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127B1 -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127B1
KR100547127B1 KR1020030044247A KR20030044247A KR100547127B1 KR 100547127 B1 KR100547127 B1 KR 100547127B1 KR 1020030044247 A KR1020030044247 A KR 1020030044247A KR 20030044247 A KR20030044247 A KR 20030044247A KR 100547127 B1 KR100547127 B1 KR 10054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ream
unit
signal
transport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238A (ko
Inventor
송춘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1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송단에서 HD(High Definition)급 및 SD(Standard Definition)급 트랜스 스트림을 무선으로 송신하여 수신단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HD급 및 SD급 영상 신호를 각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그 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셋탑박스,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HD급 및 SD급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그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PIP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입력되는 HD급 영상 신호로부터 패킷 단위의 제1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검출하는 HD 트랜스포트 스트림 검출부, 입력되는 SD급 영상 신호를 소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패킷 단위의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SD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부, 제1 및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기 및 쓰기 타이밍 제어에 따라 소정 비율로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전송 모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having PIP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셋탑 박스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멀티플렉서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멀티플렉서에서 멀티플렉싱되는 신호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송단에서 HD(High Definition)급 및 SD(Standard Definition)급 트랜스 스트림을 무선으로 송신하여 수신단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나 디지털을 겸용하는 TV 수신장치는 HD(High Definition) 신호나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 신호를 각각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하고, 그 처리된 두 종류의 신호로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DTV 수신 장치는 2개의 MPEG 디코더를 이용하여 PIP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아날로그나 디지털을 겸용하는 TV 수신장치나 HD TV 수신 장치는 모두 유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근래 들어 무선으로 영상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세탑박스와 무선으로 연결된 텔레비전 셋트를 포함한다. 셋탑박스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형태의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텔레비전 세트는 셋탑박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텔레비전 세트와 세탑박스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한 신호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선 TV 수신 장치처럼 두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송단에서 HD(High Definition)급 및 SD(Standard Definition)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동시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수신단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HD 및 SD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HD급 및 SD급 영상 신호를 각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그 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셋탑박스,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HD급 및 SD급 영상 신 호를 추출하고, 그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PIP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입력되는 HD급 영상 신호로부터 패킷 단위의 제1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검출하는 HD 트랜스포트 스트림 검출부;
입력되는 SD급 영상 신호를 소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패킷 단위의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SD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기 및 쓰기 타이밍 제어에 따라 소정 비율로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전송 모듈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변조된 무선 신호로부터 멀티플렉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수신 모듈부;
상기 수신 모듈부에서 멀티플렉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HD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HD 및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소정 포맷의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 영역과 PIP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는 PIP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셋탑 박스(120)는 DVD(130) 또는 VCR(140)과 같은 외부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텔레비전 셋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장치(120)와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셋탑 박스(120)는 안테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SD급 영상 신호와 HD급 영상 신호를 서로 일정 비율로 다중화하여 무선 랜으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셋탑박스(120)로 부터 수신된 SD급 영상 신호와 HD급 영상 신호를 분리하여 PIP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도 1의 셋탑 박스(120)의 상세도이다.
도 2의 셋탑 박스는 HD트랜스포트 검출부(220), SD트랜스포트 변환부(230), 멀티플렉서부(240), 전송 모듈부(250), 제어부(280)로 구성된다. 여기서 HD 트랜스포트 스트림 검출부(220)는 제1튜너(223), IF부(225), 채널복조부(227)를 구비하며, SD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부(230)는 제2튜너(231), IF부(233), 아날로그 디코더(237), MPEG 인코더(239)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튜너부(223)는 ATSC(Advanced Television Sub-Committee) 표준에 따른 DTV(Digital TV)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1튜너부(223)는 제어부(280)의 선국 제어신호에 따라 안테나(212)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ATSC 신호를 선국한다. 제1IF부(225)는 선국된 디지털 ATSC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로 변환한다. 채널복조부(227)는 IF 신호로부터 각종 에러 정정 및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패킷 단위의 제1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추출한다. 일실시예로서 채널복조부(240)는 VSB(Vestigial Side Band) 복조기를 이용한다.
제2튜너부(231)은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에 따른 아날로그 TV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2튜너부(231)는 제어부(280)의 선국 제어신호에 따라 안테나(262)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NTSC 신호를 선국한다. 제2IF부(233)는 선국된 아날로그 NTSC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로 변환한다. 스위칭부(235)는 제어부(28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제2IF부(235)에서 추출된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외부 영상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시킨다. 아날로그 디코더(237)는 스위칭부(235)에서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외부 영상 신호중 어느 하나를 CCIR601 또는 656 포맷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MPEG 인코더(239)는 제어부(280)의 인코딩 제어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디코더(237)에서 변환된 CCIR601 또는 656 포맷의 비디오 신호를 MPEG 규격으로 인코딩한다. 따라서 제어부(280)는 MPEG 인코더(239)에서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패킷 단위의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멀티플렉서부(240)는 채널복조부(227) 및 MPEG 인코더(239)에서 출력되는 소정 패킷 단위의 제1 및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제어부(280)에서 발생하는 읽기 및 쓰기 타이밍에 따라 소정 비율로 멀티플렉싱한다. 예컨대, 멀티플렉서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HD TS 당 1개의 SD TS를 멀티플렉싱한다.
전송 모듈부(250)는 멀티플렉서부(240)에서 멀티플렉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 대역 예컨대, 5GHz 대역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or)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290)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2의 멀티플렉서부(240)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메모리(310)는 채널 복조부(227)에서 입력되는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PLL부(330)에서 발생하는 클럭 신호에 따라 저장한다. 제2메모리(320)은 MPEG 인코더(239)에서 입력되는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PLL부(330)에서 발생하는 클럭 신호에 따라 저장한다.
멀티플렉서(340)는 제1메모리(310) 및 제2메모리(320)에서 저장된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 비율 예컨대, 3:1 또는 4:2 정도로 멀티플렉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한다. 각 트랜스 포트 스트림에는 MPEG 규격에 따라 패킷마다 HD/SD 신호 정보를 인식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PLL부(330)는 제어부제1메모리(310) 및 제2메모리(320)에 저장 및 독출을 위한 타이밍 클럭을 발생시킨다.
제어부(350)는 제1메모리(310) 및 제2메모리(320)에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고 독출하는 PLL부(330)의 타이밍 클럭을 제어하고, 멀티플렉서(340)에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의 비율로 다중화하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3개 패킷의 HD급 트랜스포 트 스트림을 독출한 후 1개 패킷의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독출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40)의 상세도이다.
도 4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모듈부(410), HD/SD 분리부(420), 제1MPEG 디코더(430), 제2MPEG 디코더(430), PIP 처리부(440), 제어부(460)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모듈부(410)는 5GHz 대역으로 수신되는 OFDM의 무선 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복조한다.
HD/SD 신호 분리부(420)는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패킷 단위마다 헤더 정보를 읽어 HD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분한다. 따라서 HD/SD 신호 분리부(420)는 구분된 HD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제1MPEG 디코더(430)와 제2MPEG 디코더(435)로 출력한다.
제1MPEG 디코더(430)는 제어부(460)의 디코딩 제어 신호에 따라 HD/SD 신호 분리부(420)에서 분리된 H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MPEG 규격의 아날로그/디지털 R, G, B/Y, Pb, Pr 신호로 복조한다.
제2MPEG 디코더(435)는 제어부(460)의 디코딩 제어 신호에 따라 HD/SD 신호 분리부(420)에서 분리된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MPEG 규격의 아날로그/디지털 R, G, B/Y, Pb, Pr 신호로 복조한다.
PIP 처리부(440)는 제1,제2MPEG 디코더(430,435)에서 디코딩된 HD급 및 SD급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 영역과 PIP 영역으로 주사한다. PIP 처리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450)는 PIP 처리부(440)에서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 이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서 HD 급과 SD 급 신호를 동시에 신호처리 하여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더블화면이나 PIP화면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다. 또한 시청자는 셋탑박스와 원격적으로 위치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무선으로 PIP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Claims (6)

