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248B1 -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248B1
KR100551248B1 KR1020050015685A KR20050015685A KR100551248B1 KR 100551248 B1 KR100551248 B1 KR 100551248B1 KR 1020050015685 A KR1020050015685 A KR 1020050015685A KR 20050015685 A KR20050015685 A KR 20050015685A KR 100551248 B1 KR100551248 B1 KR 10055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data
channe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한
제관석
Original Assignee
(주)하나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하나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5001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저울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저울 교정과 영점조절 등의 신호처리에 의한 작업이 일괄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측정된 데이터가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되어 설치공간상의 제약 해소 및 저울 설치시의 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회원사에 저울시스템과, 저울에서 측정된 중량을 연산하여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말기를 설치하고, 단말기를 관리서버에서 유/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운영단말기를 통해 각 회원사의 자재 물량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울시스템은, 자재가 보관 적재되면, 적재된 중량만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다수의 측정부와; 상기 다수의 측정부에서 측정한 신호를 수합하여 증폭하는 신호증폭기,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에서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 증폭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단말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송/수신 상태로 채널을 변환하는 송수신 전환장치를 각각 갖추어서된 측정회로부와; 상기 측정회로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측정회로부에서 처리된 신호의 1문자 길이시간을 발생시켜 측정회로부 및 단 말기의 구동상황이 실시간 감시되도록 한 시간발생부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자저울, 물류관리, 자재관리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scale system and control method having transmission/receiving function of wireless data}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이 적용된 물류관리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전자저울 시스템 중 측정회로부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측정회로부에 의해 중량측정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의 순서도.
도 5는 도 4의 중량측정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 중 A/D채널이 선택되는 과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측정부 20: 측정회로부
21: 신호증폭기 22: A/D컨버터
23: 송수신 전환장치 30: 무선통신모듈
40: 시간발생부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저울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저울 교정과 영점조절 등의 신호처리에 의한 작업이 일괄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측정된 데이터가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되어 설치공간상의 제약 해소 및 저울 설치시의 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온라인(ON-Line)에 의해 다수의 그룹으로 관리되는 전자저울시스템은 특정자재를 요구하는 회사(이하, 수요업체)의 물류를 관리하기 위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저울에서 측정된 중량을 단품의 중량으로 나누어 자재의 개수 및 그 개수에 따른 자재부족량 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저울시스템의 구성은 자재가 얹혀진 상태에서 중량을 측정하는 다수개 1그룹으로 하는 다수그룹의 저울부와, 저울부에서 측정된 중량 및 각 중량에 따른 자재 개수를 산출하는 연산/출력 단말기와, 산출된 자재 개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족분의 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고 각각의 저울부, 단말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업체와 네트워크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수요업체로 자재를 공급하도록 하게 되는데, 여기서, 전자저울시스템은 상기 공급업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되거나 여러 수요업체와 여러 공급업체를 총괄하여 관리대행업을 수행하는 서비스 업체에 의해 운영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저울시스템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9-034942호(1997.02.07, 이하 기 출원발명1)과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6-223091호(1994.08.12, 이하 기 출원발명2)에 제시된 바 있다.
상기된 기 출원발명1은 각각 특정의 자재(의약품)가 수납되는 수납함의 중량을 체크하여 소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재고 검출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여 발주리스트를 작성하고 전화회선을 통해 발주처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재고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된 기 출원발명2는 작업자가 상품 진열 장소에 가지 않아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상품 진열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중량 센서를 통해 상품 중량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재고량을 파악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보충 요구를 행하는 상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기 출원발명1과 기 출원발명2는 모두 중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에 의해 재고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부족한 자재의 신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 출원발명1과 기 출원발명2는 모두 다수개의 전자저울이 요구되고 있음은 주지된 것과 같고, 이들 공보에는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전자저울에는 중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신호를 변환하는 컨버터 등이 수반되어 있다.
