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027B1 - Switch apparatus - Google Patents
Switch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9027B1 KR100549027B1 KR1020040003014A KR20040003014A KR100549027B1 KR 100549027 B1 KR100549027 B1 KR 100549027B1 KR 1020040003014 A KR1020040003014 A KR 1020040003014A KR 20040003014 A KR20040003014 A KR 20040003014A KR 100549027 B1 KR100549027 B1 KR 1005490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witch device
- housing
- contact portions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이 양호하고, 염가이며, 또 접촉이 안정된 동시에, 접속의 융통성이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device having good productivity, low cost, stable contact, and flexible connection.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외부단자 (13a,13b) 가 삽입관통이 가능한 삽입관통구멍 (2e) 을 갖는 하우징 (1) 과, 가동접점 (10) 과 접촉이 가능한 제 1, 제 2 접점부 (8a,9a), 및 외부단자 (13a,13b) 와 각각 접촉이 가능한 제 1, 제 2 접촉부 (8c,9c) 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단자판 (8,9) 을 구비하고,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접촉부 (8c,9c) 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면끼리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외부단자 (13a,13b) 의 접속 방향이 하우징 (1) 의 측면벽 (2b), 또는 후면벽 (2a) 에 대응할 수 있어, 융통성이 증가하는 동시에, 단순히 삽입관통구멍 (2e) 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어,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염가인 것을 얻을 수 있다. As a solution for this,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 having an insertion through hole (2e) through which the external terminals (13a, 13b) can be inserted, and a first, which can b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10).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8 and 9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second and second contact portions 8a and 9a and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8c and 9c capable of contacting with external terminals 13a and 13b,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8c and 9c made of metal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8c and 9c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s 13a and 13b can correspond to the side wall 2b or the rear wall 2a of the housing 1, thereby increasing the flexibility and simp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hrough hole 2e. It can cope simply, and common parts can be aimed at and inexpensive thing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state in which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7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 관련되는 단자판의 배열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of terminal plates according to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도 10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관련되며 단자판을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rminal plate in relation to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도 11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 1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도 12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 2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하우징 2: 케이스1: housing 2: case
2a: 후면벽 (장착벽) 2b: 측면벽 (장착벽)2a: rear wall (mounting wall) 2b: side wall (mounting wall)
2c: 측면벽 2d: 수납부2c:
2e: 삽입관통구멍 2f: 오목부2e: through
2g: 볼록 돌기부 2h: 볼록부2g:
2j: 걸림돌기 2k: 볼록 돌기부2j:
2m: 구획벽 3: 커버2m: partition wall 3: cover
3a: 구멍 3b: 전면벽3a:
3c: 측벽 3d: 걸림구멍3c:
3e: 볼록 돌기부 4: 방수부재3e: convex protrusion 4: waterproof member
4a: 판형상부 4b: 팽창돌출부4a:
4c: 구멍 5: 조작체4c: hole 5: manipulator
5a: 유지부 5b: 구멍5a: holding
5c: 통형상부 5d: 머리부5c:
6: 절연기체 6a: 저벽6:
6b: 측벽 6c: 기둥형상부6b:
7: 코일스프링 8: 제 1 단자판7: coil spring 8: 1st terminal board
8a: 제 1 접점부 8b: 벤딩부8a:
8c: 제 1 접촉부 8d: 접점8c:
9: 제 2 단자판 9a: 제 2 접점부9:
9b: 벤딩부 9c: 제 2 접촉부9b: bending
9d: 접점 9e: 구멍9d:
10: 가동접점 10a: 제 1 접촉편10:
10b: 제 2 접촉편 11: 패킹부재10b: second contact piece 11: packing member
11a: 구멍 11b: 도피부11a:
11c: 볼록부 12: 장착부재11c: convex portion 12: mounting member
12b: 볼록 돌기부 12c: 장착다리12b: convex
13a: 외부단자 13b: 외부단자13a:
A1: 직선 A2: 직선A1: straight line A2: straight lin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suitable for use in doors of automobiles and the like.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9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단자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 1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 2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FIG. 10 is related to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rminal plate, and FIG. 11 is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witch device.
