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965B1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965B1
KR100545965B1 KR1019980023142A KR19980023142A KR100545965B1 KR 100545965 B1 KR100545965 B1 KR 100545965B1 KR 1019980023142 A KR1019980023142 A KR 1019980023142A KR 19980023142 A KR19980023142 A KR 19980023142A KR 100545965 B1 KR100545965 B1 KR 10054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nnector
sol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155A (ko
Inventor
모또무 가지우라
히데히로 신도
데이비드 제이. 더트코프스키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1999000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운반 중 미부 보호를 개선시키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는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B)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인쇄 회로 기판(B)에 납땜되는 미부(6)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 다수의 단자(4)와, 하우징(2)의 길이 방향에서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B)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하우징(2)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보유 부재(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 특히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보유되어 전기 접점으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단자로 구성된다.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전기 커넥터를 장착시키는 경우에, 각 단자의 말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소정 위치로 정확하게 납땜된다.
정합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장착측 상의 단자의 납땜된 말단부(이하, "납땜 미부"로서 간단히 언급됨) 상에 응력이 작용한다. 특히, 정합 커넥터를 장착측 상의 커넥터로부터 잡아빼는 경우에, 상당히 큰 응력이 납땜 미부 상에 작용한다. 정합 커넥터를 착탈시킬 때 납땜 미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할 전기 커넥터에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전기 커넥터를 고착시키기 위한 보강 부재(이하, "누름 부재"로서 간단히 언급됨)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제공된다. 특히,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착된 누름 부재는 과도한 응력이 단자의 납땜 미부 상에 인가되지 않도록 커넥터를 잡아빼는 방향의 힘을 수용한다. 종래에, 상술된 누름 부재로는, 하부측(장착면측)으로부터 커넥터를 누르는 형태와 상부측(장착면측에 대향측)으로부터 커넥터를 누르는 형태(미국 특허 제5,263,867호 참조)가 있다.
조립된 커넥터는 소정 개수의 물품이 운반 트레이 내에 집합적으로 수용된 후에 운반된다. 이 경우에, 트레이에는 커넥터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된다. 운반 도중에 단자의 납땜 미부에 응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용홈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수용홈(100)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102)가 형성된다. 돌출부(102)는 커넥터(104)의 하우징을 상방으로 융기시키기 때문에, 납땜 미부(105)와 수용홈(100)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아 응력이 납땜 미부에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홈(100)의 폭(W1)은 납땜 미부(105)가 수용홈(100)의 측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커넥터(104)의 폭(W2)보다 크게 설정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 장착식 커넥터(104)는 납땜 미부(105)의 정밀한 편평도를 요구한다. 이 경우에, 운반 도중의 미부 보호는 상술된 형태로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커넥터의 제작 공정에서, 먼저, 주조 제품인 하우징은 운반 레일에 의해 소정 공급 단계로 운반되고, 공급 단계로부터 조립 기계로 공급된다. 그리고, 다수의 단자는 조립 기계에 의해 하우징으로 삽입(압입)된다. 제작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누름 부재는 커넥터의 양측면에 부착된다. 이 때, 하부측(장착면측)으로부터 커넥터를 지지하는 누름 부재는, 하우징에 단자를 삽입하는 조립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된다. 그러므로, 조립 기계의 헤드는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정과 누름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공정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기계는 전체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누름 부재는, 상부측으로부터 커넥터를 누르기 위한 누름 부재, 즉 미국 특허 제5,263,867호에 개시된 누름 부재에 비해서 커넥터를 잡아빼는 힘을 견디지 못한다. 