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016B1 -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016B1
KR100545016B1 KR1020040027066A KR20040027066A KR100545016B1 KR 100545016 B1 KR100545016 B1 KR 100545016B1 KR 1020040027066 A KR1020040027066 A KR 1020040027066A KR 20040027066 A KR20040027066 A KR 20040027066A KR 100545016 B1 KR100545016 B1 KR 10054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lation
vertical
horizontal
ratio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845A (ko
Inventor
박형준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1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5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63B2069/0082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with movement of the cord-attachment along its rotational axis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e.g. following a helical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4Supports, e.g. poles with screws or pins in the ear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확대 보간 장치는,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직거리에 따른 수직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직 보간비 산출부; 산출된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수직 FRC(Frame Rate Controller);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평거리에 따른 수평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평 보간비 산출부; 산출된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평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FRC(Frame Rate Controller); 및 수직보간강도신호 및 수평보간강도신호의 조합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각각의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간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신속하며 효율적인 영상 확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A apparatus for image scaling and interpolating using frame rate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영상확대보간장치의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영상확대보간장치의 보간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보간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보간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에서, 프레임 레이트의 제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선형 확대 보간 처리를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은 대략 초당 18회의 정지영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이상이 되면 사람의 눈은 영상의 분절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인간 눈의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초당 18회 이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속적인 화면을 제공한다. 이렇게 초당 한 프레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회수를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라하며, 이는 화질 결정의 중요 요소로서 사용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사용자의 높은 수준의 화질 요구에 따라 영상 확대 및 보간 기술이 영상 처리 분야의 화두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영상 확대에 따른 보간 알고리즘으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확대 보간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확대 보간 장치는 보간값 산출부(110), 확대 영상 저장부(120), 파레트(125), 및 프레임 레이트 콘트롤러(Frame Rate Controller, 이하 RFC,130)를 포함한다.
보간값 산출부(110)는 확대하기 위한 원영상으로 부터 확대 영상에 대한 선형 보간값을 산출한다.
도 2는 도 1의 보간값 산출부(110)의 선형 보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00, P10, P01, 및 P11은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픽셀로서 확대에 따른 영상 보간의 기준이 되는 기준픽셀이며, P는 보간할 픽셀을 나타낸다. P의 보간값은 P와 4개의 기준픽셀과의 거리비에 따라 산출된다. 아래 [수학식 1]은 종래 선형보간 방법에 따른 보간값 산출식이다.
Figure 112004016148918-pat00001
Figure 112004016148918-pat00002
Figure 112004016148918-pat00003
Figure 112004016148918-pat00004
이후, 보간값 산출부(110)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산출된 각 픽셀별 보간값을 확대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파레트(125)는 확대 영상 저장부(120)로 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하여 픽셀(또는 컬러 콤포넌트) 단위로 분리하여 저장한다.
FRC(130)는 입력된 보간값에 따라 픽셀값의 강도를 선택하며, 강도 제어부(135), 및 선택부(139)를 포함한다. 강도 제어부(135)는 여러 가지 강도에 대응하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부로서, 본 실시예는 4 단계의 그레이 레벨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0% 강도 생성부(137-1), 33% 강도 생성부(137-2), 66% 강도 생성부(137-3), 및 100% 강도 생성부(137-4)를 포함한다.
각각의 강도 생성부(137-1 ∼ 137-4)는 소정의 기준 클럭에 동기하여 자신이 생성할 강도에 대응하도록 흑색과 백색의 비율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즉, 0% 강도 생성부(137-1)인 경우 초당 디스플레이되는 픽셀의 흑색 대 백색 비율이 1:0이 되 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33% 강도 생성부(137-2)는 흑색 대 백색 비율이 2:1이 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66% 강도 생성부(137-3)의 경우에는 흑색 대 백색 비율이 1:2가 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100% 강도 제어부(137-4)는 흑색 대 백색 비율이 0:1이 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흑색과 백색의 비율은 유지하되 그 순서를 랜덤(Random)하게 제어하여 자연스러운 색상을 표현한다.
