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751B1 - 소형차량 - Google Patents

소형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751B1
KR100551751B1 KR1020030083017A KR20030083017A KR100551751B1 KR 100551751 B1 KR100551751 B1 KR 100551751B1 KR 1020030083017 A KR1020030083017 A KR 1020030083017A KR 20030083017 A KR20030083017 A KR 20030083017A KR 100551751 B1 KR100551751 B1 KR 10055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engine
fuel
control unit
crank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303A (ko
Inventor
스즈키쇼스케
이케다겐이치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7/00Arrangements of fuel supply lines, taps, or the like, on motor 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후륜의 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크랭크케이스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과, 엔진의 출력을 변속하여 후륜으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의 후부에 후륜이 축받이 되고, 변속기에 부착되는 에어 클리너가, 흡기 통로를 갖는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축에 스로틀 밸브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스로틀 바디 장치를 통해,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연결되는 소형차량에 있어서, 제어 유닛에 미치는 진동을 저감함과 동시에 그 진동 저감을 도모하는 부재에 부가되는 부하를 경감한다.
실린더 헤드(30)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28)를 개재시킨 바디에 엔진(E)의 운전제어용의 제어 유닛이 조립되는 스로틀 바디 장치(27)가,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의 차체 프레임(11)으로의 요동 지지점(SP)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소형차량{MOTORCYCLE}
도 1은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2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3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스로틀 바디 장치를 도 4의 5화살표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스로틀 바디 장치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7은 연료 호스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8은 연료분사밸브의 흡기관으로의 부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9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차체 프레임 22 : 크랭크케이스
25 : 에어 클리너 27 : 스로틀 바디 장치
28 : 탄성 부재로서의 탄성 연결통
30 : 실린더 헤드 35 : 흡기 통로
36 : 바디 37 : 밸브 축
38 : 스로틀 밸브 39 : 스로틀 드럼
41 : 스로틀 케이블 42 : 제어 유닛
43 : 제어 박스 43a : 제어 박스의 밑바닥부
63 : 셀 모터 51 : 도선
E : 엔진 M : 변속기
P : 파워 유닛 SP : 요동 지지점
WR : 후륜
본 발명은 자동이륜차나 자동삼륜차 등의 소형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후륜의 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크랭크케이스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과, 이 엔진의 출력을 변속하여 후륜으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로 구성된 파워 유닛의 후부에 상기 후륜이 축받이 되고, 상기 변속기에 부착되는 에어 클리너가, 흡기 통로를 갖는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축에 스로틀 밸브가 고정되어 이루어진 스로틀 바디 장치를 통하여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연결되는 소형차량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후륜의 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크랭크케이스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과, 이 엔진의 출력을 변속하여 후륜으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의 후부에 상기 후륜이 축받이 되고, 상기 변속기에 부착되는 에어 클리너가 스로틀 바디 장치를 통해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연결되는 자동이륜차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2001-138975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러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는, 엔진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제어 유닛은 스로틀 바디 장치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스로틀 바디 장치로 검출되는 스로틀 개도 및 흡기 부압(負壓) 등을 제어 유닛까지 이끌기 위한 배선이 필요해지고,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배선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번잡한 배치설계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스로틀 바디 장치에 제어 유닛을 조립함으로써, 스로틀 개도 및 흡기 부압 등의 검출치를 제어 유닛까지 이끌기 위한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도 이미 실현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11-294216호 공보 참조).
그런데, 파워 유닛에 있어서의 엔진의 크랭크케이스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이륜차 등의 소형차량에서는, 스로틀 바디 장치에 제어 유닛을 조립하면, 엔진으로부터 제어 유닛에 미치는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수단이 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스로틀 바디 장치가 파워 유닛과 함께 상하로 요동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 저감수단에 부가되는 부하가 커지기 마련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유닛에 미치는 진동을 저감함과 동시에 그 진동 저감을 도모하는 부재에 부가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 소형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후륜의 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크랭크케이스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과, 이 엔진의 출력을 변속하여 후륜으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의 후부에 상기 후륜이 축받이 되고, 상기 변속기에 부착된 에어 클리너가, 흡기 통로를 갖는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축에 스로틀 밸브가 고정되어 이루어진 스로틀 바디 장치를 통해,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연결되는 소형차량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킨 