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343B1 -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343B1
KR100548343B1 KR1020030029901A KR20030029901A KR100548343B1 KR 100548343 B1 KR100548343 B1 KR 100548343B1 KR 1020030029901 A KR1020030029901 A KR 1020030029901A KR 20030029901 A KR20030029901 A KR 20030029901A KR 100548343 B1 KR100548343 B1 KR 10054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terminal body
mobile phon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567A (ko
Inventor
정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43B1/ko
Priority to CNB031555063A priority patent/CN100490459C/zh
Publication of KR2004009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말기본체에서 인출하는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에 연결한 화면창을 구비하는 단말기덮개와, 상기 단말기본체의 기판에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로 연결하는 카메라모듈을 내장하고 그 일측 바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하우징돌부와 미끄럼홈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미끄럼홈에 타단이 원주방향으로는 미끄러지고 축방향으로는 걸리도록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한 단말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우징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카메라조립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크게 단축하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의 피시비챔버에 화면창과 카메라조립체에서 인출한 복수 개의 플렉시블 피시비를 함께 수용하므로 카메라조립체를 돌출 길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CARMER OF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 6 : 메인플렉시블 피시비
10 : 단말기본체 11 : 기판
20 : 단말기덮개 21 : 화면창
30 : 덮개힌지부 31 : 본체측 힌지돌부
32 : 덮개측 힌지돌부 33 : 카메라고정부
33a : 스토퍼고정돌기 33b : 걸림부삽입공
33c : 본체측 걸림턱 33d : 처짐방지돌기
34 : 피시비챔버 34a : 피시비관통구멍
40 : 화면힌지부 50 : 카메라조립체
51 : 카메라모듈 52 : 카메라하우징
52b : 하우징지지돌부 52c : 미끄럼홈
52d : 하우징측 걸림턱 52e : 처짐방지돌기통과홈
53 : 하우징스토퍼 53A : 스토퍼몸체부
53a : 스토퍼고정공 53B : 스토퍼걸림부
53b : 미끄럼돌기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덮개힌지부에 장착하는 경우 카메라를 포함한 덮개힌지부의 길이를 간소하면서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최근의 휴대폰은 음성뿐만이 아니라 영상도 함께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기기에 카메라를 구비한 '화상 통화용 휴대폰'이 널리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용 휴대폰은 흔히 단말기덮개의 안쪽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창을 구비함에 따라 단말기덮개를 뒤집어 화면창이 바깥쪽에 놓이도록 위치를 반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덮개 반전(folder swivel hinge type) 휴대폰'도 소개되고 있다.
덮개 반전형 휴대폰은 그 반전의 회전중심이 단말기본체와 단말기덮개 사이의 덮개힌지부 중심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카메라를 덮개힌지부의 일 측에 고정하는 경우 불변 길이인 카메라의 자체 길이를 제외하면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카메라를 소형화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카메라를 구비한 덮개 반전형 휴대폰에서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각 예들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종래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는, 단말기본체(1)와 단말기덮개(2)를 회전운동과 회동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는 덮개힌지부(3)의 일 측 끝단에 카메라조립체(4)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덮개힌지부(3)는 단말기본체(1)의 좌우 양측에 돌출 형성하는 본체측 힌지돌부(3a)(3a)와, 단말기덮개(2)의 중앙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본체측 힌지돌부(3a)(3a)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측 힌지돌부(3b)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측 힌지돌부(3a)(3a) 중에서 카메라조립체(4)를 설치하는 어느 한 쪽(도면에선, 왼쪽)의 본체측 힌지돌부(3a)에는 후술할 카메라조립체(4)의 제1 하우징지지축(4c)을 미끄러지게 삽입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카메라모듈(미도시)에서 인출한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를 수용하는 메인챔버(C1)와, 메인챔버(C1)의 안쪽에 형성하여 후술할 카메라조립체(4)의 제2 하우징지지축(4d)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그 내부에 화면창에서 인출한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6)를 수용하는 서브챔버(C2)와, 메인챔버(C1)와 서브챔버(C2) 사이를 차단하도록 형성하되 그 중앙에 상기한 제2 하우징지지축(4d)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하는 챔버격판(3c)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메라조립체(4)는 카메라모듈(4a)을 내장하고 그 일단은 상기한 본체측 힌지돌부(3a)의 