At this time, the boundary line of the traveling vehicle is not the left and right body line of the vehicle, but a rearview mirror that checks the subject in the rear direction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body, so the end point of the rearview mirror is the vehicle body line. The rear-view mirror tangent obtained by extending parallel to the line becomes the boundary of the vehicle.

레이저 빔으로 된 차량 주행 경계점은 운전자의 시야에서 확인하기에 가장 편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레이저 빔의 조사 각도에 맞게 레이저 빔 램프(120)를 헤드 램프(140) 내에 설치한다. 즉, 백미러 접선의 아래 도로 상에 차량 주행 방향으로 직선과 백미러 접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선을 긋고, 백미러 접선과 수직선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대각선을 도로 상의 직선과 만나도록 그어, 대각선이 도로 상의 직선과 만나는 접점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레이저 빔 램프(120)를 설치한다. The laser beam lamp 120 is installed in the head lamp 140 in accordance with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aser beam so that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made of the laser beam is located at the position most comfortable for the driver's field of view. That is, draw a vertical line on the road below the rearview mirror tangent so that the straight line and the rearview mirror tangent line are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and draw a diagonal line to meet the straight line on the road from the corner where the rearview mirror tangent line meets the vertical line. The laser beam lamp 120 is installed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 the contact point.

한편, 레이저 빔 램프(120)는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 헤드 램프의 좌측 끝 밑부분에 오도록 설치하여, 야간에도 주행하는 중에 빛에 의한 교섭 현상을 최대한 피함으로써, 운전자가 레이저 빔에 의한 차량 주행 경계점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ser beam lamp 120 is installed at the bottom left end of the left head lamp relative to the driver, and avoids the bargaining phenomenon caused by the light while driving at night, thereby allowing the driver to drive the vehicle at the boundary point of the laser beam. Make sure you recognize it clear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주행 경계점을 도로 상에 레이저 빔으로 표시하는 레이저 빔 램프(120)를 차량의 헤드 램프(140) 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되었지를 확인할 때 레이점 빔 램프를 켜서 도로 상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차선 이탈을 확인함으로써,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이탈 안전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ser beam lamp 120 that displays the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as a laser beam on the road is installed in the head lamp 140 of the vehicle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driving lane when the vehicle is driven. By turning on the ray point beam lamp and confirming lane departure through a laser beam displayed on the road, a lane departure safety system that can prevent lane departure can be realiz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차량 주행 경계점을 가지게 함으로써 차량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by allowing the vehicle to have a vehicle running boundary point.

또한, 초보 운전자의 경우 차량 주행 경계점으로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차선을 유지하며 안전한 주행 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In addition, a novice driver can safely drive while maintaining a lane through a laser beam that is indicated by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driver's convenience.

그리고, 운전자가 차량 주행 중에 차선의 이탈을 확인하고 운전대를 조정하여, 차량이 차선 내에서 차선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주행하게 함으로써, 조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Then, the driver confirms the departure of the lane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adjusts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vehicle travels in parallel with the lane within the lane, thereby ensuring steering stability.

Claims (8)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와, 차량의 주행시 진행 방향을 밝게 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헤드 램프(Head Lamp)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헤드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헤드램프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의 주행시 주행 경계점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Battery for power supply, a head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 brighte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nd a head lamp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head lamp. In the system for checking the driving boundary point when driving a vehicle, 상기 헤드 램프 내 구비되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도로상의 차량 주행 경계점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 램프(Laser Beam Lamp)와, A laser beam lamp provided in the head lamp and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vehicle driving boundary point on a road with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상기 레이저 빔 램프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 구비되어, 레이저 빔 램프의 동작 온 또는 오프를 위해 배터리로부터 레이저 빔 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량경계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안전 시스템. The vehicle departure is provided between the laser beam lamp and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boundary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laser beam lamp from the battery for the operation of the laser beam lamp on or off Safet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의 주행 경계점은 차량의 바디(Body)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후측 방향의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백미러(Back Mirror)의 끝점을 차량의 바디라인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얻은 접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안전 시스템.The driving boundary of the vehicle is a tangent obtained by extending the end point of the back mirror parallel to the body line of the vehicle so as to b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of the vehicle to identify the subject in the rearward direction. Vehicle safety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이저 빔 램프는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 헤드 램프 내 좌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안전 시스템.The laser beam lamp is a vehicle departure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lower left in the left head lamp relative to the dri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이저 빔 램프를 통해 도로상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형태는 화살표 모양 또는 별 모양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막대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안전 시스템.The shape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on the road through the laser beam lamp is a vehicle departure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ow shape or star shape or triangle or square or rod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87503A 2003-12-04 2003-12-04 Safety Lane Driving System KR100552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503A KR100552754B1 (en) 2003-12-04 2003-12-04 Safety Lane Driv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503A KR100552754B1 (en) 2003-12-04 2003-12-04 Safety Lane Driv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167A KR20050054167A (en) 2005-06-10
KR100552754B1 true KR100552754B1 (en) 2006-02-20

Family

ID=3724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503A KR100552754B1 (en) 2003-12-04 2003-12-04 Safety Lane Driv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7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43B1 (en) * 2011-06-22 2013-09-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ing accessories using l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167A (en)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6873B2 (en) Vehicle lamp and vehicle lamp control system
US5923243A (en) Mot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ignalling device
KR1013584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otive head lamp
KR101631245B1 (en) Traffic signal assistance alarm device using laser
US9789812B2 (en) Forward war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16172545A5 (en)
JP2016172545A (en) Vehicle lane change warning lamp fitting
JPH05238307A (en) Vehicle forward visual confirmation device
KR100552754B1 (en) Safety Lane Driving System
KR20190110760A (en)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WO2017051558A1 (en) Motorcycle and motorcycle lighting device
JP7099946B2 (en) In-vehicle road marking device, road alert system
KR20010071620A (en) Co-operative advance warning system for road hazards
KR20130022155A (en) Shield unit of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CN203995920U (en) A kind of self-propelled vehicle
KR20100115536A (en) The center crisis unit which has a vehicle induction system
KR200181692Y1 (en) Road mark
US20120191300A1 (en) Obstacle indication and avoidance
CN210402707U (en) Street lamp for reducing high-speed traffic accidents based on digital earth
KR101127067B1 (en) road lighting apparatus for automutic
JP3923059B2 (en) Corner spotlight for automobile
JP2010058736A (en) Specially equipped vehicle
JP2738489B2 (en) Automotive braking display
KR200222232Y1 (en) U-turn sign device for vehicle
KR200349245Y1 (en) A headlight structure for preventing dazzling e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