상기 바디에 엔진 운전제어용 제어 유닛이 조립되는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가,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상부의 차체 프레임으로의 요동 지지점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로틀 바디 장치의 바디 및 실린더 헤드사이에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엔진으로부터 스로틀 바디 장치에 작용하는 진동을 탄성 부재로 흡수함으로써, 스로틀 바디 장치에 조립된 제어 유닛에 미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더욱이 크랭크케이스 상부를 차체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사용하는 요동 지지점의 전방에 스로틀 바디 장치가 배치되므로, 실린더 헤드 및 스로틀 바디 장치 사이를 매우 짧게 하여 스로틀 바디 장치 및 실린더 헤드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부재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한 상기 밸브 축의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바깥쪽에 제어 유닛이 배치되고, 이 제어 유닛을 수용하여 상기 바디에 부착되는 제어 박스의 밑바닥부가 상기 엔진에 윗쪽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 박스의 용적을 매우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어 박스의 밑바닥부를 평탄하게 함으로써 편리함이 향상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요동 지지점보다 후방에서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상부에 셀 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요동 지지점보다 후방에서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상부에 셀 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 유닛 및 셀 모터를 소형차량의 접지노면으로부터 비교적 멀리하여, 노면으로부터 물이 튀어 오르는 것에 의한 악영향이 상기 제어 유닛 및 셀 모터에 최대한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 유닛 및 셀 모터를 요동 지지점의 전후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셀 모터로부터의 노이즈가 제어 유닛에 최대한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제어 유닛과 반대측에서 상기 밸브 축으로 고정되는 스로틀 드럼에 권취되어 연결되는 스로틀 케이블과,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도선이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로틀 케이블 및 도선 중, 어느 하나의 유지 보수시에, 스로틀 케이블 및 도선의 한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여, 스로틀 케이블 및 도선의 유지 보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차체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2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도 2의 3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스로틀 바디 장치를 도 4의 5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6은 스로틀 바디 장치의 횡단 평면도, 도 7은 연료 호스의 일부절결 측면도, 도 8은 연료분사밸브의 흡기관으로의 부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9는 도 8의 9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소형차량인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11)은 전륜(WF)을 축받이 한 프론트 포크(12)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3)로부터 후방 하부로 연장되는 다운 튜브(14)와, 이 다운 튜브(14)의 상부로부터 이 다운 튜브(14) 보다 완만한 경사각도로 후방 하부로 연장되는 상측 튜브(15)와, 상측 튜브(15)의 후단부에 전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후방 상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후단이 서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튜브(16, 16)와, 상기 다운 튜브(14)의 하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후단이 상기 양자의 리어 튜브(16, 16)의 중간부에 연결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튜브(17, 17)를 구비하며, 양자의 하측 튜브(17, 17)는, 측면에서 보면 윗쪽으로 개방된 거의 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11)의 전후방향 중간부에는, 실린더 축선을 전방 상부로 경사시켜 후륜(WR)의 전방에 배치되는 단기통의 엔진(E)과, 이 엔진(E)의 출력을 무단변속하여 후륜(WR)에 전달하기 위한 무단변속기(M)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P)의 앞 부분이 상하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후륜(WR)은 파워 유닛(P)의 후부에 축받이 되어, 차체 프레임(11)의 후단부 및 상기 파워 유닛(P) 사이에 리액션 유닛(20)이 설치된다.
도 3을 더불어 참조하면, 상기 양자의 리어 튜브(16, 16) 및 상기 하측 튜브(17, 17)의 연결 설치부에는 상부 브래킷(21···)이 각각 고정된다. 한편, 엔진(E)에서의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브래킷(23···)이 고정되어 있고, 상부 브래킷(21···)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엔진 행거(24)의 요동 지지점(SP)에서 상기 양자의 하부 브래킷(23···)이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파워 유닛(P)의 앞 부분인 엔진(E)에서의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11)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를 더불어 참조하면, 후륜(WR)의 좌측에서 무단변속기(M)의 윗쪽으로는, 이 무단변속기(M)에 지지되는 에어 클리너(25)가 배치되어 있고, 이 에어 클리너(25)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연결관(26)을 통해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연결되며, 이 스로틀 바디 장치(27)는, 거의 U자 형상으로 만곡된 흡기관(29)의 상류 단에 탄성 부재로서의 고무제의 탄성 연결통(28)을 통해 연결되고, 흡기관(29)의 하류 단은, 엔진(E)의 좌우방향을 따른 거의 중심위치에서 실린더 헤드(30)에 형성된 흡기 포트(31)에 통하도록 하여 이 실린더 헤드(30)에 연결된다.
또한, 흡기관(29)의 상부에는 흡기 포트(31)를 향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밸브(32)의 하부가 끼워맞춤되어 있고, 연료분사밸브(32)에 통하도록 하여 상기 흡기관(29)에 체결되는 연료 조인트(33)와, 상기 흡기관(29)과의 사이에 연료분사밸브(32)가 끼워진다.
도 5 및 도 6에서, 스로틀 바디 장치(27)는, 상기 엔진(E)에서의 실린더 헤드(30)의 흡기 포트(31)에 연속되는 흡기 통로(35)를 갖는 바디(36)와, 거의 수평인 축선을 가지며 상기 흡기 통로(35)를 횡단하도록 하여 상기 바디(36)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축(37)과, 흡기 통로(35)를 유통하는 흡기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흡기 통로(35) 내에서 밸브 축(37)에 고정되는 버터플라이(butterfly)형의 스로틀 밸브(38)와, 상기 바디(36)의 바깥쪽으로 밸브 축(37)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스로틀 드럼(39)을 구비한다.