이어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도 9, 도 10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하우징 (51) 은, 커버부 (51a) 와, 이 커버부 (51a)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삽입관통구멍 (51b) 이 형성된 나사부 (51c) 를 갖는다. 9 and 10, the
삽입관통구멍 (51b) 에 삽입관통된 조작체 (52) 는, 단부에 캠부 (52a) 를 갖고, 이 조작체 (52) 의 중심부에는, 코일스프링 (53) 으로 가압된 작동체 (54) 가 삽입되어, 작동체 (54) 의 캠부 (54a) 가 캠부 (52a) 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The
그리고, 조작체 (52) 를 코일스프링 (53) 에 저항하여 가압했을 때, 캠부 (52a,54a) 에 의해, 작동체 (54) 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And when the
가동접점 (55) 을 장착한 회전체 (56) 는, 작동체 (54) 와 스플라인식으로 걸어맞춰져 형성되고, 작동체 (54) 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The rotating
절연기체 (57) 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단자판 (58) 이 매설되어 장착되어 있다. A plurality of
이 단자판 (58) 은, 절연기체 (57) 의 상면에 노출된 접점부 (58a) 와, 절연기체 (57) 로부터 일렬상태로 돌출된 단자부 (58b) 와, 이 단자부 (58b) 의 각각에 형성된 환형상의 접촉부 (58c) 를 갖는다. The
그리고, 접점부 (58a) 에는, 회전동작하는 가동접점 (55) 이 접촉분리되어, 접점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이 전환신호가 단자부 (58b) 또는 접촉부 (58c) 로부터 도출되도록 되어 있다. And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상의 접촉부 (58c) 에는, 선형상의 외부단자 (59) 가 꽂혀져 접속되거나, 또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된 단자부 (58b) 가 프린트기판 (60) 에 꽂혀져, 도전패턴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접속되어, 스위치 장치의 접속에 융통성을 갖게 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제2779951호).In the conventional switch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a linear
그러나,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서의 외부단자 (59) 와의 접속에는, 환형상의 접촉부 (58c) 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가공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며, 비용이 높아지고, 또 환형상의 접촉부 (58c) 는, 일렬로 병렬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단자 (59) 의 꽂는 방향이 일정해져, 융통성이 없다. However, since the
또, 접촉부 (58c) 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성이 작고, 외부단자 (59) 와의 접촉이 안정되지 않고, 또한, 접촉부 (58c) 가 하우징 (51) 밖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등으로 인해,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것이었다. In addition, since the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판 (58) 에 환형상의 접촉부 (58c) 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가공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며, 비용이 높아지는 동시에, 환형상의 접촉부 (58c) 는, 일렬로 병렬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단자 (59) 의 꽂는 방향이 일정해져, 융통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switch devi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접촉부 (58c) 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성이 작고, 외부단자 (59) 와의 접촉이 안정되지 않고, 또한 접촉부 (58c) 가 하우징 (51) 밖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등으로 인해, 접촉이 불안정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그래서, 본 발명은, 생산성이 양호하고, 염가이며, 또 접촉이 안정된 동시에, 접속의 융통성이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device having good productivity, low cost, stable contact, and flexible conne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복수의 수(male)형 외부단 자가 삽입관통이 가능한 삽입관통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이동이 가능한 조작체와,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접촉이 가능한 제 1, 제 2 접점부, 및 상기 외부단자와 각각 접촉이 가능한 제 1, 제 2 접촉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단자판을 구비하고,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의 면끼리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As a first solu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through-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le type external terminals can be inserted, a movable operation part exposed from the housing, and the housing A movable contact formed in the housing and movable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body;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formed in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1st and 2nd terminal board which consists of a metal plate which has a 2nd contact part, Comprising: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which consists of metal plates mutually parallel, and the surfaces of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mutually parallel. It was set as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의 면끼리가 하나의 직선 상에서, 서로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Moreover, as a 2nd solution means, the surfaces of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we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opposed each other on one straight line.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의 면이 서로 평행한 2 개의 직선 상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비대향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Moreover, as a 3rd solution means, the surface of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was located on the two straight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and it was set as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in mutually opposing state.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1 접촉부를 갖는 상기 제 1 단자판이 1 개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촉부를 갖는 상기 제 2 단자판이 1 개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Further, as a fourth solution, the first terminal plate hav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one metal plate,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hav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rovided. It was set as the structure formed from one metal plate.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단자판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제 2 접점부가 서로 근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단자판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제 2 접촉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Further, as a fifth solu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late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It was set 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2nd contact part was formed.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단자판이 L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선단측에 상기 제 1, 제 2 접촉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Moreover, as a 6th solution means, the said 1st, 2nd terminal board was bent to L shape, and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was formed in the front end side.
