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252B1 -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252B1
KR100546252B1 KR1019980017252A KR19980017252A KR100546252B1 KR 100546252 B1 KR100546252 B1 KR 100546252B1 KR 1019980017252 A KR1019980017252 A KR 1019980017252A KR 19980017252 A KR19980017252 A KR 19980017252A KR 100546252 B1 KR100546252 B1 KR 10054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rotrusion
sliding member
ejec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102A (ko
Inventor
박홍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2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2Brakes other than speed-regulating brak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구동환경에서 트레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하는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디스크매체를 수납하여 디스크 구동장치 내로 이송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되어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직선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직선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젝트 돌기와; 상기 이젝트 돌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송출하는 이젝트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이젝트 레버를 구동함으로써 트레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Emergency Eject Device Of Disc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구동환경에서 트레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하는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CD-ROM과 같은 재생전용의 광디스크는 비교적 물리적으로 안전한 정보 기록면을 가지므로 베어 디스크(Bare disk ; 카트리지를 씌우지 않은 디스크)를 디스크 구동장치에 로드한다. 이와 달리, DVD-RAM과 같은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 매체는 비교적 약한 기록면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의 오염원·충격원으로부터 디스크의 정보기록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카트리지에 디스크를 수납하여 디스크 구동장치에 로드하는 것이 일반적 추세에 있다. 베어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가 로드되어 픽업이 억세스할 수 있는 지점까지 이송되면 베어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는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에 안착된다. 이 때를 로드완료 상태라 하며 트레이가 외부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트레이에 탑재된 베어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를 빼내거나 다른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를 트레이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상태를 이젝트 상태라 한다. 로드완료 상태에서 디스크 구동장치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단전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의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디스크 구동장치에는 로드된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Emergency Eject)가 필요하게 된다.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기계적인 동력(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힘에 의한 물리적인 힘)으로 트레이를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로드된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를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의 동작이 중단된 경우 사용자는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크 구동장치로부터 트레이를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를 외부로 꺼내어 다른 정보기기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사용자의 힘으로 동작하므로 적절한 힘에 의해 동작되어야 하고 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로딩계에 부하로 작용되지 않아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의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에 디스크 매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디스크매체를 수납하여 디스크 구동장치 내로 이송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직선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직선 이동 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젝트 돌기와; 상기 이젝트 돌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송출하는 이젝트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로드 완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로드 진행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는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를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2)와,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로드모터(4)와, 스핀들 모터(8)와 픽업(10)을 지지하는 슬레드 베이스(14)와, 슬레드 베이스(14)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24)와, 트레이(2)와 슬라이더(24)에 로드모터(4)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드기어열(6)과, 기계적인 동력으로 트레이(2)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이젝트 레버(18)를 구비한다.
트레이(2)는 베어 디스크 또는 카트리지가 수납되며 스핀들 모터(8)의 턴테이블(20)에 디스크가 안착되도록 하고 픽업(10)의 억세스 공간을 확보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트레이(2)의 저면에는 로드기어열(6)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직선레크(36), 정상구동 상태에서는 이젝트 레버(18)를 구동함과 아울러 비정상적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이젝트 레버(18)에 연동되어 트레이(2)를 외부로 송출시키기 위한 트레이 돌기(42)가 형성된다. 이젝트 레버(18)는 로드동작의 소정구간에서 트레이(2)에 연동되어 슬라이더(24)를 구동하고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힘에 의해 트레이(2)를 외부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이젝트 레버(18)는 메카니즘 베이스(16)에 형성된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로드모터(4)는 메카니즘 베이스(16)에 설치되며 로드 개시시점 또는 이젝트 개시시점에 구동되어 트레이(2)와 슬레드 베이스(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슬레드 베이스(14)는 메카니즘 베이스(16)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레드 베이스(14)는 측벽에 측벽돌기(28)가 형성된다. 이 측벽돌기(28)는 슬라이더(24)의 측벽에 형성된 캠(26)에 끼워지게 되어 슬라이더(24)가 직선운동하면 캠(2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4)가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면 도 2에서 도 1의 상태와 같이 슬레드 베이스(14)는 힌지(50)를 중심으로 메카니즘 베이스(16)에서 선회하여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슬라이더(24)는 슬레드 베이스(14)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슬라이더 돌기(24a)가 형성되어 이젝트 레버(18)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이젝트 레버(18)는 슬라이더(24) 돌기(24a)에 접촉되는 이젝트 돌기(18a)가 형성된다.
로드모터(4)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로드기어열(6)은 로드모터(4)의 동력을 벨트(12)를 경유하여 전달받는 벨트풀리(22)와, 벨트풀리(2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고정기어(30) 및 유성기어(34)와, 트레이(2)를 직선 구동시키기 위한 피니언(32)과, 슬라이더(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암(40)을 구비한다.