스로틀 드럼(39)은 자동이륜차의 진행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로 바디(36)의 오른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스로틀 드럼(39) 및 바디(36) 사이에는, 상기 스로틀 밸브(38)를 닫힘 측으로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40)이 설치되고, 스로틀 드럼(39)에 권취되어 연결되는 스로틀 케이블(41)을 자동이륜차의 탑승자가 상기 복귀 스프링(4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견인조작함으로써, 스로틀 밸브(38)가 열림 측으로 회동 구동된다.
상기 바디(36)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드럼(39)과는 반대측 즉, 좌측에는 연료분사밸브(32)의 연료분사량 및 점화시기 등의 엔진(E)의 운전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유닛(42)을 수용하는 제어 박스(43)가 부착된다.
제어 박스(43)는 박스 본체(44)와, 이 박스 본체(44)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박스 본체(44)와 함께 체결되는 것에 의해 바디(36)에 체결되는 커버(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유닛(42)은 제어 박스(43) 내에 수용, 고정되는 회로기판(46)상에 도시하지 않은 전자회로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기판(46)에는, 스로틀 밸브(38)의 개도를 검출하도록 하여 밸브 축(37)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로틀 센서(47)가 연결됨과 동시에, 스로틀 밸브(38) 보다 상류측에서 흡기 통로(35) 내의 흡기온을 검출하는 흡기온 센서(48)가 연결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로틀 밸브(38) 보다 하류측에서의 흡기 통로(35) 내의 부압을 흡기압으로서 검출하는 흡기압 센서도 상기 회로기판(4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박스(43) 중, 박스 본체(44)의 상부에는 바디(36)의 상부를 넘어 스로틀 드럼(39)측에 임하는 커플러부(4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닛(42)에 연결되어야 하는 다수의 도선(51 ‥)에 연속되는 외부 커플러(50)가, 스로틀 드럼(39)측으로부터의 착탈을 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부(49)에 부착된다. 그래서 각 도선(51···)은 하네스(52)로 모여지고, 이 하네스(52)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부(49)에 부착된 외부 커플러(50)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오른쪽으로 거의 U 자 형상으로 반전한다.
상기 바디(36)에는, 외부 커플러(50)에 연속해 있는 도선(51···) 및 스로틀 드럼(39) 사이에 개재하는 칸막이 판부(53a)를 갖는 가드 부재(53)가 부착된다. 상기 칸막이 판부(53a)는, 상기 커플러부(49)에 대한 외부 커플러(50)의 부착방향을 따라 판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 칸막이 판부(53a)에는, 스로틀 드럼(39)으로의 스로틀 케이블(41)의 권취되는 상황을 윗쪽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엿볼 수 있는 창(54)이 설치된다.
그런데, 스로틀 케이블(41)은, 아우터 케이블(55)과, 이 아우터 케이블(55)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통과되는 인너 케이블(56)로 이루어지며, 아우터 케이블(55)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된 인너 케이블(56)의 일단부가 스로틀 드럼(39)에 권취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아우터 케이블(55)의 일단부를 위치 결정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53b)가, 상기 가드 부재(53)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부(53b)에는 노치(64)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에 수나사(57)를 갖는 지지통(58)이 노치(64)에 삽입통과되어, 케이블 지지부(53b)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수나사(57)에 나사결합하는 한 쌍의 너트(59, 60)를 조이는 것으로 지지통(58)이 케이블 지지부(53b)에 고정된다. 이 지지통(58)의 외측 단부에 아우터 케이블(55)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아우터 케이블(55)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지통(58)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한 인너 케이블(56)의 일단부가 스로틀 드럼(39)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스로틀 케이블(41)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53b)로부터 전방 상부로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스로틀 케이블(41)과, 상기 제어 유닛(42)에 연결되는 도선(51···)이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상기 가드 부재(53)는, 위치 결정 핀(61)에 의해 스로틀 바디 장치(27)의 바디(36)에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단일의 나사 부재(62)에 의해 상기 바디(36)에 체결된다. 더구나 나사 부재(62)는, 스로틀 케이블(41)중, 케이블 지지부(53b) 및 스로틀 드럼(39)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에 관하여 상기 칸막이 판부(53a)와는 반대측으로 가드 부재(53)를 바디(36)에 체결하는 위치로 배치되고, 위치 결정 핀(61)은, 나사 부재(62) 및 스로틀 드럼(39) 사이에서 바디(36) 및 가드 부재(53)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 핀(61) 및 나사 부재(62)의 배치에 의하면, 외부 커플러(50)의 커플러부(49)로의 착탈조작시에 칸막이 판부(53a)에 작용하는 외력, 및 스로틀 케이블(41)의 아우터 케이블(55)로부터 케이블 지지부(53b)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가드 부재(53)에 미치는 힘의 방향은, 나사 부재(62)의 축선 주위에 도 4의 시계방향 즉, 나사 부재(62)의 조임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 핀(61)과 바디(36) 또는 가드 부재(53)와의 사이에 다소의 흔들거림이 있어도, 나사 부재(62)가 느슨해지지 않고, 최소 개수인 단일의 나사 부재(62)로 느슨해짐을 방지하면서 가드 부재(53)를 바디(36)에 체결할 수가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스로틀 바디 장치(27)는 파워 유닛(P)의 엔진(E)에서의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를 차체 프레임(11)에 요동 지지하는 요동 지지점(SP)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에는, 상기 요동 지지점(SP) 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셀 모터(63, cell motor)(도 3 참조)가 배치된다. 