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783B1 -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783B1
KR100550783B1 KR1020030032279A KR20030032279A KR100550783B1 KR 100550783 B1 KR100550783 B1 KR 100550783B1 KR 1020030032279 A KR1020030032279 A KR 1020030032279A KR 20030032279 A KR20030032279 A KR 20030032279A KR 100550783 B1 KR100550783 B1 KR 10055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ternet
user information
us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073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78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conference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통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메신저를 통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 후에 해당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를 확인하여 고정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가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만큼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의 초과를 통보해 줌과 동시에, 상기 고정 장치가 수용하지 못한 내용을 별도로 버퍼링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 요청 시에, 해당 요청 내용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 프로그램 상에 저장해 두고 인터넷 라인을 통해 상대 접속자에게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접속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상대 접속자 측과 연결을 수행하여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일반 전화 기능 이외에 전화기를 통해 메신저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메신저의 부가 기능인 음성 채팅 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하여 별도의 전화 요금 없이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사람들과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a Radio Integrated Telephone Opera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 고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있어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 인터넷 가능 단말기 20, 50 : 고정 장치(Base Set)
30, 60 : 휴대 장치(Hand Set)
11 : 인터넷 접속 제어부 21 : 제어부
22 : 디스플레이부 23 : 입력부
24 : 송수신부 25 : 송수화기부
26 : 전원 공급부 211 :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
212 : 음성 데이터 처리부 213 :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
214 : 베이스 음성 처리부 215 : 문자 데이터 처리부
216 : 송신 버퍼 217 : 문자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
218 : 수신 버퍼 219 : 데이터 처리부
220 : 베이스 키패드 버퍼 221 : RF 데이터 버퍼
본 발명은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통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선 전화기는 단순히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화 사업자(즉, 전화 교환 시스템)를 통해 다른 일반 전화 사용자와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해당 무선 전화기의 경우에는 반드시 전화 사업자를 통해서만 다른 전화 가입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해당 전화 통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전화 사업자에게 정당한 권리자로 등록을 해야 하며, 유선 전화 라인이 해당 사용 지역에 반드시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일반 무선 헤드셋 장치의 경우에는 90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존의 PC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로, 즉 기존의 PC와 헤드셋 사이에 유선을 이용하지 않고 900(MHz)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장치이다. 또한, 최근 들어 메신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꽤 많이 있는데, 이에 따라 기존의 PC를 거쳐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여 음성 채팅을 해당 무선 헤드셋 장치를 통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개발 중이다.
그리고, 해당 무선 헤드셋 장치는 단순하게 기존의 PC와 연결되어 해당 PC를 통한 인터넷 전화 통화 시에 사용되는 헤드셋을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하는데, 해당 PC를 통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선 헤드셋 장치와 PC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900(MHz)이므로, 반드시 PC와 근접한 위치에서 통화를 시도해야만 한다.
또 다른 한편, 일반 인터넷 폰의 경우에는 기존의 PC 없이도 폰 자체에 IP(Internet Protocol) 번호를 할당시켜 줌으로써, 폰 자체만으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다른 인터넷 폰의 사용자와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 사업자를 거쳐 일반 전화의 사용자와도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이다.
그리고, 해당 인터넷 폰은 일반 전화처럼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드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서만 다른 인터넷 폰의 사용자나 일반 전화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해당 통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게 정당한 권리자로 등록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가전 통신 제품을 별도로 다수 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많이 주고 있는 바, 이러한 손실을 막기 위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유사한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화 통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에 메신저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음성 채팅 기능 및 인터넷 전화 기능을 기존의 일반 전화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를 USB 포트(Port)를 통해 인터넷 가능 단말기와 연결시켜 줌으로써, 기존의 일반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이-메일 알림 기능 및 메신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간단한 이-메일을 전송하고 메신저의 음성 통화 기능까지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럽형 무선 전화 방식(DECT)을 사용하여 무선 전화기의 휴 대 장치를 다수 개 구비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수 개의 휴대 장치를 통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은, 인터넷 메신저를 통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 후에 해당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를 확인하여 고정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가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만큼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의 초과를 통보해 줌과 동시에, 상기 고정 장치가 수용하지 못한 내용을 별도로 버퍼링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 요청 시에, 해당 요청 내용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 프로그램 상에 저장해 두고 인터넷 라인을 통해 상대 접속자에게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접속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상대 접속자 측과 연결을 수행하여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 초과 비교 과정은, 인터넷 가능 단말기 상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해당 인터넷 가능 단말기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단계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장치와의 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새로 접속하는 경우나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에 해당 변화된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 메신저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를 확인하여 상기 고정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은 