상기된 기 출원발명1과 기 출원발명2에 적용되는 전자저울은 측정부, 증폭부, 컨버터 등을 수반하는 측정회로가 각각의 저울에 어셈블리화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상당한 고가의 제품이 되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각각 어셈블리화된 측정회로를 갖는 각각의 저울은 이들의 측정신호를 취합하는 단말기 상에 데이터가 입력될 때, 상호 독립된 신호를 입력하게 되어 비록 단말기는 단일의 것이라 해도 하나의 전자저울과 단말기가 각각 1:1로 대응되기 때문에 결국, 다수의 전자저울이 설치된 경우 다수의 전자저울과 단말기가 다수:1로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어 신호처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저울의 측정치를 교정하거나, 영점조정을 수행할 때에는 각각 독립적인 신호를 송수신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신호처리시간의 지연에 따른 작업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된 전자저울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단말기와 전자저울이 설치된 거리가 먼 고층빌딩 등에서는 케이블의 연장에 따른 데이터 손실에 의해 별도의 중간 단말기를 설치해야 하며, 이로인해 유선의 가설에 따른 과도한 설치비용이 소모되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발생되며, 설치공간상의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써, 측정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자저울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작 단가를 낮추고, 다수의 전자저울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다수의 전자저울과 단말기가 항상 1:1의 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므로써 신호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자저울과 단말기가 무선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되어 공간제약의 해소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저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이 최적화된 상태로 운영되기 위한 전자저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저울시스템과, 상기 저울시스템에 포함되어 저울에서 측정된 중량을 연산하여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말기를 각 회원사에 설치하고, 상기 저울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서버에서 입력받아 운영단말기로 수신하고, 상기 운영단말기를 통해 각 회원사의 자재 물량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울시스템은 자재가 보관 적재되면, 적재된 중량만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다수의 측정부와, 상기 다수의 측정부에서 측정한 신호를 수합하여 증폭하는 신호증폭기, 다방향에서 발생된 신호를 일방향의 신호로 수합하는 병렬식의 연결상태를 갖도록 각각의 측정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채널을 갖도록 구비되며,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에서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 증폭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단말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송/수신 상태로 채널을 변환하는 송수신 전환장치를 각각 갖추어서된 측정회로부로 구성되는 저울장치부와; 상기 측정회로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측정회로부에서 처리된 신호의 1문자 길이시간을 발생시켜 측정회로부 및 단말기의 구동상황이 실시간 감시되도록 한 시간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측정부가 구비되어 각각의 측정부 상에 보관 적재된 자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측정회로부 내에서 처리하여, 이 데이터를 단말기와 통신수행에 의해 송수신하는 전자저울 시스템의 통신과정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통신 인터럽트를 시동하여 통신을 개시하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버퍼에 수신문자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패킷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패킷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수신 플레그의 조건을 확인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후 통신과정을 완료하고, 패킷을 수행할 경우 패킷을 시작한 후 수신버퍼를 클리어 하여 이 후의 송수신과정을 대비하며 통신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킷은 데이터를 묶음의 형태로 형성하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된 명령어에 따라 측정회로부에서의 신호처리 과정이 완료된 다수의 측정 데이터를 수합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정회로부에서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이,
삭제
측정회로부의 입출력 및 변수를 초기화하여 채널을 영(0)으로 하고, 각각의 채널별로 대응되는 측정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각 측정부에서 전송된 중량신호를 처리할 A/D채널을 선택한 후, A/D컨버터를 트리거하는 단계와;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플래그의 조건을 확인하여 단말기 상에서 이미 입력된 명령어에 합당한 플래그의 조건인지를 판단한 후, 합당한 조건이 아닐 경우 동작을 종료하고, 합당한 조건이면 각 측정부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운영단말기에 의해 이미 각각의 측정부에 부여된 구분 아이디 중 자신의 아이디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신의 아이디 인지를 판단하여 자신의 아이디가 아닐 경우 동작을 종료하고, 자신의 아이디일 경우 입력된 명령어를 분석하고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물류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된 물류관리 시스템은 기 출원발명1, 기 출원발명2에서도 제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저울시스템(1)과, 각각의 저울시스템(1)을 제어하는 단말기(2)와, 저울시스템(1)에 의해 측정되고 단말기(2)에 의해 수집된 자재 또는 물류(이하, 자재로 기재)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인터넷(3)(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의미임)과, 인터넷(3)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서버(4)와, 서버(4)를 운영하는 운영단말기(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저울시스템(1)과 단말기(2)는 각 회원사에 설치되고, 