한편, 미국 특허 제5,263,867호에 개시된 누름 부재는 커넥터를 잡아빼는 힘을 충분히 견딘다. 그러나, 누름 부재는 상부로부터 끼워 맞추어지도록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기부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누름 부재는 커넥터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누름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상당히 큰 공간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부품의 장착 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미국 특허 제5,263,867호에 개시된 누름 부재는 평판을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최대 기계적 강도는 만곡부의 강도에 의존한다. 게다가, 누름 부재는 4개의 만곡부를 갖고, 이 때문에, 각 만곡부 내의 공차는 축적되어, 최종 누름 부재의 치수에 큰 오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납땜되고자 하는 누름 부재의 일부에서 바람직한 편평도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납땜 미부가 정확한 편평도를 갖는다 하여도 바람직한 상태로 커넥터의 표면 장착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커넥터의 자동 장착 공정에서, 커넥터는 특정 노즐에 의해 운반 트레이로부터 순차적으로 흡착되고, 이 후에 인쇄 회로 기판 상으로 운반된다. 그러므로, 커넥터가 소정 각도의 방향성을 갖고 트레이(T)의 수용홈에 수용(도6 참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트레이(T)의 수용홈(100)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넥터는 운반 중 홈(100)에서 흔들리므로, 커넥터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방향성도 자동 장착 공정에서 얻어지지 않는다. 특히, 미부 보호가 충분히 달성될 수 없다. 특히,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4)는 수용홈(104)의 돌출부(102)에 의해 융기되고, 커넥터(104)와 수용홈(100)의 측벽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커넥터(104)가 이러한 상태로 배치되면, 커넥터(104)는 불균형하게 되고 운반 도중에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납땜 미부(105)는 수용홈(100)의 측면에 접촉하고, 결국, 응력이 그곳에 가해진다.
트레이측에는 납땜 미부와의 비접촉 위치에 돌출부가 제공되고, 커넥터를 위치 설정하기 위하여 이 돌출부를 커넥터의 하우징과 접촉시키는 것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고려된다. 그러나, 자동 장착 공정에 요구되는 커넥터의 방향성을 얻기 위해, 그리고 미부 보호를 달성하기 위하여 트레이측에 정확도가 요구된다면, 트레이 자체는 고가가 된다. 사실, 커넥터의 자동 장착 공정에서, 커넥터는 특정 노즐에 의해 트레이로부터 취해지고, 이 후에, 커넥터의 방향성은 카메라 모니터에 의해 정확하게 보정된다. 따라서, 커넥터가 트레이에 수용될 때, 방향성은 커넥터에 단지 어느 정도로만 부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레이에 대한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술된 환경을 고려하면, 트레이의 수용홈의 측벽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커넥터의 하우징에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하우징에 이러한 돌출부가 제공되면, 커넥터의 제작 공정에서 하우징을 조립 기계에 공급하기 위한 운반 레일의 폭은 돌출부에 따라 넓혀질 필요가 있다. 결국, 커넥터 제작 기계 측에 대해 몇 가지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운반 레일의 폭이 넓어지면, 커넥터가 레일 상에서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는 견고하게 배치된 상태로 운송될 수 없고, 정밀한 편평도를 갖는 납땜 미부의 보호가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누름 강도로 인쇄 회로 기판 상으로 커넥터의 바람직한 표면 장착을 수행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의 장착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제작 공정에서 실패와 커넥터 운반 트레이의 제작 비용을 증가시킴이 없이, 운반 도중의 미부 보호를 개선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은 유지 부재에 의해 상부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눌려진다. 특히, 유지 부재는 하우징을 충분한 누름 강도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착시키고, 정합 커넥터를 그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잡아뺄 때 야기되는 힘을 수용하여, 단자의 납땜 미부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는 잡아빼는 방향으로의 힘을 견디게 된다. 또한, 유지 부재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므로, 유지 부재는 커넥터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아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커넥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작게 한다. 