벨트풀리(22)는 고정기어(30)의 외주변에 형성된 기어열과 교합되어 있다. 고정기어(30)와 피니언(32) 및 암(40)은 메카니즘 베이스(16) 상에 형성된 동일한 회전축에 끼워지게 된다. 암(40)은 유성기어(34)에 끼워져 유성기어(34)의 회전축을 이루는 암핀(40a)이 형성된다. 로드모터(4)가 구동되면, 로드모터(4)의 회전력은 벨트(12)를 경유하여 벨트풀리(22), 고정기어(30), 유성기어(34)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유성기어(34)의 회전력은 피니언(32)에 전달된다. 피니언(32)의 기어열은 트레이(2)에 형성된 직선레크(36)의 기어열과 교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32)이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2)는 로드방향 또는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트레이(2)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이젝트 상태에서 트레이(2)를 로드방향으로 직선구동하는 경우, 로드모터(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 되어 이 회전력은 벨트(12)를 경유하여 벨트풀리(22)에 전달된다. 따라서, 벨트풀리(22)는 시계 방향으로, 고정기어(3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성기어(34)는 시계 방향으로, 피니언(32)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로드모터(4)의 구동력으로 피니언(32)이 계속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트레이(2)는 로드방향으로 직선구동하여 도 2와 같은 로딩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로드개시 시점부터 도 2와 같은 로드전 상태에 이르기 까지, 도 3의 (A)와 같이 이젝트 레버(18)는 슬라이더 돌기(24a)에 이젝트 돌기(18a)가 접촉되어 슬라이더(24)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이 때 슬레드 베이스(14)의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이 캠(26)의 최저 높이의 끝단에 측벽돌기(28)가 끼워짐으로써 로드방향으로 진입되어 오는 트레이(2)에 간섭을 주지않게 된다.
트레이(2)가 로드 완료지점에서 소정구간(10.6mm) 여유가 있는 시점에 도달하게 되면 도 3의 (B)와 같이 트레이 돌기(42)가 이젝트 돌기(18a)와 접촉되므로 이젝트 레버(18)는 슬라이더 돌기(24a)와 트레이 돌기(42)에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로드모터(4)가 계속 구동하게 되어 트레이(2)가 로드방향으로 직선구동하게 되면 트레이 돌기(42)에 의해 이젝트 레버(18)는 도 3의 (B)에서 도 3의 (C)에서와 같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젝트 레버(18)가 회전하게 되면서 슬라이더 돌기(24a)는 이젝트 돌기(18a)에 의해 이젝트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4)는 이젝트 레버(18)가 회전하는 만큼의 직선구간(2.5 mm) 동안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구동하게 된다. 슬라이더(24)가 직선구동됨에 따라 슬레드 베이스(14)는 도 4의 (B)와 같이 캠(26)의 상승구간 진입 지점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슬레드 베이스(14)는 힌지(50)를 중심으로 메카니즘 베이스(16)에서 하향 기울기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로드방향으로 진입되어 오는 트레이(2)에 간섭을 주지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로드모터(4)는 계속 구동되어 트레이(2)가 로드완료 지점에 이르러 정지하게 되면, 트레이(2)의 직선레크(36)에 교합되어 있는 피니언(32)은 과부하가 걸려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32)은 정지된 채 로드모터(4)의 회전력은 벨트(12), 벨트풀리(22), 고정기어(30) 및 유성기어(34)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유성기어(34)는 피니언(32)의 외주변에 형성된 기어열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암핀(40a)을 회전축으로 자전함과 동시에 피니언(32)의 기어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며 공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암핀(40a)은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회전하게 되므로 암(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암(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24)는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암(40)의 외주변에서 원호를 그리며 형성된 기어열(40b)은 슬라이더(24)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크(44)와 교합된다. 이 때, 측벽돌기(28)가 캠(26)의 상승구간을 따라 올라 감으로써 슬레드 베이스(14)는 힌지(50)를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어 도 4의 (C)와 같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슬레드 베이스(14)에 지지되는 스핀들 모터(8)의 턴테이블에는 디스크가 안착된다. 여기서,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로 전환되면 픽업(10)은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서 랜덤 억세스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수순은 도 5의 타이밍도로 요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젝트 상태에서 로드완료 상태에 이르기까지 트레이(2), 슬라이더(24)와 암(40), 슬레드 베이스(14) 및 이젝트 레버(18)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다. 트레이(2)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이젝트 상태에서 트레이(2)가 로드모터(4)의 구동에 의해 로드방향으로 직선구동하게 되면 이젝트 돌기(18a)는 슬라이더 돌기(24a)에 구속되므로 이젝트 레버(18)는 슬라이더(24)에 의해 구속된다. 로드모터(4)의 계속된 구동에 의해 트레이(2)가 로드완료지점에서 10.6mm 모자라는 구간에 이르게 되면 트레이 돌기(42)에 의해 이젝트 레버(18)에 접촉되므로 트레이(2)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이젝트 레버(18)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4)는 이젝트 방향으로 2.5mm 직선구동된다. 트레이(2)가 로드완료 지점에 이르러 정지하게 되면 암(40)이 회전하게 되고 암(40)에 연동되어 슬라이더(24)는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구동되면서 슬레드 베이스(14)는 캠(26)을 따라 상승하여 수평상태에 이르게 된다. 슬레드 베이스(14)가 수평상태에 이르게 될 때, 슬라이더(24)는 캠(26)의 최고 높이구간만큼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구동되어 측벽돌기(28)는 캠(26)의 최고 높이에서 끼워지게 된다. 이 구간에서, 이젝트 레버(18)는 트레이 돌기(42)에 의해 트레이(2)에 구속된다.