관리서버(4)와 운영단말기(5)는 관리사에 설치됨은 주지된 것과 같고, 운영단말기(5)는 자 재 또는 물류를 공급하기 위한 납품업체(6)와 네트워크,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물류시스템은 저울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중량이 단말기를 통해 자재의 수량, 용량 등의 수치로 연산되고 환산되며, 이와 같이 환산된 데이터는 인터넷(3)을 통해 관리서버(4)로 입력되어 운영단말기(5)로 수신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한 운영단말기(5)는 각 회원사의 부족한 자재의 정도를 판단하여 납품업체(6)로 자재발주 오더를 입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납품업체에서는 회원사에서 요구되는 물량의 자재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4)는 각 회원사의 자재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실시간 입력된 자재정보는 항상 데이터 베이스 상에 입력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은 회원사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자재가 보관 적재되어 그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을 측정한 신호를 처리하는 1이상의 저울장치부(1)와, 상기 저울장치부(1)에서 처리되어 입력된 각각의 신호를 관리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한 수치, 그래프, 그림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말기(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2)는 다수의 저울장치부(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혼선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7)를 포함하며, 전술된 것과 같이 물류관 리 시스템에 적용될 때 인터넷(3)을 통한 관리서버(4)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울장치부(1)는 자재가 보관 적재되어 실질적으로 중량을 감지 검출하는 다수의 측정부(10)와, 다수의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가 수합되고 입력되어 단말기(2)에서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측정회로부(20)로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측정회로부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회로부(20)는 신호증폭기(21), A/D컨버터(22), 송수신 전환장치(23), 무선통신모듈(30), 시간발생부(4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신호증폭기(21)는 다수의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신호를 수합하여 증폭하기 위해 구성되며, 상기 A/D컨버터(22)는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2)에서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A/D컨버터(22)는 주지된 것과 같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며, 본 발명에 의한 A/D컨버터(22)는 각각의 측정부(10)가 단순히 로드셀 또는 자재의 중량만을 감지하는 단품형태의 중량감지체로 구비됨으로 인해 이들 각각의 측정부(10)의 개수에 대응되는 채널을 갖는 것으로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채널에 결합되는 각 측정부(10)에는 자신만의 고유한 아 이디를 부여하여 후술될 신호처리 과정에서 측정부(10)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된 기술사안에 의해 측정회로부(20)와 다수의 측정부(10) 연결상태는 다방향에서 발생된 신호를 일방향의 신호로 수합하는 병렬식의 연결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송/수신 전환장치(23)는 무선통신모듈(30)과 연계되어 처리된 신호의 전송상태나 단말기(2)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수신상태를 각각 전환시키도록 한 기능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측정회로부(20)는 신호를 변환하여 처리하고 이를 통신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체적인 회로의 제어는 이미 제시된 PC, PDA 등의 단말기(2)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은 측정회로부(2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2)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구성으로 장치의 호환성이 높고 안정된 통신을 수행하는 RS232-블루투스모듈로 적용하게 되며, 이와 연계되어 상기 A/D컨버터(22)는 상기 무선통신모듈(30)에서 최적화된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RS485-232컨버터로 적용하게 된다.
상기 시간발생부(40)는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단말기(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측정회로부에서 처리된 신호의 1문자(버퍼에 저장되기 위한 데이터의 형태) 길이시간을 발생시켜 측정회로부(20) 및 단말기(2)의 구동상황이 실시간 감시 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간발생부(40)에 의해 단말기(2)에서는 저울시스템의 각 데이터가 처리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오류상황 등을 판단하여 저울시스템(1)을 재부팅하여 상기 저울시스템(1)이 항상 정상구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측정회로부에 의해 중량측정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의 순서도.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처리는 측정회로부(20)의 입출력 및 변수를 초기화하여(S10) 채널을 영(0)으로 하고, 각 측정부(10)에서 전송된 중량신호를 처리할 A/D채널을 선택한 후, A/D컨버터(22)를 트리거한다.(S20)
이 후, 상기 전송된 중량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플래그의 조건을 확인하여 단말기 상에서 이미 입력된 명령어에 합당한 플래그의 조건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30) 상기 조건은 "0"과 "1"로 구분하여, 플래그 값이 "1"일 때 정상적인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조건으로 한다.
상기 플래그의 조건을 판단하여 합당한 조건이 아닐 경우, 즉, 플래그 조건이 "1"이 아닐 경우 동작을 종료하여 새로운 신호처리과정을 준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합당한 조건인 "1"이 될 경우 이미 각각의 측정부(10)에 부여된 구분 아이디 중 자신의 아이디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0)
여기서, 상기 플래그 조건에 의해 신호처리를 유도한 후 플래그는 다음 조건을 입력받아 판단하기 위한 과정으로 플래그를 "0"의 조건으로 변환하게 되며,(S40) 상기 자신의 아이디는 전술된 바 있듯이 단말기(2)와 관리사의 관리서버(4) 를 운영하는 단말기(5)에 의해 미리 부여된 것이며, 각각의 측정부(10)마다 다르게 부여됨은 당연하다.
