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326B1 - Fluoresc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luoresc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326B1
KR100549326B1 KR1020010070328A KR20010070328A KR100549326B1 KR 100549326 B1 KR100549326 B1 KR 100549326B1 KR 1020010070328 A KR1020010070328 A KR 1020010070328A KR 20010070328 A KR20010070328 A KR 20010070328A KR 100549326 B1 KR100549326 B1 KR 10054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mirror
opening portion
thin film
fluorescent displa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7694A (en
Inventor
니헤이미츠요시
Original Assignee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2Means providing or assist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or within the tube
    • H01J2229/925Means providing or assist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or within the tube associated with the high tension [HT], e.g. anode potent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4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e.g. by gettering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용기의 외관용기를 구성하는 전면판 또는 양극 기판의 내면에 의사 하프미러를 형성한 형광표시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면판과 양극 기판 및 상기 전면판과 양극 기판의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용기를 갖고, 상기 진공용기 내에 적어도 음극과 양극을 구비한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양극 기판에 대향하는 내면, 또는 상기 양극 기판의 전면판에 대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개구부 및 금속 박막의 비개구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형태를 변화시켜 소요의 미세 패턴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의사 하프미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fluorescent display tube in which a pseudo half mirro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front plate or a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constituting an outer container of a vacuum container.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vacuum container including a side plate interposed between each peripheral edge, and having at least a cathode and an anode in the vacuum container,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opposite to the anode substrate of the front plate, or of the anode substrate. A pseudo half mirror formed of an opening and a non-opening portion of the metal thin film on the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plate is formed,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and the non-opening portion is changed so as to obtain a desired fine pattern.

Description

형광표시관{FLUORESCENT DISPLAY DEVICE}Fluorescent Display Tube {FLUORESCENT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사(擬似)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의 주요부 구성의 개요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anatory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line of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박막 패턴 형상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2 is a pl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shape of an aluminum thin film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도 3은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박막 패턴 형상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3 is a pl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aluminum thin film pattern shape of the pseudo half mirror;

도 4는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박막 패턴 형상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4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shape of an aluminum thin film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도 5는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박막 패턴 형상에서 일부의 개구율을 변화시킨 경우에서의 문자열 표시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FIG. 5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character string display in the case where a part of aperture ratio is changed in the aluminum thin film pattern shape of the pseudo half mirror; FIG.

도 6은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 박막 패턴 형상에서 일부의 개구율을 변화시킨 경우에서의 문자열 표시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Fig. 6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character string display in the case where a part of aperture ratio is changed in the alumina thin film pattern shape of the pseudo half mirror;

도 7은 상기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에서 진공용기 내에서의 게터작용을 얻기 위한 표시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FIG. 7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for obtaining a getter action in a vacuum container in the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FIG.

도 8은 종래의 형광표시관 내부에서의 주요부의 개요 구성을 포함하는 외관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8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 appearance form includ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main parts in a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도 9는 본원의 발명자들의 기제안에 관한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진공용기 내에서의 게터작용을 얻기 위한 개요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obtaining a getter action in a vacuum container in a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the inventors' propos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도 10은 상기 도 9의 화살표 X방향에 따른 게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평면 설명도이다.FIG. 10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of a display unit including a getter part along the arrow X direction of FIG. 9.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페이스플레이트 20: 애노드기판10: faceplate 20: anode substrate

21: 애노드전극 30: 그리드21: anode electrode 30: grid

31: 게터 32: 가열코일31: getter 32: heating coil

40: 음극 필라멘트 100: 투명도전막40: cathode filament 100: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10: 알루미늄막 111: 개구부110: aluminum film 111: opening

112: 비개구부 121: 창부112: non-opening 121: window

본 발명은 형광표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용기의 외관용기를 구성하는 전면판 또는 양극기판의 내면에 의사(擬似) 하프미러를 형성한 형광표시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orescent display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ment of a fluorescent display tube in which a pseudo half mirro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front plate or a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constituting an outer container of a vacuum container.

이 종류의 종래 형광표시관에서의 개요 구성을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다.8, 9 and 10 show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is type of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우선, 종래 형광표시관에서의 주요부 구성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종래 형광표시관 내부에서의 주요부의 개요 구성을 포함하는 외관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Fig. 8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 appearance form includ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in a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이 도 8의 종래 구성에 있어서, 일반적인 형광표시관은 소요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전면판(페이스 플레이트)(10)과, 동일하게 유리로 이루어지는 양극(애노드)기판(20)을 갖고,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와 애노드기판(20)과의 각 둘레가장자리부 사이를 위요(圍繞)하고 유리로 이루어지는 측면판(60)을 개재시키고, 또 이들 각 유리부재의 상호를 도시하지 않은 봉하는 유리에 의해 봉하고 또 밀봉하는 것으로 진공용기, 이른바 외관용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진공용기 내는 계속해서 도 9, 도 10에서 설명한 게터(getter)작용에 의해 소요의 고진공도로 유지된다.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Fig. 8, a general fluorescent display tube has a front plate (face plate) 10 made of glass and i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s a positive electrode (anode) substrate 20 made of glass in the same manner. And sealing between the face plate 10 and the anode substrate 20 between each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and interposing a side plate 60 made of glass and not showing each other. Is sealed and sealed by glass to form a vacuum container, a so-called exterior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is maintained at a required high vacuum degree by the getter ac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그리고,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의 내면(상기 애노드기판(20)에 대향하는 하부면)에는 박막형상의 투명도전막(하프미러로서 이용하는 투명전극)(100)을 형성하고 있고, 또 상기 애노드기판(20)의 내면(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에 대향하는 상면)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알루미늄 배선을 소기대로 형성한 뒤에 상기 알루미늄 배선의 상부면을 덮도록 하여 절연층을 적층시키고, 또한 상기 절연층의 각 관통홀(through hole)을 통하여 형광체를 도포한 애노드전극(21)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애노드전극(21) 위쪽에는 표시조작에 필요한 그리드(30)와 음극 필라멘트(40)를 소정 간격으로 각각에 배치시키고 있다.In addition, a thin film-shap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electrode used as a half mirror) 100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10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anode substrate 20), and the anode substrate 20 On the inner surfac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face plate 10), aluminum wires (not shown) are formed as desired, and the insulating layers are laminat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wires. An anode electrode 21 coated with a phosphor is provided through a through hole. On the other hand, the grid 30 and the cathode filament 40 necessary for the display operation are arranged above the anode electrode 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여기에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10)의 내면에 형성하는 투명도전막(100)에는 통상의 경우, 크롬막을 이용하고 있다. 즉, 상기 크롬막에 의한 때는 투명도전막(100)에 대하여 소기대로 하프미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 외에도 뉴트럴·덴시티·필터(neutral density filter)와 동일하게 표시의 콘트라스트 향상을 달성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이것에 아울러 정전차폐 기능 또는 전자확산 기능도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55-108646호 공보 참조).In this case, a chromium film is usually used for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10. In other words, when the chromium film is used, the half-conductor function can be imparted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as desired, and a function of achieving a display contrast enhancement in the same way as a neutral density filter is provid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ostatic shielding function or the electron diffusion function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o this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5-108646, for example).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형광표시관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의 투명도전막(100)이 되는 크롬막에 있어서는 그 막두께의 여하에 따라서 광의 투과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크롬막을 뉴트럴·덴시티·필터 대신에 이용하는 데에는 크롬막 자체를 소정의 광투과율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막두께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또한 상기 크롬막에 대해서는 그 막두께를 옹스트롬단위로 정확하게 제어하고, 또한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제 상 그 막형성이 반드시 용이하지 않다.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shown in Fig. 8, in the chromium film serving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of the face plate 10, the transmittance of light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ilm. In order to use the chromium film instead of the neutral density filter, it is necessary to form the chromium film itself to a film thickness that can obtain a predetermined light transmittance, and for the chromium film, the film thickness is precisely controlled in angstrom units.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form uniformly over the whole surface, the film formation is not necessarily easy in practice.

