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903B1 -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 Google Patents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903B1
KR100551903B1 KR1020030077384A KR20030077384A KR100551903B1 KR 100551903 B1 KR100551903 B1 KR 100551903B1 KR 1020030077384 A KR1020030077384 A KR 1020030077384A KR 20030077384 A KR20030077384 A KR 20030077384A KR 100551903 B1 KR100551903 B1 KR 10055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ing
release paper
adhesive means
leaflet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672A (ko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102003007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9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2Forms or constructions associated with a leaf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어발식 광고전단지에 관한 것으로, 광고전단지의 광고부 이면에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점착제와 같은 내열성 접착수단을 형성하고, 접착수단의 표면에 이형지를 분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전화번호부 이면에 이형지를 분리가능하게 점착시켜 스티커형 광고전단지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수단없이 광고위치에 간편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3041439020-pat00001
광고전단지, 절취선, 접착수단, 이형지, 이형제, 광고부, 전화번호부

Description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Leaflet for advertisement with adhesion means}
도 1 : 종래 광고전단지의 사용 상태 정면도.
도 2 : 본 발명 광고전단지의 정면도.
도 3 : 본 발명 광고전단지의 이형지가 완전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서 이형지를 분리시키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5 : 본 발명 광고전단지의 부분 단면도.
도 6 ~ 도 8 : 본 발명 도 3의 다른 실시 예 사시도.
도 9 : 본 발명 광고전단지의 또 다른 실시 예 이면도.
도 10 : 본 발명 도 9에서 이형지를 분리시키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도 4의 다른 실시 예 사시도.
도 12 : 본 발명 도 3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13 : 본 발명 도 2의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14a)--광고전단지 (16)--광고부
(16a)--광고부 이면 (18)--절취선
(20)(25c)--절개선 (22)--전화번호부
(22a)(26)(34)--이형제 (24)(28)(30)(38)--접착수단
(25)(32)(36)--이형지 (25a)--공간부
(25b)--분리부 (25d)--손잡이
본 발명은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고전단지의 광고부 이면에 접착테이프(또는 양면접착제) 또는 점착제와 같은 내열성 접착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수단 표면에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게 점착하고, 전화번호부의 이면에 분리 가능한 이형지를 점착시켜 별도의 접착수단없이 광고위치에 간편히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어발식 광고전단지(2)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전단지 전면 상단에 광고문양(문자나 숫자 및 도형 등의 광고내용)을 프린트 또는 인쇄할 수 있는 광고부(4)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6)과 절개선(8)이 구비되고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프린트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10)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광고전단지(2)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광고문양과 전화번호를 편집한 다음 프린터로 바로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도 원하는 광고물을 신속히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많이 애용되고 있는 광고수단의 하나이다.
상기 광고전단지(2)는 프린트가 완료되면 복수의 접착수단(12)을 이용하여 행인의 왕래가 많고 전화번호부(10)의 절취가 쉬운 광고위치(게시판이나 벽면 또는 전주면 등 광고전단지가 부착되는 면이나 그 위치)에 부착하는 형태로 광고 및 게시되고 있다.
그리고 접착수단(12)으로는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풀 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불편한 점이 있다. 즉, 복수의 접착수단(12)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부(10)를 행인이 떼어 갈 수 있게 광고부(4)의 모서리 부분을 광고위치에 접착시켜 광고 및 게시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부위 및 접착회수가 많아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수단(12)이 접착테이프인 경우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광고부(4)의 복수개소와 광고위치에 각각 접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접착할 때 접착테이프 끼리 서로 달라 붙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 부분에 접착테이프가 달라 붙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접착테이프와 테이프 절단도구 및 풀 등이 사용되므로 보조자가 필요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수단(12)으로 점액상태의 풀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점액성 풀이 작업자의 손이나 광고전단지 등에 묻어 오염될 뿐 아니라 광고부(4) 이면에 여러회에 걸친 풀칠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이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전단지의 이면에 접착수단(또는 점착수단)을 형성한 다음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게 점착함으로써 프린트 후 이형지를 제거하면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도 광고위치에 간편히 접착(부착)시킬 수 있는 광고전단지를 제공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고전단지의 광고부 이면에 내열성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내열성 점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붙여 프린트할 때 발생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접착수단 표면에는 이형지를 점착시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화번호부는 프린트 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면서 프린트 중에는 그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지를 점착하도록 한다.