선택부(139)는 소정의 기준 클럭에 동기하여 강도 제어부(135)로 부터 보간값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된 픽셀별 보간값에 대응하는 강도 생성부(137-1 ∼ 137-4)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후 출력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포멧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 송신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간을 위한 연산이 복잡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되며, 보간되어 확대된 영상을 저장할 별도의 메모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 레이트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선형 보간에 따른 복잡한 곱셈 연산을 제거함으로써, 영상 확대의 효율을 높히며 확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는,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직거리에 따른 수직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직 보간비 산출부; 산출된 상기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수직 FRC(Frame Rate Controller);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평거리에 따른 수평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평 보간비 산출부; 산출된 상기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평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FRC(Frame Rate Controller); 및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 및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의 조합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간부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간부는, 사람의 눈을 통한 잔상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기준픽셀이 선택되어지는 속도를 상기 영상 확대 보간 장치의 프레임레이트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가령 프레임 레이트가 30인경우, 상기 기준픽셀이 선택되어지는 속도는 1/30초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방법은,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직거리에 따른 수직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직 보간비 산출 단계; 산출된 상기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보간할 픽셀과의 수평거리에 따른 수평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평 보간비 산출 단계; 산출된 상기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평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 및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의 조합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간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간 단계는, 사람 눈의 잔상효과가 발생하도록 기준픽셀이 선택되어지는 속도를 상기 영상 확대 보간 장치의 프레임레이트에 따라 조절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영상 확대보간 장치는 파레트(215), 수직 보간비 산출부(220), 수직 FRC(230), 수평 보간비 산출부(240), 수평 FRC(250), 기준픽셀버퍼(260), 및 보간부(270)를 포함한다.
파레트(215)는 원 영상으로 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하여 픽셀(또는 컬러 콤포넌트) 단위로 분리하여 저장한다.
수직 보간비 산출부(220)는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픽셀로서 확대에 따른 영상 보간의 기준이 되는 기준픽셀별로 보간할 픽셀에 대한 수직 보간비를 산출한다. 이때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게 되는 기준 픽셀의 위치 특성상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기준픽셀 두 쌍은 서로 같은 수직 보간비를 갖게된다.
수직 FRC(230)는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강도신호를 생성하는 부로서, 수직 보간 강도 제어부(235) 및 수직 보간 강도 선택부(239)를 포함한다.
수직 보간 강도 제어부(235)는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픽셀, 가령 프레임 레이트가 30인 경우 30개의 픽셀값을 흑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여, 소정 단계의 수직 보간강도신호를 생성하는 부로서, 흑색과 백색의 비율을 1:0으로 제어하는 0% 수직 보간 강도 생성부(237-1), 2:1로 제어하는 33% 수직 보간 강도 생성부(237-2), 1:2으로 제어하는 66% 수직 보간 강도 생성부(237-3), 및 0:1으로 제어하는 100% 수직 보간 강도 생성부(237-4)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수직 보간 강도 생성부(237-1 ∼ 237-4)는 흑색과 백색의 순서를 랜덤(Random)하게 제어하여 출력한다.
수직 보간강도 선택부(239)는 수직 보간비 산출부(220)로 부터 입력된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강도 생성부(237-1 ∼ 237-4)의 출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수평 보간비 산출부(240)는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픽셀로서 확대에 따른 영상 보간의 기준이 되는 기준픽셀 별로 보간할 픽셀에 대한 수평 보간비를 산출한다. 이때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게 되는 기준 픽셀의 위치 특성상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기준픽셀 두 쌍은 서로 같은 수평 보간비를 갖게 된다.
수평 FRC(250)는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평 보간강도신호를 생성하는 부로서, 수평 보간 강도 제어부(255) 및 수평 보간 강도 선택부(259)를 포함한다.
수평 보간 강도 제어부(255)는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픽셀, 가령 프레임 레이트가 30인 경우 30개의 픽셀값을 흑색 및 백색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여, 소정 단계의 수평 보간강도신호를 생성하는 부로서, 흑색과 백색의 비율을 1:0으로 제어하는 0% 수평 보간 강도 생성부(257-1), 2:1로 제어하는 33% 수평 보간 강도 생성부(257-2), 1:2으로 제어하는 66% 수평 보간 강도 생성부(257-3), 및 0:1으로 제어 하는 100% 수평 보간 강도 생성부(257-4)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수평 보간 강도 생성부(257-1 ∼ 357-4)는 흑색과 백색의 순서를 랜덤(Random)하게 제어하여 출력한다.
수평 보간강도 선택부(259)는 수평 보간비 산출부(240)로 부터 입력된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수평 보간강도 생성부(257-1 ∼ 257-4)의 출력을 선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기준픽셀 버퍼부(260)는 파레트(210)로 부터 4개의 기준픽셀을 독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제1 기준픽셀버퍼(265-1), 제2 기준픽셀버퍼(265-2), 제3 기준픽셀버퍼(265-3), 및 제4 기준픽셀버퍼(265-4)를 포함한다.
보간부(270)는 수직 FRC(230)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보간강도와 수평 FRC(25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보간강도신호를 조합하여, 조합된 보간 강도 비율에 따라 각 기준픽셀이 디스플레이되는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인간의 착시현상에 따른 선형보간을 수행하는 부로서, 제1 픽셀 선택부(273), 제2 픽셀 선택부(276), 및 제3 픽셀 선택부(279)를 포함한다.