상기 문자/음성 채팅의 경우에 해당 채팅이 종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종료 원인과 함께 종료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화 통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무선 통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해당 무선 통합 전화기는 일반 무선 전화기와 동일하게 전화 사업자 라인과 연결되어 무선 전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가능 단말기와 연결되어 음성 채팅을 수행하여 무선 헤드 셋 장치와 동일하게 인터넷 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전화기 자체에 IP 번호를 할당시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인터넷 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와, 고정 장치(20)와, 휴대 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PC, 인터넷 전용 세탑박스 등과 같은 장치를 말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20)와 접속하여 인터넷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인터넷의 메신저를 통해 전달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USB 포트를 통해 해당 디지털화된 신호를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 전송해 주며,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부터 해당 USB 포트를 통해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상대방 측으로 송신해 줌으로써, 해당 상대방 측과 문자 또는 음성 채팅을 수행할 있도록 해 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며, 사용자가 문자 또는 음성 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대방 측으로 문자 채팅 시도 메시지 또는 음성 채팅 시도 메시지를 생성시켜 송 신해 주며, 해당 상대방 측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문자 채팅 시도 응답 메시지 또는 음성 채팅 시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문자 또는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상대방 측과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인터넷의 메신저에 등록된 사용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로부터 문자 채팅 시도 메시지 또는 음성 채팅 시도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시켜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측으로 송신하여 해당 문자 또는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상대방 측과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가 문자 채팅 또는 음성 채팅을 요청한 경우에 해당 요청 내용을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 전송해 주며,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가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 해당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USB 포트를 통해 해당 디지털화된 신호를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 전송해 주며,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부터 해당 USB 포트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해당 디지털 신호를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상대방 측으로 송신해 준다.
상기 고정 장치(20)는 일반 국선과 연결하여 일반 전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를 통한 인터넷 전화 통화 및 메신저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장치(30)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1.8(GHz) 영역으로 하여 상기 휴대 장치(30)와 RF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 장치(30)는 상기 고정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가 문자 신호인지 또는 음성 신호인지를 구분하며, 해당 구분한 결과로 문자 신호인 경우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LCD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며, 해당 구분한 결과로 해당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스피커를 통해 송출해 주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고정 장치(20)로 전송해 준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와, 디스플레이부(22)와, 입력부(23)와, 송수신부(24)와, 송수화기부(25)와, 전원 공급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그림, 동영상 등의 데이터도 포함된다)인지 또는 음성 데이터인지를 구분하며, 해당 구분한 결과로 문자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LCD로 디스플레이시켜 주고, 또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24)를 거쳐 해당 문자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휴대 장치(30)로 전송되도록 해 주며, 해당 구분한 결과로 해당 음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그대로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송수화기부(25)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켜 주고, 또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24)를 거쳐 해당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휴대 장치(30)로 전송되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송수신부(24)를 거쳐 상기 휴대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 또는 상기 송수화기부(25)의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디지털 신호를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 전송해 주며, 상기 입력부(23)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디지털 신호를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 전송해 준다.
다르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럽형 무선 전화 방식(DECT)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30)가 각각의 식별자를 부여받아 다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1)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수 개의 휴대 장치(30)와 동시에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임의의 식별자를 가지는 휴대 장치(30)만을 선별하여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문자 데이터(즉,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LCD로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상기 입력부(23)는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1)에 인가해 준다.
상기 송수신부(24)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문자 데이터(즉,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한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휴대 장치(30)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장치(30)에서도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출력되도록 해 주며, 상기 휴대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문자 데이터(즉,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한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21)에 인가해 준다.
상기 송수화기부(25)는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21)에 인가해 주며, 상기 제어부(21)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 준다.
상기 전원 공급부(26)는 각 구성 블록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준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 장치(20)는 내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가 필요 없이 내부의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장치(20)가 직접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폰 및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다르게는, 상기 고정 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주거나 음성을 문자로 변환시켜 주는 변환부(27)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LCD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며, 문자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송수화기부(25)의 스피커를 통해 송출해 준다.
