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176B1 -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176B1
KR100551176B1 KR1020040028699A KR20040028699A KR100551176B1 KR 100551176 B1 KR100551176 B1 KR 100551176B1 KR 1020040028699 A KR1020040028699 A KR 1020040028699A KR 20040028699 A KR20040028699 A KR 20040028699A KR 100551176 B1 KR100551176 B1 KR 10055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bracket
door trim
door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418A (ko
Inventor
정흥룡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17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88Aroma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 및 상용 차량의 도어트림을 도어 인너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원터치 방식의 훼스너를 고정하는 훼스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훼스너의 강제 위치 결정구조를 가진 훼스너 브라켓을 구성함으로써, 도어트림에 훼스너 브라켓의 조립 초기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어 훼스너를 도어인너패널에 체결할 경우 초기 조립 위치 불일치로 인한 훼스너의 이탈 및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훼스너, 도어트림, 훼스너 브라켓, 도어인너패널, 탄성립

Description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Fastners bracket union structure}
도 1은 종래 도어트림과 훼스너 브라켓 및 훼스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트림과 훼스너 브라켓 및 훼스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5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훼스너 12; 훼스너 브라켓
13; 도어트림 14; 도어인너패널
21; 브라켓지지대 22; 위치 고정용 돌기
23; 위치고정용 홈 24; 탄성립
본 발명은 승용 및 상용 차량의 도어트림을 도어 인너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원터치 방식의 훼스너를 고정하는 훼스너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트림에 훼스너 브라켓의 조립 초기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치수가 크며 다소의 변형이 가능한 도어트림(1)을 도어 인너패널(2)에 장착하기 위해 훼스너(3)와 같은 공차 흡수 가능한 체결요소를 사용하였다.
즉, 종래에는 도어트림(1)에 훼스너 브라켓(4)을 결합한 후, 상기 훼스너 브라켓(4)에 훼스너(3)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훼스너(3)를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 인너패널(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도어트림(1)이 도어인너패널(2)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훼스너(3)에 형성된 도어트림 고정부(3a)의 지름이 훼스너 브라켓(4)에 형성된 구멍(4a)의 지름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훼스너 브라켓(4)의 구멍(4a)내에서 도어트림 고정부(3a)의 유동이 발생하였으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훼스너(3)가 초기에 정확한 위치 보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상기 훼스너(3)를 도어인너패널(2)에 체결할 경우 초기 조립 위치 불일치로 훼스너(3)가 이탈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훼스너의 강제 위치 결정구조를 가진 훼스너 브라켓을 구 성함으로써, 도어트림에 훼스너 브라켓의 조립 초기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어 훼스너를 도어인너패널에 체결할 경우 초기 조립 위치 불일치로 인한 훼스너의 이탈 및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트림과 훼스너 브라켓 및 훼스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5의 C-C선 단면도 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훼스너(11) 및 훼스너브라켓(12)을 이용하여 도어트림(13)을 도어 인너패널(14)에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13)에 고정되어 훼스너 브라켓(12)을 지지하는 브라켓지지대(21)와,
상기 훼스너(11)의 하단부위에 형성되는 위치 고정용 돌기(22)와,
상기 훼스너 브라켓(12)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면서 훼스너(11)의 위치 고정용 돌기(22)를 안내하여 훼스너(1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용 홈(23)과,
상기 훼스너 브라켓(12)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위치고정용 홈(23)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다수개 연결되어 훼스너(11)의 조립 산포 및 도어트림(13)과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탄성립(2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트림(13)에 브라켓지지대(21)를 형성한 후, 상기 브라켓지지대(21)에 훼스너 브라켓(12)을 고정한다.
이후, 상기 훼스너 브라켓(12)에 훼스너(11)를 체결하는 경우, 상기 훼스너(11)의 하단부위에 형성된 위치 보정용 돌기(22)는 훼스너 브라켓(12)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위치고정용 홈(23)으로 안내되는 바,
상기 훼스너(11)는 위치 고정용 돌기(22)와 위치고정용 홈(23)의 체결로부터 자유도가 영(zero)이 되면서 그 움직임이 제한되는 조립 위치 보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훼스너 브라켓(12)의 둘레면과 상기 위치고정용 홈(23)으로는 다수개의 탄성립(24)이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훼스너(11)를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인너패널(14)에 체결할 때, 상기 탄성립(24)이 변형되면서 훼스너(11)의 조립 산포는 물론, 도어트림(3)과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면서 초기 조립 위치 불일치로 인한 훼스너(11)의 이탈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훼스너의 강제 위치 결정구조를 가진 훼스너 브라켓을 구성함으로써, 도어트림에 훼스너 브라켓의 조립 초기 장착 위치 를 정확하게 잡아주어 훼스너를 도어인너패널에 체결할 경우 초기 조립 위치 불일치로 인한 훼스너의 이탈 및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훼스너 및 훼스너브라켓을 이용하여 도어트림을 도어 인너패널에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에 고정되어 훼스너 브라켓을 지지하는 브라켓지지대와,
    상기 훼스너의 하단부위에 형성되는 위치 고정용 돌기와,
    상기 훼스너 브라켓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면서 훼스너의 위치 고정용 돌기를 안내하여 훼스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용 홈과,
    상기 훼스너 브라켓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위치고정용 홈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다수개 연결되어 훼스너의 조립 산포 및 도어트림과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탄성립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20040028699A 2004-04-26 2004-04-26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55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99A KR100551176B1 (ko) 2004-04-26 2004-04-26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99A KR100551176B1 (ko) 2004-04-26 2004-04-26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18A KR20050103418A (ko) 2005-10-31
KR100551176B1 true KR100551176B1 (ko) 2006-02-13

Family

ID=3728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699A KR100551176B1 (ko) 2004-04-26 2004-04-26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1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18A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8199B1 (en) Vehicle body panel with integral clip
US9649993B1 (en) One step assembly fastener clip
JPS626965Y2 (ko)
EP1783005B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US8555468B2 (en) Anti-rattle carrier for magnet fastener
US20040111841A1 (en) Low insertion effort u-base retainer
EP1826103A2 (en) Fender panel structure
JP4816486B2 (ja) 車両用外装部品
KR200482366Y1 (ko) 도어트림의 파스너 조립 구조
US7717227B2 (en) Speaker attaching construction and speaker
KR100551176B1 (ko) 위치 보정용 훼스너 브라켓의 결합구조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JP4336956B2 (ja) 部品取付クリップ
JP2007055496A (ja) 部品取付構造
KR20180105280A (ko) 자동차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JP5474912B2 (ja) 車両用窓板の装飾部材
JP2985742B2 (ja) カウルルーバの取付け構造
US20160082899A1 (en) Roof drip molding attachment
JP4906661B2 (ja) スピーカ取付け構造
KR20070020656A (ko) 자동차 헤드라이닝 결합구
KR200449460Y1 (ko) 자동차용 내장트림 고정구
JP4816485B2 (ja) 車両用外装部品
CN111663875A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JP2014114887A (ja) リテーナとグロメットによる取付け構造
CN117360405A (zh) 用于车辆的紧固件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