또, 이 종류의 형광표시관의 제조 시에 있어서 소요의 가열온도에 따른 열처리과정, 예를 들면 400℃ 이상으로 가열하는 소성공정을 거지치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 열처리에 따른 소성처리 시에 크롬막 자체가 필연적으로 산화되기 쉽고, 상기 크롬막, 더 나아가서 투명도전막(100)의 광투과율이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addition, in the manufacture of this type of fluorescent display tube, the chromium film itself is used during the calcin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since the calcin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must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required, for example, 400 ° C. or higher. Inevitably oxidizes,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chromium film and, moreov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is lowered.

즉, 이렇게 종래 형광표시관의 경우, 투명도전막(100)으로서 이용하는 크롬막에 대해서는 그 막형성에 따른 막두께 제어의 어려움에 더하여, 소성처리 시의 산화에 따라 광투과율의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에 소정 범위내의 광투과율을 구비한 크롬막, 여기에서는 투명도전막(100)을 형성하는 것이 극히 곤란한 것이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in the chromium film used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in addition to the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according to the film formation,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ered due to oxidation during the firing process, and thus, a predetermined range. It was extremely difficult to form the chromium film with the light transmittance inside, and here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또한, 상기 투명도전막(100)으로서 이용하는 크롬막은 한편에 있어서 제조 시의 소성 열처리에 따라 막면 전체가 청색 내지는 녹색으로 변색하기 때문에 상기 크롬막에 의한 투명도전막(100)을 적용한 형광표시관에 대해서는 이것을 최종적으로 음향기기나 영상기기 등의 대상기기류에 탑재하여 상품화를 도모하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각 대상기기의 외관색채의 태양이 금속성의 경향을 띤다고 한다면, 여기에 탑재하는 형광표시관의 색채 경향이 현저하게 두드러지게 되어, 해당 상품의 외관형태상 전체적인 색채의 조화를 이룰 수 없다고 하는 곤란함을 피할 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chromium film used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changes in color from blue to green depending on the plastic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e, the chromium film used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is applied to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to which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made of the chromium film is applied. Finally, when commercialization is carried out by mounting on target equipment such as audio equipment or video equipment, for example, if the sun of the exterior color of each target equipment tends to be metallic, the color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mounted thereon The tendency becomes remarkable, and the difficulty of not being able to harmonize the overall color in appearance form of the product cannot be avoided.

이에 더하여 상기 크롬막의 경우에는 전체를 통하여 균일한 금속 박막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금속 박막만으로는 원하는 문자나 모양 등의 미세한 패턴을 반드시 용이하게는 표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In addition, since the chromium film is formed of a uniform metal thin film through the whole, a fine pattern such as a desired letter or shape cannot be easily displayed only by the metal thin film alone.

그런데, 본원의 발명자들은 우선 일본 특원 2000-210661호에서 상기 투명도전막(100)에 크롬막을 이용한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의 결점으로 되어 있는 제조의 곤란성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수단으로서 소요의 금속 박막을 균일한 미세 패턴으로 형성하여 의사 하프미러로 함으로써 광투과율이 막두께에 의존하지 않는 형광표시관, 여기에서는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By the wa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rs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0-210661 as a technical means for solving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which is a drawback of the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using a chromium film 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Is formed in a uniform fine pattern to form a pseudo half mirror, and a constitution of a fluorescent display tube in which the light transmittance does not depend on the film thickness and here, a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is proposed.

그러나, 이 기제안에 관한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 전체에 배치되는 미세 패턴의 개구부와 비개구부와의 비율을 일정하게 형성하여 균일한 의사 하프미러를 얻고 있기 때문에, 형광표시관으로서의 본래의 애노드패턴의 발광부에 의한 표시와 그 외관용기의 외형에 대하여 이것을 탑재대상기기 등의 외관색조의 태양에 맞추는 것은 가능하여도 상기 종래의 각 문제점 전체를 해소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었다.However, in the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proposal, since the ratio between the openings and the non-opening portions of the fine patterns arranged throughout the display area is constant, a uniform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The display by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original anode pattern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xternal container could not be solv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lthough it was possible to match this to the aspect of the external color tone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like.