그러므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부품의 장착 밀도는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유지 부재는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단자의 열(train)을 덮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커넥터가 커넥터 운반 트레이의 커넥터 수용홈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라도, 유지 부재는 납땜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서, 유지 부재에는 커넥터 운반 트레이의 커넥터 수용홈에 하우징을 위치 설정시키는 위치 설정 수단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위치 설정 수단은 유지 부재의 양측단부에 제공된다. 또한, 위치 설정 수단은,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과 접촉하고 또한 커넥터 수용홈 내에서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을 위치 설정시키는 돌출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커넥터는 커넥터 수용홈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고, 또한 커넥터는 회전되거나 또는 흔들림으로부터 방지된다. 그러므로, 운반 중 미부 보호는 확실히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유지 부재에는, 인쇄 회로 기판과 결합하여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유지 부재를 순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자와 유지 부재의 고착부를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납땜시킬 때 커넥터가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납땜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a 내지 도1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제작되고 일체형 구조로 성형된 하우징(2)과, 상호 절연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수용되고 전기 접점으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암형 단자(4)를 포함한다. 이들 다수의 암형 단자(4)는 이들이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조립 기계(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2)에 집합적으로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암형 단자(4)는 한 쌍의 단자부(4a, 4b)로 구성된다. 각각의 단자부(4a, 4b)는 인쇄 회로 기판(B)의 소정 위치 상에 납땜되는 일단부(6) 및 정합 커넥터의 수형 단자(10)에 접속되는 타단부(8)를 갖고, 단자부의 양단부 사이의 일부분이 만곡하는 상태로 하우징(2)에 유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커넥터의 수형 단자(10)가 단자부(4a, 4b)의 타단부(8, 8)들 사이에 삽입될 때,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단자부(4a, 4b)의 일단부(6)는 소정의 편평도[인쇄 회로 기판(B)의 장착면과 평행하기 위함]로 외측으로 만곡되고, 하우징(2)의 측면으로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납땜될 납땜 미부를 형성한다.
하우징(2)의 길이 방향 양단부측에는,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암형 단자(4)를 덮기 위하여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전기 커넥터(1)를 고착시키기 위한 누름 부재(12)가 끼워 맞춤된다. 누름 부재(12)는 박판을 블랭킹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누름 부재(12)는 하우징(2)의 상부 상에 제공된 오목홈(30)에 끼워 맞춤되는 볼록부(14), 및 이 볼록부(14)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2)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춤되는 한 쌍의 다리부(16, 16)를 갖는다.
각각의 다리부(16, 16)의 하단부는 소정의 편평도[인쇄 회로 기판(B)의 장착면과 평행하기 위함]로 외측으로 만곡되는 방식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B)의 소정 위치 상에 납땜될 고착부(18)가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다리부(16, 16)에는 측면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20)가 형성된다. 돌출부(20)는 하기에 설명되는 운반 트레이(T)의 수용홈(50)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설정된 돌출 길이를 갖는다. 특히, 돌출부(20, 20) 사이의 길이(L)는 누름 부재(12)의 양측면 상의 돌출부(20, 20)가 수용홈(50)의 양측벽에 접촉할 때 커넥터(1)가 수용홈(50)에 안정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수용홈(50)의 폭(W; 도4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 커넥터(1)의 제작 공정에서, 먼저, 주조 제품인 하우징(2)이 운반 레일에 의해 소정 공급 단계로 운반되고, 이 공급 단계로부터 조립 기계로 공급된다. 이 후에, 다수의 암형 단자(4)는 조립 기계에 의해 하우징(2) 내에 집합적으로 삽입된다. 제작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누름 부재(12)는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부착된다. 특히, 누름 부재(12)는 하우징(2)의 상부 상에 제공된 오목홈(30)에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이 누름 부재의 다리부(16, 16)는 하우징(2)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춤된다. 이 경우에, 누름 부재(12)는 암형 단자(4)를 하우징(2)에 삽입시키는 조립 방향과는 역방향[커넥터(1)의 장착면의 반대측]으로 부착된다.