제1 픽셀 선택부(273)는 수직 FRC(276)로 부터 제1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1 기준픽셀 및 제2 기준픽셀의 수직 보간강도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보간 강도에 비례하는 빈도로 제1 기준픽셀 및 제2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제3 픽셀 선택부(279)로 송신한다. 이때, 제1 픽셀선택부(273)는 흑색 및 백색이 랜덤한 순서로 구성된 수직보간강도신호 중 백색신호에 대응하여 제1 기준픽셀 및 제2 기준픽셀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2 픽셀 선택부(276)는 수직 FRC(130)로 부터 제2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3 기준픽셀 및 제4 기준픽셀의 수직 보간강도를 입력받아, 입력된 보간강도에 비례하는 빈도로 제3 기준픽셀 및 제4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제3 픽셀 선택부(279)로 송신한다. 이때, 제2 픽셀선택부(276)는 흑색 및 백색이 랜덤한 순서로 구성된 수직보간강도신호 중 백색신호에 대응하여 제3 기준픽셀 및 제4기준픽셀을 선택한다.
제 3 픽셀선택부(279)는 제1 픽셀 선택부(273) 및 제2 픽셀 선택부(276)로 부터 빈도가 제어되어 입력된 픽셀들을 다시 한 번 각각의 기준픽셀에 대응하는 수평보간강도에 따라 빈도를 제어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3 픽셀선택부(276)는 흑색 및 백색이 랜덤한 순서로 구성된 수평보간강도신호 중 백색신호에 대응하여, 수직보간강도에 따라 빈도가 제어되어 입력되는 제1 기준픽셀 내지 제4 기준픽셀을 선택한다.
이후 제3 픽셀 선택부(279)에서의 출력되는 신호는 새로운 픽셀값을 갖지 않고 기존의 기준 픽셀이기 때문에, 확대 영상 저장용 메모리에 기록할 필요 없이, 소정의 포멧 변환 절차를 거친후 바로 디스플레 패녈에 표시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며, 이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P00, P10, P01,11P은 각각 제1 기준픽셀, 제2 기준픽셀, 제3 기준픽셀, 및 제4 기준픽셀이며, P는 보간할 픽셀을 나타낸다.
우선 수직 보간비 산출부(220)는 각각의 기준 픽셀에 대한 수직 보간비를 산출한다(S400). 이때 각 기준픽셀별 수직 보간비는 아래와 같다.
제1 기준픽셀 : (Y1-Y)/(Y1-Y0) = 2/3,
제2 기준픽셀 : (Y1-Y)/(Y1-Y0) = 2/3,
제3 기준픽셀 : (Y-Y0)/(Y1-Y0) = 1/3,
제4 기준픽셀 : (Y-Y0)/(Y1-Y0) = 1/3.
수직 FRC(230)의 수직 보간강도 선택부(239)는 수직 보간비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수직 보간 강도 생성부(237-1 ∼ 237-4)에서 출력되는 수직 보간 강도 신호를 선택한다(S410). 상기와 같은 수직 보간비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각 기준픽셀별 수직보간강도신호는 아래와 같다.
제1 기준픽셀 : 66% 수직보간강도신호,
제2 기준픽셀 : 66% 수직보간강도신호,
제3 기준픽셀 : 33% 수직보간강도신호,
제4 기준픽셀 : 33% 수직보간강도신호.
한편, S400단계와 동시에, 수평 보간비 산출부(240)는 수평 보간비를 산출한다(S420). 이때 산출된 각 기준픽셀별 수평 보간비는 아래와 같다.
제1 기준픽셀 : (X1-X)/(X1-X0) = 2/3,
제2 기준픽셀 : (X-X0)/(X1-X0) = 1/3,
제3 기준픽셀 : (X1-X)/(X1-X0) = 2/3,
제4 기준픽셀 : (X-X0)/(X1-X0) = 1/3.
수평 FRC(230)의 수평 보간강도 선택부(239)는 수평 보간비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수평 보간 강도 생성부(257-1 ∼ 257-4)에서 출력되는 수평 보간 강도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S430). 상기와 같은 수직 보간비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각 기준픽셀별 수직보간강도신호는 아래와 같다.
제1 기준픽셀 : 66% 수평보간강도신호,
제2 기준픽셀 : 33% 수평보간강도신호,
제3 기준픽셀 : 66% 수평보간강도신호,
제4 기준픽셀 : 33% 수평보간강도신호.
보간부(270)는 우선 수직 FRC(230)로 부터 입력된 수직보간강도신호에 대응하여 빈도를 제어하여 기준픽셀을 선택하고, 이후 수직보간강도에 의해 선택빈도가 제어된 기준픽셀에 대해 다시 수평 FRC(250)로 부터 입력된 수평보간강도에 따라 빈도를 제어하여 선택한다(S450). 아래는 프레임 레이트가 30인 경우 1초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기준픽셀의 빈도를 나타낸다.