또, 본원 발명자들은 앞선 경우와 동일하게 일본 특원 2000-346375호에 의해 형광표시관에서의 게터작용을 얻기 위한 구성을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안하였다.In addi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proposed a structure for obtaining a getter action in a fluorescent display tube by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0-346375 as in the foregoing case, as shown in FIGS. 9 and 10.

즉, 도 9는 본 발명자들의 기제안에 관한 형광표시관에서의 진공용기의 게터작용을 얻기 위한 개요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방향에 따른 게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평면 설명도이며, 이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상기 도 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That is,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obtaining a getter action of a vacuum vessel in a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proposal, and FIG. 10 includes a getter portion along the arrow X direction of FIG. It is a plan explanatory drawing of a display part, The same code | symbol as the said FIG. 8 has shown the same or equivalent part in these FIG. 9 and FIG.

이 도 9 및 도 10의 기제안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평광표시관을 구성하는 진공용기 내에는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의 내면에서의 투명도전막(100)에 대향하는 내부 한쪽 구석에 게터(31)가 구비되어 있고, 제조 시에 있어서는 상기 게터(31)에 대향하는 페이스플레이트(10)의 바깥쪽 위치에 고주파 가열코일(32)을 배치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주파 가열코일(32)로의 통전에 의해 게터(31)를 고주파 유도가열하고 증발 휘산시키도록 하고 있다.9 and 10,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constituting the flat display tube is a getter at an inner corner fac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As shown in FIG. (31) is provided, and 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high frequency heating coil 32 is energized by arranging the high frequency heating coil 32 at an outer position of the face plate 10 facing the getter 31. The getter 31 is subjected to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and evaporated to volatilization.

그리고, 상기 유도가열처리 시에서는 게터(31)와 고주파 가열코일(32)과의 사이에 페이스플레이트(10)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투명도전막(100)이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투명도전막(100)인 금속 박막에 전자유도에 따른 와전류가 발생하고 각 해당부분이 각각 부분적으로 가열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 기 페이스플레이트(10)에 관해서는 그 부분적 가열에 의해 크랙 등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고, 또 한편으로는 상기 투명도전막(100)의 금속 박막에 의해 고주파 가열코일(32)이 차폐되어 게터(31)에 대한 유도가열이 저해되게 되는 것이었다.In the induction heating process, since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made of the face plate 10 and the metal thin film is sandwiched between the getter 31 and the high frequency heating coil 32,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 An eddy curr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electron induction in the metal thin film of 100), and each corresponding portion is partially heated. For this reason, the face plate 10 may cause cracks or the like by partial heating, and on the other hand, the high frequency heating coil 32 is shielded by the metal thin film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Induction heating to the getter 31 was to be inhibi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제 1 목적으로 하는 바는, 탑재대상기기 등의 외관 색조의 태양이 예를 들어 금속성 경향을 띤 경우에도 상기 탑재대상기기 등과 상품 디자인면에서 양호하게 조화할 수 있는 구성의 형광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 product and the like, even when an aspect of an external color tone, such as a device to be mounted, tends to be metallic. It is to provide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harmonize well in terms.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형광체의 발광 시에는 해당 발광면부에서의 발광표시의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형광체의 비발광 시에는 미리 의사 하프미러에 의해 표시형성되어 있는 패턴표시를 외부에서 명료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형광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obstruct light emission display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portion when the phosphor emits light, and to clearly display the pattern display previously formed by the pseudo half mirror when the phosphor is not emitted. It is to provide a fluorescent display tube that can be confirmed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진공용기 내에서의 게터작용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의사 하프미러를 형성한 형광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pseudo half mirror capable of satisfactorily achieving a getter action in a vacuum container.

상기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종래의 형광표시관에서의 제조에 곤란함을 수반하는 하프미러에 대신하여 소요의 금속 박막을 균일한 미세 패턴으로 형성하여 의사 하프미러로 함으로써 광투과율이 막두께에 의존하지 않는 형광표시관, 여기에서는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을 구성시킨 것이며, 또 금속 박막에 의한 투명도전막의 해당 부분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과 동등 금속의 미세 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게터 고주파 유도가열용 창(窓)부를 설치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each of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seudo half mirror by forming a metal thin film in a uniform fine pattern instead of the half mirror, which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n a conventional fluorescent display tube, so that light transmittance is improved. A fluorescent display tube which does not depend on the film thickness, wherein a pseudo half-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is constituted, an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by the metal thin film, the fine pattern of the metal thin film and the equivalent metal is electrically insulated and formed. A getter made of a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window is provided.

즉, 본 발명에 의한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전면판과 양극기판, 및 상기 전면판과 양극기판의 각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끼워진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용기를 갖고, 상기 진공용기 내에 적어도 음극과 양극을 구비한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양극기판에 대향하는 내면, 또는 상기 양극기판의 전면판에 대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개구부 및 금속 박막의 비개구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태양을 변화시켜 소요의 미세 패턴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의사 하프미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front plate and a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nd a side plate sandwiched between each peripheral edge of the front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In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t least a cathode and an anode in a container,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includes an opening and a non-opening portion of a metal thin film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opposite to the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or of an inn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opposite to the front plat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pseudo half mirror in which the required fine patterns can be obtained by changing the aspects of the openings and the non-openings.

또, 특허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와의 면적비율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of claim 1, the fine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the area ratio between the opening and the non-opening. .

또, 특허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of claim 1, the fine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opening and the non-opening.

또, 특허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와의 부분적인 일부의 면적비율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s recited in claim 4 is that,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the area ratio of a part of the opening and the non-opening part. It features.

또, 특허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부분 적인 일부 형상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s recited in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of claim 1, the fine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a part of the shape of the opening and the non-opening part. I am doing it.

또, 특허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에 의한 투명도전막의 해당 부분에 대하여 상기 금속 박막과 동등 금속의 미세 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게터 고주파 유도가열용 창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where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etal thin film is equivalent to the metal thin film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by the metal thin film. And a getter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window form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a fine pattern of the film.