이 후, 상기 자신의 아이디 인지를 판단하여 자신의 아이디가 아닐 경우, 정상적인 신호처리가 아닌 상황을 인지하여 동작을 종료하고, 자신의 아이디일 경우 입력된 명령어를 분석하고 실행한 후 모든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S60)
도 5는 상기 중량측정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 중 A/D채널이 선택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A/D채널의 선택은 우선, A/D컨버터(22) 상에서 인터럽트를 시동하여 작업을 시작하고 상기 A/D컨버터(22)에 구비된 각각의 채널에 부여된 A/D채널변수를 신호처리가 가능한 A/D변환값으로 일치시킨다.(S21)
이 후, 이전에 신호처리한 채널에 +1의 수치를 가산하여 연산하고, 상기 채널을 가산하며 신호를 처리하게 되며,(S22) 상기 채널의 가산은 각각의 채널별로 대응되는 측정부(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채널 수치를 가산하며 신호를 처리하는 중 채널에 가산된 수치가 설정된 수치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S23) 상기 설정된 수치는 채널의 수와 대응되고 도면 상 "n"으로 표시한다.
상기 판단과정에 의해 현재 작업채널에 가산된 수치가 설정된 수치가 작을 경우 정상적인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설정된 수치와 같아질 경우 채널을 영(0)으로 초기화하게 된다.(S24)
이와 같은 채널의 초기화는 전체의 측정부에 대한 신호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하게 되며, 단말기(2)를 통해 신호처리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된 단계를 재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된 과정에 의해 초기화된 다 채널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 시스템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회로부(20)에 의해 신호처리된 데이터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인터럽트를 시동하여 통신을 개시하고,(S70) 데이터가 저장되는 버퍼에 수신문자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한다.(S71)
이 후, 상기 데이터의 패킷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게 되는데,(S72) 상기 패킷은 데이터를 묶음의 형태로 형성하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패킷을 수행한다는 의미는 일단의 신호처리가 완료된 다수의 측정 데이터를 수합만을 수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상기 판단에 의해 패킷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미 이전에 입력된 측정데이터의 패킷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패킷을 종료한 후,(S73) 수신 플레그의 조건을 확인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S74) 통신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패킷을 수행할 경우 패킷을 시작한 후, 이 후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수신버퍼를 클리어 하고,(S75) 이 후의 송수신과정을 대비하며 통신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측정부를 갖는 저울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제작단가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타사와의 가격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측정부와 단말기의 신호대응형태가 항상 1:1이 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작업성능 향상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측정회로부의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방식이 무선통신에 의해 수행되므로써, 저울의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게 되며, 저울설치시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저울시스템(1)과, 상기 저울시스템(1)에 포함되어 저울에서 측정된 중량을 연산하여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말기(2)를 각 회원사에 설치하고, 상기 저울시스템(1)에 의해 측정되고, 단말기(2)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서버(4)에서 입력받아 운영단말기(5)로 수신하고, 상기 운영단말기(5)를 통해 각 회원사의 자재 물량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울시스템(1)은
    자재가 보관 적재되면, 적재된 중량만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다수의 측정부(10)와,
    상기 다수의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신호를 수합하여 증폭하는 신호증폭기(21), 다방향에서 발생된 신호를 일방향의 신호로 수합하는 병렬식의 연결상태를 갖도록 각각의 측정부(10)의 개수에 대응되는 채널을 갖도록 구비되며,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2)에서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22), 증폭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기(2)로 송신하거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송/수신 상태로 채널을 변환하는 송수신 전환장치(23)를 각각 갖추어서된 측정회로부(20)로 구성되는 저울장치부(7)와;
    상기 측정회로부(2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단말기(2)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30)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단말기(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측정회로부에서 처리된 신호의 1문자 길이시간을 발생시켜 측정회로부(20) 및 단말기(2)의 구동상황이 실시간 감시되도록 한 시간발생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2. 다수의 측정부(10)가 구비되어 각각의 측정부(10) 상에 보관 적재된 자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측정회로부(20) 내에서 처리하여, 이 데이터를 단말기(2)와 통신수행에 의해 송수신하는 전자저울 시스템의 통신과정에 있어서,
    통신 인터럽트를 시동하여 통신을 개시하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버퍼에 수신문자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패킷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패킷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수신 플레그의 조건을 확인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후 통신과정을 완료하고, 패킷을 수행할 경우 패킷을 시작한 후 수신버퍼를 클리어 하여 이 후의 송수신과정을 대비하며 통신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킷은 데이터를 묶음의 형태로 형성하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된 명령어에 따라 측정회로부(20)에서의 신호처리 과정이 완료된 다수의 측정 데이터를 수합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회로부(20)에서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은,
