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859B1 -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 Google Patents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859B1
KR100549859B1 KR1020030058999A KR20030058999A KR100549859B1 KR 100549859 B1 KR100549859 B1 KR 100549859B1 KR 1020030058999 A KR1020030058999 A KR 1020030058999A KR 20030058999 A KR20030058999 A KR 20030058999A KR 100549859 B1 KR100549859 B1 KR 10054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processor
stirring
cover assembl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784A (ko
Inventor
이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닉스디지컴
엔씨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닉스디지컴, 엔씨엘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닉스디지컴
Priority to KR102003005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8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잔반처리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된 교반조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하는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잔반처리기 몸체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면 테두리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제1리브 및 제2리브와, 이 각각의 리브 사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된 누수방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잔반처리기 몸체에 커버가 완벽하게 밀폐 결합됨으로써 교반조 내에 투입된 잔반의 교반 작업시 발생된 수분이 잔반처리기 몸체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됨으로써 잔반처리기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잔반처리기, 커버

Description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COVER ASSEMBLY OF LEFTOVER FOOD DEA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보인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를 상세히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 몸체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 몸체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우측면에서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01 ; 투입구
103 ; 단턱부 102 ; 감지스위치
110 ; 커버조립체 111 ; 플레이트
112 ; 제1리브 113 ; 제2리브
114 ; 누수방지재 115 ; 개폐실린더
115a ; 실린더로드 116 ; 브라켓
117 ; 힌지축
본 발명은 잔반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반처리기 몸체에 형성된 투입구와 커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잔반 처리시 투입구로부터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한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외식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외식업체는 물론 각 가정에서는 매일 많은 양의 잔반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잔반의 일부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잔반의 운반 및 취급이 난이하여 대부분의 잔반은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매립처리방식은 질소, 유황 화합물에 의한 악취를 발생하게 되고, 고농도 침출수 등으로 대기, 수질, 토양, 지하수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한다.
그리고 후자의 소각처리방식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소각로 설비가 요구되며, 소각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대기환경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자체의 낮은 열량과 많은 수분 함유량으로 인해 소각효율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처리비용이 만만치 않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다. 또한, 잔반의 불완전연소로 인해 다이옥신 등 각종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외식업체와 각 가정에 설치하여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잔반을 처리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잔반처리기가 제공되고 있는 바, 그 일예로서 잔반처리기 내부에 미생물을 배양시키고 잔반처리기 내부에 잔반이 투입되면 미생 물과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잔반을 분해하며, 분해된 잔반이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화되면 수분을 하수구로 배출시키도록 한 잔반처리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잔반처리기에는 미생물의 배양 및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잔반 처리시 잔반처리기 내부에 적당한 습도와 온도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적당한 습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잔반처리기 내부에 물을 공급시켜 주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데, 종래에는 잔반처리기 몸체에 형성된 투입구를 커버가 폐쇄하고 있으나, 교반작업 등을 진행할 경우에는 교반조로 투입된 수분 및 잔반으로부터 변화된 수분 등이 상기 투입구로 누수되어 잔반처리기 주변을 더럽히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에 커버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교반조에서 잔반의 처리시 발생되는 수분이 투입구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잔반처리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된 교반조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하는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잔반처리기 몸체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면 테두리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제1리브 및 제2리브와, 이 각각의 리브 사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된 누수방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를 일측면에서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를 일부 분해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잔반처리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반처리기는 상면에 잔반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1)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101)의 일측에는 커버조립체(110)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잔반처리시 그 운전 및 각종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조립체(110)는 몸체(10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교반조(120)로 투입된 잔반의 처리작업시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켜 준다. 이 커버조립체(11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 중앙에는 미생물이 배양됨과 아울러 잔반을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내용적을 가진 교반조(120)가 마련되고, 이 교반조(120)의 바닥에는 잔반의 처리작업시 발생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부(12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20)의 하측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액화된 액상의 유체가 배수부로부터 낙하될 때 낙하된 유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하도록 낙수부(13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교반조(120)의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급수관(210)이 결합되고, 이 급수관(210)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20)이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교반조(120)에 잔반을 투입하면 급수관(210)을 통해 물이 교반조(120)로 투입됨으로써 미생물의 배양에 적합한 습도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20)의 일측에는 산소공급구가 마련되며, 이 산소공급구에는 에어컴프레셔(31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교반조(120) 내에 공급하도록 산소공급관(320)이 연결된다. 따라서, 교반조(120) 내에 공급된 산소는 미생물의 활성을 최적화시켜 주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조(120)에는 횡방향으로 교반축(4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교반축(410)에는 교반조(120) 내부로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시켜 주는 교반날개(420)가 직교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교반축(410)의 끝단부는 교반조의 외측으로 관통되며, 그 끝단부에는 교반축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장치(도시 생략)가 있다.