또한 스로틀 바디 장치(27)에서의 제어 박스(43)의 밑바닥부(43a)는, 엔진(E)에 윗쪽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거의 평탄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서, 다운 튜브(14), 상측 튜브(15) 및 양자의 하측 튜브(17, 17)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연료 탱크(68)가 탑재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11), 파워 유닛(P)의 일부 및 연료 탱크(68)는,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69)로 덮여지는 것으로, 이 차체 커버(69)는,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을 덮는 프론트 커버(70)와, 이 프론트 커버(70)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71···)와, 레그 실드(71···)의 하단에 각각 연속해 있는 좌우 한 쌍의 스텝 플로어(72···)와, 양 스텝 플로어(72···) 사이에서 윗쪽으로 융기하여 연료 탱크(68)를 덮는 스텝 플로어 터널부(73)와, 상기 양 스텝 플로어(7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직하되는 스커트부(74···)와, 스커트부(74···), 스텝 플로어(72···) 및 스텝 플로어 터널부(73)에 연속해 있어 차체 프레임(11)의 후부를 덮는 리어 커버(75)로 이루어진다.
리어 커버(75) 상에는, 상기 양 리어 튜브(16, 16)로 지지되도록 하여 탠덤(tandem)형의 시트(76)가 배치된다.
연료 탱크(68)에는, 스트레이너(77)와, 이 스트레이너(77)를 통해 연료 탱크(68) 내의 연료를 빨아올리는 연료 펌프(78)가 내장되어 있고, 이 연료 펌프(78)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료 호스(79)의 타단이, 상기 연료 조인트(33)를 통해 상기 연료분사밸브(3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료 펌프(78)가, 엔진(E)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서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68)에 내장되어, 파워 유닛(P)에 연료 펌프(78)가 부착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파워 유닛(P)의 소형화 및 파워 유닛(P)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차체 프레임(11)에는, 연료 호스(79)의 중간부를 파지하는 제1 클램프(80)가 고정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튜브(16, 16) 중, 자동이륜차의 진행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로 좌측에 위치하는 리어 튜브(16)의 앞 부분에 형성된 지지판(81)에 제1 클램프(80)가 체결된다. 더구나 연료분사밸브(32) 및 제1 클램프(80) 사이에서 연료 호스(79)는 차체 프레임(11)의 오른쪽으로 만곡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연료 호스(79)의 엔진(E) 주위의 부분을 파지하는 제2 클램프(82)가 연료 호스 스테이(83)에 체결되는 것으로 엔진(E)측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료 호스(79)의 중간부를 파지하는 제1 클램프(80)가 차체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엔진(E)에 부설되는 연료분사밸브(32) 및 제1 클램프(80) 사이에서 연료 호스(79)가 차체 프레임(11)의 오른쪽으로 만곡하여 배치되는 것에 의해, 파워 유닛(P)이 상하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연료 호스(79) 중, 제1 클램프(80) 및 엔진(E) 사이의 부분이 비틀리게 되어, 파워 유닛(P)의 상하 요동에 의해 연료 호스(79)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비틀림에 대한 연료 호스(79)의 강도는, 굴곡에 대한 강도보다 높기 때문에, 굴곡 변형하는 것에 비해 연료 호스(79)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연료 호스(79)의 엔진(E) 주위 부분을 파지하는 제2 클램프(82)가 엔진(E)측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및 제2 클램프(80, 82) 사이에서 연료 호스(79)가 차체 프레임(11)의 오른쪽으로 만곡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2 클램프(82)에 의해, 차체 프레임(11)의 오른쪽으로의 연료 호스(79)의 만곡배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연료분사밸브(32)로의 연료 호스(79)의 연결부에서 이 연료 호스(79)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연료 호스(79)는, 예를 들면 불소계 고무로 이루어진 내층부(79a)와, 니트릴 고무에 의해 성형되어 상기 내층부(79a)를 덮는 중층부(79b)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중층부(79b)를 덮는 메쉬(mesh)부(79c)와, 히드린 고무로 이루어진 최외층의 외층부(79d)로 이루어진 다층고압형이다. 이 연료 호스(79)의 일단은 연료 펌프(78)에 연결되는 커넥터(84)에 접합되어, 커넥터(84)로의 연료 호스(79)의 접합은 제1 클립(85)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연료 호스(79)의 타단은 연료분사밸브(32)에 연결되는 연료 조인트(33)에 접합되고, 연료 조인트(33)로의 연료 호스(79)의 접합은 제2 클립(86)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연료 호스(79)가 다층고압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연료 호스(79)의 강도가 증대되어, 고압연료를 전달하는 연료 호스(79)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가 있다.