조립된 커넥터(1)는 소정 수의 물품과 함께 다수의 수용홈(50)을 갖는 운반 트레이(T)에 집합적으로 수용된 후에 운반된다. 이 경우에, 전기 커넥터(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수용홈(50)에 수용된다. 특히, 수용홈(50)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52)가 형성된다. 커넥터(1)의 하우징(2)은 돌출부(52)에 의해 상방으로 융기되어, 납땜 미부(6)는 수용홈(50)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응력이 납땜 미부(6)에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홈(50)의 폭(W)은 납땜 미부(6)가 수용홈(50)의 측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커넥터(1)의 실질적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운반 중 커넥터(1)가 흔들거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누름 부재(12)의 양측면 상의 돌출부(20, 20)는 수용홈(50)의 양측벽과 접촉하여, 커넥터(1)는 수용홈(50)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고, 그러므로 커넥터(1)의 회전 및 진동을 수반하는 흔들거림은 방지될 수 있다. 커넥터(1)가 운반에 의한 진동에 기인하여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납땜 미부(6) 및 수용홈(50)의 측벽은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암형 단자(4)를 덮는 누름 부재(12)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어 미부 보호가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커넥터(1)를 자동으로 장착시키는 자동 장착 공정에서, 커넥터(1)는 특정 노즐에 의해 트레이(T)로부터 하나씩 흡착된 후에, 인쇄 회로 기판(B) 상으로 운반된다. 이 경우에,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제작된 캡톤 테이프(45; Kapton tape)(도1 참조)는 커넥터(1)의 상부면 상에 부착된다. 캡톤 테이프(45)는 특정 노즐에 의해 커넥터(1)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면으로서 사용된다. 그 다음에, 커넥터(1)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소정 위치 상에 안착되고, 이 후에 리플로우 납땜(reflow soldering)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장착된다. 특히, 암형 단자(4)의 납땜 미부(6)는 인쇄 회로 기판(B) 상의 인쇄 회로의 소정 위치에 납땜되고, 또한 누름 부재(12)의 다리부(16)의 고착부(18)는 인쇄 회로 기판(B)의 소정 위치에 납땜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2)은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견고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누름 부재에 의해 상부로부터 가압된다. 캡톤 테이프(45)는 납땜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커넥터(1)로부터 벗겨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하우징(2)은 누름 부재(12)에 의해 상부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눌려진다. 특히, 누름 부재(12)는 충분한 누름 강도로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하우징을 고착시키고, 커넥터(1)로부터 정합 커넥터를 잡아뺄 때 작용하는 힘을 이 작용력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수용하여, 응력이 암형 단자(4)의 납땜 미부(6)에 과도하게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는 잡아빼는 방향의 힘을 충분히 견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박형 누름 부재(12)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상에 끼워 맞춤된다. 이 때문에, 누름 부재(12)는 커넥터(1)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아, 인쇄 회로 기판(B) 상의 커넥터(1)에 의해 점유된 공간은 미국 특허 제5,263,867호에 개시된 커넥터의 것과 비교하여 작다.
그러므로,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B) 상에서의 전기 부품의 장착(패키징) 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누름 부재(12)는 암형 단자(4)를 그의 길이 방향 양측면으로부터 덮도록 위치된다. 커넥터(1)가 운반 중의 진동에 기인하여 트레이(T)의 수용홈(5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누름 부재(12)는 납땜 미부(6)와 수용홈(50)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운반 중 미부 보호는 커넥터(1)의 길이 방향으로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누름 부재(12)에는 그의 양측면에서 트레이(T)의 수용홈(50)의 양측벽과 접촉하는 돌출부(20)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커넥터(1)는 수용홈(50) 내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어, 커넥터(1)는 회전되거나 흔들리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즉, 운반 도중의 미부 보호는 커넥터(1)의 폭방향으로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T) 및 하우징(2)에는 돌출부(20)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 제작 공정에서 조립 기계로 하우징(2)을 운반시키기 위한 운반 레일의 폭을 돌출부(20)에 따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트레이(T)는 엄격한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운반 중 미부 보호는 커넥터 제작 공정에서의 실패 및 운반 트레이(T)의 제작 비용 증가를 야기시킴이 없이 개선될 수 있다. 