상기 접착수단은 광고부 이면에 전체적으로 형성하거나 광고부 이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며, 광고부 이면에 전체적으로 형성하면 보다 견고한 접착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부 이면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하는 경우 점착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접착수단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형지의 모서리 부분에 분리부 또는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점착 상태의 전단지와 이형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광고전단지를 편집, 교정 및 프린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광고문양과 복수의 전화번호를 제위치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프린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 광고전단지(14)의 정면도이고, 도 3은 광고전단지(14)의 이면에 점착되는 이형지(25)를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광고전단지(14)는 도 2와 같이 전단지 전면 상단에 광고문(문자나 숫자 및 도형 등의 광고문양)을 프린트(또는 인쇄)할 수 있는 광고부(16)가 형성(위치)되고, 그 하단에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18)과 절개선(20)이 구비되고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프린트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22)가 형성되어 필요한 사람이 절취해 갈 수 있게 구성된 것은 종래 광고전단지(2)와 동일하거나 동일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 광고전단지(14)의 이면은 접착수단(양면접착테이프, 점착제 등)과 이형지(25)가 부가되는 구성이므로 종래 광고전단지(2)와는 크게 다른 양상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로 도시한 본 발명 광고전단지(14) 도면으로, 광고부(16)의 이면 가장자리 부분(16a)에 내열성이 우수한 양면접착제 또는 내열성 점착제와 같은 접착수단(24)이 도포 또는 접착 형성되고, 전화번호부(22)의 이면에는 실리콘이나 비닐 등과 같은 이형제(또는 이형제층 : 22a)가 적정두께로 도포 또는 코팅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착수단(24)으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형지(25)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접착수단(24) 부분에 점착되는 이형제(26)가 도포 및 형성되고, 이형지(25)의 하부 표면에는 상기 이형제(22a)가 점착되는 접착수단(28)이 형성된다. 따라서, 광고전단지(14)의 이면에 상기 이형지(25)를 점착하면 이형제(26) 부분은 접착수단(24)에 점착되고, 전화번호부(22)는 이형제(22a)부분은 접착수단(28)에 점착된다.
상기 전화번호부(22)는 절취할 수 있게 복수 개로 절개된 상태이지만 상기와 같이 이형지(25)에 점착되어 있어서 프린트 할 때 그 유동이나 위치이탈이 방지되며, 이에 따른 프린트 불량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프린터를 이용하여 광고부(16)와 전화번호부(22)에 광고문양과 전화번호를 프린트(또는 인쇄)할 때, 헤드가 X-Y축으로 이동하면서 프린트하는 잉크젯프린터의 경우, 도 5에서 처럼 전화번호부(22)의 이면의 이형제(22a)가 이형지(25) 하부의 접착수단(28)에 점착되어 있어야 하지만, 드럼을 사용하는 레이저 프린터 또는 인쇄기의 경우, 전화번호부(22)의 이면의 이형제(22a)에 이형지(25) 하부의 접착수단(28)이 반드시 점착될 필요는 없다.
예컨데, 도 6과 같이 이형지(25) 하부에 형성된 접착수단(28)을 제거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전화번호부(22)의 이면의 이형제(22a)와 대응하는 이형지(25)의 하부가 생략된 구성으로 제작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접착수단(24)의 하나인 양면 접착테이프의 경우, 광고부(16) 이면에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수단없이 광고위치에 간편히 접착할 수 있으며, 양면 접착테이프의 표면에는 이형지(25)의 이형제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다.
그리고 점착제의 경우, 광고부(16)의 이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이형제 또는 이형제층)을 형성함으로써 광고위치에 접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점착제의 표면에는 이형지(25)의 점착층이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다.