그런데, 연료 호스(79)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진 프로텍터 호스(87)로 덮여지는 것으로, 연료 조인트(33)에 제2 클립(86)으로 연결된 상태의 연료 호스(79)가 그 일단측으로부터 프로텍터 호스(87)에 삽입통과되어, 프로텍터 호스(87)로부터 돌출된 연료 호스(79)의 일단이 제1 클립(85)으로 커넥터(84)에 연결된다.
제1 클램프(80)는 원통부(88)에 부착 판부(89)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원통부(88)에는, 이 원통부(88)의 양단에 접촉하는 플랜지(90a, 90a)를 양단에 갖는 원통 형상의 완충 고무(90)가 이 원통부(88)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그래서, 연료 호스(79)를 피복한 프로텍터 호스(87)가 상기 완충 고무(90)에 삽입통과되는 것으로, 연료 호스(79)가 제1 클램프(80)에 파지되고, 상기 부착 판부(89)에 설치된 삽입통과구멍(91)에, 제1 클램프(80)를 차체 프레임(11)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92)가 삽입통과된다.
제2 클램프(82)는, 상기 제1 클램프(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완충 고무(90) 및 프로텍터 호스(87)를 통해 연료 호스(79)가 제2 클램프(82)로 파지되고, 볼트(93)에 의해 제2 클램프(82)가 연료 호스 스테이(83)에 체결된다.
더구나, 제1 및 제2 클램프(80, 8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체 중심선(BC)의 좌우양측으로 배분되어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클램프(80, 82) 사이의 연료 호스(79) 및 프로텍터 호스(87)는 어느 쪽의 클램프(80, 82)로부터도 차체 프레임(11)의 좌우방향 동일측, 이 실시예에서는 자동이륜차의 진행방향의 전방을 향한 상태로 오른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 클램프(80, 82) 사이의 연료 호스(79)는 차체 프레임(11)의 오른쪽으로 팽창하도록 만곡하여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연료 호스(79)에 있어서 제1 및 제2 클램프(80, 82) 사이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연료 호스(79)에 굴곡 부하가 부가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여, 연료 호스(79)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엔진(E)은, 그 좌우방향의 거의 중심위치 즉, 연료분사밸브(32)의 배치위치가 상기 차체 중심선(BC)으로부터 제1 클램프(80)와 동일측 즉, 좌측으로 옵셋(offset)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배치로 함에 따라, 연료 호스(79)의 요동 길이 확보에 유리하게 된다.
도 8에 있어서, 흡기관(29)은, 스로틀 바디 장치(27)와, 이 스로틀 바디 장치(27)의 아래쪽에 있는 실린더 헤드(30)를 연결하도록 하여 거의 C자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있어서의 바디(36)에 설치된 하류측 연결관부(36a)에 상류단을 긴밀히 끼워맞춤한 탄성 연결통(28)의 하류 단이 상기 흡기관(29)의 상류단에 긴밀히 끼워맞춤되어, 탄성 연결통(28)의 상기 바디(36) 및 흡기관(29)으로의 연결상태가 탄성 연결통(28)을 둘러싸는 제3 클램프(94)의 조임에 의해 유지된다. 즉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있어서의 바디(36)는 탄성 연결통(28) 및 흡기관(29)을 통해 실린더 헤드(30)에 연결된다.
도 9를 더불어 참조하여, 흡기관(29)에는, 실린더 헤드(30)의 흡기 포트(31)를 향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밸브(32)가 부착되고, 이 연료분사밸브(32)의 개폐작동은,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27)의 바디(36)에 부착된 제어 박스(43) 내에 수납, 고정되는 제어 유닛(42)에 의해 제어된다. 그래서, 제어 유닛(42)에 연결된 도선(51···)을 묶는 하네스(52)로부터 분기한 하네스(52a)에 연속해 있는 외부 커플러(95)가 연료분사밸브(32)에 설치되는 커플러부(32a)에 부착된다.
흡기관(29)에는 실린더 헤드(30)측을 향하여 개구한 부착 구멍(96)이 설치되어 있고, 선단을 흡기관(29) 내에 임하도록 하여 연료분사밸브(32)의 선단부가 부착 구멍(96)에 기밀하게 끼워맞춤된다. 또한 연료분사밸브(32)의 머리부분(頭部)에는, 연료 호스(79)가 연결되는 연결관부(33a)를 일체로 구비함과 동시에 이 연결관부(33a)를 상기 연료분사밸브(32) 내로 통하도록 하여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 조인트(33)가 액밀하게 끼워맞춤된다.
더구나, 연료 조인트(33)에는 상기 연료분사밸브(32)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부(32b)를 걸어맞춤시키는 걸림 오목부(97)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 돌기부(32b)를 걸림 오목부(97)에 걸어맞춤하여 연료 조인트(33)를 연료분사밸브(32)의 머리부분에 끼워맞춤하는 것으로, 연결관부(33a)에 대한 연료분사밸브(32)의 둘레방향 위치가 일정하게 정해진다.