또,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접점부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Moreover, as a 7th solution means,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wa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aid 1st, 2nd contact part.
또,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체가 돌출되는 전면벽과, 이 전면벽과 대향하여 형성된 후면벽과, 상기 전면벽과 상기 후면벽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벽을 갖고, 상기 삽입관통구멍이 상기 측면벽과 상기 후면벽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Further, as an eighth solution, the housing has a front wall on which the operation body protrudes, a rear wall formed to face the front wall, and a side wall located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wherein the insertion Through holes were formed in the side wall and the rear wall.
또,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외부단자가 자동차의 도어측, 또는 차체측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In addition, as the ninth solution means, the external terminal has a configuration formed on the door side or the vehicle body side of the vehicle.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4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 관련되는 단자판의 배열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ssential part sectional view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witch apparatus of this invention, and FIG. 8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arrangement form of the terminal board which concerns on the switch apparatus of this invention.
이어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하우징 (1) 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케이스 (2) 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커버 (3) 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Next, when the structure of the switch devic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1 thru | or FIG. 6, the housing | casing 1 is combined with the box-shaped
그리고, 케이스 (2) 는, 직사각형상의 후면벽 (2a) 과, 이 후면벽 (2a) 의 한쌍의 장변으로부터 직립상태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면벽 (2b) 과, 후면벽 (2a) 의 한쌍의 단변으로부터 직립상태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면벽 (2c) 과, 후면벽 (2a) 과 측면벽 (2b,2c) 으로 둘러싸인 수납부 (2d) 를 갖는다. The
또, 후술하는 장착벽이 되는 한쪽의 측면벽 (2b) 은, 수납부 (2d) 까지 관통한 2 개의 삽입관통구멍 (2e) 과, 이 삽입관통구멍 (2e) 의 근방에 형성된 오목부 (2f) 와, 삽입관통구멍 (2e)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상의 볼록 돌기부 (2g) 와, 외주부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볼록부 (2h) 와,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돌기 (2j) 를 갖는다. Moreover, one
또, 걸림돌기 (2j) 는, 또 다른 한쪽의 측면벽 (2b) 과 한쌍의 측면벽 (2c) 에 형성되는 동시에, 측면벽 (2b,2c) 의 상단면에는, 환형상의 볼록 돌기부 (2k) 가 형성되고, 또한 수납부 (2d) 에는, 홈을 갖는 한쌍의 구획벽 (2m)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획벽 (2m) 으로 분리된 외측의 수납부 (2d) 에는, 삽입관통구멍 (2e) 이 위치하고 있다. Further, the locking
상기 서술한 커버 (3) 는, 구멍 (3a) 을 갖는 직사각형상의 전면벽 (3b) 과, 이 전면벽 (3b) 의 네 변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측벽 (3c) 과, 이 4 개의 측벽 (3c) 에 형성된 걸림구멍 (3d) 과, 구멍 (3a)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전면벽 (3b) 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부 (3e) 를 갖는다. The
그리고, 이 커버 (3) 는, 케이스 (2) 의 개방부를 전면벽 (3b) 으로 덮도록 케이스 (2) 에 조합되고, 걸림구멍 (3d) 이 케이스 (2) 의 걸림돌기 (2j) 에 스냅 식으로 걸어맞춰져 결합되어, 하우징 (1) 이 형성되어 있다. And this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 (4) 는, 판형상부 (4a) 와, 이 판형상부 (4a) 로부터 돌출되고, 내부가 공동 (空洞) 인 팽창돌출부 (4b) 와, 이 팽창돌출부 (4b) 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 (4c) 을 갖고, 이 방수부재 (4) 는, 판형상부 (4a) 가 케이스 (2) 의 개방부를 막도록, 측면벽 (2b,2c) 과 전면벽 (3b) 사이에 배치되고, 팽창돌출부 (4b) 가 구멍 (3a) 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그리고, 방수부재 (4) 의 판형상부 (4a) 가 케이스 (2) 와 커버 (3) 사이에서 끼워져 장착되면, 볼록 돌기부 (2k,3e) 는, 판형상부 (4a) 에 죄어들어, 그 방수를 확실하게 하여, 수분이 구멍 (3a) 으로부터 수납부 (2d)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Then, when the plate-shaped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5) 는, 유지부 (5a) 와, 이 유지부 (5a) 에 형성된 구멍 (5b) 과, 유지부 (5a) 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통형상부 (5c) 와, 이 통형상부 (5c) 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통형상부 (5c) 와의 사이에 웨이스트부를 형성한 머리부 (5d) 를 갖는다. The operating