더욱이 다르게는, 상기 고정 장치(20)는 상기 전원 공급부(26)에 의해서 각 구성 블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별도로 필요에 따라서 자체 충전 기능을 수행하는 충전부(28)를 추가로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 장치(20)에 연결되는 라인의 수를 감소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부(26)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와, 음성 데이터 처리부(212)와,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3)와, 베이스 음성 처리부(214)와, 문자 데이터 처리부(215)와, 송신 버퍼(216)와, 문자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7)와, 수신 버퍼(218)와, 데이터 처리부(219)와, 베이스 키패드 버퍼(220)와, RF 데이터 버퍼(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는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그림, 동영상 등의 데이터도 포함된다)인지 또는 음성 데이터인지를 구분하며, 해당 구분한 결과로 문자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부(215)로 인가해 주며, 해당 음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부(212)로 인가해 준다. 또한, 해당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는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부(21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부(215)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 송신해 준다.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부(212)는 해당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그대로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3)로 인가해 주며,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3)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해당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로 인가해 준다.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3)는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부(21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 또는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해당 베이스 음성 처리부(214)에 인가하거나 상기 송수신부(24)에 인가해 주며, 해당 베이스 음성 처리부(214) 또는 상기 송수신부(24)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부(212) 또는 국선으로 인가해 준다.
해당 베이스 음성 처리부(214)는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3)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송수화기부(25)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켜 주며, 상기 송수화기부(25)의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해당 음성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3)로 인가해 준다.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부(215)는 해당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데이터를 해당 송신 버퍼(216)로 인가해 주며, 해당 수신 버퍼(218)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음성/문자 데이터 구분 처리부(211) 또는 국선으로 인가해 준다.
해당 송신 버퍼(216)는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부(215)를 통해 인가되는 문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7)로 출력해 준다.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 개체 구분 처리부(217)는 해당 송신 버퍼(216)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 인가하여 LCD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하거나, 상기 송수신부(24)에 인가해 준다.
해당 수신 버퍼(218)는 해당 데이터 처리부(219)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문자 데이터 처리부(215)로 출력해 준다.
해당 데이터 처리부(219)는 해당 RF 데이터 버퍼(221) 또는 해당 베이스 키패드 버퍼(220)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수신 버퍼(218)로 인가해 준다.
해당 베이스 키패드 버퍼(220)는 상기 입력부(23)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데이터 처리부(219)로 출력해 준다.
해당 RF 데이터 버퍼(221)는 상기 송수신부(24)를 거쳐 상기 휴대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데이터 처리부(219)로 출력해 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헤드셋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특별한 소프트웨어 없이도 PC, 인터넷 전용 세탑박스 등과 같은 인터넷 가능 단말기(40)의 마이크 단자와 이어폰 단자를 직접 고정 장치(50)에 연결시켜 휴대 장치(60)가 무선 헤드셋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인터넷 가능 단말기(40), 고정 장치(50) 및 휴대 장치(6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는 MSN 메신저 기능과 유사한 메시지 수신 및 송신 기능, 음성 채팅 기능, 인터넷 전화 기 능, 일반 전화 기능, 휴대폰으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해당 각 기능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메시지 수신 기능은 인터넷의 메신저를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와 USB 포트를 통해 고정 장치(2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메신저에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했을 경우에,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 의해 해당 내용과 상대방의 정보를 해당 USB 포트를 통해 해당 고정 장치(20)에 전달해 준다.
이에, 상기 고정 장치(20)는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한 후에, 그 분석 내용을 디스플레이부(22)의 LCD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분석 내용을 휴대 장치(30)에 전달하여 해당 휴대 장치(30)에 의해 LCD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해 준다.
이 때, 상기 고정 장치(20)와 휴대 장치(30)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RF 주파수를 1.8(GHz) 영역을 사용하고 유럽형 무선 전화 방식(DECT)을 사용하여 하나의 휴대 장치(30)가 아닌 여러 대의 휴대 장치(30)를 통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메시지 송신 기능은 상기 고정 장치(20) 또는 상기 휴대 장치(30)에서 메시지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 입력 내용을 상기 고정 장치(2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USB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로 전달해 준다.
이에,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서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전달받은 내용을 상기 메신저를 통해 통신 중인 상대방에게 전달해 준다.
세 번째로, 상기 음성 채팅 기능은 상기 고정 장치(20) 또는 상기 휴대 장치(30)에서 음성 채팅 기능 버튼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LCD 창에 현재 접속 중인 상대방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며, 해당 디스플레이된 상대방들 중에서 음성 채팅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하면 상대방 측으로 음성 채팅 시도 메시지를 송신해 준다.