상기 연료 호스 스테이(83)는 연료 조인트(33)의 연결관부(33a)에 연결되는 연료 호스(79)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일단부는 복수, 예컨대 한 쌍의 볼트(98, 98)에 의해 함께 체결하여 연료 조인트(33)와 동시에 흡기관(29)에 체결된다. 즉, 부착 구멍(96)에 선단부를 끼워맞춤한 연료분사밸브(32)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여 흡기관(29)에 일체로 돌출설치되는 보스부(29a)와, 상기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일단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여 상기 연료 조인트(33)에는 지지부(33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부(33)에 한 쌍의 금속제의 칼라(99, 99)가 몰드 결합된다. 그래서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일단부 및 상기 양 칼라(99, 99)에 삽입통과되는 볼트(98, 98)가 상기 보스부(29a)에 나사결합되지만, 상기 지지부(33b) 및 보스부(29a) 사이에는, 연료분사밸브(32)의 외주에 설치된 걸어맞춤 홈(100)에 걸어맞춤되어 연료분사밸브(32)의 축방향 위치를 정하는 클립(101)이 끼워진다.
그런데, 상기 지지부(33b)는 연결관부(33a)와는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이고 연료분사밸브(32)의 커플러부(32)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연료 조인트(33)에 일체로 설치된 것이고, 연료 조인트(33)의 흡기관(29)으로의 체결위치를 이와 같게 정하는 것으로써, 연료분사밸브(32)로의 도선 연결부 및 연료 호스(79)의 연결부의 배치 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조인트(33) 및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일단부가 흡기관(29)에 함께 체결되는 것으로서, 연료 조인트(33)의 연결관부(33a)에 대한 연료분사밸브(32)의 둘레방향 위치를 일정하게 정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 헤드(30)의 흡기 포트(31)에 대한 연료분사밸브(32)의 위치를 일정하게 정하도록 하여, 연료분사밸브(32)가 연료 조인트(33) 및 흡기관(29)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양측부 중, 연료분사밸브(32)와는 반대측의 측부에는, 스로틀 바디 장치(27)의 제어 유닛(42)에 연속해 있는 하네스(52)와 엔진(E)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써, 상기 하네스(52)에 엔진(E)으로부터의 방사열에 의한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 차폐벽(83a)이 거의 직각으로 또한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타단부에는, 연료 호스(79)를 지지하는 제2 클램프(82)가 볼트(83)로 체결되어 있고, 연료 호스(79)가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타단부에 지지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연료분사밸브(32)에 연료를 전달하는 연료 호스(79)가 연결되는 연결관부(33a)를 갖는 연료 조인트(33)가, 연결관부(33a)에 대한 연료분사밸브(32)의 둘레방향 위치를 일정하게 정하고 연료분사밸브(32)의 머리부분에 액밀하게 끼워맞춤되고, 흡기 포트(31)에 대한 위치를 일정하게 정하면서 연료분사밸브(32)를 흡기관(29)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연료 조인트(33)가 흡기관(29)에 체결되므로, 연료 조인트(33)의 흡기관(29)으로의 체결에 의해, 흡기 포트(31)에 대한 연료분사밸브의 상대 위치, 및 연료분사밸브(32)에 대한 연료호스(79)의 위치를 일정하게 정하고, 흡기관(29)에 연료분사밸브(32)를 장착할 수 있어, 단기통의 엔진(E)에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의 연료분사밸브(32) 및 연료 호스(79)의 부착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일단부가 한 쌍의 볼트(98, 98)에 의한 연료 조인트(33)와 함께 조여져 흡기관(29)에 체결되고, 연료 호스 스테이(83)의 타단부에 연료 호스(79)가 지지되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회피하면서, 연료 호스(79)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더구나 연료 호스 스테이(83)는 연료 조인트(33)의 연결관부(33a)에 연결되는 연료 호스(79)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연료분사밸브(32)의 커플러부(32a)에 연료 호스(79)가 간섭하지 않도록 연료 호스(79)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커플러부(32a)의 배치 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엔진(E)을 포함하는 파워 유닛(P)의 앞 부분이 상하 요동가능하게 차체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있지만, 차체 프레임(11)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68)에 연료 펌프(78)를 통해 연료 호스(79)가 연결되기 때문에, 파워 유닛(P)과 동시에 연료 호스(79)를 요동시킬 수 있어, 엔진(E)이 요동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11)에 탑재되는 스쿠터형 자동이륜차로의 연료분사밸브(32)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로틀 바디 장치(27)에는, 그 밸브 축(37)의 일단부에 스로틀 드럼(39)이 고정되어 있지만, 스로틀 드럼(39)과는 반대측에서 바디(36)에 부착되는 제어 박스(43)에, 이 제어 박스(43)에 수용되는 제어 유닛(42)에 연결되어야 되는 도선(51···)이, 스로틀 드럼(39)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있고, 도선(51···) 및 스로틀 드럼(39) 사이에 개재시킨 칸막이 판부(53a)를 갖는 가드 부재(53)가 바디(36)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박스(43)에 연결되는 도선(51···)이 스로틀 드럼(39)과 간섭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이 도선(51···)을 바디(36)측에 매우 근접시켜 배선할 수가 있어, 바디(36)의 근방에 배선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바디(36) 근방의 도선(51···)을 포함하는 스로틀 바디 장치(27) 전체를 콤팩트하게 모을 수 있다.