이 조작체 (5) 는, 유지부 (5a) 가 수납부 (2d)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통형상부 (5c) 가 팽창돌출부 (4b)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머리부 (5d) 가 구멍 (4c) 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웨이스트부에 구멍 (4c) 의 둘레 가장자리가 탄성접촉하여 장착되고, 그리고 조작체 (5) 는 상하이동 (직선 방향의 이동) 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As for the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コ자 형상인 절연기체 (6) 는, 저 벽 (6a) 과, 이 저벽 (6a) 의 대향하는 한쌍의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 (6b) 과, 저벽 (6a)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형상부 (6c) 를 갖고, 이 절연기체 (6) 는, 수납부 (2d) 내에 위치하고, 저벽 (6a) 이 후면벽 (2a) 상에 탑재된 상태로, 한쌍의 구획벽 (2m) 사이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기둥형상부 (6c) 가 통형상부 (5c)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The insulating
또, 코일스프링 (7) 은, 기둥형상부 (6c) 를 둘러싼 상태로, 조작체 (5) 와 절연기체 (6) 사이에 개재되어, 조작체 (5) 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가압하고 있고, 조작체 (5) 는, 이 코일스프링 (7) 에 저항하여 가압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기둥형상부 (6c) 를 가이드로 하여 상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스프링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단자판 (8,9) 의 각각은, 일단측에 형성된 평판형상의 제 1, 제 2 접점부 (8a,9a) 와, 이 제 1, 제 2 접점부 (8a,9a) 로부터 L 자 형상으로 절곡된 벤딩부 (8b,9b) 와, 타단측인 벤딩부 (8b,9b) 의 단부에 형성된 평면형상의 제 1, 제 2 접촉부 (8c,9c) 와, 이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평면에 형성된 구면형상의 접점 (8d,9d) 을 갖는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또, 제 1, 제 2 단자판 (8,9) 은, 각각, 전체적으로 U 자 형상 (J 자 형상을 포함함) 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각각 제 1, 제 2 접점부 (8a,9a) 와 제 1, 제 2 접촉부 (8c,9c) 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제 2 접점부 (8a,9a) 의 면과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면은, 절곡가공에 의해, 서로 직교한 상태로 되어 있다. Moreover, since the 1st, 2nd
또한, 제 2 단자판 (9) 의 제 2 접점부 (9a) 의 중앙부에는, 구멍 (9e) 이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the
그리고, 제 1, 제 2 단자판 (8,9) 은, 제 1, 제 2 접점부 (8a,9a) 의 근본부와 벤딩부 (8b,9b) 의 일부가 절연기체 (6) 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장착되고, 제 1, 제 2 단자판 (8,9) 이 장착되었을 때, 제 1, 제 2 접점부 (8a,9a) 는 서로 근접한 인접상태로 일렬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제 2 접촉부 (8c,9c) 는 제 1, 제 2 접점부 (8a,9a) 의 외측에서, 제 1, 제 2 접점부 (8a,9a) 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본 (대향)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즉,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접촉부 (8c,9c) 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접점 (8d,9d) 을 외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접촉부 (8c,9c) 가 하나의 직선 A1 상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면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to FIG. 8A, the 1st,
또, 절연기체 (6) 에 장착된 제 1, 제 2 단자판 (8,9) 은, 절연기체 (6) 와 함께 수납부 (2d) 내에 수납되고, 제 1, 제 2 접점부 (8a,9a) 는, 한쌍의 구획벽 (2m)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제 2 접촉부 (8c,9c) 는, 구획벽 (2m) 으로 분리된 외측의 수납부 (2d) 내에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the 1st, 2nd
이 때, 제 1, 제 2 접촉부 (8c,9c) 와 접점 (8d,9d) 은, 삽입관통구멍 (2e) 에 각각 대향된 상태로 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스프링성이 있는 금속판이 U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가동접점 (10) 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클립형상의 제 1, 제 2 접촉편 (10a,10b) 을 갖고, 이 가동접점 (10) 은, 조작체 (5) 의 유지부 (5a) 내에 수납 장착되어, 조작 체 (5) 와 함께 가동하도록 되어 있다. The
그리고, 미작동 상태에서는, 조작체 (5) 가 코일스프링 (7) 에 의해 눌려 상방으로 위치한 상태에 있고, 이 때, 가동접점 (10) 은, 제 1 접촉편 (10a) 이 제 1 접점부 (8a) 에 접촉하고, 또 제 2 접촉편 (10b) 이 제 2 접점부 (9a) 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가 도통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non-operational state, the operating
이 상태에서, 조작체 (5) 가 눌려 가동되면, 조작체 (5) 는 기둥형상부 (6c) 에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동시에, 가동접점 (10) 도 동시에 가동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ng
그러면, 제 1 접촉편 (10a) 은, 제 1 접점부 (8a) 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 2 접촉편 (10b) 은, 제 2 접점부 (9a) 와의 접촉이 떨어져, 구멍 (9e) 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가 비도통 상태로 된다. Then, although the
이 때, 제 1, 제 2 접점부 (8a,9a) 의 선단부는, 유지부 (5a) 의 구멍 (5b) 을 통하여, 유지부 (5a) 밖으로 돌출된다. At this time, the tip portions of the first and
또, 조작체 (5) 의 가압이 해제되면, 조작체 (5) 는 코일스프링 (7) 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시에, 가동접점 (10) 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따라서, 제 1 접촉편 (10a) 이 제 1 접점부 (8a) 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접촉편 (10b) 이 제 2 접점부 (9a) 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가 도통 상태로 된다. Moreover,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ng
이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치 장치가 예컨대 자동차 도어의 개폐 검출에 사용된 경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조작체 (5) 가 가압되어 이동한 상태가 되어,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를 비도통으로 하고, 이로써, 램프가 소등상 태로 되어 있다.When the switch device which performs such an operation is used f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of an automobile door,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operating