또, 특허청구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와의 조합이 상기 의사 하프미러면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격자형상 배열에 의한 조합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일부의 개구율을 변화시켜 미세 패턴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non-opening portion has a lattice shape on the pseudo half mirror surface. The fine pattern is obtained by varying the aperture ratio of at least a part of the arrangement in the lattice arrangement.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8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metal thin film is formed of aluminum.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형광표시관, 여기에서는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의 각 다른 예에 의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by each other exampl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a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의 태양은 앞서 설명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형광표시관과 비교할 때, 의사 하프미러의 패턴이 다를 뿐 구성 자체는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기 도 8 내지 도 10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Note that the aspect of the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seudo half mirror, except that the pseudo half mirror pattern is different as compared with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shown in Figs. This will also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Therefore, the same code | symbol has shown the same or equivalent part in each of thes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의 주요부 구성의 개요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박막 패턴(이하, 알루미 박막 패턴이라 칭함)형상에서의 제 1 내지 제 3의 각 예를 각각에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박막 패턴형상에서 일부의 개구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문자열 표시의 제 1 및 제 2의 각 예를 각각에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explanatory sectional drawing which expands and shows the outline of the principal part structure of the pseudo half-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to 4 are planar explanatory views showing respective first to third examples in the shape of the aluminum thin film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luminum thin film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respectively. FIGS. 5 and 6 Fig. 1 is a planar explanatory diagram showing respective first and second examples of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aperture ratio is changed in the aluminum thin film pattern shape of the pseudo half mirror.

우선,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에 의한 형광표시관의 개요 구성은 상기 도 8의 설명에 의해서도 알 수 있듯이, 소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전면판(페이스플레이트)(10)과, 유리로 이루어지는 양극(애노드)기판(20)을 갖고,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와 애노드기판(20)과의 각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위요하고 유리로 이루어지는 측면판(60)을 사이에 끼우고, 또한 종래와 동일하게 이들 각 유리부재 상호를 도시하지 않은 봉하는 유리에 의해 봉하고 또 밀봉하는 것으로 진공용기, 이른바 외관용기를 형성하고 있다.First, also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outline structur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by this embodiment can also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FIG. 8 above, and is made of a front plate (face plate) made of glass facing each other with a required interval. 10,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node) substrate 20 made of glass,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between the face plate 10 and the anode substrate 20 and having a side plate 60 made of glass therebetwee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related art, a sealing vessel (not shown) of each of the glass members is sealed and sealed with glass to form a vacuum vessel, a so-called exterior vessel.

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의 내면(상기 애노드기판(20)에 대향하는 하면)에는 종래예의 경우, 하프미러로서 이용하는 박막형상의 투명도전막(투명전극)(100)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하프미러로서의 투명전극(100)에 대신하여,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6의 각 다른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 구성의 의사 하프미러로서 이용하는 박막형상 의 투명도전막(투명전극)(100)을 형성하고 있다.Moreover, although the thin film-shap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electrode) 100 used as a half mirror wa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lower surface opposing to the anode substrate 20) of the face plate 10 in the conventional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100 as the half mirror, a thin film-shap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electrode) 100 used as a pseudo half mirror having a pattern configuration as shown in each of the other examples of FIGS. ).

그리고, 상기 애노드기판(20)의 내면(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에 대향하는 상면)에 있어서는 종래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알루미늄 배선을 형성하고, 또 상기 알루미늄배선의 상면을 덮어 절연층을 적층시키고, 또한 상기 절연층의 각 관통홀을 통하여 형광체를 도포한 애노드전극(21)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애노드전극(21)의 위쪽에는 소요의 그리드(30)와 음극 필라멘트(40)를 소정 간격으로 각각에 배치시키고 있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ode substrate 20 (upper surface opposed to the face plate 10), aluminum wiring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case, and an insulating layer is laminat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wiring. In addition, an anode electrode 21 coated with a phosphor is provided through each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the grid 30 and the cathode filament 40 required are arranged on the anode electrode 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의사 하프미러로서의 투명도전막(100)에 대해서는 이것을 알루미늄막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해당 표시면에서의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고, 이 경우 형광표시관의 양극을 발광시키고 있는 때에는 하프미러로서 작용시켜서, 표시부의 표시를 외부에서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0 serving as the pseudo half mirr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10 is formed of an aluminum film to improve the contrast on the display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ano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is emitting light, it acts as a half mirror so that the display of the display can be clearly observed from the outside.

여기에서 상기 투명도전막이 되는 알루미늄막(110)은 도 2 내지 도 4 및 도 5, 도 6에 각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표시부에 대응하는 각 표시부분에 있어서 광을 투과하는 개구부(111)와 광을 투과하지 않는 비개구부(112)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각 알루미늄 박막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각 박막 패턴을 격자형상으로 조합 배치하여 구성한다.Herein, the aluminum film 110 serving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has openings 111 that transmit light in each displa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as shown in FIGS. 2 to 4, 5, and 6. ) And each of the aluminum thin film pattern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non-opening portion 112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and the thin film pattern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박막 패턴구성의 경우, 형광표시관의 내부의 태양은 알루미늄막(110)이 존재하지 않는 개구부(111)를 통하여 보는 것이 가능하지만, 알루미늄막(110)에 의해 형성되는 비개구부(112)를 통해서는 볼 수 없다. 그리고, 이 경우 알루미늄막(110)을 통하여 형광표시관의 내부가 어느 정도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는 각각에 조합된 개구부(111)와 비개구부(112)와의 면적비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즉, 이것을 바꿔 말하면 개구부(111)와 비개구부(112)와의 면적비에 의해 광투과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박막 패턴구성의 알루미늄막(110)에서는 막두께의 여하에 따라서 광투과율이 변화하는 종래예에서의 하프미러와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상기 하프미러의 유사의 기능을 갖는 알루미늄막(110)을 의사 하프미러로 부르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thin film pattern structure thus formed, the insi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can be seen through the opening 111 in which the aluminum film 110 does not exist, but the non-opening portion formed by the aluminum film 110 ( Through 112). In this case, the extent to which the insi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e aluminum film 110 is determined by the area ratio between the opening 111 and the non-opening portion 112 combined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since the light transmitt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area ratio between the opening 111 and the non-opening 112, the light transmit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film thickness in the aluminum film 110 having the thin film pattern as a result. The function and action similar to that of the half mirror in the example can be achieved. Here, the aluminum film 110 having the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half mirror is referred to as a pseudo half mirror.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에 조합된 개구부(111)와 비개구부(112)와의 면적비를 부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형광표시관에서의 발광표시를 외부에서 관찰하여 시인할 때의 개구부(111)를 통한 발광표시의 보기 용이함과, 비개구부(112)에서의 외광 차폐의 변화와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알루미늄 패턴표시를 이룰 수 있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changing the area ratio between the openings 111 and the non-openings 112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light emitting display through the opening 111 when the light emitting display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is observed and view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fact that various aluminum pattern displays can be achieved by a combination of ease of viewing and change of external light shielding in the non-opening portion 112 (see FIGS. 2 to 6 for details).