또한 스로틀 케이블(41)에 있어서의 아우터 케이블(55)의 일단부를 위치 결정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53b)가 가드 부재(5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케이블(41) 전용의 지지부재를 특별히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서 부품 수를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 박스(43)에는 도선(51···)에 연속해 있는 외부 커플러(50)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커플러부(49)가 스로틀 드럼(39)측으로 임하여 일체로 설치되고, 가드 부재(53)의 칸막이 판부(53a)가, 커플러부(49)에 대한 외부 커플러(50)의 부착 방향을 따라 판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커플러부(49)에 대한 외부 커플러(50)의 착탈조작시에 칸막이 판부(53a)에서 외부 커플러(50)를 가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 커플러(50)의 착탈조작이 용이해져, 유지보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P)에서의 무단변속기(M)에 지지되는 에어 클리너(25)가, 스로틀 바디 장치(27) 및 흡기관(29)을 통해 엔진(E)의 실린더 헤드(30)에 연결되어 있지만, 스로틀 바디 장치(27)의 바디(36)는 실린더 헤드(30)에 연결된 흡기관(29)에 탄성 연결통(28)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바디(36)에 엔진(E)의 운전 제어용의 제어 유닛(42)이 조립되는 스로틀 바디 장치(27)가, 파워 유닛(P)의 엔진(E)에서의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의 차체 프레임(11)으로의 요동 지지점(SP)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E)으로부터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작용하는 진동을 탄성 연결통(28)으로 흡수하는 것에 의해,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조립된 제어 유닛(42)에 미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더구나 요동 지지점(SP)의 전방에 스로틀 바디 장치(27)가 배치되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30) 및 스로틀 바디 장치(27) 사이를 매우 짧게 하여, 스로틀 바디 장치(27) 및 실린더 헤드(30)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연결통(28)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있어서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한 밸브 축(37)의 단부에 대응하여 바디(36)의 바깥쪽에 제어 유닛(42)이 배치되고, 이 제어 유닛(42)을 수용하여 바디(36)에 부착되는 제어 박스(43)의 밑바닥부(43a)가 엔진(E)의 윗쪽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박스(43)의 용적을 매우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더구나 제어 박스(43)의 밑바닥부(43a)를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써 편리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요동 지지점(SP) 보다 후방에서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에 셀 모터(63)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어 유닛(42) 및 셀 모터(63)를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의 접지노면으로부터 매우 멀리하여, 노면으로부터 물이 튀어 오르는 것에 의한 악영향이 제어 유닛(42) 및 셀 모터(63)에 최대한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제어 유닛(42) 및 셀 모터(63)를 요동 지지점(SP)의 전후양측에 배치하는 것으로써 셀 모터(63)로부터의 노이즈가 제어 유닛(42)에 최대한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42)과는 반대측에서 밸브 축(37)에 고정되는 스로틀 드럼(39)에 권취되어 연결되는 스로틀 케이블(41)과, 제어 유닛(42)에 연결되는 도선(51···)이,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케이블(41) 및 도선(51···)중, 어느 하나의 유지보수시에, 스로틀 케이블(41) 및 도선(51···)의 다른 쪽에 영향이 미치지 못하도록 하여, 스로틀 케이블(41) 및 도선(53···)의 유지보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을, 스쿠터형 자동이륜차 이외의 자동이륜차나, 자동삼륜차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 스로틀 바디 장치에 작용하는 진동을 탄성 부재로 흡수하는 것에 의해, 스로틀 바디 장치에 조립된 제어 유닛에 미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더구나 실린더 헤드 및 스로틀 바디 장치 사이를 매우 짧게 하여, 스로틀 바디 장치 및 실린더 헤드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부재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 박스의 용적을 매우 크게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어 박스의 밑바닥부를 평탄하게 함으로써 편리함이 향상된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노면으로부터 물이 튀어 오르는 것에 의한 악영향이 제어 유닛 및 셀 모터에 최대한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셀 모터로부터의 노이즈가 제어 유닛에 최대한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스로틀 케이블 및 도선 중, 어느 하나의 유지보수시에, 스로틀 케이블 및 도선의 한편에 영향이 미치지 못하도록 하여, 스로틀 케이블 및 도선의 유지보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후륜(WR)의 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가 차체 프레임(11)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E)과, 이 엔진(E)의 출력을 변속하여 후륜(WR)에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M)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P)의 후부에 상기 후륜(WR)이 축받이 되고, 상기 변속기(M)에 지지되는 에어 클리너(25)가, 흡기 통로(35)를 갖는 바디(36)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축(37)에 스로틀 밸브(38)가 고정되어 이루어진 스로틀 바디 장치(27)를 통해 상기 엔진(E)의 실린더 헤드(30)에 연결된 소형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27)와 상기 실린더 헤드(30) 사이에 탄성 부재(28)를 개재시키고 상기 바디(36)에 엔진(E)의 운전제어용의 제어 유닛(42)이 조립되는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27)가, 상기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의 차체 프레임(11)으로의 요동 지지점(SP)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한 상기 밸브 축(37)의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36)의 바깥쪽에 제어 유닛(42)이 배치되고, 이 제어 유닛(42)을 수용하여 상기 바디(36)에 부착되는 제어 박스(43)의 밑바닥부(43a)가 상기 엔진(E)에 윗쪽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점(SP) 보다 후방으로 상기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에 셀 모터(63, cell motor)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점(SP) 보다 후방으로 상기 크랭크케이스(22)의 상부에 셀 모터(6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2)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밸브 축(37)에 고정되는 스로틀 드럼(39)에 권취되어 연결되는 스로틀 케이블(41)과, 상기 제어 유닛(42)에 연결되는 도선(51)이, 상기 스로틀 바디 장치(27)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량.