또,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조작체 (5) 의 가압이 해제되어, 조작체 (5) 가 코일스프링 (7) 에 의해 가압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가 도통하고, 이로써, 램프가 점등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ng
고무재나 엘라스토머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패킹부재 (11) 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구멍 (11a) 과, 이 한쌍의 구멍 (11a)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도피부 (11b) 와, 한쌍의 구멍 (11a) 의 근방에 형성된 한쌍의 볼록부 (11c) (도 6 참조) 를 갖는다. The sheet-shaped
이 패킹부재 (11) 는, 외주부가 볼록부 (2h) 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장착벽이 되는 측면벽 (2b) 상에 탑재되는 동시에, 볼록부 (11c) 가 오목부 (2f) 에 압입 (요철식 끼워맞춤) 되어, 하우징 (1) 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The packing
이 때, 한쌍의 구멍 (11a) 은, 한쌍의 삽입관통구멍 (2e) 과 대향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pair of
또한, 패킹부재 (11) 에 볼록부 (11c), 하우징 (1) 에 오목부 (2f) 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패킹부재 (11) 에 오목부, 하우징 (1) 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서로 요철식으로 끼워맞추도록 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이어서, 스위치 장치의 장착구조를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자동차의 차체측, 또는 도어측에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 (12) 를 갖고, 이 장착부재 (12) 에는, 수형의 한쌍의 외부단자 (13a,13b) 가 인서트성형의 매설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Next,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witch device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4 to 6, for example, the vehicle body side or the door side of the vehicle has a mounting
또, 이 장착부재 (12) 는, 각각의 외부단자 (13a,13b)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상의 볼록 돌기부 (12b) 와, 이 볼록 돌기부 (12b) 의 외측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장착다리 (12c) 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mounting
그리고, 스위치 장치는, 삽입관통구멍 (2e) 에 외부단자 (13a,13b) 가 삽입관통된 상태에서, 하우징 (1) 이 한쌍의 장착다리 (12c) 의 스냅 고정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장착부재 (12) 에 눌린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스위치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한쪽의 외부단자 (13a) 는 제 1 접촉부 (8c) 의 접점 (8d) 이 탄성접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외부단자 (13b) 는 제 2 접촉부 (9c) 의 접점 (9d) 이 탄성접촉하고, 또 패킹부재 (11) 는, 장착벽인 측면벽 (2b) 과 장착부재 (12)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 되어, 삽입관통구멍 (2e) 과 장착부재 (12) 로부터 돌출되는 외부단자 (13a,13b) 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switch device is mounted, one
또, 패킹부재 (11) 가 끼워지면, 볼록 돌기부 (2g,12b) 는, 패킹부재 (11) 에 죄어들어 그 방수를 확실하게 하여, 수분이 삽입관통구멍 (2e) 으로부터 수납부 (2d)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cking
또한, 볼록 돌기부 (2g,12b) 는, 각각의 삽입관통구멍 (2e), 구멍 (11a) 에 대응하여 형성하였지만, 볼록 돌기부 (2g,12b) 는, 2 개의 삽입관통구멍 (2e), 구멍 (11a)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듯한 1 개의 볼록 돌기부이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또, 볼록 돌기부 (2g,12b) 는, 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 Moreover, only one of the
그리고, 장착부재 (12) 에 장착된 스위치 장치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조작체 (5) 가 가압되어 이동한 상태가 되어,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를 비도통으로 하고, 이로써 램프가 소등상태가 되고, 또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조작체 (5) 의 가압이 해제되어, 조작체 (5) 가 코일스프링 (7) 에 의해 가압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제 1, 제 2 접촉부 (8c,9c) 사이가 도통하고, 이로써, 램프가 점등상태가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switch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또, 도 7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외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삽입관통구멍 (2e) 이 장착벽이 되는 후면벽 (2a) 에 형성되는 동시에, 이 후면벽 (2a) 에는, 볼록 돌기부 (2g) 와, 여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 (2f) 가 형성되어 있다.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insertion through
그리고, 이 오목부 (2f) 에 패킹부재 (11) 의 볼록부 (11c)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가 압입 (요철식 끼워맞춤) 됨으로써, 시트형상의 패킹부재 (11) 가 후면벽 (2a) 상에 유지되고 있다. Then, the
그리고, 장착벽인 후면벽 (2a) 이 패킹부재 (11) 를 통해 장착부재 (12) 에 탑재되고, 삽입관통구멍 (2e) 에 외부단자 (13a,13b) 가 삽입관통된 상태에서, 하우징 (1) 이 한쌍의 장착다리 (12c)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걸려 고정되어, 장착부재 (12) 에 눌린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Then, the