메인챔버(C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카메라하우징(4b)과, 카메라하우징(4b)의 일측에 돌출 형성하여 메인챔버(C1)에 일정 깊이로 삽입하여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하우징지지축(4c)과, 제1 하우징지지축(4c)의 안쪽 중앙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한 챔버격판(3c)을 관통하고 그 챔버격판(3c) 안쪽의 서브챔버(C2)에서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제2 하우징지지축(4d)과, 제2 하우징지지축(4d)을 서브챔버(C2)에서 축방향으로 구속하는 카메라구속링(4e)과, 카메라하우징(4b)의 외측면을 복개하여 손잡이부를 이루는 카메라덮개판(4f)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는, 덮개힌지부(7)에 카메라조립체(8)의 좌우 양측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덮개힌지부(7)는 단말기본체(1)의 좌우 양측에 형성하는 본체측 힌지돌부(7a)(7a)와, 단말기덮개(2)의 중앙에 형성하여 양쪽 본체측 힌지돌부(7a)(7a) 사이에 개재하는 덮개측 힌지돌부(7b)로 이루어져 있다.
또, 본체측 힌지돌부(7a)(7a) 중에서 어느 한 쪽(도면에선, 왼쪽)의 힌지돌부(7a)에는 후술할 카메라조립체(8)의 하우징힌지돌기(8c)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공용챔버(C3)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본체측 힌지돌부(7a)(7a)의 바깥쪽에는 상기한 카메라하우징(8)을 개재하여 나사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지지돌부(7c)를 더 형성하고 있다.
카메라조립체는 카메라모듈(8a)을 내장하는 카메라하우징(8b)과, 카메라하우 징(8b)의 일측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본체측 힌지돌부(7a)의 공용챔버(C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하우징힌지돌기(8c)와, 하우징지지돌부(7c)에 카메라하우징(8a)을 소정 각도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나사(8d)와, 하우징지지돌부(7c)의 바깥쪽에서 체결나사(8d)를 은폐하고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카메라하우징(8b)에 결합하는 손잡이판(8e)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용챔버(C3)에는 상기 카메라모듈(8a)에서 인출한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와 단말기덮개(2)의 화면창에서 인출한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6)를 함께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폰에 있어서 도 1에 제시한 기술은, 카메라하우징(4b)을 제1 하우징지지축(4c)과 제2 하우징지지축(4d)으로 지지하되 특히 제2 하우징지지축(4d)을 덮개힌지부(3)의 안쪽으로 깊이 삽입하여 카메라구속링(4e)으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한 카메라 고정길이가 길어진다. 하지만, '덮개 반전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덮개(2)가 단말기본체(1)의 중앙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결국 카메라 고정길이 만큼 카메라조립체(4)가 단말기 외곽으로 돌출함에 따라 촬영각도를 더욱 멀리하게 되고 이로 인해 화면의 왜곡현상을 심화시킬 뿐 아니라 주머니 등에 소지할 때 카메라조립체(4)가 걸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도 2에 제시한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는, 상기한 도 1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카메라의 돌출길이는 짧아지나 그래도 카메라하우징(8b)을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에서도 고정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카 메라의 돌출길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체결나사와 같은 부가되는 부품수의 증가로 생산비용의 증가와 조립공수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카메라의 돌출길이를 줄여 단말기 중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화면의 왜곡현상을 줄이고 소지할 때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카메라를 간소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말기본체에서 인출하는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에 연결한 화면창을 구비하는 단말기덮개와, 상기 단말기본체의 기판에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로 연결하는 카메라모듈을 내장하고 그 일측 바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하우징돌부와 미끄럼홈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미끄럼홈에 타단이 원주방향으로는 미끄러지고 축방향으로는 걸리도록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한 단말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우징스토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덮개 반전형 휴대폰은, 각종 선택버튼(미도시)과 이 선택버튼에 연결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판(11)을 구비하는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에 회전운동과 회동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상기한 단말기본체(10)를 보호하고 상대방을 화상으로 볼 수 있도록 화면창(21)을 구비하는 단말기덮개(20)와,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덮개(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단말기덮개(20)를 덮었다 펼쳤다 하는 덮개힌지부(30)와, 덮개힌지부(30)의 중심에 단말기덮개(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덮개(20)를 엎었다 뒤집었다 하면서 화면창(21)의 위치를 가변하는 화면힌지부(40)와, 덮개힌지부(3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조립체(50)로 구성한다.