본 발명 접착수단(24)은 설명의 편의상 일 예로 든 것이며, 10㎛ ~ 2㎜ 두께가 바람직하며,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면서 전단지와 이형지(25)의 물성이나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광고전단지(14)가 광고위치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 정도의 접착력이 유지되는 여타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착수단(24)의 내열성 정도는 전단지 및 이형지(25)의 내열성 이상이면 바람직하지만, 프린트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주로 레이저 프린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의 내열성이면 만족하며, 화학적 성질변화 또는 물성변화가 방지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열발생이 거의 없는 잉크젯프린터로 프린트하는 경우 접착수단(24)의 내열성은 이 보다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종 프린터 또는 인쇄기를 이용하여 광고문을 인쇄할 수 있게되며, 프린트 또는 인쇄된 광고전단지(14)(14a)는 이형지(25)(32)(36)를 제거하면 광고전단지(14)(14a)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수단(24)(28)(30)(38)이 바로 노출되므로 광고위치에 바로 부착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이형지(25)는 도 7, 도 8과 같이 광고부(16)의 이면 또는 도 3, 도 4, 도 6과 같이 전단지 이면 전체에 점착될 수 있으며, 도 11, 도 12와 같이 점착되지 않는 가운데 부분에 공간부(25a)를 형성하면 재료비와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고부 이면(16a)에 형성되는 접착수단(24)은 도 3, 도 4, 도 7, 도 11, 도 12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에만 빙둘러 형성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광고부 이면(16a) 전체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착수단(24)이 광고부 이면(16a) 가장자리 부분에만 빙둘러 형성되는 경우, 이형지(25)의 표면에 도포되는 이형제(26) 역시 도 7과 같이 접착수단(24)이 도포된 부분과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같거나 조금 더 큰 폭으로 도포 및 형성하거나 도 11, 도 12와 같이 공간부(25a)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면 이형제(26)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물론 도 3, 도 4, 도 5, 도 8과 같이 이형지(25)의 전체 표면에 이형제(26)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이형지(25)의 모서리 부분에 1개 또는 1개 이상의 손잡이 및 분리부를 형성하여 전단지와 이형지(25)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도 11과 같이 이형지(25)의 모서리 부분에 절개선(25c)을 형성하여 분리부(25b)를 구성함으로써 이형지(25)의 분리가 보다 쉬워진다.
상기 절개선(25c)은 절반이나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절개선(25c)을 전체적으로 형성한 경우, 도 11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분리부(25b)를 젖히면, 절개선(25c)에 의해 분리부(25b)가 이형지(25) 본지(本紙)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부(25b)가 분리된 이형지(25) 부분에 손가락이나 손톱을 이용하여 이형지(25)를 일으켜 세워 전단지와 이형지(25) 사이에 틈을 형성한 다음 이형지(25)를 분리하면 전단지와 이형지(25)가 쉽게 분리된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절개선(25c)이 절반 정도 형성된 경우, 분리부(25b)가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하므로 이형지(25)의 분리가 보다 쉽게 달성된다.
그리고, 이형지(25)가 제거되면 광고부(16) 이면으로 접착수단(24)이 노출되며, 노출된 상기 접착수단(24)을 이용하여 광고위치에 간편히 접착하면 광고전단지(14)(14a)의 광고 및 게시가 달성된다.
상기 분리부(25b)는 모서리의 가운데 부분에 물론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리부(25b)를 전단지 바깥으로 돌출시킬 수도 있으나, 여러장의 광고전단지(14)를 연속적으로 프린트할 때 정열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분리부(25b)가 전단지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프린트 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분리부(25b)를 전단지 바깥으로 돌출시킬 수도 있다. 즉, 도 12와 같이 이형지(25)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ㆍ하부 모서리 부분 양측에 손잡이(25d)를 형성하여 이형지(25)의 분리가 쉽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5d)는 도 12와 같이 이형지(25)의 양측이나, 또는 도 13과 같이 이형지(25)의 상부 전체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광고전단지(14)가 프린터 내에서 좌우 정열이 유지되어 프린트 불량이 방지된다.
상기 손잡이(25d)는 이형지(25)에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물론, 전단지의 상부 양측이나 전단지의 상부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 손잡이(25d) 부분 이면에 접착수단을 형성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도 8,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광고전단지(14a) 도면으로, 광고부(16)의 이면 가장자리 부분(16a)에 소정폭과 소정길이의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접착수단(30)이 도포되고, 접착수단(30)의 표면에 이형지(32)의 이형제(34)가 각각 점착된다.
그리고, 전화번호부(22)의 이면에는 실리콘이나 비닐 등과 같은 이형제(22a)가 적정두께로 도포되고, 도 7과 같이 절취선(18)의 상부면에는 접착수단(30)이 형성되고, 전화번호부(22)의 이면에 점착되는 또 다른 이형지(36)는 상기 접착수단(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형제(34)가 형성되고, 상기 이형제(22a)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접착수단(38)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린트 시에는 복수로 절개된 전화번호부(22)의 위치 이탈이 방지되고, 광고위치에 점착할 때에는 광고전단지의 이면을 간편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게된다.