스위치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한쪽의 외부단자 (13a) 는 제 1 접촉부 (8c) 의 접점 (8d) 이 탄성접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외부단자 (13b) 는 제 2 접촉부 (9c) 의 접점 (9d) 이 탄성접촉하고, 또 패킹부재 (11) 는, 장착벽인 후면벽 (2a) 과 장착부재 (12)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 되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삽입관통구멍 (2e) 과 외부단자 (13a,13b) 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switch device is mounted, one
또, 패킹부재 (11) 가 끼워지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록 돌기부 (2g,12b) 는, 패킹부재 (11) 에 죄어들어, 그 방수를 확실하게 하여, 수분이 삽입관통구멍 (2e) 으로부터 수납부 (2d)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When the packing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품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Example, the same number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또한, 삽입관통구멍 (2e) 은, 후면벽 (2a) 과 측면벽 (2b)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해도 되고, 삽입관통구멍 (2e) 의 형성위치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through
그리고, 양쪽에 삽입관통구멍 (2e) 을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쪽의 삽입관통구멍 (2e) 에 시일부재를 붙이는 등과 같이 하여, 방수성을 갖게 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insertion through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서의 단자판의 배열형태를 나타내고, 도 8A 에서 나타내는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접촉부 (8c,9c) 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접점 (8d,9d) 을 외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접촉부 (8c,9c) 가 하나의 직선 A1 상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면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것이다. FIG. 8: shows the arrangement form of the terminal board in the switch apparatus of this invention, As for the form shown in FIG. 8A, as mentioned above, the 1st,
또, 도 8B 에서 나타내는 형태는, 접점 (8d,9d) 을 내측으로 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8A 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form shown in FIG. 8B has
또, 도 8C 에서 나타내는 형태는, 접점 (8d,9d) 을 동일 방향 (도면에서는 우측 방향을 향해) 으로 배치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8A 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form shown in FIG. 8C has arrange | positioned the
또, 도 8D 에서 나타내는 형태는, 제 1, 제 2 접촉부 (8c,9c) 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접점 (8d,9d) 을 외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각각이 2 개의 평행한 직선 (A1,A2) 상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면이 서로 비대향 상태로 배치된 것이다. 8D, the 1st,
또, 도 8E 에서 나타내는 형태는, 접점 (8d,9d) 을 동일 방향 (도면에서는 좌측 방향을 향해) 으로 배치한 한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8D 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form shown in FIG. 8E has arrange | positioned the
또한, 이들 배열형태 이외의 것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지만, 도 8A 또는 도 8D 와 같이, 접점 (8d,9d) 을 외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접촉부 (8c,9c) 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other than these arrangements may be used, but as shown in Fig. 8A or 8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irst and
이와 같이 배치하면, 제 1, 제 2 단자판의 회전이 삽입관통되는 외부단자 (13a,13b) 에 간섭되기 어려워져, 단자판의 회전이 용이해져,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해진다. In this arrangement,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is less likely to interfere with the
또, 제 1, 제 2 접촉부 (8c,9c) 의 면끼리는 완전한 평행상태가 아니라도, 평행 배열된 외부단자와 각각 접촉이 가능한 정도로 대략 평행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또한, 상기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도, 단자판이 2 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자판이 3 개 이상인 것에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re are two terminal plate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ree or more terminal plates.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복수의 수형 외부단자가 삽입관통이 가능한 삽입관통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이동이 가능한 조작체와, 하우징내에 형성되고,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접점과,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가동접점과 접촉이 가능한 제 1, 제 2 접점부, 및 외부단자와 각각 접촉이 가능한 제 1, 제 2 접촉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단자판을 구비하고,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접촉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 1, 제 2 접촉부의 면끼리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through-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le external terminals can be inserted, an operable capable of exposing a part thereof from the housing, a housing formed in the housing,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comprising