덮개힌지부(30)는 단말기본체(20)(보다 정확하게는, 단말기본체(10)의 일부를 이루는 전면커버(이하, 단말기본체로 통칭함))의 좌우 양측에 돌출 형성하는 본체측 힌지돌부(31)(31)와, 단말기덮개(20)의 중앙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본체측 힌지돌부(31)(3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측 힌지돌부(32)로 이루어진다.
본체측 힌지돌부(도면에선, 좌측)(31)에는 그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음형지게 형성하여 상기한 카메라조립체(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카메라고정부(33)와, 카메라고정부(33)의 안쪽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속으로 형성하여 화면창(21)에서 인출한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6)와 후술할 카메라모듈(51)에서 인출한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를 함께 수용하는 피시비챔버(34)로 이루어진다.
또, 피시비챔버(34)의 주벽에는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6)와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를 단말기본체(10)의 기판(11)으로 유도하는 피시비관통구멍(34a)을 형성한다.
여기서, 피시비챔버(34)의 축방향 길이는 두 플렉시블 피시비(5)(6)의 폭을 감안하면 카메라고정부(33)의 축방향 길이 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고정부(33)의 주변에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후술할 하우징스토퍼(53)의 스토퍼고정공(53a)에 삽입하는 스토퍼고정돌기(33a)를 형성하고, 카메라고정부(33)의 바깥쪽 끝단에는 상기 하우징스토퍼(53)의 스토퍼걸림부(53B)가 관통하도록 걸림부삽입공(33b)을 형성하며, 카메라고정부(33)의 바깥쪽 내주면에는 후술할 카메라하우징(52)의 하우징측 걸림턱(52d)이 걸려 상기한 카메라하우징(5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본체측 걸림턱(33c)을 단차지게 형성한다.
또, 카메라고정부(33)의 내주면, 특히 카메라하우징(52)의 미끄럼홈(52c)에 대향하는 위치중에서도 하우징스토퍼(53)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는 그 카메라하우징(52)의 미끄럼홈(52c)과 미끄러지게 결합하여 카메라조립체(50)의 처짐을 잡아주는 처짐방지돌기(33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조립체(50)는 도 7에서와 같이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51)과, 카메라모듈(51)을 내장하도록 카메라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한 덮개힌지부(30)의 카메라고정부(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카메라하우징(52)과, 덮개힌지부(30)에 고정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52)을 회전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하우징스토퍼(53)로 이루어진다.
카메라하우징(52)은 반원통모양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카메라모듈(51)을 얹어 지지하는 제1 하우징본체(52A)와, 제1 하우징본체(52A)의 개구측을 복개하도록 반원통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부위에 카메라모듈(51)의 렌즈(51a)와 일치하도록 렌즈구멍(52a)을 형성하며 일측면에는 하우징스토퍼(53)에 결합하도록 하우징지지돌부(52b)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본체(53B)와, 제1 하우징본체(52A)와 제2 하우징본체(52B)의 일측 바깥면에 결합하여 손잡이를 이루는 손잡이판(52C)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지지돌부(52b)는 그 중간에 후술할 하우징스토퍼(53)의 미끄럼돌기(53b)와 형합하도록 미끄럼홈(52c)을 형성하고, 미끄럼홈(52c)의 양측 돌출부 중에서 제2 하우징본체(52B)와 하우징지지돌부(52b)의 연결부위에는 상기한 본체측 걸림턱(33c)과 형합하여 카메라하우징(5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우징측 걸림턱(52d)을 단차지게 형성한다. 또, 바깥쪽 돌출부는 상기 카메라고정부(33)에 처짐방지돌기(33d)를 형성하는 경우 카메라하우징(52)의 삽입시 이 처짐방지돌기(33d)가 통과할 수 있도록 처짐방지돌기통과홈(52e)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스토퍼(53)는 카메라고정부(33)의 스토퍼고정돌기(33a)에 삽입되도록 스토퍼고정공(53a)을 가지는 스토퍼몸체부(53A)와, 스토퍼몸체부(53A)의 일측에 돌출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52)의 미끄럼홈(52c)에 결합하는 미끄럼돌기(53b)를 가지는 스토퍼걸림부(53B)로 형성한다.