즉, 형광표시관의 양극을 발광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광의 반사에 의해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막(110)에서의 박막형상 격자 패턴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표시 패턴을 효과적으로 표시 형성시킬 수 있고, 한편, 형광표시관의 양극을 발광시킨 경우라도 동일하게 외광의 반사에 의해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막(110)에서의 박막형상 격자 패턴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표시 패턴을 용이하게 관찰 또한 시인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ano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is not emitting light, a display pattern desired by a combination of thin film lattice patterns in the aluminum film 110 formed on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by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Can be effectively formed and a thin film lattice in the aluminum film 110 formed on the faceplate (front plate) 10 by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even when the ano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is made to emit light. By combining the patterns, the desired display pattern can be easily observed and visually recognized.

여기에서, 상기 알루미늄막(110)으로 이루어지는 의사 하프미러의 광투과율은 상기 개구부(111)와 비개구부(112)와의 면적비 및/또는 형상을 임의로 변화시키 는 것으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형광체의 종류, 그것에 표시관 자체의 내면 태양이나 내부 부품의 반사율 등을 감안하여 표시면에서의 원하는 콘트라스트가 얻어지도록 선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체의 비발광 시에 있어서는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광투과율의 상위에 따라 원하는 대로의 알루미늄 패턴의 표시형성도 또 가능하다.Here,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seudo half mirror made of the aluminum film 110 can be easily adjusted by arbitrarily changing the area ratio and / or the shape of the opening 111 and the non-opening 112.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y tube itself, the reflectance of internal components, and the like, it can be selected and set so as to obtain a desired contrast on the display surfa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luminescence of the phosphor, the display pattern of the desired aluminum pattern can also be form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seudo half mirror.

이것에 반하여 상기 알루미늄막(110)으로 이루어지는 의사 하프미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의 부품 구성 등이 보이게 되기 때문에 비점등 시라도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게 되어 매우 보기에 안좋게 되며, 또한 그의 점등 시에는 상기 내부의 부품 등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콘트라스트가 저하한다는 불이익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seudo half mirror made of the aluminum film 110 is not installed, the internal component structure and the like are visible,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from the outside even when the lamp is not l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isplay contrast is lowered by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internal components or the like.

한편,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광투과율이 너무 낮아지면, 점등하고 있는 형광체의 발광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당연한 것이지만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의 광투과율로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too low, light emission of the phosphor which is turned on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so it is natural but is set to a light transmittance in the easily visible range.

그리고, 여기에서의 의사 하프미러의 광투과율을 어느 정도로 설정하는가에 대해서는 형광표시관 내부에서의 광반사율이나 발광휘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소요의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하면 좋다.The degree of light transmittance of the pseudo half mirror here may be set so that the necessary contrast can be obtained by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light reflectance and the luminance of light 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예를 들면 상기 비개구부(112)의 폭을 30㎛로 하였을 때, 개구부(111)의 폭을 25~30㎛의 범위로 하여 그 개구율을 20~25%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1)와 비개구부(112)와의 조합에서 원하는 영역의 광투과율을 0%(알루미늄막만으로 개구부가 없는 영역)에서 100%(알루미늄막 이 없고 개구부만의 영역)의 조합에 의해 소요의 문자, 도형 등의 박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막(110)으로 이루어지는 비개구부(112)가 이 경우, 25~30㎛의 범위이며, 이 종류의 형광표시관에서의 통상의 발광 패턴의 크기(0.2mm에서 수mm)에 대하여 상당히 미세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관찰 시인을 방해할 우려는 없으며, 이에 의해 소기대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non-opening part 112 is 30 micrometers as an example, the width | variety of the opening part 111 shall be 25-30 micrometers, and the opening ratio shall be 20-25%. Set.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111 and the non-opening portion 112 allows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desired area to be adjusted from 0% (the area without the opening only with the aluminum film) to 100% (the area without the aluminum film and only the opening). Thin film patterns such as required characters and figures can be formed. Therefore, the non-opening portion 112 made of the aluminum film 110 is in this case in the range of 25 to 30 μm, and with respect to the size (0.2 mm to several mm) of the normal light emission pattern in this type of fluorescent display tube Since it is very fine, there is no possibility of disturbing the observation from the outsid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red effect can be obtained by this.

또, 상기 하프미러를 형성하는 알루미늄막(110)의 막두께에 대해서는 비개구부(112)가 광투과성을 잃는 두께 이상, 예를 들면 여기에서와 같이 알루미늄의 경우라면 1000Å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알루미늄막(110)은 도전재료이기 때문에 앞서 종래예에서 설명한 크롬막의 경우와 동일하게 정전 차폐 및 전자 확산의 각 기능도 겸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알루미늄막(110)에 관해서는 그 막두께가 1000Å 이상이 되면, 전기저항이 수 Ω 이하로 저하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정전 차폐 및 전자 확산의 각 기능에는 어떠한 문제도 생기는 일은 없다. In addi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aluminum film 110 forming the half mirror is preferably set to 1000 kPa or more if the non-opening portion 112 loses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luminum as described herein. . Since the aluminum film 110 is a conductive material, the aluminum film 110 also serves as electrostatic shielding and electron diffusion as in the case of the chromium film described in the prior art. When the thickness is 1000 kPa or more, the electrical resistance drops to several kPa or less, so that no problems arise in the functions of the electrostatic shielding and electron diffusion here.