커넥터 제작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누름 부재(12)는 하우징(2)에 부착되고, 그러므로, 누름 부재(12)에 상술된 돌출부(20)가 제공되어도 운반 레일의 폭을 확장시키거나 커넥터 제작 기계 측에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누름 부재(12)는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누름 부재(12)는 높은 치수 정밀도로 매우 얇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B)의 표면 상에 납땜되는 누름 부재(12)의 고정부(18)의 바람직한 편평도가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편평한 납땜 미부(6)를 사용함으로써, 커넥터(1)는 바람직한 상태로 인쇄 회로 기판(B)의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운반 중 커넥터(1)의 길이 방향에서의 미부 보호를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누름 부재(12)의 고정부(18, 18) 사이의 길이(L2)는 암형 단자(4)의 납땜 미부(6, 6) 사이의 길이(L3)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정부(18, 18) 사이의 길이(L2)가 돌출부(20, 20) 사이의 길이(L)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고정부(18)와 돌출부(20) 양자 모두가 트레이(T)의 수용홈(50)의 양측벽에 맞닿아서 커넥터(1)는 수용홈(50) 내에 보다 확실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부재(12)에는 인쇄 회로 기판(B)에 순간적으로 고정되는 결합부(25)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5)는 누름 부재(12)의 볼록부(14)에 제공되고 누름 부재(12)의 내측면 상에서 하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부재(12)가 하우징(2)에 끼워 맞춤되는 상태에서, 결합부(25)는 하우징(2)의 오목홈(30)으로부터 그의 하부면까지 관통하는 구멍(27)을 통해 연장하고 하우징(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결합부(25)의 하단부의 표면에는 인쇄 회로 기판(B)에 형성된 홈(4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이 형성된다. 결합 수단은 예를 들어 결합부(25)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부 또는 결합부(25)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 돌기일 수 있다. 즉, 결합 수단은 결합부(25)가 마찰에 의해 홈(40)에 순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이어도 좋다.
상술된 결합부(25)가 누름 부재(12)에 제공된다면, 커넥터(1)는 암형 단자(4)와 누름 부재(12)의 고정부(18)를 인쇄 회로 기판(B) 상에 납땜시킬 때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납땜 작업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납땜 작업이 자동 장착이 아닌 수동으로 수행될 때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장착 밀도는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운반 중 미부 보호는 커넥터 제작 공정에서 실패 및 커넥터용 운반 트레이의 제작비 증가를 야기시킴이 없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형이나 추가가 상기 실시예에 가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단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범위 및 범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1b는 도1a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도1c는 도1a의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
도2는 도1b에서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3은 도1b에서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4는 도1의 전기 커넥터가 운반 트레이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5는 도1의 수정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도3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종래 전기 커넥터가 운반 트레이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넥터
2 : 하우징
4 : 암형 단자
12 : 누름 부재
16 : 다리부
18 : 고착부
20 : 돌출부
30 : 오목홈
50 : 수용홈

Claims (9)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인쇄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하부면,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 2개의 대향 단부 및 2개의 대향 측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2개의 대향 측면에 걸쳐 끼워 맞춤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가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될 때, 유지 부재는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하우징을 누르는 전기 커넥터.
  2.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인쇄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하부면,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 2개의 대향 단부 및 2개의 대향 측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단자와,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단자의 열을 덮도록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2개의 대향 측면에 걸쳐 끼워 맞춤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가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될 때, 유지 부재는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하우징을 누르는 전기 커넥터.