이에, 상대방이 음성 채팅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면 일반 전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이 때, 상기 고정 장치(20)와 휴대 장치(30)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RF 주파수를 1.8(GHz) 영역을 사용하고 유럽형 무선 전화 방식(DECT)을 사용하여 하나의 휴대 장치(30)가 아닌 여러 대의 휴대 장치(30)를 통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인터넷 전화 기능은 상기 고정 장치(20) 또는 상기 휴대 장치(30)에서 인터넷 전화 기능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메신저에 이미 등록된 계정을 통해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화 요금 없이도 상기 메신저에 등록된 사람들과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다섯 번째로, 상기 일반 전화 기능은 상기 고정 장치(20)에 외부 전화가 가능한 전화 라인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고정 장치(20) 또는 상기 휴대 장치(30)에서 통화를 요청하게 되면 일반 전화기와 동일하게 전화를 가능하도록 해 준다.
여섯 번째로, 상기 휴대폰으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와 고정 장치(2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가 있는 경우에,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해 준다. 즉, 상기 고정 장치(20) 또는 상기 휴대 장치(30)를 사용하여 해당 사이트를 통한 SMS 송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을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 제어부(11)가 인터넷 가능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인터넷 접속 제어부(11)가 PC, 인터넷 전용 세탑박스 등과 같은 동작 수행을 시작할 시에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서는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 상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단계 S1), USB 포트를 통해 고정 장치(2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며(단계 S2), 해당 고정 장치(20)와의 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보해 준다(단계 S3). 또한, 변화된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해당 변화된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바로 통보해 주는데, 예를 들어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새로 접속하였을 경우,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바로 통보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S2)의 확인 결과로, 고정 장치(2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서는 통신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20)로 전달해 주는데, 이때 통신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의 수를 확인하여 상기 고정 장치(20)가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수(즉,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지 않는지를 비교한다(단계 S4).
이에, 상기 제4단계(S4)에서 통신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의 수가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고정 장치(20)가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수만큼 상기 통신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20)로 전달해 줌과 동시에, 상기 고정 장치(20)가 수용하지 못한 내용이 있음(즉, 사용자 정보 초과)을 상기 고정 장치(20)에 통보해 주며(단계 S5), 상기 고정 장치(20)가 수용하지 못한 내용은 별도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서 버퍼링되어 따로 관리되어진다(단계 S6).
즉,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서는 상기 고정 장치(20)가 수용하지 못한 내용을 버퍼링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필요 없는 사용자 정보를 삭제하거나 용량을 증가시킨 후에 상기 고정 장치(20)를 통해 이전에 수용하지 못한 내용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제4단계(S4)로 회귀하여, 해당 버퍼링해 관리하고 있던 사용자 정보 수와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다시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 수를 상기 고정 장치(20)로 전송해 줄 수 있도록 해 준다.
반면에, 상기 제4단계(S4)에서 통신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의 수 가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모두를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20)로 전달해 준다(단계 S7).
여기서, 상기 고정 장치(20)로 전달해 주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순서를 미리 정해 둔 경우에는 해당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전달되어지며, 정해진 순서가 없는 경우에는 오름차순/내림차순 등으로 소팅(Sorting)시킨 후에 해당 소팅시킨 순서에 입각하여 전달되어진다.
그런 후, 상기 고정 장치(20)를 통해 사용자가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상기 고정 장치(20)로부터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요청을 수신받아(단계 S8) 해당 요청 내용을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단계 S9), 프로그램 상에 해당 요청 내용을 저장해 두고 인터넷 라인을 통해 상대 접속자에게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 시도를 실시하는데, 즉 문자 전송 시도 메시지 또는 문자/음성 채팅 시도 메시지를 생성시켜 상대 접속자 측으로 송신해 준다(단계 S10).
여기서, 상기 요청 내용을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램 상에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문자 송수신 내용 및 에러(Error)가 발생된 경우에 해당 내용에 대해 상기 고정 장치(20)에 모든 내용을 저장해 둘 수 없으므로, 저장 용량이 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에 저장해 두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 항상 재확인이 가능하도록 해 주 기 때문이며, 또한 사용자가 모든 내용에 대해서 옵션(Option)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고정 장치(20)를 통해 송수신되는 내용을 다른 인터넷 가능 단말기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고정 장치(20) 내부에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 장치(20) 내의 디스플레이부(22)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장치(20) 내의 인터넷 접속 제어부(11)에 의해 상기 요청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상기 상대 접속자 측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문자 전송 시도 응답 메시지 또는 문자/음성 채팅 시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단계 S11), 해당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상대 접속자 측과 연결을 수행한다(단계 S12).
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상기 상대 접속자 측과의 연결 내용을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 통보하여 사용자가 연결된 상대 접속자 측으로의 문자 전송과, 사용자가 연결된 상대 접속자 측과의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3). 이때, 문자 전송의 경우에 해당 전송이 실패 시에 실패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보해 준다. 또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각 수행 동작의 내용을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 프로그램 상에 저장해 준다.