즉, 여기에서의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알루미늄막(110)과, 앞서 설명한 종래의 크롬막(100)과의 전기 저항을 비교하면, 저항률은 알루미늄쪽이 크롬보다도 작고, 또 크롬막(100)에 대해서는 하프미러로 하기 위해서 그 막두께를 예를 들면 190Å(광투과율이 거의 0%) 이하로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에 대하여 알루미늄막(110)의 막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1000Å 이상이어도 좋고, 이 결과 알루미늄막(110)의 전기 저항값은 크롬막(100)의 그것보다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들 양 자의 열전도율은 알루미늄쪽이 크롬보다도 수배 크기 때문에 그 방열효과에 대해서는 상기 크롬막(100)과 비교할 때, 알루미늄막(110)쪽이 현격히 우수하다.That is, when the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aluminum film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chromium film 100 described above is compared, the resistivity of aluminum is smaller than that of chromium, and the chromium film 100 For the half mirror, the film thickness must be, for example, 190 kPa or less (light transmittance of almost 0%). On the other h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aluminum film 110 may be 1000 kPa or more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aluminum film 110 can be suppressed smaller than that of the chromium film 10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se protons is several times larger than that of chromium,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s remarkably superior to the aluminum film 110 in comparison with the chromium film 100.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의 내면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알루미늄막(110)에서의 박막 패턴에 의해 광을 투과하는 개구부(111)와 광을 차폐하는 비개구부(112)가 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형광표시관의 비발광부분(사선으로 나타내는 애노드전극(24)의 부분)의 외광은 알루미늄 패턴에 의해 차광되고, 이 결과 외광의 투과광에 의한 형광표시관 내부의 산란광은 그 대부분이 관찰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형광표시관의 발광부분(까맣게 칠한 부분으로서 나타내는 애노드전극(24)의 부분)의 자발광에 의한 광은 알루미늄막(11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구부(111)의 부분에서 투과하여 관찰되게 된다.In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light is emitted by a thin film pattern in the aluminum film 110 provided in a lattice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The opening 111 which transmits and the non-opening part 112 which shield light are formed mutually. Here, the external light of the non-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part of the anode electrode 24 represented by the diagonal lines) is shielded by the aluminum pattern, and as a result, most of the scattered light inside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due to the transmitted light of external light is observed. It doesn't work.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ed by the self-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the portion of the anode electrode 24 shown as the black por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rtion of the opening 111 where the aluminum film 110 is not provided and observed. Will be.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알루미늄막(110)에 대해서는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의 외면에 설치하여도 그 결과는 동일하며, 또 형광체의 발광을 애노드기판(양극기판)(20)의 외측에서 관찰하는 전면 발광형의 것이라면 상기 애노드기판(양극기판)(20)의 외측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luminum film 1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and the result is the same, and the light emission of the phosphor is further reduced from the anode substrate (anode substrate) (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if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anode substrate (anode substrate) 20 as long as it is of the top emission type observed from the outside of 20).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의 알루미늄막(110)에 의한 각 박막 패턴의 조합배치의 구체적인 각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specific different examples of the combination arrangement of the thin film patterns by the aluminum film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여기에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의 내면에 설치되는 알루미늄막(110)에서의 표시에 대해서는 박막 패턴의 형상, 개구부(111)와 비개구부(112)와의 면적비율 등에 의해 다음의 3가지의 표시방법이 있다. 즉,Here, for the display on the aluminum film 11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the shape of the thin film pattern, the area ratio between the opening 111 and the non-opening 112, and the like are as follows. There are three display methods. In other words,

①형광표시관의 애노드전극을 발광시키지 않을 때에 외광의 반사에 의해 알루미늄막의 모양이 보이도록 하는 경우,(1) When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does not emit light, the shape of the aluminum film is visible by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②형광표시관의 애노드전극을 발광시킨 때에 알루미늄막의 모양이 보이도록 하는 경우,② When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emits light, the shape of the aluminum film is visible.

③형광표시관의 애노드전극을 발광시키지 않을 때 또는 발광시킨 때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알루미늄막의 모양이 보이도록 하는 경우,(3) When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does not emit light or when the shape of the aluminum film is visible in either of the cases where it emits light,

의 각각이다.Are each.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알루미늄막(110)의 박막 패턴에 대해서 이것을 개구부(광투과부)(111)와 비개구부(비광차폐 알루미늄 패턴부)(112)를 격자형상으로 배치 형성하고 있지만, 개구부(111)를 장변이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슬릿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슬릿의 폭이 극히 미세하게 되면, 이른바 무아레(moire)줄무늬가 생기는 일도 있고, 이 무아레줄무늬에 대해서는 장식적으로도 이용 가능하지만,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통상 상기 개구부(111)의 폭을 수배로 선정한다.In FIGS. 2 to 6, the openings (light transmitting portions) 111 and the non-opening portions (non-light shielding aluminum pattern portions) 112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with respect to the thin film pattern of the aluminum film 110. 111) may be a slit shape consisting of a rectangular long side. 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slit becomes extremely fine, so-called moire stripes may be formed, and the moire stripes may be used decoratively, but in the case of interference, the width of the opening 111 is usually We choose by arrangement.

여기에서 도 2에 도시한 제 1 예의 미세 패턴은, 모두 정방형상으로 복수 구분된 영역 A와 B에 있어서, 한편의 영역 A의 광투과부 면적에 대해서 다른쪽 영역 B의 광투과부 면적을 약 2배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영역 A와 B를 바둑판무늬로 배치 구성한 경우의 예이다. 따라서, 이렇게 각 영역 A와 B와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다양한 모양, 문자, 도형 등을 각각에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앞서 설명한 표시의 방해는 되지 않는 뉴트럴·덴시티·필터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Here, in the fine patterns of the first example shown in Fig. 2, in the areas A and B, which are all divided into squares, the area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other area B is about twice the area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other area A. This is an example in the case of setting and arranging the regions A and B in checkered patter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ombinations of desired shapes, characters, figures, and the like can be configured and display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areas A and B in this way, and as a neutral density filter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forementioned display. Can be used.