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디스크 매체(베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 포함)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해서는 트레이(2)를 기계적인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이러한 이머젼시 이젝트는 슬라이더(24)를 밀어 이젝트 레버(18)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도 6의 (A)와 (B)에서 알 수 있는 바, 슬라이더(24)를 로드방향으로 밀게되면 슬라이더 돌기(24a)가 이젝트 돌기(18a)를 밀게됨으로써 이젝트 레버(18)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젝트 레버(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 돌기(42)는 이젝트 레버(18)에 밀리게 되어 트레이(2)는 이젝트 레버(18)의 회전구간에 해당하는 직선구간(10.6mm)만큼 외부로 송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비정상적으로 디스크 구동장치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이젝트 레버를 구동함으로써 트레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는 비정상적인 구동환경에서 안정되고 정확한 동작에 의해 디스크 매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로딩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젝트 레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더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슬레드 베이스의 동작을 구동시간에 따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로드동작에 따른 부품들의 동작 타이밍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이젝트 레버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송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트레이 4 : 로드모터
6 : 로드기어열 8 : 스핀들 모터
10 : 픽업 12 : 벨트
14 : 슬레드 베이스 16 : 메카니즘 베이스
18 : 이젝트 레버 18a : 이젝트 돌기
20 : 턴테이블 22 : 벨트풀리
24 : 슬라이더 24a : 슬라이더 돌기
26 : 캠 28 : 측벽돌기
30 : 고정기어 32 : 피니언
34 : 유성기어 36 : 직선레크
40 : 암 42 : 트레이 돌기
44 : 슬라이드 레크 50 : 힌지

Claims (6)

  1. 디스크매체를 수납하여 디스크 구동장치 내로 이송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직선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직선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젝트 돌기와;
    상기 이젝트 돌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송출하는 이젝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스핀들 모터와 픽업을 지지하는 슬레드 베이스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순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들과.
    스핀들 모터와 픽업을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슬레드 베이스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기어열들에 교합된 직선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 베이스에는 측벽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돌기를 안내하는 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 장치.
KR1019980017252A 1998-05-13 1998-05-13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KR10054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252A KR100546252B1 (ko) 1998-05-13 1998-05-13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252A KR100546252B1 (ko) 1998-05-13 1998-05-13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102A KR19990085102A (ko) 1999-12-06
KR100546252B1 true KR100546252B1 (ko) 2006-04-17

Family

ID=3718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252A KR100546252B1 (ko) 1998-05-13 1998-05-13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36B1 (ko) * 2005-10-28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트레이 개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270U (ko) * 1996-01-31 1997-08-12 콤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비상 이젝트 장치
KR970050268U (ko) * 1996-01-30 1997-08-12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비상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268U (ko) * 1996-01-30 1997-08-12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비상 배출장치
KR970050270U (ko) * 1996-01-31 1997-08-12 콤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비상 이젝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102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4947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572498A (en) Disc player that loads both compact disc and mini-disc
US6310853B1 (en) Recording medium loa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6804184B2 (en) Optical disc drive
KR100546252B1 (ko) 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젼시 이젝트장치
KR910005643B1 (ko) 상이한 직경의 디스크의 겸용 재생장치
KR100504565B1 (ko) 디스크 구동장치
JP2006228400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KR100267910B1 (ko) 광기록 매체 트레이 취출 장치
JP4201769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10012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 shutter of a cartridge
KR200374291Y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전시 이젝트 장치
JP4322868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KR10052094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
JP200620241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3585102B2 (ja) カートリッジ挿入排出装置
KR20030077115A (ko) 슬로트인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데크 장치
KR19990031246A (ko) 광기록 매체 취출장치
JP2008123619A (ja) ディスク装置
JP2005235302A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2002358710A (ja) ディスク装置
JP2006107561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KR20040000837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9990009901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로드장치
JP2000285568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のストッカ昇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