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153B1 -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 Google Patents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153B1
KR100552153B1 KR1020030085355A KR20030085355A KR100552153B1 KR 100552153 B1 KR100552153 B1 KR 100552153B1 KR 1020030085355 A KR1020030085355 A KR 1020030085355A KR 20030085355 A KR20030085355 A KR 20030085355A KR 100552153 B1 KR100552153 B1 KR 10055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tumble
cylinder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740A (ko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1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에 흡입된 혼합기의 연소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 주변에 스퀴시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에 관한 것으로,
헤드 가스켓을 매개로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럭이 조합되어 연소실 및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피스톤의 행정에 따라 상기 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연소실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 가스켓의 개재에 의해 형성되는 크레비스 볼륨이 근접된 위치의 연소실 상부벽에 혼합기 및 연소가스의 텀블강화를 위한 다수의 텀블 유도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텀블 유도돌기, 연소실, 크레비스 볼륨

Description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Combustion apparatus with embossing to tumb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연소실의 구성도.
도 2는 텀블 유도돌기를 저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실의 텀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엔진 21 : 실린더 헤드
22 : 실린더 블럭 23 : 연소실
24 : 실린더 25 : 흡기 포트
26 : 배기 포트 27 : 피스톤
28 : 헤드 가스켓 30 : 텀블 유도돌기
B : 크레비스 볼륨
본 발명은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에 흡입된 혼합기의 연소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 주변에 스퀴시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연소실은 실린더 블럭과 실린더 헤드의 조합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상하왕복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엔진의 행정에 따라 왕복되는 피스톤에 의해서 연소실 내에는 혼합기는 흡입되고 압축되며, 폭발되고 배기되어지게 된다.
연소실 내의 혼합공기의 흡배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1)의 흡기 포트(13) 및 배기 포트(14)에 마련되는 흡기 밸브(15) 및 배기 밸브(16)가 밸브 타이밍에 의해서 작동되므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17) 내의 수용된 피스톤(18)의 탑랜드부 외주에는 연소가스가 크랭크 실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압축링(18a)과, 피스톤(18)의 냉각 및 윤활을 위해 뿌려지는 오일이 연소실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실린더 벽에 적정의 오일막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오일링(18b)이 장착되어진다. 또한, 상기한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스월 현상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한 피스톤(18)의 상부에는 보울(bowl)이 형성된다.
한편, 실린더 헤드(11)와 실린더 블럭(12) 간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헤드 가스켓(19)이 개재된다. 헤드 가스켓(19)은 주지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1)와 실린더 블럭(12) 간에 개재되어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럭 간에 이동되는 냉각수, 오일 및 가스 등이 새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연소실(10)과 헤드 가스켓(19) 간의 사이에 상기 헤드 가스켓(19)의 장착에 의해서 크레비스 볼륨(crevice volume)(B)이 형성되는데, 이 크레비스 볼륨(B) 중에는 화염이 전달되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된다. 따라서 미연소되는 혼합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크레비스 볼륨에서 미연소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종래의 경우에는 피스톤 탑 랜드의 클리어런스를 축소하거나, 상측의 압축링(18a)의 사이드 클리어런스(side clearance) 및 백 클리어런스(back clearance)를 축소하거나, 상측의 압축링의 엔드 갭(end gap)을 축소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압축링의 클리어런스 또는 엔드 갭이 지나치게 축소되므로서 피스톤 링이 고착되거나 열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열변형이 심할 경우에는 피스톤의 탑 랜드부 마모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소실에 흡입된 혼합기의 연소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 주변에 스퀴시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헤드 가스켓을 매개로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럭이 조합되어 연소실 및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피스톤의 행정에 따라 상기 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연소실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 가스켓의 개재에 의해 형성되는 크레비스 볼륨이 근접된 위치의 연소실 상부벽에 혼합기 및 연소가스의 텀블강화를 위한 다수의 텀블 유도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연소실의 구조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연소실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텀블 유도돌기의 저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실의 텀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텀블 유도돌기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엔진(20)은 종래의 일반적인 엔진에서와 같이, 실린더 헤드(21)와 실린더 블럭(22)이 조립되어 연소실(23) 및 실린더(24)가 마련된다. 상기한 실린더 헤드(21)의 상부 도중에는 연소실(23) 내로 흡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기 포트(25)와, 연소실(23) 내의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 포트(26)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 포트(25) 및 배기 포트(26)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실린더(24)에는 피스톤(27)이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수용된다.
특히, 상기한 실린더 헤드(21)와 실린더 블럭(22) 사이에 헤드 가스켓(28)이 장착되므로서 형성되는 크레비스 볼륨(B)과 근접된 위치의 연소실(23) 상부에는 연 소가스의 텀블강화를 위한 다수의 텀블 유도돌기(30)가 형성된다.
상기한 텀블 유도돌기(30)는 그 측단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도면상으로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단면상으로는 원형단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텀블 유도돌기(30)는 연소실(23)의 원주방향으로 전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특정구역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소실(23)에서의 텀블강화 현상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20)의 운전되어 상기한 연소실(23) 내에 흡기 및 연료가 유입되고, 혼합기의 압축 및 점화에 의해서 폭발이 발생되어 혼합기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연소실(23) 내에는 혼합기 및 연소가스에 스월 및 텀블이 발생되어 무질서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한 텀블 유도돌기(30) 주변으로 혼합기 및 연소가스가 전달되어지면, 상기한 텀블 유도돌기(30)에 가스가 부딪치면서 보다 강한 텀블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텀블 유도돌기(30)가 위치된 주변의 크레비스 볼륨(B)측으로 혼합기, 화염, 연소가스 등의 유동이 활발히 진행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쿠웬칭 지역(quenching area)에 구성되는 텀블 유도돌기(30)에 의해서 크레비스 볼륨 주변에 화염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연소실에서와 같이 미연소 가스의 증대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연소실의 구조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럭 간의 가스켓 장착에 의해 형성된 크레비스 볼륨 주변의 연소실 상부에 형성되는 텀블 유도돌기에 의해서 크레비스 볼륨 주변의 유체 유동이 활발이 진행되므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연소실에서 문제시되었던 크레비스 볼륨 주변에서의 미연소가스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헤드 가스켓을 매개로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럭이 조합되어 연소실 및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피스톤의 행정에 따라 상기 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연소실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 가스켓(28)의 개재에 의해 형성되는 크레비스 볼륨(B)이 근접된 위치의 연소실(23) 상부벽에 혼합기 및 연소가스의 텀블강화를 위한 다수의 텀블 유도돌기(30)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텀블 유도돌기(30)는 그 측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상일 이루며, 평단면형상을 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구조.
KR1020030085355A 2003-11-28 2003-11-28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KR10055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355A KR100552153B1 (ko) 2003-11-28 2003-11-28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355A KR100552153B1 (ko) 2003-11-28 2003-11-28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740A KR20050051740A (ko) 2005-06-02
KR100552153B1 true KR100552153B1 (ko) 2006-02-13