a movable movable contact, a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formed in the housing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capable of contacting the movable contacts, and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external termi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made of a metal plate were spaced from each other, and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we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제 1, 제 2 접촉부의 면끼리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외부단자의 접속 방향이 하우징의 측면벽, 또는 후면벽에 대응할 수 있어, 융통성이 증가하는 동시에, 단순히 삽입관통구멍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어,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염가인 것을 얻을 수 있다. Thus, by arranging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terminals can correspond to the side wall or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thereby increasing flexibility and simply inserting holes. It is possible to cope onl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reby achieving commonaliz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witch device, thereby obtaining a low cost.
또, 제 1, 제 2 단자판이 하우징내에 수납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단자와의 접속도 하우징내에서 실시할 수 있어, 먼지 등으로 인한 접촉의 불안정이 없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are housed in the hous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s can also be performed in the housing, thereby eliminating contact instability due to dust or the like.
또, 제 1, 제 2 접촉부는,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생산성이 양호하며, 염가인 것을 얻을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1st, 2nd contact part has comprised flat plate shape, compared with the past, productivity is favorable and it can obtain that it is cheap.
또, 제 1, 제 2 접촉부의 면끼리가 하나의 직선 상에서, 서로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스페이스 팩터가 양호하여, 소형이며, 또한 밸런스가 양호하여 외부단자와의 접촉이 안정된 것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are arranged on one straight line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each other, the space factor is good, the size is small, and the balance is good,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external terminals is stable. have.
또, 제 1, 제 2 접촉부의 면이 서로 평행한 2 개의 직선 상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비대향 상태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장착부재에서의 부품배치로부터의 제약에 대응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wo straight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ranged in a non-opposite state,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cope with restrictions from 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the mounting member.
또, 제 1 접점부와 제 1 접촉부를 갖는 제 1 단자판이 1 개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 2 접점부와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단자판이 1 개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적고, 생산성이 양호하며, 염가인 것을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first terminal plate hav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one metal plate,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hav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one metal plat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It is possible to obtain good productivity and low cost.
또, 제 1, 제 2 단자판의 일단에는, 제 1, 제 2 접점부가 서로 근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제 2 단자판의 타단에는, 제 1, 제 2 접촉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재료의 수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염가인 것을 얻을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1st, 2nd contact plate is formed in the state which adjoined each other at one end of a 1st, 2nd terminal board, and the 1st, 2nd contact part was formed at the other end of a 1st, 2nd terminal board, Yield can be made favorable and a cheap thing can be obtained.
또, 제 1, 제 2 단자판은 L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각각의 선단측에 제 1, 제 2 접촉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 1, 제 2 접촉부에 탄성을 부여하는 부분의 스판을 길게 할 수 있어, 긴 수명으로, 접촉이 안정된 것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are bent in an L-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are formed at the respective tip ends, the spans of the portions that impart elasticity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can be lengthen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able contact with a long service life.