  1. HD 및 SD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HD급 및 SD급 영상 신호를 각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그 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셋탑박스,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HD급 및 SD급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그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PIP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입력되는 HD급 영상 신호로부터 패킷 단위의 제1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검출하는 HD 트랜스포트 스트림 검출부;
    입력되는 SD급 영상 신호를 소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패킷 단위의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SD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기 및 쓰기 타이밍 제어에 따라 소정 비율로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전송 모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 트랜스포트 스트림 검출부는
    선국된 IF 신호로 부터 베이스 밴드 신호를 추출하는 IF부;
    상기 IF 부로부터 추출된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는 채널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D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부는
    선국된 IF 신호로 부터 베이스 밴드 신호를 추출하는 IF부;
    상기 IF 처리부에서 추출된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외부 기기의 비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소정 포맷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코더;
    상기 아날로그 디코더부에서 변환된 비디오 신호를 소정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소정 패킷 단위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형성하는 인코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IF부에서 추출된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외부 영상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부는
    상기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1메모리;
    상기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
    상기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에서 저장된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소정 단위내 소정 비율로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에 H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고 소정의 비율로 독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변조된 무선 신호로부터 멀티플렉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수신 모듈부;
    상기 수신 모듈부에서 멀티플렉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HD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HD 및 S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소정 포맷의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 영역과 PIP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는 PIP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20030044247A 2003-07-01 2003-07-01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054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47A KR100547127B1 (ko) 2003-07-01 2003-07-01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47A KR100547127B1 (ko) 2003-07-01 2003-07-01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238A KR20050005238A (ko) 2005-01-13
KR100547127B1 true KR100547127B1 (ko) 2006-01-26

Family

ID=3721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47A KR100547127B1 (ko) 2003-07-01 2003-07-01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38B1 (ko) 2009-03-24 2010-08-03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38B1 (ko) 2009-03-24 2010-08-03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238A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5525B2 (ja) 2つの独立したチャンネルをirdを用いて視聴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714264B1 (en) Digital television channel surfing system
US20030192061A1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digital broadcast
KR100522605B1 (ko) 무선 송신이 가능한 셋 탑 박스
KR20020078585A (ko)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KR20010043726A (ko)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JP200700640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547127B1 (ko) Pip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JP3631079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方法
US20070300255A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in a receiver-decoder apparatus
KR101425221B1 (ko) 멀티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H1116867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970731B1 (ko)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동기 시키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490434B1 (ko)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간의 타임 딜레이를 해결한 무선송수신 시스템
KR20000008138A (ko) 디지털 영상 수신 기기의 피아이피 제어회로
KR100707665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다이젝을 이용한 lnb의 능동적h/v 선택 방법
KR100743284B1 (ko) 외부 영상기기를 이용한 듀얼 튜너 영상 처리 장치
JP447070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0580191B1 (ko) 아날로그 정보를 공유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99209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820965B1 (ko) 무선 디지털티브이에서의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 동기화시스템
JP4518823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013820A (ja) チューナモジュール
KR101376812B1 (ko) 2입력 1출력 수신기
JP2006067205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