제1 기준 픽셀 : 30*66%*66=13회,
제2 기준 픽셀 : 30*66%*33%=7회,
제3 기준 픽셀 : 30*33%*66%=7회,
제4 기준 픽셀 : 30*33%*33%=3회.
이후 선택된 기준픽셀들은 랜덤하게 뒤섞인 순서로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단위 프레임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비율로 기준픽셀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결과 사람은 잔상효과로 인해 선형보간에 따른 보간값과 같은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색상을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복잡한 연산 없이 선형보간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 눈의 잔상효과를 통해 선형보간의 효과를 내기 때문에, 종래 선형보간을 위한 복잡한 연산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속한 영상 확대가 가능하다. 그리고 확대보간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확대 보간 장치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흑색과 백색만을 표현할수 밖에 없는 경우에도, 흑색과 백색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그레이레벨을 표현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직거리에 따른 수직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직 보간비 산출부;
    산출된 상기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수직 FRC(Frame Rate Controller);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보간할 픽셀과의 수평거리에 따른 수평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평 보간비 산출부;
    산출된 상기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평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FRC(Frame Rate Controller); 및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 및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의 조합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FRC는,
    단위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픽셀들간의 흑색 대 백색 비율을 제어하여 복수의 수직 보간 강도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보간 강도 제어부; 및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수직보간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직보간강도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FRC는,
    단위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픽셀들간의 흑색 대 백색 비율을 제어하여 복수의 수평 보간 강도 신호를 생성하는 수평 보간 강도 제어부; 및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수평보간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평보간강도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상기 기준픽셀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기준픽셀을 대응하는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에 비례하는 빈도로 재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상기 기준픽셀이 선택되어지는 속도는 상기 영상 확대 보간 장치의 프레임레이트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6. 원영상으로 부터 보존된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보간할 픽셀과의 수직거리에 따른 수직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직 보간비 산출 단계;
    산출된 상기 수직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직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보간할 픽셀과의 수평거리에 따른 수평 보간비를 산출하는 수평 보간비 산출 단계;
    산출된 상기 수평 보간비에 대응하는 수평 보간 강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 및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의 조합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기준픽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간강도신호 출력 단계는,
    단위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픽셀들간의 흑색 대 백색 비율을 제어하여 복수의 수직 보간 강도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보간 강도 제어 단계; 및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수직보간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직보간강도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보간강도신호 출력 단계는,
    단위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픽셀들간의 흑색 대 백색 비율을 제어하여 복수의 수평 보간 강도 신호를 생성하는 수평 보간 강도 제어 단계; 및
    상기 기준픽셀 각각에 대해 상기 수평보간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평보간강도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단계는,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에 비례하는 빈도로 대응하는 상기 기준픽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직보간강도신호에 비례하는 빈도로 선택된 상기 기준픽셀을 대응하는 상기 수평보간강도신호에 비례하는 빈도로 재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단계는,
    상기 기준픽셀이 선택되어지는 속도는 상기 영상 확대 보간 장치의 프레임레이트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방법.
KR1020040027066A 2004-04-20 2004-04-20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066A KR100545016B1 (ko) 2004-04-20 2004-04-20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066A KR100545016B1 (ko) 2004-04-20 2004-04-20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45A KR20050101845A (ko) 2005-10-25
KR100545016B1 true KR100545016B1 (ko) 2006-01-24

Family

ID=3728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066A KR100545016B1 (ko) 2004-04-20 2004-04-20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5848B2 (en) 2011-10-07 2015-09-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5848B2 (en) 2011-10-07 2015-09-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45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38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image resolution conversion
KR20070048629A (ko) 동화상 표시 장치 및 동화상 표시 방법
TWI455572B (zh) 用於立體顯示之圖框率轉換裝置及方法
JP2837339B2 (ja) 画像生成方法
KR100342124B1 (ko) 화상 혼색 처리 장치
CN102124511A (zh) 图像信号处理装置、图像信号处理方法、图像显示装置、电视接收机、电子设备
JP3668502B2 (ja) 液晶表示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90038437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100021251A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100545016B1 (ko) 프레임 레이트 제어를 통한 영상 확대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JP200701761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77482B2 (en) Boundary lin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recording medium
US74057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region
KR100674403B1 (ko) 동영상 처리장치
JP2005151135A (ja) 画像境界の判定装置および判定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信号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6943783B1 (en) LCD controller which supports a no-scaling image without a frame buffer
KR1006920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6671101B2 (ja) 画像処理回路、表示パネル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697681B2 (ja) 階調表示方法、及び階調表示装置
KR102547085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JP201103574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15744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0020014A (ja) 画像表示装置
JPH03236097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8040405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駆動画像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5