또, 제 1, 제 2 접촉부 사이에는, 제 1, 제 2 접점부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어, 특히, 안길이에 제한이 있는 것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Moreover, since the 1st, 2nd contact part wa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1st, 2nd contact part, it can be made small in a height direction, and it is especially suitable for applying to what has a limited depth.
또, 하우징은, 조작체가 돌출되는 전면벽과, 이 전면벽과 대향하여 형성된 후면벽과, 전면벽과 후면벽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벽을 갖고, 삽입관통구멍이 측면벽과 후면벽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외부단자의 접속 방향에 융통성이 있는 것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has a front wall through which the operating body protrudes, a rear wall formed to face the front wall, and a side wall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nd insertion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wall and the rear wall.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flexibility in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terminals.
또, 외부단자가 자동차의 도어측, 또는 차체측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특히, 다양성이 많은 자동차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terminal is formed on the door side or the vehicle body side of the vehicle,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variety of automobiles.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040440 | 2003-02-19 | ||
JP2003040440A JP4323183B2 (en) | 2003-02-19 | 2003-02-19 | Switch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4600A KR20040074600A (en) | 2004-08-25 |
KR100549027B1 true KR100549027B1 (en) | 2006-02-02 |
Family
ID=3302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3014A KR100549027B1 (en) | 2003-02-19 | 2004-01-15 | Switch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323183B2 (en) |
KR (1) | KR100549027B1 (en) |
CN (1) | CN100517532C (en) |
TW (1) | TWI27613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95613B2 (en) * | 2005-02-22 | 2010-07-0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Switch device |
KR100707261B1 (en) * | 2005-08-22 | 2007-04-13 | 최형욱 | Water proof micro switch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it |
JP5887104B2 (en) * | 2011-10-31 | 2016-03-16 | 株式会社ユーシン | Switch device |
DE112015006678B4 (en) | 2015-07-09 | 2021-12-2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vator evacuation operation during a disast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91476A (en) * | 1988-05-09 | 1990-01-02 | Illinois Tool Works, Inc. | Index rotary switch |
DE4202214A1 (en) * | 1992-01-28 | 1993-07-29 | Marquardt Gmbh | ELECTRIC SWITCH |
JP2001110283A (en) * | 1999-10-08 | 2001-04-20 | Calsonic Kansei Corp | Structure of ignition switch |
JP4030735B2 (en) * | 2001-08-02 | 2008-01-0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Switch device |
-
2003
- 2003-02-19 JP JP2003040440A patent/JP432318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1-15 KR KR1020040003014A patent/KR10054902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2-11 TW TW093103173A patent/TWI276134B/en active
- 2004-02-17 CN CNB2004100052426A patent/CN10051753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276134B (en) | 2007-03-11 |
CN1525507A (en) | 2004-09-01 |
JP2004253195A (en) | 2004-09-09 |
CN100517532C (en) | 2009-07-22 |
JP4323183B2 (en) | 2009-09-02 |
TW200428447A (en) | 2004-12-16 |
KR20040074600A (en) | 2004-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1970B1 (en) |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JP3118226U (en) | IC package socket | |
US7699622B2 (en) | Electronic uni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JPH0340742U (en) | ||
KR20030096339A (en) | Housing for an electronic key | |
KR920005411A (en) | Pin grid array test socket without insertion force | |
JP4152242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 |
CA1320521C (en) | Lamp with an integral switch | |
KR100458158B1 (en) | Vehicle Door Switch | |
KR100549027B1 (en) | Switch apparatus | |
US6851970B2 (en) | Joint connector | |
KR100396535B1 (en) | multi-directions operation switch | |
WO2009010704A1 (en) | An electrical unit | |
US6329621B1 (en) | Electric switch apparatus with resilient bent wire contact members | |
EP3651177B1 (en) | Switch device and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 |
KR19980032406A (en) | switch | |
JP4228120B2 (en) | Socket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 |
JP2011018600A (en) | Switch | |
JP2004273199A (en) | Switch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JP4204036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witch device | |
KR100357926B1 (en) | push butto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2005216549A (en) | Wiring fixture | |
JP2001244660A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JP2013225426A (en) | Switch structure of substrate | |
JP5691982B2 (en) | Electronic circuit unit with external conn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