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090B1 -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090B1
KR100545090B1 KR1020010080614A KR20010080614A KR100545090B1 KR 100545090 B1 KR100545090 B1 KR 100545090B1 KR 1020010080614 A KR1020010080614 A KR 1020010080614A KR 20010080614 A KR20010080614 A KR 20010080614A KR 100545090 B1 KR100545090 B1 KR 10054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ta
ferrite
content
stainless steel
delta fer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214A (ko
Inventor
심상대
김선구
김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 :0.003~0.006wt.%, Si:0.4~0.6wt.%, Mn:1.3~1.6wt.%, Cr:18.1~18.7wt.%:, Ni:8.1~8.5wt.%,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스테인레스 304강에 있어서, Ca 함량을 0.0006 ~ 0.0036wt.% 로 조절, 첨가하여 델타페라이트(delta-ferrite) 함량을 제어하도록 된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 제어방법을 요지로 한다.
델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

Description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delta-ferrite of the stainless steel}
도 1은 델타페라이트 와 Ca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2는 Ca 첨가시에 열간가공성이 향상된 그래프를 도시한 그래프도.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304 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간가공성을 확보하여 실수율을 높여 원가 및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통 스테인레스 304 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레스강으로서 용도는 주방용품부터 전자부품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04강은 기본성분이 C(0.003~0.006wt.%), Si(0.4~0.6wt.%), Mn(1.3~1.6wt.%), Cr(18.1~18.7wt.%), Ni(8.1~8.5wt.%), Ti(0.008~0.02wt.%)로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304강을 제조할때는 연속주조한 후에 열간압연하여 코일상태로 제조 하게 된다. 하지만, 열간압연시에 크랙이나 표면흠등이 발생하게 되면 코일그라인딩(Coil grinding:CG)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열간압연시에 크랙이나 표면흠등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열간가공성의 저하 때문에 발생된다. 열간가공성이란 소재가 크랙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열간가공성이 저하되면 입계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열간가공성이 증가하게 되면 열간압연시에 크랙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열간가공성의 평가는 주로 단면적 감소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열간가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델타페라이트 (delta-ferrite)함량이다. 스테인레스강의 304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동안의 공지된 기술을 보면 델타페라이트 함량이 9% 이상이 되면 열간압연시에 델타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상과의 고온 강도 차이에 의해 표면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델타페라이트 함량이 6% 이하가 되면 열간압연시에 재결정 사이트가 부족하게 되어 그레인(grain)들이 조대하게 되어 표면크랙이 발생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304강을 제조시에는 델타페라이트 함량을 6 ~ 9% 맞춰 조업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강력한 델타페라이트 조장원소인 Ti을 집어넣고 있다. 하지만 Ti을 집어 넣게 되면 Ti 첨가에 의한 원가상승을 가져오게 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델타페라이트 조장원소로는 Cr, Mo, Ti, Si, Nb, W, V, Al 있다. 현재 304강에는 대표적으로 델타페라이트 조장원소로 Ti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양이 약 0.02wt.% 된다.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게 되면 톤당 300만원 정도가 소모되는 등 경제적인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즉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해 델타페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델타페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는 심도 있게 연구한 결과, Ca첨가가 델타페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확인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게 이르렀다. 공지에는 Ca이 S등을 포집하여 입계를 강화하기 때문에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델타페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터득할 수 있었다.
표 1은 종래강과 본 발명강의 고액공존 구간을 비교한 도표이다.
구분 종래강 (C-Si-Mn-Cr-Ni-Ti) 발명강 (C-Si-Mn-Cr-Ni-Ca)
고액공존구간 88℃ 65℃
본 발명은 델타페라이트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Ca을 첨가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Ca을 첨가하게 되면 표 1에서 보듯이 포정반응 및 고액공존 구간이 Ca을 첨가하지 않을 때 보다 23℃가 줄어들게 된다.
포정반응 및 고액공존 구간이 줄어든다는 것은 304강이 응고하는 도중에 액 상을 빨리 소모하여 고상에서만 델타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델타페라이트 함량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델타페라이트 조장원소인 Ti를 첨가하지 않고도 Ca만을 첨가하여도 델타페라이트 함량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Ca 함량과 델타페라이트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의 304 강제조시의 성분중 델타페라이트 조장원소인 Ti를 빼고 C(0.003~0.006wt.%), Si(0.4~0.6wt.%), Mn(1.3~1.6wt.%), Cr(18.1~18.7wt.%), Ni(8.1~8.5wt.%) 성분에 Ca을 첨가하였을 때 Ca 함량과 델타페라이트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0.0005wt.% Ca 함량일때는 델타페라이트 함량이 6% 이고 0.0037wt.% Ca 함량일때는 델타페라이트 함량이 9%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0.0006 ~ 0.0036wt.% Ca 함량일때는 델타페라이트 함량이 6.1~8.8% 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Ca 함량이 0.0005wt.% 이하일때는 열간압연시 재결정사이트가 부족하여 그레인들이 조대하여 표면 크랙이 발생하기 쉽고 Ca 함량이 0.0037wt.% 이상일때는 열간압연시 델타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 상의 고온강도 차이에 의해 크랙사이트가 많아지므로 표면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열간가공성 확보를 위해서는 Ca 함량을 0.0006 ~ 0.0036wt.% 로 조절하여야 한다.
도 2는 Ca 첨가유무에 따른 열간가공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Ca이 첨가되면 Ti만 첨가되었을때나, Ti과 Ca이 첨가되지 않았을때보다 열간가공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고온변형시 재결정 사이트로 작용하는 델타페라이트양을 Ca이 강력히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실시예 1]
Ca을 0.0005 ~ 0.0037wt.% 사이로 조절하여 열간압연을 실시하여 검사원이 육안으로 표면크랙을 확인하였다.
Ca 함량(wt.%) 델타페라이트 함량(%) 표면크랙 발생 여부
0.0005 6 표면크랙 발생
0.0006 6.1 표면크랙 미발생
0.0010 7 표면크랙 미발생
0.0036 8.8 표면크랙 미발생
0.0037 9 표면크랙 발생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범위에서는 표면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Ca 함량을 0.0036wt.% 로 첨가하더라도 톤당 200만원의 비용이 드므로 Ti을 첨가했을때보다는 최소 톤당 100만 이상 원가절감이 될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종래의 코일그라인딩율이 5% 이상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크게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제품 실수율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C :0.003~0.006wt.%, Si:0.4~0.6wt.%, Mn:1.3~1.6wt.%, Cr:18.1~18.7wt.%:, Ni:8.1~8.5wt.%,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스테인레스 304강에 있어서, Ca 함량을 0.0006 ~ 0.0036wt.% 로 조절, 첨가하여 델타페라이트(delta-ferrite) 함량을 제어하도록 된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 제어방법.
KR1020010080614A 2001-12-18 2001-12-18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KR10054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614A KR100545090B1 (ko) 2001-12-18 2001-12-18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614A KR100545090B1 (ko) 2001-12-18 2001-12-18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14A KR20030050214A (ko) 2003-06-25
KR100545090B1 true KR100545090B1 (ko) 2006-01-24