미끄럼돌기(53b)의 끝단은 미끄럼홈(52c)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걸림면적을 넓히는데 바람직하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41은 덮개측 힌지돌기, 42는 본체측 힌지홈, 53c은 카메라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먼저, 카메라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하여는 제1 하우징본체(52A)에 카메라모듈(51)을 장착한 후 제2 하우징본체(52B)를 덮고 손잡이판(52C)을 장착하여 카메라하우징(52)을 조립한다.
다음, 카메라하우징(52)의 하우징지지돌부(52b)를 덮개힌지부(30)의 카메라고 정부(33)에 삽입한 후 상기 덮개힌지부(30)의 내측면에서 카메라고정부(33)의 안쪽방향으로 하우징스토퍼(53)를 삽입한다. 이때, 카메라고정부(33)에 구비한 스토퍼고정돌기(33a)를 하우징스토퍼(53)의 스토퍼고정공(53a)에 삽입하여 스토퍼몸체부(53A)를 고정하는 한편 카메라고정부(33)의 걸림부삽입공(33b)에 하우징스토퍼(53)의 스토퍼걸림부(53B)를 삽입하여 스토퍼걸림부(53B)의 미끄럼돌기(53b)가 상기한 하우징지지돌부(52b)의 미끄럼홈(52c)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카메라모듈(51)에서 인출한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를 피시비챔버(34)의 피시비관통구멍(34a)을 통해 피시비챔버(34)에서 단말기본체(10)의 내부로 유도하여 그 단말기본체(10)의 기판(11)에 연결하는 한편, 화면창(21)에서 인출한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6) 역시 피시비챔버(34)로 유도하여 상기한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와 겹쳐 배치되도록 한 후 다시 단말기본체(10)의 내부로 유도하여 기판(11)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렇게, 카메라하우징(52)의 하우징지지돌부(52b)를 카메라고정부(33)에 삽입하되 그 하우징지지돌부(52b)에 미끄럼홈(52c)을 형성하여 카메라고정부(33)에 고정한 하우징스토퍼(53)의 미끄럼돌기(53b)로 고정함에 따라 카메라하우징(52)을 고정하는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 본체측 힌지돌부(31)의 내부를 카메라고정부(33)와 피시비챔버(34)로 구분하되 카메라고정부(33)는 피시비챔버(34)의 축방향 길이보다 훨씬 짧게 형성할 수 있어 결국 본체측 힌지돌부(31)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카메라를 포 함한 전체 덮개힌지부(30)의 축방향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한 개의 피시비챔버(34)에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6)와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5)를 함께 수용함에 따라 상기 본체측 힌지돌부(31)의 축방향 길이를 더욱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스토퍼(53)를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52)을 단순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함에 따라 카메라 고정을 위한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는, 카메라조립체에 하이징지지돌부를 형성하고 이 하우징지지돌부를 하우징스토퍼로 걸어 상기한 카메라조립체를 고정함으로써, 카메라조립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크게 단축하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의 피시비챔버에 화면창과 카메라조립체에서 인출한 복수 개의 플렉시블 피시비를 함께 수용하므로 카메라조립체를 돌출 길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말기본체에서 인출하는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에 연결한 화면창을 구비하는 단말기덮개와,
    상기 단말기본체의 기판에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로 연결하는 카메라모듈을 내장하고 그 일측 바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하우징돌부와 미끄럼홈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미끄럼홈에 타단이 원주방향으로는 미끄러지고 축방향으로는 걸리도록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한 단말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우징스토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하우징은 반원통모양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카메라모듈을 얹어 지지하는 제1 하우징본체와, 상기 제1 하우징본체의 개구측을 복개하도록 반원통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부위에 카메라모듈의 렌즈와 일치하도록 렌즈구멍을 형성하며 일측 바깥면에는 상기한 미끄럼홈을 가지는 하우징지지돌부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본체와, 상기 제1 하우징본체와 제2 하우징본체의 일측 바깥면에 결합하여 손잡이를 이루는 손잡이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지지돌부는 그 외주면에 하우징측 걸림턱을 단차지게 형성하고, 이 하우징측 걸림턱에 대향하는 상기 단말기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측 걸림턱이 걸려 상기한 카메라하우징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본체측 걸림턱을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스토퍼는 단말기본체에 구비하는 스토퍼고정돌기에 삽입하도록 스토퍼고정공을 형성하여 상기한 단말기본체에 고정 결합하고, 그 일측에는 카메라하우징의 미끄럼홈에 결합하도록 그 끝단이 원호형상인 미끄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한 하우징지지돌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미끄럼홈에 대응하는 