그리고, 문자/음성 채팅의 경우에 해당 채팅이 종료되면,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이를 감지하여 종료 원인과 함께 종료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보해 준다.
반대로,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인터넷의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접속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며, 이때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접속자로부터 문자 전송 시도 메시지 또는 문자/음성 채팅 시도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즉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접속자로부터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의 요청을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요청 내용을 상기 인터넷 가능 단말기(1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시켜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측으로 송신한 후에, 해당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상대 접속자 측과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접속 제어부(11)는 상기 수신된 내용을 프로그램 상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 전송해 주는데, 즉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 접속자가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 해당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USB 포트를 통해 해당 디지털화된 신호를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 전송해 주며, 상기 고정 장치(20) 측으로부터 해당 USB 포트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해당 디지털 신호를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인터넷을 통해 상대 접속자 측으로 송신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전화 통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일반 전화 기능 이외에 전화기를 통해 메신저 기능을 수행 하며, 해당 메신저의 부가 기능인 음성 채팅 기능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전화 요금 없이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사람들과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터넷과 일반 국선을 접속하여 운용하기 위한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메신저를 통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 후에 해당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를 확인하여 고정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가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만큼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의 초과를 통보해 줌과 동시에, 상기 고정 장치가 수용하지 못한 내용을 별도로 버퍼링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 요청 시에, 해당 요청 내용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 프로그램 상에 저장해 두고 인터넷 라인을 통해 상대 접속자에게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접속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상대 접속자 측과 연결을 수행하여 문자 전송 또는 문자/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음성 채팅의 경우에 해당 채팅이 종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종료 원인과 함께 종료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 초과 비교 과정은, 인터넷 가능 단말기 상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해당 인터넷 가능 단말기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단계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장치와의 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새로 접속하는 경우나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에 해당 변화된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 메신저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정보의 수를 확인하여 상기 고정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용 사용자 정보 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KR1020030032279A 2003-05-21 2003-05-21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KR10055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79A KR100550783B1 (ko) 2003-05-21 2003-05-21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79A KR100550783B1 (ko) 2003-05-21 2003-05-21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73A KR20040100073A (ko) 2004-12-02
KR100550783B1 true KR100550783B1 (ko) 2006-02-08

Family

ID=3737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279A KR100550783B1 (ko) 2003-05-21 2003-05-21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7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783A (en) * 1997-03-06 2000-06-13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net phone to PSTN cellular/PCS system
KR20020014868A (ko) * 2000-08-19 2002-02-27 공종열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다이얼업 접속장치
KR20020020430A (ko) * 2000-09-08 2002-03-15 이대진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KR20020036476A (ko) * 2000-11-10 2002-05-16 원석연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20020057289A (ko) * 2000-12-30 2002-07-11 이계철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공중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783A (en) * 1997-03-06 2000-06-13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net phone to PSTN cellular/PCS system
KR20020014868A (ko) * 2000-08-19 2002-02-27 공종열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다이얼업 접속장치
KR20020020430A (ko) * 2000-09-08 2002-03-15 이대진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KR20020036476A (ko) * 2000-11-10 2002-05-16 원석연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20020057289A (ko) * 2000-12-30 2002-07-11 이계철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공중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73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19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01519B1 (ko) 이동 속도에 따른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선택적 음성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US200300768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net telephone
JPH10257201A (ja) 電子メール端末及び電子メール配送システム
KR20070114606A (ko) 통신 시스템과 VoIP기기 및 데이터 통신방법
US20060193457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services
JP2005033565A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KR100564984B1 (ko) 통신장치
KR100550783B1 (ko) 무선 통합 전화기 운용 방법
JP2009194586A (ja) 通信システム
JP2002185527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71953B1 (ko)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음성 메일 지원방법
WO2002009372A1 (en) Internet video phone
JPH11177713A (ja) 通信端末装置
KR200700880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JP4166674B2 (ja) 端末情報管理装置、端末装置、電子機器装着端末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装着端末情報通知方法
JP2014220725A (ja) 電話システム及び接続制御方法
KR20040046338A (ko) 이동 전화의 통화 대기 또는 연결 중에서 착신자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신자홈페이지 제공 방법
KR1005637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pc의 이메일 주소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185163B1 (ko)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KR101767425B1 (ko) 단말 장치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70002152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재중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및시스템,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02968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JP4307234B2 (ja)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