  3.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 다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고, 전기 커넥터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에 하우징을 위치 설정시키는 위치 설정 수단이 제공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에 하우징을 위치 설정시키는 위치 설정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 다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전기 커넥터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과 접촉하고,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을 커넥터 수용홈에 위치 설정시키는 돌출부가 양측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전기 커넥터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과 접촉하고,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을 커넥터 수용홈에 위치 설정시키는 돌출부와, 인쇄 회로 기판과 결합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유지 부재를 순간적으로 고정시키는 결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단자의 열을 덮기 위하여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 맞춤되는 볼록부와, 이 볼록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춤되도록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 다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소정 편평도를 갖고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연장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납땜되는 고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단자의 열을 덮기 위하여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 맞춤되는 볼록부와, 이 볼록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춤되도록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 다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소정 편평도를 갖고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연장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납땜되는 고착부와, 전기 커넥터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과 접촉하고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넥터 수용홈에 하우징을 위치 설정시키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하부면 및 이 하부면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전기 접점으로서의 다수의 단자와,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단자의 열을 덮기 위하여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상에 끼워 맞춤되고,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상부로부터 누르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 맞춤되는 볼록부와, 이 볼록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춤되도록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 다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소정 편평도를 갖고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연장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납땜되는 고착부와, 전기 커넥터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과 접촉하고 미부와 커넥터 수용홈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넥터 수용홈에 하우징을 위치 설정시키는 돌출부와, 인쇄 회로 기판과 결합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유지 부재를 순간적으로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80023142A 1997-06-20 1998-06-19 전기커넥터 KR10054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005327U JP3044604U (ja) 1997-06-20 1997-06-20 電気コネクタ
JP97-5327 1997-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55A KR19990007155A (ko) 1999-01-25
KR100545965B1 true KR100545965B1 (ko) 2006-03-23

Family

ID=1160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142A KR100545965B1 (ko) 1997-06-20 1998-06-19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86348A3 (ko)
JP (1) JP3044604U (ko)
KR (1) KR100545965B1 (ko)
SG (1) SG71805A1 (ko)
TW (1) TW37792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0387B2 (ja) *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197A (ja) * 1993-04-23 1994-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H07240246A (ja) * 1994-02-28 1995-09-12 Amp Japan Ltd 基板実装型電気コネクタ
JPH097693A (ja) * 1995-06-14 1997-01-10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KR19980702071A (ko) * 1995-02-09 1998-07-15 프랭크 에이. 윌프링 인쇄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849Y2 (ja) * 1990-12-25 1997-03-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表面実装用コネクタの補強金具構造
US5263867A (en) * 1991-03-18 1993-11-23 Kel Corporation Connector with contact locating housing part
WO1993002489A1 (en) * 1991-07-16 1993-02-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tention system for a connector housing
US5259789A (en) * 1993-02-23 1993-11-09 Molex Incorporated Retention system for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197A (ja) * 1993-04-23 1994-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H07240246A (ja) * 1994-02-28 1995-09-12 Amp Japan Ltd 基板実装型電気コネクタ
KR19980702071A (ko) * 1995-02-09 1998-07-15 프랭크 에이. 윌프링 인쇄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JPH097693A (ja) * 1995-06-14 1997-01-10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1805A1 (en) 2000-04-18
EP0886348A3 (en) 1999-11-17
KR19990007155A (ko) 1999-01-25
TW377922U (en) 1999-12-21
EP0886348A2 (en) 1998-12-23
JP3044604U (ja) 1998-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49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모서리 커넥터
US5336111A (en) Board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558540A (en) Multi-connector assembly
KR0138832B1 (ko) 모서리 장착식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0584577B1 (en)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827588B1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442036B2 (en) Substrate mount type terminal
JPH08213120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基板支持装置
JPH07211370A (ja) プリント回路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US6955545B1 (en) Two piece ball grid array
KR100545965B1 (ko) 전기커넥터
JPH04237982A (ja) 電気コネクタ
US6210177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10302862A (ja) 電気コネクタ
JP2562970Y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7037116B1 (en) Socket connector having multi-piece housing
US5984722A (en) Printed board connector
US6050851A (en) Electric connector
JP2767537B2 (ja) 可動型電気コネクタ
US612648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H113752A (ja) 実装用コネクタ
US5803753A (en) Terminal arranging board for a circuit board connector
WO1999004462A1 (en) Electrical connector cap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56759U (ja) Fpc接続用コネクタ
JPH0817526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