단말기본체에는 상기 미끄럼홈에 미끄러지도록 결합하여 상기한 카메라하우징의 처짐을 억제하는 처짐방지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렉시블 피시비와 서브 플렉시블 피시비를 동일 공간에서 평면투영시 겹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KR1020030029901A 2003-05-12 2003-05-12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KR10054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901A KR100548343B1 (ko) 2003-05-12 2003-05-12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CNB031555063A CN100490459C (zh) 2003-05-12 2003-08-27 手机的相机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901A KR100548343B1 (ko) 2003-05-12 2003-05-12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567A KR20040097567A (ko) 2004-11-18
KR100548343B1 true KR100548343B1 (ko) 2006-02-02

Family

ID=3437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901A KR100548343B1 (ko) 2003-05-12 2003-05-12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8343B1 (ko)
CN (1) CN10049045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7944A (zh) * 2018-04-27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3080436A1 (ko) * 2021-11-04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56B1 (ko) * 2005-11-11 2007-11-27 (주)아이디에스 듀얼 lcd 모듈용 fpc 제조 방법
CN101126830B (zh) * 2006-08-18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片固持结构及应用该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970472A (zh) * 2012-12-10 2013-03-13 玉树华王投资有限公司 便携式图像获取设备
JP5541431B1 (ja) *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6080721A (ja) * 2014-10-09 2016-05-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取付用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US5893051A (en) * 1994-09-27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estimating temperature inside material to be cooked and cooking apparatus for effecting same
JP3496445B2 (ja) * 1997-04-07 2004-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軸体回転装置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442598B1 (ko) * 2001-09-0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CN2507035Y (zh) * 2001-12-19 2002-08-21 天瀚科技股份有限公司 转轴具有定位功能的数字相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7944A (zh) * 2018-04-27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3080436A1 (ko) * 2021-11-04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0459C (zh) 2009-05-20
KR20040097567A (ko) 2004-11-18
CN1549553A (zh)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EP3525433B1 (en) Mobile terminal
JP2021520171A (ja) 移動端末
KR10045954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30021564A (ko)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KR100677300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548343B1 (ko)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 장치
KR20060019648A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100430595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1054996B1 (ko) 휴대폰의 카메라 지지장치
KR1005113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플렉서블 피시비 배열 구조
KR20040070502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20034294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11929Y1 (ko) 카메라가 슬라이드 되어 회전 작동하는 카메라 내장형이동통신단말기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553450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
KR100564018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060874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2369A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KR10046784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플립형 휴대전화기
KR100586792B1 (ko) 카메라 조종 스틱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39127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