KR1020030083017A 2002-12-02 2003-11-21 소형차량 KR100551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0346A JP3971693B2 (ja) 2002-12-02 2002-12-02 小型車両
JPJP-P-2002-00350346 2002-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303A KR20040048303A (ko) 2004-06-07
KR100551751B1 true KR100551751B1 (ko) 2006-02-13

Family

ID=3275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017A KR100551751B1 (ko) 2002-12-02 2003-11-21 소형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971693B2 (ko)
KR (1) KR100551751B1 (ko)
CN (1) CN1292955C (ko)
ES (1) ES2284295B1 (ko)
IT (1) ITTO20030902A1 (ko)
TW (1) TWI2412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0684B2 (ja) * 2005-07-29 2010-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三輪車の吸気系構造
JP4785581B2 (ja) * 2006-03-22 2011-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電装品支持構造
JP5004511B2 (ja) * 2006-06-09 2012-08-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018164B2 (ja) * 2007-03-22 2012-09-05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004098B2 (ja) * 2008-05-21 2012-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吸気構造
FR2948428B1 (fr) * 2009-07-21 2011-07-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ilebrequin creux
JP5409558B2 (ja) * 2010-08-31 2014-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制御ユニットにおける防水コネクタの空気抜き構造
WO2021038687A1 (ja) * 2019-08-26 2021-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8817B2 (ja) * 1997-03-25 2004-08-2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H11294216A (ja) * 1998-04-14 1999-10-26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4555413B2 (ja) * 1999-03-02 2010-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ボーン型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JP3765966B2 (ja) * 1999-09-03 2006-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
JP3971549B2 (ja) * 2000-06-09 2007-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4371548B2 (ja) * 2000-07-21 2009-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におけるエンジンの吸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4356A (zh) 2004-06-16
ES2284295B1 (es) 2008-09-16
CN1292955C (zh) 2007-01-03
JP3971693B2 (ja) 2007-09-05
TWI241251B (en) 2005-10-11
KR20040048303A (ko) 2004-06-07
TW200415042A (en) 2004-08-16
ES2284295A1 (es) 2007-11-01
ITTO20030902A1 (it) 2004-06-03
JP2004182050A (ja)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011B1 (ko) 소형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으로의 연료공급구조
US7409824B2 (en) Exhaust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US8459236B2 (en) Fuel supply system for motorcycle
JP5196257B2 (ja) 自動二輪車
US8371270B2 (en) Fuel supply system for motorcycle
KR100551751B1 (ko) 소형차량
JP4540762B2 (ja) 排気2次空気弁を備えた鞍乗型車両
US9211930B2 (en) Fuel supply system for motorcycle
JP4021310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装置
TW200408763A (en) Motorcycle
CN112351935A (zh) 机动二轮车的氧气传感器配置结构
JP5606225B2 (ja) 鞍乗型車両のハーネス配索構造
JP2015160559A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配管配置構造
AU2008200551B2 (en) Vehicle-engine air intake device
WO2011117919A1 (ja) 鞍乗り型車両の吸気系の配置構造
JP5380337B2 (ja) 小型車両におけるスロットルボディへの配線構造
US8302727B2 (en) Exhaust pipe for a vehicle
AU2008200500B2 (en) Fuel supply system for small vehicle
JP4564083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系配置構造
JP501395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電装品配置構造
JP2008247389A5 (ko)
JP6867342B2 (ja) 鞍乗型車両の制御装置配置構造
JP2020033985A (ja) 鞍乗り型車両の蒸発燃料制御装置
EP3957555B1 (en) Saddle-type vehicle
JP5720675B2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