    측정회로부(20)의 입출력 및 변수를 초기화하여 채널을 영(0)으로 하고, 각각의 채널별로 대응되는 측정부(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각 측정부(10)에서 전송된 중량신호를 처리할 A/D채널을 선택한 후, A/D컨버터(22)를 트리거하는 단계와;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플래그의 조건을 확인하여 단말기 상에서 이미 입력된 명령어에 합당한 플래그의 조건인지를 판단한 후, 합당한 조건이 아닐 경우 동작을 종료하고, 합당한 조건이면 각 측정부(10)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운영단말기(5)에 의해 이미 각각의 측정부(10)에 부여된 구분 아이디 중 자신의 아이디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신의 아이디 인지를 판단하여 자신의 아이디가 아닐 경우 동작을 종료하고, 자신의 아이디일 경우 입력된 명령어를 분석하고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신호를 처리한 A/D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은
    A/D 인터럽트를 시동하여 작업을 시작하고, 상기 A/D컨버터(22)에 구비된 각각의 채널에 부여된 A/D채널변수를 신호처리가 가능한 A/D변환값으로 일치시킨 후, 이전에 신호처리한 채널에 +1의 수치를 가산하여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을 가산하며 신호를 처리한 후, 채널에 가산된 수치가 설정된 수치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수치가 작을 경우 정상적인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설정된 수치와 같아질 경우 채널을 영(0)으로 초기화하여 초기화된 채널에 부합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기(2)를 통해 신호처리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된 단계를 재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된 과정에 의해 초기화된 다채널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15685A 2005-02-25 2005-02-25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5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685A KR100551248B1 (ko) 2005-02-25 2005-02-25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685A KR100551248B1 (ko) 2005-02-25 2005-02-25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248B1 true KR100551248B1 (ko) 2006-02-09

Family

ID=3717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685A KR100551248B1 (ko) 2005-02-25 2005-02-25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12B1 (ko) 2006-10-31 2008-08-08 (주)하나에프에이 초절전형 무선 데이터 송수신 전자저울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KR101323595B1 (ko) 2012-06-29 2013-11-01 주식회사 카스 저울교정이력 확인단말기, 저울교정이력 관리시스템 및 저울교정이력 확인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12B1 (ko) 2006-10-31 2008-08-08 (주)하나에프에이 초절전형 무선 데이터 송수신 전자저울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KR101323595B1 (ko) 2012-06-29 2013-11-01 주식회사 카스 저울교정이력 확인단말기, 저울교정이력 관리시스템 및 저울교정이력 확인방법
CN104205156A (zh) * 2012-06-29 2014-12-10 株式会社Cas 秤校正履历确认终端,秤校正履历管理系统以及秤校正履历确认方法
CN104205156B (zh) * 2012-06-29 2018-04-20 株式会社Cas 秤校正履历确认终端,秤校正履历管理系统以及秤校正履历确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3398C (zh) 调试信息采集方法及调试信息采集系统
KR101894822B1 (ko) 에너지 소비 감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1526B1 (ko)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4040812A (ja) 移動通信基盤の無線遠隔検針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495928B (zh) 服务器装置及控制方法
KR100851412B1 (ko) 초절전형 무선 데이터 송수신 전자저울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KR100551248B1 (ko)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2399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N112032031B (zh) 一种空压机的云数据分析方法、装置及系统
ZA202301276B (en) Sensor network-based analysis and/or prediction method, and remote monitoring sensor device
CN105556849A (zh) 用于通过电量计提供压缩数据的方法
KR100781767B1 (ko) Rfid통신을 이용한 개별식 또는 병렬식 측정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CN110913362A (zh) 通过客户端与测试设备来实现无线信号测试的方法和装置
JP4824449B2 (ja) 中継伝送装置及び集中検針システム
KR100567850B1 (ko) 병렬식 측정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저울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JP6013385B2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の検定システム
CN101152939A (zh) 电梯的功能可变型远程监视系统以及远程监视方法
CN117007175A (zh) 一种传感器自动化测试方法及其测试装置
JP6597606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機器、サーバ、監視機器の動作方法、サーバ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23338Y1 (ko) Rfid통신을 이용한 병렬식 측정 제어기능을 갖는전자저울 장치
KR102279941B1 (ko) 정량저울 시스템
JP4404163B1 (ja) 設備機器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機器管理方法
JP2010033279A (ja) 空調機の運転監視装置、運転監視システム及び運転監視方法
KR101507118B1 (ko)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7964B1 (ko) 배전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