도 3에 도시한 제 2 예의 미세 패턴은, 상기 영역 A와 장방형상으로 복수 구분된 영역 C에 있어서, 한쪽의 영역 A의 광투과부 면적에 대하여 다른쪽 영역 C의 광투과부 면적을 약 2배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영역 A와 C를 바둑판무늬로 교대로 배치 구성한 경우의 예이다. 따라서, 이들 각 영역 A와 C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다양한 모양, 문자, 도형 등을 각각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여기에서도 동일하게 표시의 방해는 되지 않는 뉴트럴·덴시티·필터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fine pattern of the second example shown in FIG. 3, the area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other area C is set to about twice the area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one area A in the area C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 and the rectangle. In addition, this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regions A and C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checkered patter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mbination of these areas A and C can form and display various desired shapes, characters, and figures, respectively, and the neutral density filter which does not disturb display likewise here. It can be used as.

도 4에 도시한 제 3예의 미세 패턴은, 모두 장방형상으로 복수 구분된 영역 C와 D에 있어서, 이들 각 영역 C와 D를 장방형의 장변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바둑판무늬로 배치 구성한 경우의 예이다. 따라서, 이들 각 영역 A와 C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다양한 모양, 문자, 도형 등을 각각에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여기에서도 또 표시의 방해는 되지 않는 뉴트럴·덴시티·필터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fine patterns of the third example shown in Fig. 4, in the regions C and D, which are all divided into a rectangular shape, each of the regions C and D is arranged in a checkered pattern so that the rectangular long side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o be.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ombination of these areas A and C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desired shapes, characters, figures, and the like, respectively, and the neutral density filt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isplay again. It can be used as.

또, 도 5에는 상기 미세 패턴에 의해 문자열을 표시한 경우의 제 1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체예에서는 예를 들면 비개구부의 폭을 30㎛으로 하고, 또한 개구부의 폭을 25~30㎛의 범위로 하여 광투과율을 20~25%로 설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의사 하프미러부분에서의 일부의 개구부를 알루미늄막으로 막도록 하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FUTABA」의 문자열을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연속하는 알루미늄 패턴은 대략 80㎛정도로 통상의 형광표시관의 발광패턴(0.2mm에서 수 mm정도)보다도 훨씬 크기 때문에 표시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5 shows a first example in the case where a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by the fine pattern. In this specific example, the light transmittance was set to 20 to 25%, for example, with the width of the non-opening part being 30 m,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part being 25 to 30 m. Here, a part of openings in the pseudo half mirror portion is covered with an aluminum film, and a pattern is formed, for example, to display a character string of "FUTABA". In this case, the continuous aluminum pattern is approximately 80 µm, which is much larger than the light emitting pattern of the ordinary fluorescent display tube (0.2 mm to several mm), so that display is not disturbed.

또한, 도 6에는 상기 미세 패턴에 의해 문자열을 표시한 경우의 제 2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체예에서도 예를 들면 비개구부의 폭을 30㎛로 하고, 또한 개구부의 폭을 25~30㎛의 범위로 하여 광투과율을 20~25%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동일하게 의사 하프미러부분에서의 일부의 개구부를 알루미늄막으로 막도록 하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FUTABA」의 문자열을 반전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개구부 영역은 대략 80㎛정도이며 외부 전계를 차폐하는 효과는 충분하였다.6, the 2nd example at the time of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by the said fine pattern is shown. Also in this specific example, the light transmittance was set to 20-25% with the width of a non-opening part set to 30 micrometers, and the width | variety of an opening part to 25-30 micrometers, for example. Here, similarly, a part of the openings in the pseudo half mirror portion is blocked with an aluminum film, and a pattern is formed, for example, in order to invert the character string of "FUTABA". In this case, the opening area was about 80 µm and the effect of shielding the external electric field was sufficient.

이어서, 상기 형광표시관에서의 게터작용을 위한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면에서의 알루미늄막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aluminum film in the faceplate (front plate) surface for getter action | action in the said fluorescent display tube is demonstrated.

도 7은 상기 의사 하프미러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진공용기 내에서의 게터작용을 얻기 위한 표시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Fig. 7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unit for obtaining a getter action in a vacuum container in the pseudo half mirror fluorescent display tube.

상기 형광표시관의 구성에 있어서,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면에서의 금속 박막에 의한 투명도전막으로서의 알루미늄막(110)의 해당 부분, 즉 앞서 종래예에서 설명한 게터작용을 얻기 위한 창부(141)의 대응부분에는, 상기 창부(141)에서와 같이 금속 박막을 형성하지 않는 고주파 유도가열용 창부 영역으로는 하지 않고, 소요의 게터 고주파 유도가열용 창부(121)를 형성하고, 또 상기 창부(121) 내에 있어서 다른 부분의 각 미세 패턴과는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 박막과 동등 금속을 이용한 각각의 알루미늄막(122)에 의한 각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uorescent display tube,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aluminum film 110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by a metal thin film on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surface, that is, a window portion for obtaining the getter action described in the prior art example (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141, a desired getter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window 121 is formed without forming a window area for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that does not form a metal thin film as in the window 141.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respective minute patterns in the other part in the 121, each minute pattern by the aluminum film 122 using the metal thin film and the equivalent metal is formed.