따라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장치를 기동시키면 교반축(410)이 회전하면서 교반날개(420)는 교반조(120) 내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잔반처리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반조(120)에 미생물이 배양된 상태에서, 적정량의 잔반을 교반조(120)에 투입한 후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110)를 닫아 몸체(100) 내부를 폐쇄시킨다.
그 후, 몸체(100)의 전면에 마련된 제어부(140)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시키 면, 에어컴프레셔(310)의 작동에 의해 교반조(120)의 산소공급관(320)을 통해 산소가 교반조(120) 내로 투입되어 미생물이 활발하게 증식되고, 다수의 분사노즐(220)을 통해 물이 살수되어 미생물이 활성화되기 위한 최적의 습도를 갖추게 된다.
이에 함께, 전원 인가에 따른 구동장치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교반축(41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시간 동안 구동장치에 연결된 교반축(4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교반날개(420)가 미생물이 혼합된 잔반을 교반하면 교반조 내에 증식된 미생물이 골고루 교반된 잔반 사이에 섞이게 되고, 따라서 잔반은 미생물에 의해 생화학적 작용을 일으켜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화되며, 생화학적 작용에 의해 변화된 물과 잔반에 함유된 수분은 배수부(121)로 배수됨으로써 일련의 잔반처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교반작업이 진행되면서 교반조(120) 내에 공급된 수분과 잔반으로부터 변화된 수분이 투입구(101)의 외부로 누수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커버조립체(110)가 그 누수현상을 방지해 준다.
즉, 본 발명의 커버조립체(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평평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11)와, 이 플레이트(111)의 일측에 결합되어 플레이트(111)를 잔반처리기 몸체(100)에 대해 개폐시키는 개폐실린더(115)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내측 테두리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누수방지재(114)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11)의 내측 테두리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리브(112) 및 제2리브(113)가 수직 방향으로 소정량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재(114)는 각 리브(112)(113) 사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누수방지재(114)는 투입구(101)의 폐쇄시 소정의 탄력을 제공하여 투입구(10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실린더(115)는 플레이트(111)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각각의 개폐실린더(115)는 일단이 잔반처리기 몸체(100)에 고정된 브라켓(116)에 힌지축(117)으로 결합되어 플레이트(111)가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실린더(115)의 타단에는 실린더로드(115a)가 신장 및 단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로드(115a)의 끝단은 플레이트(111) 측면의 대략 중앙에 고정된 연결구(118)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투입구(101)의 테두리에는 누수방지재(114)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부(101a)가 소정 높이차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잔반처리기 몸체(100)에 커버조립체(110)를 닫고자 할 때에는 플레이트(111)의 일단부를 잡고 투입구(101)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실린더로드(115a)가 개폐실린더(115)로부터 신장되면서 누수방지재(114)가 단턱부(101a)에 밀착되어 투입구(101)를 플레이트(111)가 밀폐시키게 된다.
반대로, 커버조립체(110)를 열고자 할 때에는 커버조립체(110)의 일단부를 잡고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실린더로드(115a)가 개폐실린더(115) 내로 단축됨으로써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101)의 일측에는 커버조립체(11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 도록 감지스위치(10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커버조립체(110)가 몸체(100)를 완벽하게 밀폐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교반조(120) 내에 투입된 잔반의 교반작업시 발생된 수분은 제1리브(112) 및 제2리브(113)에 의해 단턱부(101a)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누수방지재(11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교반 작업시 교반조(120)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투입구(101)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잔반처리기 몸체(100)를 측면에 봤을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 소정 각도 하향 형성되어 있으므로, 투입구(101)를 폐쇄하고 있던 커버(110)를 들어올릴 경우 단턱부(103)에 남아 있던 수분들이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렇게 흘러내린 수분은 제2단차벽(103b)을 넘어 잔반처리기 몸체(100) 외부로 흘러내릴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103)의 제1단차벽(103a)과 제2단차벽(103b)에 소정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수평선(H)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2단차벽(103b)의 끝단부를 제1단차벽(103a)의 끝단부보다 소정 높이 높게 형성함으로써, 커버(110)를 열 경우 단턱부(103)를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이 제2단차벽(103b)을 넘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잔반처리기 몸체에 커버가 완벽하게 밀폐 결합됨으로써 교반조 내에 투입된 잔반의 교반 작업시 발생된 수분이 잔반처리기 몸체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됨으로써 잔반처리기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잔반처리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된 교반조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하는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잔반처리기 몸체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면 테두리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제1리브 및 제2리브와, 이 각각의 리브 사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된 누수방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의 테두리에는 누수방지재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4. 삭제
KR1020030058999A 2003-08-26 2003-08-26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KR10054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999A KR100549859B1 (ko) 2003-08-26 2003-08-26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999A KR100549859B1 (ko) 2003-08-26 2003-08-26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84A KR20050021784A (ko) 2005-03-07
KR100549859B1 true KR100549859B1 (ko) 2006-02-06

Family

ID=3722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999A KR100549859B1 (ko) 2003-08-26 2003-08-26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8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84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859B1 (ko) 잔반처리기의 커버조립체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069224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33124B1 (ko) 혐기성 소화조의 기계식 교반장치의 지지구조
KR100490287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KR100557486B1 (ko) 잔반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14014522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49860B1 (ko) 잔반처리기의 체인 장력조절장치
KR100189695B1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KR0175794B1 (ko) 킷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0342196Y1 (ko) 잔반처리기
KR20050015851A (ko) 잔반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0555832B1 (ko) 잔반 분해 소멸기용 배출구
KR101835466B1 (ko)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15278A (ko) 잔반처리기
KR100315368B1 (ko) 음식물쓰레기 발효저장장치
KR20060022827A (ko) 중량감지장치를 내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및 그 처리방법
KR20190025082A (ko) 유기성오니 처리 장치
KR20038484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악취방지 패킹구조
JP3782556B2 (ja) 発酵処理装置
CN211972163U (zh) 卧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JP3581109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50023503A (ko)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JPH105729A (ja) 厨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