Family

ID=3724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355A KR100552153B1 (ko) 2003-11-28 2003-11-28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1915A (ja) * 2014-08-18 2016-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740A (ko)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3439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31115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663345B1 (ko) 내연 피스톤 엔진 조립체
US20050051128A1 (en) Piston structure for reducing friction losses
KR100552153B1 (ko) 엔진 연소실의 텀블 강화 구조
US6234134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integral anti-polishing ring
JP4558090B1 (ja) 茸弁の傘部の底面を覆う部品を持つピストン式エンジン
KR20090064171A (ko)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용 피스톤 헤드
CA1285837C (en) Steam purge of a piston/cylinder gap in a diesel engine
US11795868B2 (en) Diesel engine piston and diesel engine
GB2546313A (en) Turbulator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946484B1 (ko)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용 피스톤 헤드
JP6526456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3074346A (ja) ピストン冷却装置
US2672852A (en) Combustion chamber for four cycle diesel engines
JP7310175B2 (ja) エンジン
JP4609708B2 (ja) 火花点火式直噴エンジン
RU2229029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0131128Y1 (ko) 실린더의 연소실 형상구조
KR100626932B1 (ko) 2사이클 디젤엔진용 피스톤
KR19980025758U (ko) 엔진의 피스톤구조
KR20030021474A (ko) 자동차용 피스톤의 압축링
KR100373249B1 (ko) 실린더라이너상부에부연소실을형성한차량용디젤엔진
KR200290924Y1 (ko) 배출에너지를 재활용하는 엔진
KR101047794B1 (ko) 블로바이 저감용 피스톤 및 탑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