Family

ID=2957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614A KR100545090B1 (ko) 2001-12-18 2001-12-18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328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향상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8052A (ja) * 1988-10-28 1990-05-02 Daido Steel Co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5156408A (ja) * 1991-11-29 1993-06-22 Nippon Steel Corp 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H06306551A (ja) * 1993-04-28 1994-11-01 Nippon Steel Corp 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H0790503A (ja) * 1993-09-17 1995-04-04 Nkk Corp 熱間加工性に優れた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8052A (ja) * 1988-10-28 1990-05-02 Daido Steel Co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5156408A (ja) * 1991-11-29 1993-06-22 Nippon Steel Corp 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H06306551A (ja) * 1993-04-28 1994-11-01 Nippon Steel Corp 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H0790503A (ja) * 1993-09-17 1995-04-04 Nkk Corp 熱間加工性に優れた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328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향상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1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8896B (zh) 一种Fe-Mn-Al-C系高强度低密度钢及其制备方法
KR101694875B1 (ko) 고강도 열간 압연 q&p 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654757B (zh) 涂层半工艺无取向电工钢板及制造方法
EP3225710A1 (en) Low-alloy high-strength high-tenacity stee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0184545B (zh) 一种布氏硬度为400hb级别低温半淬透耐磨钢及生产方法
EP2660348B1 (en) Die steel having superior rusting resistance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42987B1 (ko)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베어링강 선재의 제조방법
CN101724783B (zh) 一种耐热型合金结构钢板及其生产方法
CN111349754A (zh) 一种通过熔体处理控制双相钢带状组织的处理剂和方法
KR100545090B1 (ko) 스테인레스강의 열간가공성 향상을 위한 델타페라이트제어방법
CN102690994A (zh) 一种中铬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102268906B1 (ko)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EP4202072A1 (en) High-strength and high-fatigue-life steel for cable, and wire r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500048B1 (ko) 내황산 부식성이 우수한 강판의 제조방법
KR100381525B1 (ko) 압조성이우수한오스테나이트계스테인레스강및그제조방법
KR100321043B1 (ko) 표면결함이 저감된 316엘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제조방법
CN115478214B (zh) 一种矿用链条钢及其制造方法
KR100470644B1 (ko) 내2차 가공취성 및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 심가공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544611B1 (ko) 피로특성이 우수한 가공용 고강도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276300B1 (ko) 저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CN115491614A (zh) 一种强塑积大于60GPa·%奥氏体高锰钢及生产方法
KR100631859B1 (ko) 저시효성의 고강도 극박 표면처리 원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06391B1 (ko) 드로잉성이 우수한 초심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986844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0530076B1 (ko) 내2차가공취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