따라서, 상기 전기적으로 절연된 각각의 알루미늄막(122)을 갖는 게터 고주파 유도가열용 창부(121)는 종래의 금속 박막을 형성하지 않는 창부(141)와는 다르며, 각 알루미늄막(122)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상기 게터에 대한 전자유도가열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가열 시에 고주파 자계의 대부분이 게터 가열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알루미늄막(122)이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에 크랙 등을 생기는 정도로는 가열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먼저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getter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window 121 having each of the electrically insulated aluminum films 122 is different from the window parts 141 which do not form a conventional metal thin film, and the influence of each aluminum film 122 is affec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duct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to the getter without receiving, and since the majority of the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contributes to the getter heating at the time of heating, the aluminum films 122 have the face plate (front plate) ( It is not heated to the extent that a crack etc. generate in 10), and this can easily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 described above.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의사 하프미러의 형성용 박막으로서 알루미늄막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박막재료로는 알루미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면, 그 밖의 동일한 효과를 얻는 금속을 이용하여도 좋다.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n aluminum film as a thin film for formation of a pseudo half mirror was demonstrated, you may use the metal which acquires another similar effect as it is not limited to only aluminum as said thin film material.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페이스플레이트(전면판)(10)의 내면의 전면에 알루미늄막(110)을 형성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특히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의도하는 경우에는 상기 알루미늄막(110)을 표시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표시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사 하프미러로 하고, 다른 것은 알루미늄의 균일한 박막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s, an example in which the aluminum film 11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front plate) 10 has been described. In particular, the aluminum film is intended to improve the contrast. 110 may be formed only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ay be a pseudo half mirror, and the other may be a uniform thin film of aluminum.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알루미늄막(110)의 표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개구부(111)를 형성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개구부(111)를 알루미늄막(110)의 전면에 형성하여도 아무런 지장은 없으며, 또한 개구부(111) 자체의 형상에 대해서도 격자형상이나 슬릿형상 이외의 임의형상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격자나 슬릿의 형성방향에 대해서도 경사방향, 가로방향 등으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In addition,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part 111 is formed only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rt of the aluminum film 110 was demonstrated, the said opening part 111 is formed in the whole surface of the aluminum film 110. FIG. The shape of the opening 111 itself can be arbitrarily formed in any shape other than the lattice shape or the slit shape, and the shape of the lattice or the slit can be arbitrarily set in the inclination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Do.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탑재 대상기기 등의 외관 색조의 형태가 금속성 경향을 띤 경우 등에도 탑재 대상기기와 상품 디자인면에서 양호하게 조화될 수 있는 구성의 형광표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well harmonized in terms of product design with the target device even when the appearance color of the target device or the like tends to be metallic. Can be.

또한, 형광체의 발광 시에는 해당 발광면부에서의 발광 표시의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형광체의 비발광 시에는 미리 의사 하프미러에 의해 표시되고 형성되어 있는 패턴 표시를 외부에서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광표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hosphor emits light, the luminescence display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ght emitting display, and when the phosphor does not emit light, the fluorescence can clearly and effectively confirm the pattern display that is displayed and formed by the pseudo half mirror in advance from the outside. Can provide a display tube.

또한, 진공용기 내에서의 게터작용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의사 하프미러를 형성한 형광표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pseudo half mirror capable of satisfactorily achieving a getter action in a vacuum container can be provided.

Claims (8)

서로 대향하는 전면판과 양극기판, 및 상기 전면판과 양극기판의 각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끼워진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용기를 갖고, 상기 진공용기 내에 적어도 음극과 양극을 구비한 형광표시관에 있어서,In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front plate and a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nd a side plate sandwiched between respective peripheral edg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and having at least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in the vacuum container, 상기 전면판의 양극 기판에 대향하는 내면에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태양을 변화시켜 소요의 미세 패턴을 얻도록 한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하프미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금속박막에는 게터 고주파 유도가열용 창부를 형성하고, 상기 창부에는 상기 금속박막과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박막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미세 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An half mirror formed of a metal thin film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a non-opening por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opposite to the anode substrate, and changing the sun of the opening and the non-opening portion to obtain a desired fine pattern; And a getter for a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window in the metal thin film, and a fine pattern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metal thin film made of the same metal as the metal thin fil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와의 면적비율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And a fine pattern of said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the area ratio between said opening portion and said non-open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And a fine pattern of said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the shape of said opening portion and said non-open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와의 부분적인 일 부의 면적비율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And wherein the fine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a partial area ratio between the opening portion and the non-open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사 하프미러의 미세 패턴이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부분적인 일부 형상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And a fine pattern of the pseudo half mirror is obtained by changing a partial partial shape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non-open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개구부와 비개구부의 조합이 상기 의사 하프미러면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배열되고, 또 상기 격자형상 배열에 의한 조합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일부의 개구율을 변화시켜 미세 패턴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s and the non-openings is arranged in a lattice shape on the pseudo half mirror surface, and at least a part of the aperture ratio is changed in the combination by the lattice arrangement to obtain a fine pattern.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금속 박막은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And the metal thin film is formed of aluminum.
KR1020010070328A 2000-11-14 2001-11-13 Fluorescent display device KR1005493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6375A JP3455175B2 (en) 2000-11-14 2000-11-14 Fluorescent display tube with half mirror
JPJP-P-2000-00346375 2000-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694A KR20020037694A (en) 2002-05-22
KR100549326B1 true KR100549326B1 (en) 2006-02-02

Family

ID=1882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328A KR100549326B1 (en) 2000-11-14 2001-11-13 Fluorescen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55175B2 (en)
KR (1) KR100549326B1 (en)
CN (1) CN1252791C (en)
TW (1) TW52243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8165B2 (en) * 2005-07-29 2009-11-04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Fluorescent displ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9136A (en) 2002-07-17
KR20020037694A (en) 2002-05-22
JP2002150980A (en) 2002-05-24
TW522433B (en) 2003-03-01
CN1252791C (en) 2006-04-19
JP3455175B2 (en) 200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37343A (en) Picture display device
WO2019008705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production method
TW201906149A (en) Pixel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49326B1 (en) Fluorescent display device
US5403614A (en) Method for making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CN111063716A (en)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020006449A (en) Fluorescent display device
KR100253445B1 (en) Fluorescent display panel effectively decreasing light component reflected on pieces of frit
JPH03233891A (en) El(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3123674A (en) Fluorescent display tube
JPS5816134Y2 (en) fluorescent display tube
US20060158085A1 (en) Electron-emission flat panel display
JP2513389B2 (en) Color shift fluorescent display tube
JP3976892B2 (en) Thin film EL device
JP2002298766A (en) Fluorescent display tu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0454678Y2 (en)
KR100277645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KR940008008Y1 (en) Fluorescent display tube
KR100334022B1 (en) Method for forming luminuos pattern and vacuum fluorescent display with the pattern
JPS6340238A (en) Fluorescent display tube
JPS5924486B2 (en) multi-digit fluorescent display tube
KR100521778B1 (en) Front Luminescent Vacuum Fluorescent Display
JPS61142692A (en) Matrix display type electroluminescence element
JPH04359848A (en) Display device
JPS6059639A (en) Fluorescent character displ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