그리고, 광고위치에 부착된 광고전단지(14)(14a)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광고전단지(2)를 부착할 때 처럼 별도의 접착수단(12)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성이 간편하고, 접착수단(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미관저하가 방지된다.
이와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발명은 프린트가 완료된 광고전단지(14)(14a)의 이형지(25)(32)를 제거하면 나타나는 접착수단(24)(28)(30)(38)을 이용하여 광고위치에 바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간편하며, 종래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12)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접착수단(12)이 광고전단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접착수단(24)(28)(30)(38)은 내열성이므로 특히 레이저 프린터로 프린트할 때 발생되는 고열에 충분히 견딜 뿐 아니라 물성이나 화학적 성질이 변하지 않게된다.
본 발명의 광고전단지(14)(14a)는 규격화할 수 있으며, 특히, 전화번호부(22)의 경우 복수의 절개부(20)에 의해 그 개수와 프린트할 수 있는 폭과 길이가 이미 결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광고전단지 제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광고문양이나 전화번호등을 취향에 맞춰 편집, 교정 및 프린트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광고전단지의 이면에 접착수단과 이형지를 접합 및 점착시켜 구성함으로써 광고위치에 간편히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광고전단지는 이면에 점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면 나타나는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광고위치에 바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간편하며, 종래처럼 접착수단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접착수단이 광고전단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화번호부의 경우 별도의 절개나 절취를 할 필요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광고전단지 편집, 교정 및 프린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제위치에 정확히 그리고 간편하게 프린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착테이프 끼리 달라 붙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 부분에 접착테이프가 달라 붙는 등의 문제점이 없으며, 별도의 접착테이프와 테이프 절단도구 및 풀 등이 불필요하므로 혼자서도 광고위치에 간편히 접착(부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표면 상부 영역에 광고부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 절취선과 절개선을 갖는 복수의 전화번호부가 형성된 광고전단지에 있어서 ;
    프린터로 광고문 프린트 가능한 광고부(16)의 이면(16a)에 내열성 우수한 접착수단(24)을 도포하고, 프린터로 전화번호 프린트 가능한 전화번호부(22)의 이면에는 이형제(22a)를 도포하여 구성하고, 광고부(16)의 이면(16a)과 대응하는 이형지(25)의 상부에는 이형제(26)를 도포하고, 전화번호부(22)의 이면 이형제(22a)에 대응하는 이형지(25)의 하부에는 내열성 우수한 접착수단(28)을 도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이형지(25)에는 분리부를 더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0077384A 2003-11-03 2003-11-03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KR10055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84A KR100551903B1 (ko) 2003-11-03 2003-11-03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84A KR100551903B1 (ko) 2003-11-03 2003-11-03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672A KR20030089672A (ko) 2003-11-22
KR100551903B1 true KR100551903B1 (ko) 2006-02-16

Family

ID=3238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84A KR100551903B1 (ko) 2003-11-03 2003-11-03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9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672A (ko) 200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951B2 (en) Printing stock for use in printing composite sign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inting such sig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printing stock
US6905747B2 (en) Label and disposition of adhesive and adhesive release
AU670349B2 (en) ID card for printers held by repositional adhesive
AU664110B2 (en) ID card with blow on label
WO2004032023B1 (en) Identification badge construction
WO2003025887B1 (en) Partial fold printable tab product
JP2007193164A (ja) 台紙つきラベル
EP1584996A3 (en) Time indicator assembly
JP3043760B1 (ja) シ―ル型複合ステンシル
KR100551903B1 (ko) 접착수단을 갖는 광고전단지
US5039132A (en) Method and form used for ordering custom printed products
JP3059175U (ja) 印刷で粘着部本体を形成した両面粘着体
JP2603204Y2 (ja) カード送付用台紙
WO2018042917A1 (ja) 返信用葉書付き広告印刷物
US5005871A (en) Form used for ordering custom printed products
JP2005272623A (ja) 用紙
JP4416449B2 (ja) 給与明細書印刷用紙及び受領書の管理方法
KR200247226Y1 (ko) 컴퓨터용 인쇄용지
JP3123335U (ja) 用紙
HK1091021A1 (en) Adhesive label and booklet blanks
JP3639879B2 (ja) 配送伝票
JP2005215202A (ja) 台紙なしラベル連続体。
JP5463606B2 (ja) インデックスラベル及びインデックスラベルシート
JP3050821U (ja) 透明フィルムラベルシート
JP3080012U (ja) 分離型付箋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